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715A -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715A
KR20060064715A KR1020040103328A KR20040103328A KR20060064715A KR 20060064715 A KR20060064715 A KR 20060064715A KR 1020040103328 A KR1020040103328 A KR 1020040103328A KR 20040103328 A KR20040103328 A KR 20040103328A KR 20060064715 A KR20060064715 A KR 2006006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eight
layer
finish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시문
Original Assignee
전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시문 filed Critical 전시문
Priority to KR102004010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715A/ko
Publication of KR2006006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C04B2111/2076Discolouring resista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 소유자가 소망하는 다양한 형상의 내, 외벽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는 72~80중량부의 돌가루와, 10~13중량부의 시멘트와, 물 10~14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1중량부의 첨가제가 혼합되어 건물의 내, 외벽에 20~50mm두께로 시공되는 마감층과; 상기 시공이 완료된 마감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색상이 형성되는 착색층과; 상기 착색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마감재의 변색을 방지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 소유주가 소망하는 다양한 형상의 내, 외벽을 형성하여 한층 미려한 외관의 건축물을 이루도록 한 이점이 있다.
내, 외벽 마감재, 마감층, 착색층, 코팅층

Description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시공방법{IN, OUT WALL CONCLUSION MATERIAL OF BUILDING AND THE IN, OUT WALL CONCLUSION MATERIAL CONSTUCTION METHO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 외벽 마감재의 단면을 발췌하여 보인 일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내, 외벽 마감재의 시공방법을 보인 공정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내, 외벽 마감재를 통해 시공이 완료된 건출물의 외관을 보인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내, 외벽 마감재 10;마감층
20;착색층 30;코팅층
100;미장단계 200;조각단계
300;도장단계 400;코팅단계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첨가제로 이루어져 미장하고 나서 소망하는 형상으로 조각하는 마감층과, 그 마감층상부에 도포되어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착색층과, 그 착색층의 변질방지와 방수력증강을 위해 착색층 상부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건축물 내, 외벽을 다양한 형상으로 연출할 수 있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콘크리트의 외부에 페인트를 도장하거나, 더 아름다운 외관을 갖추기 위해 인조 대리석으로 마감하여 외장 마감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내장 마감재의 경우는 인테리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목재의 사용량이 30%이상을 초과할 수 없도록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석고보드등의 내장마감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내, 외장 마감재는 평면화된 형상으로만 이루어져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조 대리석 및 석고보드의 경우,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며, 내화성(耐火性)이 떨어지므로 화재가 발생하면 전소(全燒)될 위험성이 내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름다운 외관을 갖추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과 내화성을 향상시킨 내, 외벽 마감재를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조성하여 건축물의 가치를 높이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뢰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시공되는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감재는 72~80중량부의 돌가루와, 10~13중량부의 시멘트와, 물 9~14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1중량부의 첨가제가 혼합되어 건물의 내, 외벽에 20~50mm두께로 시공되는 마감층과;
상기 시공이 완료된 마감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색상이 형성되는 착색층과;
상기 착색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변색을 방지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첨가제는 0.3중량부의 PVA와, 0.2중량부의 감수제와, 0.35중량부의 바인더와, 0.15중량부의 증점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첨가제는 0.02~0.03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방균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상기 시공방법은 주제와 첨가제가 혼합된 마감층을 20~50mm 두께로 건축물의 내, 외벽에 도포하는 미장단계와;
상기 미장단계에서 도포된 마감층이 경화되기 전에 소망하는 형상을 조각하는 조각단계와;
상기 조각단계가 완료된 마감층의 상부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망하는 색상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와;
상기 도장단계에서 완료된 착색층의 변질방지와 방수력 증대를 위해 상기 착색층의 상부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 외벽 마감재의 단면을 발췌하여 보인 일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내, 외벽 마감재의 시공방법을 보인 공정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내, 외벽 마감재를 통해 시공이 완료된 건출물의 외관을 보인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내, 외장 마감재(1)("이하 마감재"라 칭한다.)는 마감층(10)과 착색층(20)과 코팅층(30)으로 대별된다.
마감층(10)은 건축물의 외벽(W) 표면에 미장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의 형상을 갖추는 부분으로서, 크게 주제와 첨가제가 99:1의 비율로 혼합된다.
