KR20060065461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461A
KR20060065461A KR1020050051361A KR20050051361A KR20060065461A KR 20060065461 A KR20060065461 A KR 20060065461A KR 1020050051361 A KR1020050051361 A KR 1020050051361A KR 20050051361 A KR20050051361 A KR 20050051361A KR 20060065461 A KR20060065461 A KR 2006006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und
ground portion
signal transmission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135B1 (ko
Inventor
김석산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135B1/ko
Priority to JP2005343962A priority patent/JP4575286B2/ja
Priority to US11/289,444 priority patent/US20060125720A1/en
Priority to CN2005101339019A priority patent/CN1787045B/zh
Publication of KR2006006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될 때에 발생되는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를 대폭 제거함으로써 구동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신호전달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 달수단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패널
111 : 전면패널 112 : 후면패널
120 : 프레임 121 : 절곡부
122 : 보강부재 123 : 보스
130 : 신호발생수단 131 : 영상처리 및 논리제어장치
132 : 주사전극구동장치 133 : 유지전극구동장치
134 : 어드레스전극구동장치 135 : 전원공급장치
140 : 신호전달수단 141 : 신호전달라인
142 : 접지라인 143 : 접지부
144, 145 : 전기 절연성 막 146 : 집적회로칩
150 : 방열플레이트 160 : 양면테이프
170 : 열전도매체 180 : 커버플레이트
184 : 지지플레이트
본 발명은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구동장치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수단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화면을 가지면서도,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광시야각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체 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발광시켜 이미지 등의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이들 양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신호전달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이러한 신호전달수단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 예컨대 교류전류처럼 소정의 전위차를 갖는 전기적 신호를 고속으로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이 장착되어 있어서 구동시 노이즈(noise) 및 전자파 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발생하게 되는 바, 신뢰성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이러한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일단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고 타단이 구동장치에 접속되는 다수의 배선들 중 어느 한 배선을 그라운드(ground) 배선으로 설정하고, 이 그라운드 배선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에 연결한 다음, 이 구동장치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그라운드 전위를 갖는 섀시에 연결함으로써 노이즈 및 전자파 장애를 제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그라운드 배선이 그라운드 전위를 갖는 섀시에 복잡한 경로를 거쳐 연결됨으로써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 향상을 위해 방전 기체에 포함된 제논 기체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방전을 개시하거나 유지하는 전압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위와 같은 종래의 구조로는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를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될 때에 발생되는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를 대폭 제거함으로써 구동 신뢰성이 확보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하여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가 증가하는 경 우에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동 신뢰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을 제공한다.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용접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의 상기 프레임과 반대쪽에 있는 면은 전기 절연성 물질에 의해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별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 및 상기 접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지부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도전성 물질을 매개로 상기 접지부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부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독립된 별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에서 상기 신호전달라인이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전기 절연성 물질에 의해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접지부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1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플레이 트는 상기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접지부를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전기 절연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 사이에는 전기 절연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집적회로칩을 커버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더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전달수단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제2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독립된 별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며 도전성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 및 상기 접지부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도전성을 가지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지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도전성을 가지면서 상기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커버하는 방열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모두 도전성을 갖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는 열 전도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는 전기 전도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굽어져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별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면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의 상기 신호전달수단이 연결되는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단부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신 호전달수단의 변형예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널(110), 프레임(120), 구동장치(130) 및 신호전달수단(140)을 구비한다.
패널(110)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가장자리가 결합됨으로써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1) 및 후면패널(112)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패널(111)과 후면패널(112) 사이의 방전공간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트라이프나 격자와 같이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다수의 방전셀들로 구획되어 있다. 방전셀에는 소정의 전기장이 인가될 경우 방전되어 플라즈마 가스를 형성하면서 자외선을 방출하는 방전 기체가 주입되어 있다. 또한 방전셀에는 방전기체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 발광되는 형광체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패널, 후면패널 또는 격벽에는 방전셀에 방전을 야기하도록 전기장을 형성하는 다수의 전극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들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에 각각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형성하고 이들이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하는 대향 방전 전극이나, 전면패널에 방전을 유지하는 제1,2전극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고 후면패널에 방전을 일으키는 셀을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제3전극을 배치하는 세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면 방전 전극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3전극 면 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다수의 주사전극 라인들과 다수의 유지전극라인들이 서로 교호적으로 나란하게 전면패널에 배치되고, 다수의 어드레스전극라인들이 주사전극라인들 및 유지전극라인들에 교차하도록 후면패널에 배 치되며, 이들 전극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은 각 방전셀에 대응된다.
