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622A - 탄소 나노튜브를 기재로 한 태양 전지 - Google Patents

탄소 나노튜브를 기재로 한 태양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622A
KR20060064622A KR1020067002941A KR20067002941A KR20060064622A KR 20060064622 A KR20060064622 A KR 20060064622A KR 1020067002941 A KR1020067002941 A KR 1020067002941A KR 20067002941 A KR20067002941 A KR 20067002941A KR 20060064622 A KR20060064622 A KR 20060064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s
photovoltaic device
derivatives
electro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뒤르
가브리엘 넬레스
아끼오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소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6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2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tin oxides, e.g. fluorine-doped Sn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2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organic-organic junctions, e.g. donor-acceptor jun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50Photovoltaic [PV]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기전력 장치, 이 광기전력 장치의 용도, 이 광기전력 장치와 회로의 조합물 및 이 광기전력 장치를 사용하여 빛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나노튜브, 정공 전달체, 태양 전지, 공액 중합체, 전극.

Description

탄소 나노튜브를 기재로 한 태양 전지{Carbon Nanotubes Based Solar Cells}
본 발명은 광기전력 장치, 이 광기전력 장치의 용도, 이 광기전력 장치와 회로의 조합물, 및 이 광기전력 장치를 사용하여 빛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결정 태양 전지는 25% 정도로 높은 에너지 전환 효율을 나타낸다. 규소계 결정이 더 이상 단결정이 아닌 다결정질인 경우에, 가장 높은 효율은 18% 정도의 범위이며, 비결정질 규소의 경우 가장 높은 효율은 12% 정도이다. 그러나, 규소를 기재로 하는 태양 전지는 비결정질 규소를 이용할 때조차도 제조하기에 다소 비용이 든다. 따라서, 유기 화합물, 및(또는) 유기 및 무기 화합물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대체물들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 유기 및 무기 화합물의 혼합물 유형의 태양 전지는 종종 혼성 태양 전지라 일컬어진다. 유기 태양 전지는 오직 유기 화합물, 즉 탄소 함유 화합물만을 기재로 하며, 때때로 "플라스틱-태양 전지"라고도 언급된다. 유기 및 혼성 태양 전지는 제조 비용이 보다 저렴할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까지는 비결정질 규소 전지와 비교했을 때조차 효율이 비교될 정도로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경량, 넓은 영역에 대한 낮은 제작 비용, 지구 친화적인 물질, 또는 가요성 기판상에서의 제조와 같은 그의 고유 이점으로 인해, 효율적인 유기 장 치가 기술적 및 상업적으로 유용한 '플라스틱 태양 전지'로 입증될 수 있다. 무기 및 유기 태양 전지 사이의 혼성물로 생각될 수 있는 액상 전해질 및 염료 민감성 나노결정질 이산화티탄(다공성 TiO2) 반도체에 기초한 태양 전지의 최근 진보는 대체 물질에서의 높은 에너지 전환 효율의 가능성을 증명해 주고 있다(문헌 [B. O'Regan and M. Gratzel, Nature 353(1991) 737] 참조).
완전한 유기 태양 전지와 그의 기본 메카니즘은 점점 많아지는 실험실에서 조사중에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한가지 주요 촛점은 공액 중합체와 소위 버크민스터풀러린(Buckminsterfullerene)이라 지칭되는 C60 뿐만 아니라 이들 유도체의 블렌드와 같은 특수한 유형의 복합 물질에 놓여 있다. 그 주요 원리는 문헌(Sariciftci et al., Science 258, 1474(1992); Yu et al., Science 270, 1789(1995); Brabec et al., Adv. Func. Mat., 11, 15(2001))에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다. 전자는 공액 중합체 내에서 여기되어 풀러린의 전도띠로 도입된다. 이 과정은 효과적인 전하 분리를 확실하게 한다. 그러나, 전력 전환 효율은 블렌드 내로의 불충분한 전하 수송으로 인하여 대개 3% 정도로 제한된다(문헌 [Shaheen et al., Appl. Phys. Lett. 78] 참조).
