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468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468A
KR20060064468A KR1020050042428A KR20050042428A KR20060064468A KR 20060064468 A KR20060064468 A KR 20060064468A KR 1020050042428 A KR1020050042428 A KR 1020050042428A KR 20050042428 A KR20050042428 A KR 20050042428A KR 20060064468 A KR20060064468 A KR 2006006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838B1 (ko
Inventor
요꼬 후지이
겐 하야시다
무네히사 가미오
준이찌 와가쯔마
노리까즈 오시나
나오또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에 대응한 테이스트의 착신 화상, 조명, 착신음 등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는 디자인 소프트웨어(20)를 준비하여(단계 101), 정보 처리 장치(10)에 실장하고(단계 102),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디자인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단계 103), 해당 외관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적합한 조작 환경 디자인의 정보를 검색하고, 디폴트값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한다(단계 104). 이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디자인에 적합한 조작 환경 디자인이 자동적으로 디폴트로 구축된다.
외관 디자인,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소프트웨어, 조작 환경, 케이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DATA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OF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ATA PROCES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작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작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가 갖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보 처리 장치 11 : MPU
12 : 주기억 13 : 불휘발성 기억 장치
14 : 유저 인터페이스 14a : 제1 디스플레이
14b : 제2 디스플레이 14c : 마이크로폰
14d : 스피커 14e : 키보드
14f : 바이브레이터 14g : 조명 광원
15 : 카메라 16 : 통신 인터페이스
16a : 안테나 17 : 버스
18 : 케이싱 19a : 기본 소프트웨어
19b : 통신 제어 소프트웨어 19c : 제조 번호
19d :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
20 ; 디자인 소프트웨어(디자인 설정 정보)
21 :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 22 :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
22a : 디자인 속성 22b :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
22c : 디폴트값 할당 정보 22p : 디자인 설정 프로그램
30 : 교환 시트 31 : 디자인 식별 정보
32 : 절취부 33 : 접착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소60-12415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3-13569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3-76637호 공보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아이콘, 조명색, 음악 등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유저에 의해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하기에 유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에 대표되는 휴대 단말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광범위한 보급에 수반하여, 그 기능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케이싱)의 외관의 디자인 등도 유저의 연령이나 취미, 기호에 따라서 다양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의 복수 디자인 테이스트에 맞추어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화상, 아이콘, 조명색, 음악 등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휴대 단말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개발 후, 점점 더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화상, 아이콘, 조명색, 음악 등의 조작 환경에 관한 디자인은,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 변화에 상관 없이, 고정된 디폴트값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케이싱 디자인의 변화에 매치시킨 조작 환경 디자인을 탑재하고 있어도, 구입 직후의 최초의 전원 투입시에는 모두, 일 률적인 고정된 디폴트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개개의 설정 항목을 변경하는 번잡한 작업을 유저가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유저가 개별적으로 화상, 아이콘, 조명색, 음악 등의 조작 환경 디자인의 설정을 변경한 후, 유저 조작에 의해서 구입 직후의 설정으로 복귀하였을 때에는, 케이싱의 디자인(컬러링 등)에 관계 없이, 상술한 일률적인 고정된 디폴트값으로 복귀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원래의 설정 상태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번잡한 설정 조작을 재차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는 완전히 편리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기술적 과제가 있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처음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부터, 케이싱 디자인에 매치시킨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고자, 케이싱(하드웨어)의 외관 디자인에 대응한 별개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를 준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개발 공정수의 증가나, 소프트웨어 관리의 번잡화 등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현이 어려웠다.
