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993A - 수중 찌 - Google Patents

수중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993A
KR20060064993A KR1020040103696A KR20040103696A KR20060064993A KR 20060064993 A KR20060064993 A KR 20060064993A KR 1020040103696 A KR1020040103696 A KR 1020040103696A KR 20040103696 A KR20040103696 A KR 20040103696A KR 20060064993 A KR20060064993 A KR 2006006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bbin
bobber
hole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584B1 (ko
Inventor
코우지 카네코
Original Assignee
코우지 카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우지 카네코 filed Critical 코우지 카네코
Priority to KR102004010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시용 찌와 도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낚시용 찌에 의해 도래에 묶여있는 낚시줄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수중으로 채비를 가라앉힐 때 조류의 흐름에 따라 낚시줄이 관통공내를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너울작용으로 채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켜 어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목적으로;
낚시줄이 삽입되어 움직이는 관통공을 보유하고 낚시줄이 찌매듭을 닳지 않고 채비를 가라앉히는 전유동 낚시 등에 이용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평면상 상면 타원형상을 이루고, 측면상 상부로 볼록 라운드 형상을 갖으며, 양측 상단면 연장 선상으로 조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날개부와, 그 하측으로 수납수단이 매설되는 홈이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 찌본체에 이 찌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양측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중 찌{FISHING FLOAT}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중 찌 20 : 상면 21,21' : 날개부
30 : 볼록부 40 : 홈 50 : 추
60 : 관통공 61 : 전방 61' : 라운드
62 : 후방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찌의 형상을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하되, 그 상면이 타원형상을 이루고, 양측 상단면 선상으로 날개형상을 이루고, 그 하면이 볼록부를 이루며, 그 중앙에 홈을 형성한 후 추를 삽입 매설하여 봉돌 역할을 수행하고, 쿠션작용 및 조류의 흐름에 따라 낚시줄이 관통공내를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너울작용으로 채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켜 어신(입질)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중 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낚시붐을 반영하여 여러가지 낚시용 도구가 새롭게 개발되거나 종래의 불편한 부분이 개량되고 있으며 이는 낚시용 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낚시 기법중에는, 예컨대 바다낚시시, 낚시용 찌와 낚시줄 사이에 찌 매듭(찌스톱)을 달지 않고 수면 밑에 채비를 가라 앉히는 방식의 전유동 낚시(무한흐름 낚시) 기법이 있는데, 이러한 전유동 낚시는 미끼를 부착한 낚시바늘을 해면 부근에서 부터 해저부근까지 가라앉혀가며 깊이 방향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어신을 찾는 잇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유동 낚시에는 통상 대추형상의 찌 본체의 축심위치에 찌 본체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중앙 관통관이 내장되고, 상기 중앙 관통관으 내부에는 일직선 형상 또는 입구측이 대경이고 출구측이 소경인 테이퍼 형상의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찌 본체 내 중앙 관통공의 출구측 단부에 추가 매설된 자립구멍찌(a), 찌본체 중간부의 중앙관통공으로 부터 그 지름 방향으로 이간된 편심위치에 추가 매설된 비자립 구멍찌(b) 또는 b의 경우에서 추를 중앙관통공의 출구에 가까운 쪽에 치우치도록 매설함으로써 사용시 찌가 수면에 대해 기울도록 한 경사찌(c) 등이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a 또는 b의 경우에는 낚시용 찌의 사용시 중앙관통고잉 수며넹 대해 수직이거나 수평인 형상이어서 중앙 관통공의 입구 및/또는 출구와낚시줄이 각을 이루어 마찰이 생기게 되므로 이에 따른 마찰 저하엥 의해 낚시줄의 낙하가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채비의 안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마찰저항은 낚시줄에 흠집 등이 잇는 경우 더 커진다.