탄소 나노튜브는 그의 독특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때문에 지난 십년간 수많은 간행물의 주제가 되어 왔다(문헌 [Dresselhaus et al., Academic Press, San Diego, ISBN 0-12-221820-5(1996); Wildoeer et al., Nature 391, 59(1998); Odom et al., Nature 391, 62(1998)] 참조). 탄소 나노튜브는 이음매 없는 원통으로 감 긴 육방격자 구조의 흑연 시트처럼 보일 수 있다. 이들은 이들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금속 성질 또는 반도체 성질을 나타낸다. 게다가, 이들은 단일벽 또는 다중벽을 가진 튜브로서 나타나기도 하며 이 두 유형은 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단일 튜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문헌 [Tans et al., Nature 393, 49(1998); Wind et al., APL 80, 3817(2002)] 참조). 최근에, 반도체성 튜브로부터 금속을 분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문헌 [Collins et al., Science 292, 706(2001); Avouris et al., WO 02/054505; Avouris et al., US-patent 6,423,583 B1; Avouris et al., US-patent application 2002/0173083] 참조). 가장 최근에는, 금속성 및 반도체성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가 정량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문헌 [Cattopadhyay et al., JACS 125, 3370(2003)] 참조). 지금까지 탄소 나노튜브를 기재로 한 유기 태양 전지가 완전히 실현되거나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문헌 [Smalley et al., WO 98/39250; Smalley et al., US-patent application 2002/0127162 A1; Smalley et al., US-patent application 2002/0127169 A1; Smalley et al., US-patent application 2002/0159943 A1]에서, 그라첼(Graetzel) 유형의 혼성 태양 전지(문헌 [O'Regan and Graetzel, Nature 353, 737(1991)] 참조)의 원리에 기초한 태양 전지가 제안되었으나 아직까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용액으로부터 가공될 수 있는 중합체를 이용하는 유기 태양 전지가 무기 태양 전지에 대한 저가의 대체물로서 연구되고 있으나, 태양력 효율이 단지 2.5%까지 밖에 이르지 못한다(문헌 [Shaheen et al., Appl. Phys. Lett. 78(2001)] 참조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무기 태양 전지는 일상적으로 10%의 태양력 전환 효율을 나타내며, 가장 진보된, 그러나 또한 가장 값비싼 모델은 30%의 효율에까지 이를 수 있다(문헌 [Green et al., Photovoltaics 9, 287(2001)] 참조).
따라서, 본 말명의 목적은 제조하기 쉽고 저렴하며 또한 높은 효율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전환 효율이 무기 광기전력 장치에 필적하는 광기전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장치의 가소성 및 가요성과 무기 장치의 효율을 겸비한 광기전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목적은 탄소 나노튜브와 정공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는 1종 이상의 유기 화합물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전력 장치는
-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상기 조성물의 한 면상에 있으며, 제1 일 함수를 갖는 제1 전극, 및
-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상기 조성물의 또 다른 면상에 있으며, 상기 제1 일 함수보다 더 높은 일 함수를 갖는 제2 전극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는 공액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액 중합체의 블렌드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공액 중합체"란 단일 및 이중 결합 및(또는) 삼중 결합이 교호하는 확장된 계, 즉 확장된 π-계를 가진 중합체를 지칭하는 의미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금속성 및 반도체성 탄소 나노튜브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단지 반도체성 탄소 나노튜브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다중벽 및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단지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탄소 나노튜브는 직경이 0.5nm 내지 2nm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탄소 나노튜브는 다발로 배열되거나 또는 단일의 형태이거나 또는 다발과 단일의 것이 혼합된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나노튜브는 단일의 탄소 나노튜브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탄소 나노튜브의 길이는 2nm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100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500nm로 다양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띠 간격은 약 0.5 내지 약 1 eV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띠 간격은 약 1 eV 내지 3 eV, 바람직하게는 약 1.5 eV 내지 2.5 eV,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75 eV 내지 2.25 eV 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정공 전달체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최상위 점유 분자 궤도(HOMO)보다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진 π-오비탈 및 1 eV를 초과하는 띠 간격을 갖는 반도체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조성물은 탄소 나노튜브 및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가 한 층에 있고,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또 다른 층에 있는 2층 시스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와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교호층에 있는 다중 층 시스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중 한 전극상에, 수직으로 성장된다.
그러한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 방법은 예를 들면 문헌 [Li et al., 1996, Science 274, 1701]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 전문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수직으로 성장된 탄소 나노튜브는 정공 전달체에 함침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함침된"이란 "에 의해 둘러싸인"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정공 전달체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상에 직접적으로 성장된다. 이러한 성장 방법은 예를 들면 문헌 [Dai, 2001, Australian Journal of Chemistry, 54, 11]에 기재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정공 전달체가 직접적으로 성장한 상기 탄소 나노튜브("덧성장 나노튜브(overgrown nanotube)")가 이들상에 직접적으로 성장된 동일한 정공 전달체에 함침되거나, 또는 이들은 상이한 정공 전달체 또는 그의 혼합물에 함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덧성장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중 한 전극상에, 수직으로 성장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중 한 전극상에, 수평으로 정렬된다.