또한, 모처럼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맞춘 각종 조작 환경 디자인의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에 탑재하고 있어도 유저가 알아차리지 못하여, 해당 휴대 단말기의 제품으로서의 우위성을 유저에게 어필할 수 없다는 결점도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전화 단말 기기의 전원 투입 시에, 초기 설정 루틴 을 실행시키고, 초기 설정 루틴의 실행 중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특정한 다이얼 버튼의 누름을 검출함으로써, 특별한 하드웨어 스위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키 터치음이나 통신 속도 등의 다양한 기능 설정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이 유저의 개입이 필요한 것에는 변함이 없어,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유기기의 기동 시에, 주변 하드웨어의 종별에 따라서 웨이트 처리 시간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기종에 관계 없이 주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각각의 실행 상태를 정합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기기의 케이싱 디자인에 따른 기능 변경을 행하는 점에 대해서는 개시가 없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서버로부터 휴대 전화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때에, 서버측에서 휴대 전화의 기종 판별을 행하고, 해당 기종의 표시 형식에 적합한 메뉴 버튼용 화상 등을 자동 변환하여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 기종의 표시 형식에 따른 메뉴 화상의 변경은 하드웨어적인 제약에 기초하는 것으로,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 등의 다름을 의식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발 공정수의 증가나 소프트웨어 관리의 번잡화 등이 발생하지 않고,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번잡한 설정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출하 후의 케이싱 디자인의 변화에 대응한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설정하는 제1 공정과,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 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자인 소프트웨어 중에서, 상기 제1 공정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제2 공정과, 선택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3 공정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은,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자인 설정 정보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2 기능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외관이, 케이싱 디자인 A, B, C와 같이 서로 다른 휴대 단말기 등의 정보 처리 장치가 있는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각각의 케이싱 디자인을 구별하기 위해 부가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케이싱 디자인 A용, B용, C용으로 코디네이트된 화상, 아이콘, 조명색, 음악, 음성, 진동 등의 조작 환경 디자인이, 각각의 디폴트값으로서 개개의 정보 처리 장치 에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유저에게 번잡한 설정 조작을 강요하지 않고도,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조작 환경 디자인을 간편하고, 신속하고 또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의 상태를, 유저 조작에 의해서 초기 구입 시의 설정으로 복귀하였을 때에도,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 디자인별의 적절한 초기값(디폴트값)으로 복귀시킬 수 있어,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적합한 조작 환경 디자인의 복원를 위해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에 의한 설정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메이커가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 디자인과, 유저 인터페이스의 조작 환경 디자인의 전체적인 디자인 코디네이트를 제조 단계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하 직후의 사용 개시 초기부터 유저에게 어필할 수가 있어, 정보 처리 장치의 시장에서의 제품 가치는 높아진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출하 후에, 예를 들면, 소위 「교체」 등에 의해서 케이싱 디자인이 변경된 경우에도, 「교체」후의 케이싱 디자인에 적합한 디자인 설정 정보를 준비함으로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정보 처리 장치의 작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작용의 일례를 나타 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가 갖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 PDA 등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는, MPU(11), 주기억(12), 불휘발성 기억 장치(13), 유저 인터페이스(14), 카메라(15), 통신 인터페이스(16) 및 정보 전송로로서의 버스(17)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케이싱(18)에 수용되어 있다.
MPU(11)는, 주기억(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체를 제어한다.
주기억(12)은 RAM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고, MPU(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유지한다.
불휘발성 기억 장치(13)는, 재기입 가능한 ROM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고, 기본 소프트웨어(19a), 통신 제어 소프트웨어(19b)(제어 수단), 제조 번호(19c)가 저장되어 있다. 이 불휘발성 기억 장치(13)에 저장된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주기억 장치(12)에 로드되어, MPU(11)에서 액세스 혹은 실행된다.
또한, 불휘발성 기억 장치(13)에는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가 설정되어 있다. 이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는, 유저 인터페이스(14)에 있어서의 특정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후술하는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디자인 설정 정보)의 그룹이 저장된다.
기본 소프트웨어(19a)는, 상용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통신 제어 소프트웨어(19b)는, 이 기본 소프트웨어(19a) 상에서 동작하고, MPU(11)에서 실행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조 번호(19c)는, 개개의 정보 처리 장치(10)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 정보이다. 제조 번호(19c)는, 해당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등의 복수의 서로 다른 하드웨어 디자인을 식별 가능하게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8)의 컬러마다 미리 제조 번호(19c)를 할당하고, 제조 번호(19c)를 인식한 시점에서, 케이싱(18)의 컬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둔다.