이러한 전극라인들의 단자부들은 전면패널 또는 후면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극라인 단자부들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전달수단(140)과 연결됨으로써 패널(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 등을 구동장치(130)로부터 전달받게 된다.
프레임(120)은 패널(110)과 후방에서 결합되어 패널(110)을 지지한다. 프레임(12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160)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는 패널(110)과 결합되지만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패널(110)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패널(110)에 대응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패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금속과 같이 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110)의 가장자리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패널(110)의 후방으로 굽어져 있는 절곡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프레임(11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량화 및 박형화 경향에 맞추어 가볍고 얇게 제작되므로, 프레임(110)에는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122)는 용접이나 나사 또는 보스에 의해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프레임(120)과 패널(110) 사이에는 열 전도성이 좋은 열전도매체(17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작동함에 따라 패널(110)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을 열전도매체(170)를 통해 프레임(120)에 원활하게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전도매체(170)는 패널(1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양면테이프(160)는 열전도매체(170)의 주변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열전도효율을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구동장치(130)는 프레임(1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130)는 영상처리 및 논리제어장치(131), 전극구동장치(132)(133)(134) 및 전원공급장치(135)를 구비한다. 영상처리 및 논리제어장치(131)는 외부로부터의 입력된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내부 영상신호로 출력한 다음, 출력된 영상신호를 제어하여 다수의 전극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극구동장치(132)(133)(134), 예컨대 주사전극구동장치(132), 유지전극구동장치(133) 및 어드레스전극구동장치(134)는, 영상처리 및 논리제어장치(131)로부터 입력된 전극라인제어신호에 따라 패널(120)의 각 전극라인, 예컨대 주사전극라인, 유지전극라인 및 어드레스전극라인 각각에 대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전원공급장치(135)는 영상처리 및 논리제어장치(131)와 전극구동장치(132)(133)(134)에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며, 특히 주사전극구동장치(132), 유지전극구동장치(133) 및 어드레스전극구동장치(134)에는 패널(120)의 주사전극라인들, 유지전극라인들 및 어드레스전극라인들 각각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인가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3전극 면 방전 타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상을 표현하는 한 프레임은 복수개의 서브필드가 모여 이루어진다. 한 서브필드는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유지 기간으로 나뉜다. 리셋 기간에는 전체 방전셀들을 초기화하는 리셋 방전이 수행되도록 주사전극라인들에 상승램 프펄스와 하강램프펄스로 이루어진 리셋 펄스가 인가된다. 어드레스 기간에는 전체 방전셀들 중 방전이 일어날 방전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방전이 수행되기 위해 주사전극라인들에 주사 펄스가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어드레스전극라인들에 주사 펄스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유지 기간에는 선택된 방전셀에서 유지 방전이 수행되도록 유지 펄스가 주사전극라인들과 유지전극라인들에 교호적으로 인가된다.