그러한 정렬은 예를 들면 문헌 [Huag et al., 2001, Science 291, 630]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 전문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수직으로 성장된 탄소 나노튜브 또는 상기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는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탄소 나노튜브 및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혼합물과 화합된다.
상기 문장에서 사용되는 용어 "와 화합되는"이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에서, 수직으로 성장되거나 또는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가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혼합물과 함께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혼합물이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상기 혼합물은 전극 사이에서 벌크 상(bulk phase)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또는 두 전극에는 그들 상에 수직으로 성장되거나 또는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가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풀러린이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와 탄소 나노튜브의 혼합물에 첨가되고, 그로 인해 풀러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 및 탄소 나노튜브의 블렌드가 형성된다. 이 블렌드는 상기한 두 전극 사이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전극 중 한 전극상에 수직으로 성장되거나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와 함께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수직으로 성장된 탄소 나노튜브와 상기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전극 중 한 전극에 대해 수직으로 성장되거나 수평으로 정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풀러린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에 첨가되고, 그로 인해 풀러린과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블렌드가 형성된다. 이 블렌드는 전극 중 한 전극상에 수직으로 성장되거나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와 함께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수직으로 성장된 탄소 나노튜브와 상기 수평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전극 중 한 전극에 대해 수직으로 성장되거나 또는 수평으로 정렬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탄소 나노튜브와 정공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는 1종 이상의 유기 화합물의 상기 조성물은 하나의 탄소 나노튜브(즉, 하나의 단일 탄소 나노튜브), 또는 단일 탄소 나노튜브의 어레이, 또는 탄소 나노튜브의 한 다발, 또는 탄소 나노튜브 다발의 어레이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와 함께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즉 상기 조성물이 하나의 단일 탄소 나노튜브, 또는 단일 탄소 나노튜브의 어레이, 또는 탄소 나노튜브의 한 다발, 또는 탄소 나노튜브 다발의 어레이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전공 전달체와 함께 포함하는 경우, 생성되는 광기전력 장치는 또한 "나노 광기전력 장치" 또는 "나노 태양 전지"라고 언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 또는 정공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는 상기 유기 화합물(용어 "정공 전달체" 및 "정공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는 유기 화합물"이란 본원에서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동의어로서 이해해야 함)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유도체, 예를 들면 비스(디아릴아미노)비페닐 관능화 메타크릴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아닐린 및 유도체, 폴리페닐렌 및 유도체, 폴리페닐렌 비닐렌 및 유도체, 예를 들면 폴리(2-메톡시, 5-(3',7'-디메틸옥틸옥시)-1,4-페닐렌 비닐렌 (MDMO-PPV), 폴리티오펜 및 유도체, 트리페닐 디아민 유도체와 트리메톡시비닐실란의 공중합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스티렌 설폰산) (PEDOT:PSS), 폴리아세틸렌 및 그의 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 및 그의 유도체, 폴리피롤 및 그의 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 설피드 및 그의 유도체, 폴리카바졸 및 그의 유도체, 폴리이소티아나펜 및 그의 유도체, 폴리(1,6-헵타디인) 및 그의 유도체, 및 폴리퀴놀린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정공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는 바람직한 화합물의 다른 예들은 2000년 5월 29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 00 111 499.3호 및 2001년 9월 4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 01 121 179.