주제는72~80중량부의 돌가루와 10~13중량부의 시멘트, 9~14중량부의 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시공시 시공되는 두께는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략 20~5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가루는 흔히, 건축분야에서 석분(石粉)이라 칭하는 무기질계 혼화재로서, 후술하는 고결재인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시멘트 몰탈(Mortar)의 골재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 석분 이외에 플라이애쉬(Flyash), 규사,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소석회등의 무기질계 혼화제와 합성수지계 혼화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돌가루와 혼합되는 시멘트와 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주제에 혼합되는 돌가루와 시멘트, 물은 수경성 미장재로서 다른 미장재료보다 내구성 및 강도가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은, 주제에 첨가제가 혼합된다.
첨가제는 0.3중량부의 PVA와, 0.2중량부의 감수제와, 0.35중량부의 바인더와, 0.15중량부의 증점제로 이루어진다.
PVA(Polyvinyl Alcohol)는 시멘트 복합체에 사용될 수 있는 섬유보강재로서, 섬유자체에 수산기를 갖추고 있어, 부착성 및 분산성이 뛰어나므로, 상기한 주제에 혼합된 시멘트의 강알카리성에 대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상기한 주제와 혼합할 때, 내부에서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마감층이 경화되고 나서 균열을 방지한다.
또한, 감수제는 시멘트 몰탈의 워커빌리티(Workabillty)의 개선을 주목적으로 혼합되는 것으로, 사용량은 시멘트 중량에 비하여 극히 소량만 혼합되지만 상기한 주제로 사용된 시멘트와 돌가루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밖에도, 증점제와 바인더는 상기한 주제의 내수성과 혼화성, 접착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마감층(10)의 상부에 착색층(20)이 도포된다.
이 착색층(20)은 수용성 도료를 사용하여 문양이 형성된 마감층(10)에 다양한 색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형상의 질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완료된 내, 외벽을 아름답게 연출하는 것이다.
이 착색층(20)의 상부면에 코팅층(30)이 더 마련된다.
코팅층(30)은 수용성 투명 코팅제로서, 알칼리성인 상기한 마감층(10)과 착색층(20) 상부표면에 해수등의 염분에 의한 백화현상 또는 곰팡이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한 첨가제에 0.002~0.003중량부의 비율로 방균제를 첨가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가 시공된 실내, 외에 더욱 뛰어난 방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의 시공방법과 그 시공방법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의 시공방법은 미장단계(100)와, 조각단계(200)와 도장단계(300), 코팅단계(400)로 대별된다.
미장단계(100)는 흙손등을 이용하여 상술한 주제와 첨가제가 혼합된 마감층(10) 재료를 건물의 내, 외벽에 미장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규모에 따라 20~5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미장단계(100)가 완료되면 사전에 건물 외벽에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을 조각하는 조각단계(200)로 이어진다.
이 조각단계(200)는 조각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한 미장단계(100)에서 시공된 마감층(10)의 표면을 파내어 음양각(陰陽刻)을 형성하므로서, 건물의 내, 외벽을 한층 입체감 있게 연출하는 것이다.
이 조각단계(200)에서 소망하는 문양이 완성되면, 그 상부에 다양한 색상의 수용성 도료를 스프레이로 도포하는 착색단계(300)가 이어진다.
이 착색단계(300)에서는 상기한 조각단계(100)에서 형성된 문양의 질감을 살리기 위해 어느 한가지 색상이 아닌 다양한 색상이 도포되는데, 일측에서 바라볼 때, 건축물의 소유주가 소망하는 문양이 완성되면, 그 문양의 맞게 여러 가지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 착색층(300)을 형성하는 도료는 일반적인 건축용 수용성 도료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1차로 도포된 도료의 상부에 다른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여도 잘 번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착색단계(300)를 통해 완료된 착색층(20)의 상부에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400)가 이어진다.