신호전달수단(140)은 패널(110)과 구동장치(130) 사이의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3전극 면 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전달수단(140)은 주사전극구동장치(132), 유지전극구동장치(133) 및 어드레스전극구동장치(134)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를 패널(110)의 주사전극라인들, 유지전극라인들 및 어드레스전극라인들에 전달한다. 따라서 신호전달수단(14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쪽이 전극라인 단자부가 배치된 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프레임(120)의 가장자리 근방에 배치된 전극구동장치(132)(133)(134)에 연결되며, 전체적으로는 프레임(12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신호전달수단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TCP(tape carrier package)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TCP와 같은 신호전달수단(14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쪽이 패널(110)의 전극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구동장치(130)의 전극구동장치(132)(133)(134)에 연결되어, 전극구동장치(132)(133)(134)와 패널(110)의 전극라인 사이의 리셋 펄스, 주사 펄스, 표시 데이터 신호, 유지 펄스와 같은 전기 적 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복수의 신호전달라인(141)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전달라인(141)들은 양쪽 끝을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144)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고 다른 전기 절연성 막(145)으로 코팅되어 있어서 외부와 절연되어 있다. 신호전달라인(141)의 양쪽 끝은 전기 절연성 막(144)(145)으로 코팅되어 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패널(110)의 전극라인과 구동장치(130)의 전극구동장치(132)(133)(134)에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신호전달라인(141) 상에는 패널(110)과 구동장치(130) 사이의 리셋 펄스, 주사 펄스, 표시 데이터 신호, 유지 펄스와 같은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회로가 집적된 집적회로칩(146)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집적회로칩(146)은 신호전달수단(140)이 아니라, 구동장치(13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집적회로칩(146)은 범프(147)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신호전달라인(141)과 연결되며, 연결부위는 에폭시 수지로 도포되어 있다.
신호전달라인(141) 중에는 프레임(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143)를 갖는 접지라인(142)이 포함되어 있다. 접지부(143)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신호전달라인(141)을 접지라인(143)으로 하여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 절연성 막(144)이 존재하지 않게 한 다음 그 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지부(143)는 접지라인(142)의 다른 부분이나 신호전달라인(141)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또는 접지라인(142)의 폭을 신호전달라인(141)의 폭보다 크도록 접지라인(142) 전체를 접지부(143)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접지부(143)는 접지라인(142)의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부분을 덮고 있는 다른 전기 절연성 막(145)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그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접지부(143)는 접지라 인(142)의 상하 양쪽의 각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부분을 덮고 있는 전기 절연성 막(144)(145)들이 모두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외부로 노출된 접지라인(143)의 상하 양쪽의 각 부분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지라인(142)은 신호전달라인(141)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 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부(143)는 접지라인(142)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접지부(143)는 접지라인(142)과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접지라인(142)과 동일한 성분을 갖는다. 접지부(143)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전달수단(14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접지부(143)는 도 5나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전달수단(140)의 중앙부나 하부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접지부(143)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보강부재(122)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접지부(143)는 신호전달수단(140)를 관통하는 고정핀(149)에 의해 보강부재(122)에 고정됨으로써 보강부재(122)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고정핀(149)은 접지부(143)을 관통하면서 접지부(143)를 보강부재(122)에 고정시킴으로써 접지부(143)의 보강부재(122)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고정핀(149)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핀(149)의 헤드(149a)와 접지부(143)가 형성된 접지라인(142) 사이에는 전기 절연성 막(145)이 존재하는 것이 고정핀(149)이 접지라인(142)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고정핀(149)은 그 관통부(149b)가 신호전달수단(140)의 신호전달라인(141)이나 접지라인(142)이 배치된 부분 이외의 영역을 관통하면서 그 헤드부(149a)가 접지부(143)를 보강부재(122)에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핀(149)은 비도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고정핀(149)이 신호전달라인(141)이나 접지라인(142)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접지부(143)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보강부재(122)에 접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다. 접지부(143)의 보강부재(122) 쪽은 전기 절연성 막(144)에 의해 코팅되어 있지 않고 접지부(143)의 보강부재(122) 반대쪽은 전기 절연성 막(145)으로 코팅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핀(149)으로 고정하지 않더라도 접지부(143)와 보강부재(12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전기적 접촉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접지부(143)를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보강부재(122)에 접착시키고 나아가 접지부(143)를 가압하는 고정핀(149)을 추가할 수 있다.