또한, 상기 c의 경우에는 상기 a와 b의 경우에 비해 줄낙하는 원활하나, 대추형상으 낚시용 찌 자체가 수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므로, 조수와의 동조성이 떨어지고 안정감이 떨어지며 파도나 조류에 휩쓸리기 쉽고 원투 낚시의 경우 가시성이 떨어져 어신의 파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낚시용 찌에 관한 출원이 본원 출원인이 국내에 먼저 출원하여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26301호(명칭 : 낚시용 찌, 공개일자 : 2003. 03. 3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낚시용 찌(1)는 봉돌(3)을 매달지 않은 경우나 봉돌(3)의 부하가 작은 채비에 있어서도 낚시줄(7)의 낙하가 부드 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어신이 있을 경우에는 통상의 찌와 마찬가지로 양호하게 어신을 포착하고, 또한 조수와의 동조성이 좋으며 안정감이 있어 높은 파도나 빠른 조류에도 쉽게 휩쓸리지 않도록 한 데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낚시용 찌(1)가 도래(2)와 다을 경우, 도래에 묶여있는 낚시줄이 끊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낚시용 찌(1)이하로는 조류에 대응하지 못하고, 미끼(6)와 낚시 바늘(5) 무게에 의해 상기 낚시줄이 수면 일직선 방향으로 하강하여 원활한 어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용 찌와 도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낚시용 찌에 의해 도래에 묶여있는 낚시줄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수중으로 채비를 가라앉힐 때 조류의 흐름에 따라 낚시줄이 관통공내를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너울작용으로 채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켜 어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중 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시줄이 삽입되어 움직이는 관통공을 보유하고 낚시줄이 찌매듭을 닳지 않고 채비를 가라앉히는 전유동 낚시 등에 이용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평면상 상면 타원형상을 이루고, 측면상 상부로 볼록 라운드 형상을 갖으며, 양측 상단면 연장 선상으로 조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날개부와, 그 하측으로 수납수 단이 매설되는 홈이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 찌본체에 이 찌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양측 상단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부품의 명칭 및 부호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3의 A-A 단면도 이다.
도 2에 내지 도 6에 있어서, 10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수중 찌(10)이고, 이 수중 찌(10)는 평면상 상면(20) 타원형상을 이루고, 측면상 상부(20)로 볼록 라운드 형상을 갖으며, 양측 상단면 연장 선상으로 조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날개부(21,21')를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볼록부(30)를 형성하되, 이 볼록부(30) 중앙에는 홈(40)이 형성되며, 이 홈(40)에 봉돌을 대체하는 추(50) 가 삽입 매설되는 찌 본체(10)에 상기 찌 본체(10)를 관통하는 관통공(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0)의 전방에는 입구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라운드(61')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1은 낚시용 찌, 2는 도래, 4은 목줄, 5는 낚시바늘 6는 미끼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찌 본체(10)는 평면상으로 상면(20)이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찌 본체(10)는 측면상 상부(20)로 볼록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상기 측면상 상부(20) 양측 상단면 연장 선상으로 날개부(21,21') 가 조류에 대응하여 너울작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 볼록부(30)을 형성하여 조류의 흐름에 잘 타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찌 본체(1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그 하측으로 형성된 볼록부(30) 중앙에 홈(40)이 형성되며, 이 홈(40)에는 도 7에 도시도어 있는 바와 같이 추 가 삽입 매설되어 있어서, 채비의 봉돌역활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목줄(4)에 구비되어 있던 봉돌(3)을 삭제해도 무방하다.
이어서, 상기 찌 본체(10)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찌 본체(10)를 관통하는 관통공(60)이 양측 상단면 전방(61)에서 후방(62)으로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전방(61)이 도래(2)를 향하며, 그 후방(62)이 낚시용 찌(1) 쪽을 향하게 하여, 수압이 넓은 데에서 좁은 데로 가므로 낚시줄(7)이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60)의 전방(61) 입구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라운드(61') 형상을 갖으므로 수중 찌(10)가 도래(2)와 맞닿아 매듭되어 있는 줄이 끊어짐을 방지 한다.