제조 번호(19c)가 "123450000506789"인 경우, 밑줄친 여섯자릿수가 대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백, 흑, 적의 3색의 케이싱(18)의 컬러로, 90만대의 정보 처리 장치(10)를 제조하는 경우, 백:000000∼299999, 흑:300000∼599999, 적:600000∼899999와 같이 번호를 할당한다.
이로써, 제조 번호(19c)의 일부의 자리의 값에 의해, 케이싱(18)의 컬러나 형상, 모양 등의 디자인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4)는,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마이크 로폰(14c), 스피커(14d), 키보드(14e), 바이브레이터(14f), 조명 광원(14g)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디스플레이(14a) 및 제2 디스플레이(14b)는, 예를 들면, 케이싱(18)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정보의 가시화 표시를 행한다.
마이크로폰(14c)은 음성 등의 입력을 행한다. 스피커(14d)는, 음성의 출력을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를 휴대 전화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폰(14c) 및 스피커(14d)는, 송수화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마이크로폰(14c) 및 스피커(14d) 외에, 제1 디스플레이(14a)와 카메라(15)를 병용함으로써, 텔레비전 전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키보드(14e)는, 문자 정보나 커맨드의 입력에 이용된다. 바이브레이터(14f)는, 케이싱(18)을 진동시키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고, 케이싱(18)을 진동시킴으로써, 유저의 주의를 환기하는 동작을 행한다.
조명 광원(14g)은, 제1 디스플레이(14a)나 제2 디스플레이(14b)의 내부, 나아가 케이싱(18)을, 다양한 빛깔로 조명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15)는, 외부의 화상을 촬영하고, 화상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는, 예를 들면, 안테나(16a)를 구비하고 있고, 무선으로 외부와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가 휴대 전화인 경우에는, 무선 통신에 의한 통화가 행하여진다. 또한, 인터넷 등의 광역 정보 네트워크에, 통신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접속하여, 인터넷 을 경유한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불휘발성 기억 장치(13)에는, 또한,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식별 정보 취득 수단) 및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설정 정보 기억 수단)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소프트웨어(20)가 실장되어 있다.
이 디자인 소프트웨어(20)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케이싱(18)의 외관의 하드웨어 디자인, 즉 디자인 변화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14) 등에 관한 조작 환경 디자인의 디폴트 상태를 설정한다.
즉, 도 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에는, 조작 환경 디자인의 요소인 디자인 속성(22a)(표시 데이터, 음 데이터, 진동 데이터, 프로그램)의 각 항목에 대하여,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22b) 마다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은, 예를 들면, 불휘발성 기억 장치(13)에 저장되어 있는 제조 번호(19c)를 인식하고, 해당 제조 번호(19c)에 대응한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의 세트를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하는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이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저장된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를, 해당 디자인 속성(22a)에 포함되는 디자인 설정 프로그램(22p)(제어 수단)이나,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 통신 제어 소프트웨어(19b) 등이 액세스하여, 유저 인터페이스(14)를 제어함으로써, 제조 번호(19c)로 특정되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조작 환경 디자인을 디 폴트로 실현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의 예에서는, 디자인 속성(22a)으로는, 이하의 항목이 설정되어 있다.
즉, 특정한 하나의 제조 번호(19c)(케이싱(18)의 외관 디자인)에 대하여, 이하의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가 세트로 선택된다.
즉, 디자인 속성(22a)은, 디자인 설정 프로그램(22p)을 포함한다. 이 디자인 설정 프로그램(22p)은,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된 이하의 디자인 속성(22a)에 대응한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에 기초하여, 조작 환경 디자인을 구축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한, 디자인 속성(22a)은, 스피커(14d), 바이브레이터(14f)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일례로서 이하의 항목이 있다.
즉, 「착신음」은, 메일, 메시지, 음성, 텔레비전 전화 등에 있어서의 착신 시의 음악이나 음성 등을 정의한다.
「착신 바이브레이터」는, 메일, 메시지, 음성, 텔레비전 전화의 착신 시에 있어서의 바이브레이터(14f)가 발생하는 바이브레이션을 정의한다.