신호전달수단(140) 위에는 접지부(143) 및 집적회로칩(146)을 보호하면서 신호전달수단(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방열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있다. 방열플레이트(150)는 프레임(120)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연장되도록 굽어져 있는 것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 부피를 줄이면서 신호전달수단(140)을 보호하거나 그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방열플레이트(150)는 접지부(143) 및 집적회로칩(146)을 모두 커버할 수도 있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방열플레이트(15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트(151)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보강부재(122)에 고정된다. 방열플레이트(150)와 신호전달수단 (140) 사이에는 열전도매체(15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신호전달수단(140)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플레이트(150)에 원활히 전달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은 구동장치가 리셋 펄스, 주사 펄스, 표시 데이터 신호, 유지 펄스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적 신호를 신호전달수단(140)을 통해 패널(110)의 전극라인들에 인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noise) 및 전자파 장애는 그라운드 전위를 갖는 프레임(120)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를 통해 용이하게 대폭 저감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가져다 주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제2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비될 때에 접지부(143)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보강부재(122)가 아니라 보스(123)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나 있는 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접지부(143)가 프레임(120)에 결합된 보스(123)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접지부(143)는 보스(123)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지부(143)에는 고정핀(149)이 관통되어 있어서 접지부(143)가 보스(123)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지부(143)가 보스(123)에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고정핀(149)의 헤드(149a)는 접지부(143)를 코팅하고 있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전기 절연성 막(145)과 같은 것을 가압함으로써 접지부(143)를 보스(123)에 밀착하도록 하고, 고정핀(149)의 관통부(149b)는 접지부(143)를 관통하여 보스(123)에 결합됨으로써 고정핀(149)을 보스(123)에 결합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 접지부(143)는 고정핀(149)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보스(123)에 접착될 수도 있다.
접지부(143)는 고정핀(149) 대신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보스(123)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핀(149)이 불필요하게 된다.
보스(123)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보스(123)는 프레임(120)에 코킹이나 나사결합 등에 의해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방열플레이트(150)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보강부재(122)가 아니라 프레임(120)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는 보강부재(122)보다 간단한 구성을 갖는 보스(123)에 의해 용이하게 접지부(143)를 프레임(120)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난 제3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비될 때에 접지부(143)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보강부재(122)가 아니라 프레임(120)의 절곡부(121)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나 있는 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접지부(143)가 프레임(120)의 절곡부(12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절곡부(121)는 접지부(143)에 접촉하는 제1절곡부(121a)와, 패널(110)에 부착되는 프레임(120)의 본체부(120a)와 제1절곡부(121a) 사이를 연결하는 제2절곡부(121b)로 이루어져 있다. 제1,2절곡부(121a)(121b)는 서로 일체로서 프레임(120)의 본체부(120a)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절곡부(121a)의 신호전달수단(140)이 배치되는 면은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전극구동장치(132)(133)(134)의 신호전달수단(140)이 배치되는 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신호전달수단(140)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접지부(143)가 제1절곡부(121a)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2절곡부(121b)는 제1절곡부(121a)와 프레임(120)의 본체부(120a)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본체부(120a)로부터 굽어져 본체부(120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에서는 접지부(143)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절곡부(121)의 형상이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접지부 (143)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절곡부(121)의 형상이 반드시 도 8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부(143)가 제1절곡부(121a)에 접촉하게 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접지부(143)가 보강부재(122)에 접촉하게 되는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에 비하여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접지부(143)를 프레임(120)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신호전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대비될 때에 신호전달수단(140)에 커버플레이트(180)가 더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 있는 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프레임(120)에 보강부재(122)가 설치되어 있고, 보강부재(122)에는 신호전달수단 (140)이 배치되어 있다. 신호전달수단(140)의 보강부재(122)와 반대쪽 면에는 커버플레이트(180)가 위치하고 있다. 커버플레이트(180)는 볼트(181)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보강부재(122)에 결합된다.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는 커버플레이트(18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접지부(143)와 커버플레이트(180)와의 전기적 접촉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고정핀(182)이 접지부(143)를 관통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핀(182)의 헤드(182a)는 접지부(143)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보강부재(122)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본체(182b)는 전기 절연성 막(144), 접지라인(142) 및 접지부(143)를 차례로 관통하여 커버플레이트(180)에 결합된다. 고정핀(182)의 헤드(182a)는 보강부재(122)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182)의 본체(182b)는 접지라인(142)를 관통하지 않고 접지부(143)만을 관통할 수도 있다. 고정핀(182)의 본체(182b)는 커버플레이트(180)에 나사결합이나 보스결합 등에 의해 결합된다.