상기 찌본체(10)의 소재로는 예컨데 합성수지 및 금속으로 결합되어 있어, 신축성을 좋게하여 조류의 흐름에 따라 너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찌 본체(1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시용 찌(1)와 도래(2) 사이에 구비되어 있어서, 종래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돌(3)과 미끼(6)의 무게에 의해 목줄(4)을 포함한 낚시줄(6)이 수직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류의 흐름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너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낚시 바늘에 끼워진 미끼가 너울작용되어 주변이 물고기들의 집어 내지는 유인어신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소정의 각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찌본체(10)의 하측으로 볼록부(30)의 형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찌본체(10)가 낚시용 찌(1)와 도래(2) 사이에 구비되어 있어서, 낚시줄을 지상으로 겉어 올릴 시, 상기 낚시용 찌(1)가 도래(2)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작용에 의해 상기 낚시용 찌(1)에 의해 도래(2)에 매듭되어 있는 낚시줄이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관통공(60)은 찌본체(10)에 직접 형성하여도 좋고, 관통관(미도시)을 끼워서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관통공(60)의 길이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원통형상, 타원통형상, 다각통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로써, 낚시에 초심자라 할 지라도 어신을 쉽게 이루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낚시용 찌와 도래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작용에 의한 상기 낚시용 찌에 의해 도래에 묶여있는 낚시줄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중으로 채비를 가라앉힐 때 봉돌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조류의 흐름에 따라 낚시줄이 관통공내를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채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키고 조류의 흐름에 따른 너울작용으로 미끼가 살아있는 것 처럼 함으로서 어신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낚시줄이 삽입되어 움직이는 관통공을 보유하고 낚시줄이 찌매듭을 닳지 않고 채비를 가라앉히는 전유동 낚시 등에 이용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평면상 상면 타원형상을 이루고, 측면상 상부로 볼록 라운드 형상을 갖으며, 양측 상단면 연장 선상으로 조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날개부와, 그 하측으로 수납수단이 매설되는 홈이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 찌본체에 이 찌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양측 상단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찌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상단면에 형성된 관통공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수중 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전방 입구가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수중 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볼록부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수중 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금속성의 납 또는 봉돌임을 포함하는 수중 찌.
KR1020040103696A 2004-12-09 2004-12-09 수중 찌 KR10067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96A KR100673584B1 (ko) 2004-12-09 2004-12-09 수중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96A KR100673584B1 (ko) 2004-12-09 2004-12-09 수중 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47U Division KR200377333Y1 (ko) 2004-12-09 2004-12-09 수중 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993A true KR20060064993A (ko) 2006-06-14
KR100673584B1 KR100673584B1 (ko) 2007-01-24

Family

ID=3716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696A KR100673584B1 (ko) 2004-12-09 2004-12-09 수중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584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2991B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float
KR200377333Y1 (ko) 수중 찌
KR100673584B1 (ko) 수중 찌
KR100781696B1 (ko) 자립 낚시찌
CN113951218B (zh) 一种钓鱼用假饵
US20220087240A1 (en) Fishing Lure
KR20200000741U (ko) 이동가능한 찌톱을 갖는 낚시찌
KR200384445Y1 (ko) 사출형 구멍찌
KR102652782B1 (ko) 부력을 가진 낚싯바늘
KR102609356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204990Y1 (ko) 낚시용 봉돌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20050028927A (ko) 부력, 경사도 조절이 자유로운 다기능 구멍찌 및 그조절방법
KR101354246B1 (ko) 전유동 채비용 어신찌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CN214339535U (zh) 花管式漂尾进排水浮漂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102484662B1 (ko) 두족류 낚시용 에자
KR100356278B1 (ko) 낚시용 구멍찌
KR200344513Y1 (ko) 어신 파악이 용이한 낚시용 경사구멍찌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JP3066830U (ja) 魚釣り用のおもり
KR200217442Y1 (ko) 낚시 찌
KR200333518Y1 (ko) 수정으로 된 낚시용 추
JP3483069B2 (ja) ルアー釣用ジ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