「착신 음량」은, 메일, 메시지, 음성, 텔레비전 전화의 착신 시에 있어서의 착신 음량을 정의한다.
「키 확인음」은, 키보드(14e)의 키 누름 시의 발생음을 정의한다.
「충전 확인음」은, 충전 완료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출력되는 음성을 정의한다.
「알람음」은, 에러 발생 시 등에 유저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출력되는 음성을 정의한다.
「통화 보류음」은, 전화나 텔레비전 전화에 의한 통화 시의 보류음을 정의한다.
또한, 디자인 속성(22a)은,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조명 광원(14g)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하의 항목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사이트 표시색」은, 인터넷에의 액세스 시에 액세스 목적지의 사이트를 식별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조명 광원(14g)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을 정의한다.
「대기 화면」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대기중에 있어서의, 메인 디스플레이(제1 디스플레이(14a)), 배면 디스플레이(제2 디스플레이(14b)) 등에 표시되는 화면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캘린더 표시」는,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캘린더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시계 표시」는,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계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전화 발착신 화면」은, 정보 처리 장치(10)를 전화로서 사용할 때에, 발착신 시에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상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메일 송수신 화면」은, 메일의 송수신 시에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상을 정의한다.
「센터 조회 화상」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유저의 서포트 사이트에의 액세스 시에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상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스크린 설정」은,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배경 화상을 정의한다.
「전지 마크 설정」은, 전지의 잔량을 메인 디스플레이, 배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디자인을 정의한다.
「폰트 설정」은,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에 출력되는 문자의 글씨체를 정의한다.
「바이링걸 설정」은, 다언어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경우의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에서의 출력 화상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텔레비전 전화 화상」은, 정보 처리 장치(10)를 텔레비전 전화로서 사용할 때의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에서의 출력 화상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정형문」은, 메일의 송신문의 작성에 있어서 이용되는 정형문의 문체나 화상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커스텀 메뉴」는,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10)의 각종 기능을 커스터마이즈할 때에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에 출력되는 메뉴 화면 등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메뉴 아이콘」은,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에 출력되는 각종의 메뉴 화면 등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애니메이션」은,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에 출력되는 각종의 애니메이션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착신 조명」은, 메일, 메시지, 음성, 텔레비전 전화 등의 착신 시에 있어서의,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조명 광원(14g)으로 실현되는 조명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조명색 설정」은, 조명 광원(14g) 에 의한 조명색을 정의한다.
「통화중 조명」은, 통화중에 있어서의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조명 광원(14g) 등에 의한 조명의 디자인을 정의한다.
상술한 도 5에 예시한 각 항목 이외에도, 디자인 속성(22a)으로는, 또한, 일례로서 이하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수화 음량 설정」은, 통화 중의 상대의 소리의 음량 조절의 설정을 행한다.
「전지 알람음 설정」은, 전지가 끊어졌을 때의 알람음을 설정한다.
「매너 모드 설정」은, 매너 모드의 종류 설정(미리 결정된 설정인지, 오리지날 설정을 행할지)를 설정한다.
「착신 호출 동작 설정」은, 착신이 있었을 때에 착신음을 울리기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을 설정한다.
「발신 번호 없음 동작 설정」은, 착신 시에 상대가 발신자 번호를 통지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정한다.
「이어폰 전환 설정」은, 이어폰 마이크 셋트를 이용할 때에 착신음을 이어폰으로부터 울리게 할지, 스피커로부터 울리게 할지를 설정한다.
「오토 착신 기능 설정」은, 이어폰 마이크 등의 외부 기기를 이용 시에 자동적으로 응답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애니키 엔서 설정」은, 착신 시에 어떤 키를 누르더라도 응답할 수 있도록 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우선 통신 모드 설정」은, 통화 중에 패킷 통신이 있었을 때나, 패킷 통신 중에 음성 착신이 있었을 때, 어느 쪽의 화면을 우선적으로 표시시킬지를 설정한다.