다른 한편,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커버플레이트(18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커버플레이트(180)에 밀착될 수도 있다. 접지부(143)를 커버플레이트(180)에 밀착시키는 방법은 접지부(143)가 커버플레이트(180)와 보강부재(1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신호전달수단(140)을 배치하고, 커버플레이트(180)와 보강부재(122)를 결합하는 나사(181)의 조임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고정핀(182)이라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접지부(143)와 커버플레이트(180)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서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지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180) 쪽의 전기 절연성 막(145)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지부(143)와 커버플레이트(180)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서는 접지부(143)가 접지라인(142)의 커버플레이트(180) 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부(143)를 접지라인(142)의 보강부재(122) 쪽에 형성되도록 하고, 접지부(143)를 커버플레이트(180)가 아니라 보강부재(122)에 직접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접지부(143)를 접지라인(142)의 커버플레이트(180)와 보강부재(122)의 양쪽에 모두 형성함으로써 접지부(143)를 커버플레이트(180)와 보강부재(122)의 양쪽에 모두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도 있다.
커버플레이트(180)에는 신호전달수단(140)의 집적회로칩(146)에 대응되는 부분에 집적회로칩(146)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접적회로칩(146)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18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180a)이 형성됨으로써 집적회로칩(146)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커버플레이트(180)가 신호전달수단(140)에 원활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집적회로칩(146)이 신호전달수단(140)의 커버플레이트(180) 쪽에 설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서, 집적회로칩(146)이 신호전달수단(140)의 보강부재(122) 쪽에 설치될 경우에는 보강부재(122)의 집적회로칩(146)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집적회로칩(146)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플레이트(180)를 보강부재(122)에 고정시키는 볼트(181)는 도 10에 나타 나 있는 바와 같이 신호전달수단(140)을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신호전달수단(14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커버플레이트(180)와 신호전달수단(140)의 밀착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와 같이 다른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볼트(181)와 같은 고정부재가 신호전달수단(140)의 신호전달라인(141) 및 접지라인(142)이 배열되지 않은 영역을 관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플레이트(180)에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181)가 관통하는 구멍(182)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재(122)에는 볼트(181)가 관통하는 다른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재(122), 볼트(181) 및 커버플레이트(180)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지부(143)와 프레임(120)과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확실히 하고 이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에 따른 노이즈 및 전자파 장애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난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비할 때에 커버플레이트(180)가 보강부재(122)가 아니라 보스(123)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 라서 도 12에 나타나 있는 요소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프레임(120)에 보스(123)가 결합되어 있고, 보스(123)에는 커버플레이트(180)가 볼트(181)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보스(123)에는 볼트(18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커버플레이트(180)에는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가 고정핀(182)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점은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스(123)와 같은 간단한 부재를 통해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가 매우 용이하게 프레임(120)에 접지될 수 있고, 동시에 신호전달수단(140)의 커버플레이트(180) 반대쪽 면이 공기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서 신호전달수단(140)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비할 때에 커버플레이트(180)가 보강부재(122)가 아니라 프레임(120)의 절곡부(121)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난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나 있는 요소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프레임(120)의 절곡부(121)는 신호전달수단(140)에 접촉되는 제1절곡부(121a)와, 패널(110)에 부착되는 프레임(120)의 본체부(120a)와 제1절곡부(121a) 사이를 연결하는 제2절곡부(121b)로 이루어져 있다. 제1,2절곡부(121a)(121b)는 서로 일체로서 프레임(120)의 본체부(120a)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절곡부(121a)의 신호전달수단(140)이 배치되는 면은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전극구동장치(134)의 신호전달수단(140)이 배치되는 면과 동일하거나 약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신호전달수단(140)을 제1절곡부(121a)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2절곡부(121b)는 제1절곡부(121a)와 본체부(120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120)의 절곡부(121)는 반드시 도 13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80)가 제1절곡부(121a)에 결합하는 구성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제4실시예에서 커버플레이트(180)가 보강부재(122)에 결합하는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6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에 나타나 있는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보강부재라는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커버플레이트(180)를 프레임(120)에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구성 을 단순화하고 제조 공정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전달수단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2에 나타난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비할 때에 신호전달수단(140)이 직접 보스(123)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보스(123)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184)에 지지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에 나타난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나 있는 요소로서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한 요소는 도 1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스(123)의 일 단부는 프레임(120)과 결합되고 타 단부는 지지플레이트(184)와 결합된다. 