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 문헌 전문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기 태양 전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전극은 투명한 물질의 필름 또는 층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전극은 금속성 또는 금속화된 전극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금속화된"이란 "스퍼터링되거나 또는 증착된, 반투명한 금속층을 갖는"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은 금속성 전극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은 불화물 또는 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LiF, CsF, CH3COOLi, 또는 불화물과 아세테이트의 조합물의 증착된 층으로 코팅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불화물 또는 아세테이트의 증착된 층은 두께가 0.1nm 내지 15nm, 바람직하게는 0.1nm 내지 2nm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상 무기 결정질 또는 유리질 기판, 또는 금속 호일 기판,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 호일 기판, 또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전극으로 미리 코팅된 중합체 기판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전극으로 미리 코팅된 가요성 중합체 기판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기전력 장치는, 물론 중간층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제1 일 함수를 갖는 금속 전극, 탄소 나노튜브와 정공 전달체의 어레이 및 제1 일 함수보다 더 높은 제2 일 함수를 갖는 제2 전도성 전극을 이 순서대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하여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전도성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탄소 나노튜브와 정공 전달체의 어레이"란 탄소 나노튜브와 정공 전달체의 임의의 배열을 지칭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이들은 단순히 함께 혼합되어 전극 사이에서 벌크 상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한 층에는 탄소 나노튜브가, 또 다른 층에는 정공 전달체가 있는 분리된 층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다중 층 배열 내에서 교호 층일 수 있다. 다른 배열은 숙련된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다중 층 배열에 있어서, 탄소 나노튜브는 여러 층에, 그러나 각 층마다 각기 상이한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하게 정공 전달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내부 전력 공급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회로의 조합물에 의해서 해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전력 공급 장치는 나노미터 규모,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1000nm,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50nm 내지 750nm의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태양 전지로서 사용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빛이 조사되고, 그로 인해 광 개시 전하 분리 과정과 그 후의 전하 이동 과정이 일어나며, 추가로 전기가 상기 장치로부터 회수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빛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원에 사용하는 용어 "정공 전달체"란 정공을 받아들일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정공을 받아들인 후에 정공이 상기 화합물 또는 조성물에 의해 그리고(또는) 상기 화합물 또는 조성물 내로 전달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지칭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정공 전달체"는 또한 때때로 "정공 수용체" 또는 "정공 수용체/전달체"로도 언급된다. 만약 정공 전달체가 "유기 정공 전달체"일 경우, 이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 그의 특성상 유기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유기"란 무기 물질, 즉 탄소 및 탄소 함유 화합물을 기재로 하지 않는 물질과 구별하고 경계를 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본원에 사용하는 용어 "유기"는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즉, 탄소 함유 화합물인 화합물을 일컫는다. 또한, 본원에 사용하였을 때 상기 용어 "유기"는 적어도 풀러린의 형태인 원소 탄소를 포함한다. 추가로, 용어 "유기"는 특정 탄소 함유 화합물, 예를 들면 탄소의 수소 무함유 칼코게나이드(chalkogenide),예를 들면 CO, CO2, CS2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면 H2CO3, KSCN를 배제하며, 추가로 물 또는 희석산의 영향 하에서 탄화수소로 분해되는 탄소와의 원소의 2원 화합물인 염 유사 탄화물(salt-like carbide)이 배제되는 의미이다. 염 유사 탄화물은 M 2C2 또는 MC2의 구조식을 갖으며, 여기서 M또는 M는 1가 또는 2가의 금속 이온을 나타낸다. 알루미늄의 염 유사 탄화물(Al4C3)은 메탄으로 분해된다. 합금의 특성을 갖는 비화학양론적 화합물인 금속성 탄화물은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유기"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배제된 탄소 함유 화합물이다. 이들은 산에 저항성이 있고 전기적으로 전도성이다. 일산화탄소 분자가 원소 금속 원자에 배위적으로 결합되는 금속 카르보닐, 예를 들어 철 카르보닐(예. Fe2(CO)9, Fe3(CO)12), 크롬 카르보닐 Cr(CO)6, 코발트 카르보닐 Co2(CO)8, 니켈 카르보닐 Ni(CO)4 등은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유기"에서 배제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무기"란 용어는 상기에서 정의된 "유기"가 아닌 화합물을 나타내는 의미이다.
"단일의 탄소 나노튜브"와 "다발의 나노튜브" 또는 단순히 "단일"과 "다발"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이들의 의미로 사용되며, 개개의 튜브로서 나타나는(단일의) 분리된 실체인 탄소 나노튜브를 지칭하는 반면, "다발"은 그들의 측벽을 통해 서로 접촉하고 그들의 종축이 대체로 평행한 방식으로서 정렬된 나노튜브의 어레이이다.