코팅단계(400)에서는 상기한 착색층(20)의 상부에 수용성 투명 코팅제를 도포하므로서, 한결 아름다운 색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알칼리성분인 시멘트가 혼합된 마감층(10) 상부에 염분등에 의해 발생하는 백화현상 또는 곰팡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의 시공이 완료된 건물의 외벽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 큰 돌을 쌓아 올린 성벽(城壁) 형태의 문양이 완성된 현장의 외벽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색상의 문양의 형성이 자유로워 건축물의 외관을 한결 아름답게 하였으며, 적정 비율로 혼합된 주제와 첨가제에 의해 내구성과 내화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내구성과 내화성을 갖춤과 동시에 아름다운 외관을 갖추므로서, 건축물의 가치를 극대화 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신뢰를 얻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는 건물 외벽에 형성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그 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벽에 형성하여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름다운 외관을 갖추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시공방법을 널리 제공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시공되는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72~80중량부의 돌가루와, 10~13중량부의 시멘트와, 물 9~14중량부로 이루어진 주제와, 1중량부의 첨가제가 혼합되어 건물의 내, 외벽에 20~50mm두께로 시공되는 마감층과;
    상기 시공이 완료된 마감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색상이 형성되는 착색층과;
    상기 착색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변색을 방지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에 혼합되는 첨가제는 0.3중량부의 PVA와, 0.2중량부의 감수제와, 0.35중량부의 바인더와, 0.15중량부의 증점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0.02~0.03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방균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4. 주제와 첨가제가 혼합된 마감층을 20~50mm 두께로 건축물의 내, 외벽에 도포하는 미장단계와;
    상기 미장단계에서 도포된 마감층이 경화되기 전에 소망하는 형상을 조각하는 조각단계와;
    상기 조각단계가 완료된 마감층의 상부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망하는 색상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도장단계와;
    상기 도장단계에서 완료된 착색층의 변질방지와 방수력 증대를 위해 상기 착색층의 상부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 시공방법.
KR1020040103328A 2004-12-09 2004-12-09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KR20060064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328A KR20060064715A (ko) 2004-12-09 2004-12-09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328A KR20060064715A (ko) 2004-12-09 2004-12-09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715A true KR20060064715A (ko) 2006-06-14

Family

ID=3716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328A KR20060064715A (ko) 2004-12-09 2004-12-09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7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363B1 (ko) * 2010-05-06 2011-01-28 김광식 복합 액체방수층
KR101725513B1 (ko) 2016-08-25 2017-04-11 이형수 차량 외형 복원과 건축물 내, 외벽 마감재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363B1 (ko) * 2010-05-06 2011-01-28 김광식 복합 액체방수층
KR101725513B1 (ko) 2016-08-25 2017-04-11 이형수 차량 외형 복원과 건축물 내, 외벽 마감재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5497C (zh) 水泥质饰面和层压板材料
CN103771793A (zh) 一种压花型质感装饰砂浆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CN105693282A (zh) 一种发泡陶瓷装饰板及其制备方法
CN105198325A (zh) 一种干粉石桦奴的饰面材料配方
CN102701669B (zh) 彩色涂层配方及其应用
JP2006334525A (ja) 模様形成方法
CA3019047C (en) Concrete panel board
KR20060064715A (ko)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와 그 건축물의 내, 외벽 마감재시공방법
US76221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vertical concrete surface
CA1240343A (en) Coating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ceramic-like coating and method of preparing such coating composition
JP2003172009A (ja) 壁装工法
CN2934449Y (zh) 组合式天然砂岩板墙面
CN100404454C (zh) 膨胀珍珠岩复合装饰板及其生产方法
KR20090103433A (ko) 나무결 입체 질감을 갖는 건축용 마감판재 및 그 제조방법
DE102013101181B4 (de) Baustoffgemisch, insbesondere zur Nachbildung einer Steinplattenfläche, Nachbildung einer Natursteinoberfläche und Verfahren zur Nachbildung einer Natursteinoberfläche
KR101761757B1 (ko) 부조벽화 제작방법 및 부조벽화용 조성물
CN110451856A (zh) 一种预制结构装饰一体化内隔墙板及其制备方法
CN201924461U (zh) 具有仿瓷砖装饰涂层的外墙外保温系统
KR102541435B1 (ko) 천연 세립 잔자갈을 이용한 내, 외벽 시공용 친환경 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6852A (ko) 시멘트계 복합재, 그 제조 및 시공 방법
US77449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vertical concrete surfaces
JP2005296785A (ja) 装飾塗膜積層体
CN217000562U (zh) 一种用于外墙装饰的真石漆贴片
KR101607059B1 (ko) 건축 또는 토목공사용 블럭
JP4367753B2 (ja) 化粧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