지지플레이트(184)는 보스(123)의 횡단면 면적보다는 넓은 면적을 가짐으로써 신호전달수단(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플레이트(184)는 보스(123)와 결합되는 부분을 갖는 것은 물론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 나아가서는 집적회로칩(146)까지 지지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184)는 볼트(181)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보스(123)에 결합되는데, 이 볼트(181)는 커버플레이트(180)를 보스(123)에 결합시키는 볼트와 다른 것일 수도 있지만 이와 동일한 것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 부분은 도 12에 나타나 있는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 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도 12에 나타난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가 커버플레이트(180)가 아니라 지지플레이트(184)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나아가 접지부(143)가 커버플레이트(180)와 지지플레이트(184)에 모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제4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고려할 때에 쉽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7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제5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신호전달수단(140)이 지지플레이트(184)에 의해 지지되면서 커버플레이트(180)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80)와 접지부(143)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은 신호발생수단(130)이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는 신호전달수단(140)을 통해 패널(110)로 전달된다. 패널(110)은 신호전달수단(14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방전을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을 패널(110)의 전면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는 접지 전위를 갖는 프레임(120)에 직접 전기 적으로 접촉된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거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노이즈나 전자파 장애가 프레임(120)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된 신호전달수단(140)의 접지부(143)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거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구동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전가스에 포함되는 제논(Xe)의 함량을 높이는 추세인데, 이 경우에는 방전을 개시하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고전압을 인가해 주어야 하는 등 전기적 신호의 강도가 증가하므로 노이즈 및 전자파 장애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되어 이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고효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및 전자파 장애를 대폭 저감할 수 있어서 고효율을 도모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구동이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노이즈 및 전자파 장애를 대폭 저감함으로써 구동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제논 함량이 증가된 방전 기체와 같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이 높은 방전 기체가 이용될 경우에도 노이즈 및 전자파 장애를 대폭 저감할 수 있어서 고효율을 달성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27)

  1.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및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용접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의 상기 프레임과 반대쪽에 있는 면은 전기 절연성 물질에 의해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별개의 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8.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 및
    상기 접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지부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도전성 물질을 매개로 상기 접지부에 접촉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결합부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부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독립된 별개의 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보스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에서 상기 신호전달라인이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전기 절연성 물질에 의해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9.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접지부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1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접지부를 가압하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전기 절연성 물질이 존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를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가압하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 사이에는 전기 절연성 물질이 존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8.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집적회로칩을 커버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더 연장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5.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2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6.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7.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8.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9.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접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독립된 별개의 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보스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7.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 레이 장치.
  78.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9.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 플레이 장치.