본 발명은 공여체로부터 수용체로의 양호한 전하 캐리어 이송 및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내에서의 양호한 캐리어 이동성을 모두 겸비한 전자 및 정공 수용체(및 따라서 또한 정공 및 전자 공여체)의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선행 기술의 장치, 예를 들면 풀러린을 기재로 한 유기 태양 전지와 구별되게 하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의 빛의 더욱 효과적인 흡수를 제공한다. 후자, 즉 선행 기술에 의한 장치로서 풀러린을 기재로 한 유기 태양 전지의 흡수 스펙트럼은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단파장 영역에 집중되어, 임의의 메카니즘 이론에 얽매이고자 하는 의도 없이, 보다 적은 전력 전환 효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 정공 전달체와 탄소 나노튜브의 이점을 겸비한 광기전력 장치를 제안한다. 이러한 장치는 현존하는 광기전력 시스템에 대한 저렴한 대체물이다. 그것은 아마도 탄소 나노튜브 자체에서의 보다 양호한 전하 캐리어 이동성 때문에, 풀러린 기재의 유기 전지의 한계를 극복한다. 더욱이,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함으로써, 태양 조사를 비롯한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광원의 스펙트럼이 탄소 나노튜브의 흡수 특성으로 인해 보다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작용 메카니즘에 얽매이고자 하는 의도 없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메카니즘이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고 현재 생각하고 있다. 빛은, 많은 경우에 공액 중합체일, 유기 정공 수용체/전달체에서 전자를 여기시킬 수 있거나, 또는 빛은 탄소 나노튜브에서 전자를 여기시킬 수 있다(또한 도 2 참조). 첫번째 경우에, 빛에 의해 여기된 전자는 탄소 나노튜브의 전도 띠로 이송되며, 이 경우 탄소 나노튜브는 전자 수용체 및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고, 반면 빛에 의해 생성된 정공은 유기 정공 수용체/전달체의 가전자 띠(valence band)에 머무른다. 효과적으로 분리된 전하 캐리어는 전극으로 수송되며, 만약 존재한다면 광기전력 활성을 유발한다. 빛이 탄소 나노튜브에서 전자를 여기시킬 경우, 동일한 결과로 빛에 의해 여기된 정공이 유기 정공 수용체/전달체로 이동한다. 전형적으로 0.5 내지 약 1 eV 범위인 탄소 나노튜브의 각 띠 간격과, 전형적으로 약 2 eV 정도인 유기 정공 수용체/전달체(예를 들면, 공액 중합체)의 띠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유기 정공 수용체/전달체를 통한 또는 탄소 나노튜브를 통한 효과적인 빛의 흡수가 확실하게 되며, 이는 태양 스펙트럼 또는 전형적으로 더 긴 파장으로 이동된 실내 광원의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는 조사 공급원과는 무관하다.
이제, 예로서 주어진 도면에 대해 언급한다.
도 1은 개략적인 띠 도표로서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버크민스터풀러린을 기재로 한 태양 전지의 상이한 여기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2는 개략적인 띠 도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튜브 기재의 광기전력 장치의 그리고 상기 장치에서의 상이한 여기 과정이 나타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보다 짧은 파장의 빛이 중합체에서의 여기(수직 화살표)를 유발하고, 이어서 버크민스터풀러린의 LUMO로의 전자 이동에 의한 전하 분리가 유발된다. 정공과 전자는 FTO 및 Al-전극으로부터 각각 수집된다. 후자(전자)는 호핑 수송 메카니즘(hopping transport mechanism)에 의하여 그곳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더 긴 파장의 빛은 흡수되지 않는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 실시양태에서, 단파장의 빛은 중합체에서의 여기(직선의 수직 화살표, 실선)를 유발하고, 이어서 탄소 나노튜브의 LUMO로의 전자 이동(곡선의 화살표, 실선)에 의한 전하 분리가 유발된다. 더 긴 파장의 빛은 탄소 나노튜브 내로 흡수(수직 화살표, 점선)되고, 중합체의 π-오비탈로의 정공 주입이 효율적인 전하 분리(곡선 화살표, 점선)를 일으킨다. 정공과 전자는 각각 FTO 및 Al-전극으로부터 수집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수반된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태의 본 발명을 실현시키 는 물질일 수 있다.