「노이즈 제거기 설정」은, 통화 중에 주위의 소음을 억제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재접속 알람 설정」은, 통화 중에 전파 상태가 나빠져 도중에 끊긴 전화 회선을, 전파 상태가 회복하면 재접속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통화 품질 알람음 설정」은, 통화 상태가 나빠, 통화가 도중에 끊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알람을 울릴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국제 다이얼 자동 부가 설정」은, 국제 전화용 번호를 자동으로 부가하여 발신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통화중 닫음 설정」은, 통화 중에 휴대 전화를 덮었을 때의 동작을 설정한다.
「텔레비전 전화 동작 설정」은, 텔레비전 전화 중의 화면 등 상세 내용을 설정한다.
「문자 입력 설정」은, 문자 입력 시의 방식이나 동작을 설정한다.
「메일 수신 첨부 파일 설정」은, 메일 수신 시에 첨부 파일을 수신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메일 일람 표시 설정」은, 메일 일람 표시 시의 레이아웃을 설정한다.
「첨부 파일 자동 재생 설정」은, 수신 메일에 멜로디 등이 첨부되어 있는 경우, 자동 재생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메일 수신 표시 설정」은, 뭔가 조작 중에 메일을 수신한 경우에 통지를 행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사이트 접속 대기 시간 설정」은, 인터넷 상의 사이트에의 접속 시에 있어서의 최대 시간을 설정한다.
「사이트 표시·효과 설정」은, 인터넷 상의 사이트의 표시 시에 있어서의 표시나 음의 동작을 설정한다.
「i 모션 설정」은, i 모션(상표)를 자동으로 재생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i 어플리 자동 기동 설정」은, 자동 기동 가능한 i 어플리(상표명)(인터넷 액세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가 있는 경우, 자동 기동시킬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소프트 정보 표시 설정」은,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시에 해당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소프트 조명 설정」은, 소프트웨어의 기동 중의 조명을 설정한다.
「전언 메모 설정」은, 전언 메모의 응답 시간이나 가이던스, 및 각종 기능 을 설정한다.
「카메라 설정」은, 카메라(15)의 촬영 시의 효과나 밝기, 색의 농도 등의 상세 내용을 설정한다.
그리고, 선택된 디자인 속성(22a)에 포함되는 디자인 설정 프로그램(22p)은, 해당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의 세트 내의 다른 설정값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에의 화상 등의 출력의 제어, 스피커(14d)에의 음성의 출력, 조명 광원(14g)의 발광의 제어, 바이브레이터(14f)의 진동의 제어 등을 행함으로써, 조작 환경 디자인을 구축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의 흐름도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우선,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 및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소프트웨어(20)를 준비한다(단계101).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의 제조 공정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의 제조 완료 후, 디자인 소프트웨어(20)를 불휘발성 기억 장치(13)에 실장한다(단계102). 이로써, 정보 처리 장치(10) 내에는,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로서, 복수의 하드웨어 디자인 A, B, C…가 이용 가능하게 존재하는 상태로 된다.
그 후, 정보 처리 장치(10)를 기동하여,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을 동작시키고,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등의 하드웨어 디자인이 식별 가능하게 부여된 제조 번호(19c)를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에 입력하면, 이 제조 번호(19c)로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의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22b)를 서치하고, 대응 하는 디자인 속성(22a)의 세트를 선택하여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기입한다 (단계104).
이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적합한, 시각적, 청각적, 진동 등의 촉각적인 속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환경 디자인이 실현된다(단계105).
즉,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색이, 화려한 적색인 경우에는, 이들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14a) 등에 표시되는 화상이나 아이콘 등을 적색 계통으로 통일함과 함께, 각종 사운드도 활발한 인상을 주는 멜로디로 통일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디자인의 테이스트와, 조작 환경 디자인의 테이스트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도 1의 단계 103 및 단계 104에서의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 도 2의 흐름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의 전원 투입 시에,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은, 조작 환경 디자인의 디폴트값이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201), 미설정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제조 번호(19c))를 취득하고(단계 202), 해당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의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22b)를 검색한다(단계 203).