  8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5.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6.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7.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8.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을 지지하며 도전성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라인과,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지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라인을 포함하는 신호전달수단; 및
    상기 접지부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도전성을 가지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2.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3.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4.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상기 접지부가 상기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지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6.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7.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도전성을 가지면서 상기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9.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전달수단을 커버하는 방열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모두 도전성을 갖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3.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4.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는 열 전도성 물질이 존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5.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는 전기 전도성 물질이 존재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6.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7.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굽어져 연장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8.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1.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도전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2.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신호전달라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패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칩을 더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3.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라인은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4.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접지부를 제외하고는 전기 절연성 막으로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5.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6.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단부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7.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라인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8.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신호전달라인보다 넓은 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신호전달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3.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별개의 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4.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보스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5.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6.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면은 상기 신호발생수단의 상기 신호전달수단이 연결되는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7.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접지부가 접촉되는 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단부의 높이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51361A 2004-12-09 2005-06-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61A KR100730135B1 (ko) 2004-12-09 2005-06-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343962A JP4575286B2 (ja) 2004-12-09 2005-11-29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11/289,444 US20060125720A1 (en) 2004-12-09 2005-11-30 Plasma display device
CN2005101339019A CN1787045B (zh) 2004-12-09 2005-12-09 等离子体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45 2004-12-09
KR20040103645 2004-12-09
KR1020050051361A KR100730135B1 (ko) 2004-12-09 2005-06-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61A true KR20060065461A (ko) 2006-06-14
KR100730135B1 KR100730135B1 (ko) 2007-06-19

Family

ID=3658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361A KR100730135B1 (ko) 2004-12-09 2005-06-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25720A1 (ko)
JP (1) JP4575286B2 (ko)
KR (1) KR100730135B1 (ko)
CN (1) CN17870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32B1 (ko) * 2006-06-20 2007-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578B1 (ko) * 2005-05-14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34953A (ja) 2006-06-13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KR100823192B1 (ko) * 2006-11-27 2008-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20149A (ja) * 2007-07-10 2009-01-29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90036853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1057537B1 (ko) * 2008-12-12 2011-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98531A1 (ja) * 2014-06-26 2015-12-30 株式会社Joled 有機el表示装置
CN112885287B (zh) * 2021-03-01 2023-01-17 深圳天德钰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252Y1 (ko) * 1986-07-04 1991-07-22 주식회사 금성사 전파 가이드가 부설된 전자레인지의 균일가열장치
US5742265A (en) * 1990-12-17 1998-04-21 Photonics Systems Corporation AC plasma gas discharge gray scale graphic, including color and video display drive system
US5481656A (en) * 1993-06-18 1996-01-02 Seiko Epson Corporation Accessory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750811B2 (ja) * 1993-12-29 1998-05-13 デイエツクスアンテナ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の取付穴及びその加工方法
JPH08236878A (ja) * 1995-02-24 1996-09-13 Sony Tektronix Corp 回路基板のビス穴構体
US6215477B1 (en) * 1997-10-22 2001-04-10 Smart Technologies Inc. Touch sensitive display panel
KR19990029379U (ko) * 1997-12-29 1999-07-15 김영환 그라운드 접점 극대화 장치
JP3659810B2 (ja) * 1998-08-05 2005-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二次元表示装置の駆動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3289684B2 (ja) * 1998-09-11 2002-06-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その駆動方法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JP2002244568A (ja) * 2001-02-14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電極駆動装置
JP2003295788A (ja) * 2001-02-27 200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表示パネ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2311843A (ja) * 2001-04-17 2002-10-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用部材及びディスプレイ
JP4650822B2 (ja) * 2001-05-24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KR100521911B1 (ko) * 2001-07-09 2005-10-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차폐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3983120B2 (ja) * 2001-07-30 2007-09-26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Icチップの実装構造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4176979B2 (ja) * 2001-09-27 2008-11-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JP2003243855A (ja) * 2002-02-14 2003-08-29 Ricoh Co Ltd 回路基板の取付け構造
JP4265155B2 (ja) * 2002-06-18 2009-05-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N100438738C (zh) * 2002-08-08 2008-1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磁波屏蔽用薄片
KR100906961B1 (ko) * 2002-12-30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장치
WO2004091055A2 (en) * 2003-03-31 2004-10-21 Molex Incorporated Shielding cage with improved emi shielding gasket construction
KR100546261B1 (ko) * 2003-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 패널 모듈
KR100625971B1 (ko) * 2003-10-10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및 접지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36267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및 접지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5976B1 (ko) * 2003-10-16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237439A1 (en) * 2004-04-21 2005-10-27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32B1 (ko) * 2006-06-20 2007-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63391A (ja) 2006-06-22
CN1787045A (zh) 2006-06-14
CN1787045B (zh) 2010-06-23
JP4575286B2 (ja) 2010-11-04
US20060125720A1 (en) 2006-06-15
KR100730135B1 (ko)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1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6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2048927A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60186779A1 (en) Structure for stabilizing drive pulses and plasm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6837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62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601230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575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535700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6005376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25660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487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684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US2006004976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3145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92265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7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96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831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73144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964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90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5011409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501127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0322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