Claims (25)

  1. 탄소 나노튜브와 정공 전달체의 역할을 하는 1종 이상의 유기 화합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상기 조성물의 한 면상에 있으며, 제1 일 함수를 갖는 제1 전극, 및
    -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상기 조성물의 또 다른 면상에 있으며, 상기 제1 일 함수보다 더 높은 일 함수를 갖는 제2 전극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가 공액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공액 중합체의 블렌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금속성 및 반도체성 탄소 나노튜브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단지 반도체성 탄소 나노튜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다중벽 및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단지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직경이 0.5nm 내지 2nm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띠 간격이 약 0.5 내지 약 1 eV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띠 간격이 약 1 eV 내지 3 eV, 바람직하게는 약 1.5 eV 내지 2.5 eV,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5 eV 내지 2.25 eV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전달체가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최상위 점유 분자 궤도(HOMO)보다 높은 에너지를 갖는 π-오비탈 및 1 eV를 초과하는 띠 간격을 갖는 반도체성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상기 조성물이 탄소 나노튜브와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가 한 층에 있고,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또 다른 한 층에 있는 2층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와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교호층에 있는 다중 층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중 한 전극 상에, 수직으로 성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공 전달체가 상기 탄소 나노튜브상에 직접적으로 성장된 것("덧성장 나노튜브(overgrown nanotube)")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5. 제2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중 한 전극 상에,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정공 전달체가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유도체, 예를 들면 비스(디아릴아미노)비페닐 관능화 메타크릴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아닐린 및 유도체, 폴리페닐렌 및 유도체, 폴리페닐렌 비닐렌 및 유도체, 예를 들면 폴리(2-메톡시, 5-(3',7'-디메틸옥틸옥시)-1,4-페닐렌 비닐렌 (MDMO-PPV), 폴리티오펜 및 유도체, 트리페닐 디아민 유도체와 트리메톡시비닐실란의 공중합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스티렌 설폰산) (PEDOT:PSS), 폴리아세틸렌 및 그의 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 및 그의 유도체, 폴리피롤 및 그의 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 설피드 및 그의 유도체, 폴리카바졸 및 그의 유도체, 폴리이소티아나펜 및 그의 유도체, 폴리(1,6-헵타디인) 및 그의 유도체, 및 폴리퀴놀린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태양 전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8. 제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이 투명한 물질의 필름 또는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19.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이 금속성 전극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20. 제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이 불화물 또는 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LiF, CsF, CH3COOLi, 또는 불화물과 아세테이트의 조합물의 증착된 층으로 코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상 무기 결정질 또는 유리질 기판, 또는 금속 호일 기판,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 호일 기판, 또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전극으로 미리 코팅된 중합체 기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전극으로 미리 코팅된 가요성 중합체 기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장치.
  23. 회로와, 내부 전력 공급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기전력 장치의 조합물.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기전력 장치의 태양 전지로서의 용도.
  25.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기전력 장치 또는 제23항에 따른 조합물에 빛이 조사되고, 그로 인해 광 개시 전하 분리 과정과 그 후의 전하 이동 과정이 일어나며, 추가로 전기가 상기 광기전력 장치 또는 상기 조합물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KR1020067002941A 2003-08-14 2004-07-20 탄소 나노튜브를 기재로 한 태양 전지 KR20060064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8466A EP1507298A1 (en) 2003-08-14 2003-08-14 Carbon nanotubes based solar cells
EP03018466.7 2003-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622A true KR20060064622A (ko) 2006-06-13

Family

ID=3356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941A KR20060064622A (ko) 2003-08-14 2004-07-20 탄소 나노튜브를 기재로 한 태양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58500B2 (ko)
EP (1) EP1507298A1 (ko)
JP (1) JP2007502531A (ko)
KR (1) KR20060064622A (ko)
CN (1) CN100539236C (ko)
AU (1) AU2004301139B2 (ko)
WO (1) WO2005018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9708B1 (en) * 2000-11-24 2007-01-17 Sony Deutschland GmbH Hybrid solar cells with thermal deposited semiconductive oxide layer
JP4509787B2 (ja) 2002-09-24 2010-07-2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ポリマー酸コロイドを伴って製造される水分散性ポリチオフェン
AU2003279011A1 (en) 2002-09-24 2004-04-1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polymer/nanoparticle composit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1681869B (zh) 2002-09-24 2010-05-26 E.I.内穆尔杜邦公司 用于电子器件用聚合物酸胶体制成的可水分散的聚苯胺
US7317047B2 (en) 2002-09-24 2008-01-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polymer/nanoparticle composit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7351358B2 (en) 2004-03-17 2008-04-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ater dispersible polypyrroles made with polymeric acid colloid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CN101208369B (zh) 2005-06-28 2013-03-27 E.I.内穆尔杜邦公司 高功函数透明导体
US20060292362A1 (en) * 2005-06-28 2006-12-28 Che-Hsiung Hsu Bilayer anode
WO2007002740A2 (en) 2005-06-28 2007-01-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ffer compositions
US7781673B2 (en) 2005-07-14 2010-08-24 Konarka Technologies, Inc. Polymers with low band gaps and high charge mobility
US20070181179A1 (en) 2005-12-21 2007-08-09 Konarka Technologies, Inc. Tandem photovoltaic cells
US8158881B2 (en) 2005-07-14 2012-04-17 Konarka Technologies, Inc. Tandem photovoltaic cells
KR20080069958A (ko) 2005-08-24 2008-07-29 더 트러스티스 오브 보스턴 칼리지 나노 스케일 코메탈 구조물을 사용하는 태양 에너지 변환을위한 장치 및 방법
US7754964B2 (en) 2005-08-24 2010-07-13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Apparatus and methods for solar energy conversion using nanocoax structures
US7649665B2 (en) 2005-08-24 2010-01-19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cal switching using nanoscale optics
GB2434692A (en) 2005-12-29 2007-08-01 Univ Surrey Photovoltaic 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active region comprising a composite polymer and carbon nanotube material.
JP2007194559A (ja) * 2006-01-23 2007-08-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複合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94557A (ja) * 2006-01-23 2007-08-02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216680B2 (en) 2006-02-03 2012-07-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parent composite conductors having high work function
US8017239B2 (en) * 2006-03-31 2011-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a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S2369583T3 (es) 2006-05-01 2011-12-02 Wake Forest University Dispositivos fotovoltaicos fibrosos y aplicaciones de los mismos.
AU2006343396B2 (en) * 2006-05-01 2011-12-01 Wake Forest University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80149178A1 (en) * 2006-06-27 2008-06-26 Marisol Reyes-Reyes Composite organic materials and applications thereof
EP2050151B1 (en) 2006-08-07 2011-10-12 Wake Forest University Method of producing composite organic materials
US8008421B2 (en) 2006-10-11 2011-08-30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 with silole-containing polymer
US8008424B2 (en) 2006-10-11 2011-08-30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 with thiazole-containing polymer
EP1933343A1 (en) * 2006-12-13 2008-06-18 Sony Deutschland Gmbh A method of preparing a porous semiconductor film on a substrate
US20080191172A1 (en) 2006-12-29 2008-08-14 Che-Hsiung Hsu High work-function and high conductivity compositions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CN100405617C (zh) * 2006-12-29 2008-07-23 清华大学 基于碳纳米管薄膜的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US8241526B2 (en) 2007-05-18 2012-08-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dispersions of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containing high boiling solvent and additives
JP2011503849A (ja) * 2007-11-01 2011-01-27 ウェイク フォレスト ユニバーシティ ラテラル型有機光電デバイス及びその用途
JP5319951B2 (ja) * 2008-04-08 2013-10-16 株式会社クラレ 太陽電池
US8455606B2 (en) 2008-08-07 2013-06-04 Merck Patent Gmbh Photoactive polymers
US8785913B2 (en) 2008-12-27 2014-07-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ffer bi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8766239B2 (en) 2008-12-27 2014-07-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ffer bi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00224252A1 (en) * 2009-03-05 2010-09-09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 Having Multiple Electron Donors
WO2010123962A2 (en) 2009-04-21 2010-10-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films made therefrom
KR101581991B1 (ko) 2009-04-24 2015-12-3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전기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
US20120205615A1 (en) * 2009-10-29 2012-08-16 Takahiro Seike Organic photovoltaic cell
US8530271B2 (en) 2010-01-25 2013-09-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Fullerene-doped nanostructures and methods therefor
US20110203632A1 (en) * 2010-02-22 2011-08-25 Rahul Sen Photovoltaic devices using semiconducting nanotube layers
CN102315389A (zh) * 2010-07-08 2012-01-11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单层有机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US8784690B2 (en) 2010-08-20 2014-07-22 Rhodia Operations Polymer compositions, polymer films, polymer gels, polymer foams, and electronic devices containing such films, gels and foams
CN102169963A (zh) * 2010-12-22 2011-08-31 涂洪明 一种碳薄层电极
US8470611B2 (en) 2011-03-10 2013-06-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logically self-assembled nanotubes
WO2012121725A1 (en) * 2011-03-10 2012-09-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logically self-assembled nanotubes
WO2013063562A1 (en) * 2011-10-27 2013-05-02 The University Of Akron P-type transition metal oxide-based films serving as hole transport
US20130146439A1 (en) * 2011-12-08 2013-06-13 Vsevolod Rostovtsev Photo-induced reduction-oxidation chemistry of carbon nanotubes
JP5908291B2 (ja) * 2012-01-27 2016-04-26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含有体
CN103219401B (zh) * 2013-04-12 2016-11-16 陕西师范大学 提高太阳电池电流密度和电池效率的方法及电池结构
CN109449296A (zh) * 2018-10-31 2019-03-08 浙江海洋大学 一种基于碳纳米管的柔性太阳能电池材料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1415B1 (en) * 1998-08-19 2002-09-1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 with an exciton blocking layer
US20060008580A1 (en) * 2000-11-24 2006-01-12 Gabrielle Nelles Hybrid solar cells with thermal deposited semiconductive oxide layer
EP1209708B1 (en) * 2000-11-24 2007-01-17 Sony Deutschland GmbH Hybrid solar cells with thermal deposited semiconductive oxide layer
US6580027B2 (en) * 2001-06-11 2003-06-17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olar cells using fullerenes
DE60132450T2 (de) * 2001-09-04 2008-04-17 Sony Deutschland Gmbh Solarzelle und Herstellungsmethode
JP5061414B2 (ja) * 2001-09-27 2012-10-31 東レ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素子
CN101572193B (zh) * 2001-12-21 2011-08-03 索尼德国有限责任公司 聚合物凝胶混杂太阳能电池
US6977390B2 (en) * 2002-08-23 2005-12-20 Agfa Gevaert Layer configuration comprising an electron-blocking element
EP1463073A1 (en) * 2003-03-24 2004-09-2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Porous film having a gradient of light scattering strength
WO2004097954A1 (en) * 2003-04-28 2004-11-11 Zheng-Hong Lu Light-emitting devices with fullerene layer
US7329902B2 (en) * 2003-06-11 2008-02-12 Stmicroelectronics S.R.L. IR-light emitters based on SWNT's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semiconducting SWNTs-light emitting diodes and lasers
EP1513171A1 (en) * 2003-09-05 2005-03-0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Tandem dye-sensitised solar cell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EP1589548A1 (en) * 2004-04-23 2005-10-26 Sony Deutschland GmbH A method of producing a porous semiconductor film on a substrate
DE602006007679D1 (de) * 2006-03-31 2009-08-20 Sony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netzten Polymer-G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8075A (zh) 2006-11-22
AU2004301139A1 (en) 2005-02-24
WO2005018012A1 (en) 2005-02-24
US8258500B2 (en) 2012-09-04
US20070051941A1 (en) 2007-03-08
EP1507298A1 (en) 2005-02-16
AU2004301139B2 (en) 2009-08-06
JP2007502531A (ja) 2007-02-08
CN100539236C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301139B2 (en) Carbon nanotubes based solar cells
Mahmoudi et al. Graphene and its derivatives for solar cells application
Jeon et al.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in solar cells
Liu et al.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based on a novel acceptor material: graphene
Abdulrazzaq et al. Organic solar cells: a review of material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for improvement
Landi et al. Single‐wall carbon nanotube–polymer solar cells
US8017863B2 (en) Polymer wrapped carbon nanotube near-infrared photoactive devices
AU2009297060B2 (en) Polymer wrapped carbon nanotube near-infrared photovoltaic devices
US9295133B2 (en) Solution processable material for electronic and electro-optic applications
Liu et al. Solution-processable functionalized graphene in donor/acceptor-type organic photovoltaic cells
Adikaari et al. Organic–inorganic solar cells: recent developments and outlook
Song et al. Prospects and challenges of organic/group IV nanomaterial solar cells
Li et al. UV photovoltaic cells based on conjugated ZnO quantum dot/multiwalled carbon nanotube heterostructures
Wang et al. Composition and annealing effects in solution-processable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P3HT based solar cells
Gowrishankar et al. Exciton harvesting, charge transfer, and charge-carrier transport in amorphous-silicon nanopillar/polymer hybrid solar cells
Barbero et al. Functional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d Nanoengineered Networks for Organic‐and Perovskite‐Solar‐Cell Applications
Li et al. Carbon nanotubes for organic solar cells
Mahakul et al. Mesoscopic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WCNT/rGO network on the performance of P3HT: PC60BM solar cells
US20130263924A1 (en) Organic Solar Cell Comprising Self-Assembled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 in Photoactive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in et al. Graphene and carbon nanotube-based solar cells
US20120007046A1 (en) Carbon nanotube hybrid photovoltaics
Jin et al.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for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Boumeftah et al. Polymer/Carbon Nanocomposit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 in Solar Energy
Sharma et al. Incorpo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Non-Fullerene Acceptor Organic Solar Cells: A Review
Bag et al. Emerging Carbon Nanomaterials for Organic and Perovskite-Based Optoelectronics Devic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