그리고, 일치하는 것이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에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22a)의 세트를 판독하여,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기입한 다(단계 204).
이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에 있어서의 검색 처리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그 후,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된 디자인 속성(22a)의 정보를 이용한 조작 환경의 구축(즉,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적합한 디폴트의 조작 환경 디자인의 실현)을 행한다(단계 205).
한편, 상술한 단계 201에서 조작 환경 디자인의 디폴트값이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 완료로 판명된 경우에는, 즉시, 해당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서의 디자인 속성(22a)의 설정값(디폴트값 할당 정보(22c))의 판독을 행하고(단계 206), 단계 205의 조작 환경의 구축을 행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 203에서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대응한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22b)가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에 없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의 입력을 행하고(단계 207), 단계 204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된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의 정보는, 유저 조작에 의한 설정 리셋을 행하여도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단계 202에서의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의 취득 방법으로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제조 시에 불휘발성 기억 장치(13) 내에 기입되어 있는 제조 번호(19c)를 판독하는 방법, 카메라(15)를 이용한 화상 인식에 의해 외부의 매체로부터 바코드 등으로 제조 번호(19c)를 판독하는 방법, 카메라(15)를 이용한 화상 인식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 디자인 명칭을 자동 인식하는 방법, 거울에 비친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화상을 카메라(15)로 인식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 디자인 자체를 인식하는 방법 등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에 따르면,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 및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로 이루어지는 디자인 소프트웨어(20)를 실장하여,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동 시에, 디자인 제어 프로그램(21)으로 케이싱(18)의 하드웨어 디자인을 식별하고, 이 하드웨어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14)의 조작 환경 디자인이 구축되도록,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로부터 디자인 속성(22a)에 관한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를 선택하여, 자동적으로 디폴트값으로서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10)의 유저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도, 정보 처리 장치(10)의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유저 인터페이스(14)이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제조 공정에서는, 케이싱(18)의 하드웨어 디자인의 서로 다른 테이스트마다,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개발 공정수의 증가나 소프트웨어 관리의 번잡화 등이 발생하는 일 없이, 정보 처리 장치(10)의 케이싱(18)의 색채, 형상, 모양 등의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저장된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 당 정보(22c)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가, 조작 환경 디자인을 커스터마이즈한 후, 디폴트로 복귀한 경우에도, 케이싱(18)의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적합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 7의 변형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출하 후에, 유저 등에 의한, 소위 「교체」에 의해 케이싱(18)의 하드웨어 디자인이 변경된 경우에, 이 하드웨어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대응한 디폴트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즉, 교체 시트(30)는, 예를 들면, 표면 측에 줄무늬 모양의 디자인이 실시되어 있고, 이면측은 접착제 등이 도포된 접착부(33)로 되어 있다. 케이싱(18)에 있어서의 스피커(14d), 제1 디스플레이(14a), 제2 디스플레이(14b), 키보드(14e), 마이크로폰(14c)에 대응하는 교체 시트(30)의 영역에는 절취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정보 처리 장치(10)의 유저 인터페이스(14)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교체 시트(30)를 케이싱(18)에 붙임으로써 외관 디자인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교체 시트(30)의 일부에는, 해당 교체 시트(30)의 디자인을 식별하기 위한 디자인 식별 정보(31)가 인쇄되어 있다. 이 디자인 식별 정보(31)는, 문자, 바코드, 이차원 코드, 화상, 기타, 임의의 표현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경우에는, 카메라(15)로 디자인 식별 정보(31)를 촬영함으로써, 교체 시트(30)의 디자인의 종별을 식별하고,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22a) 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를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로부터 검색하여 판독하여, 디폴트값 설정 에리어(19d)에 설정함으로써, 교체 시트(30)의 디자인 테이스트에 적합한 조작 환경 디자인이 디폴트로 자동적으로 구축되도록 한다.
또한, 디폴트값 할당 정보 테이블(22)에 디자인 식별 정보(31)에 대응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인터넷 상의 외부의 정보 서버 등에 액세스하여, 디자인 속성(22a)의 디폴트값 할당 정보(22c)를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면, 디자인 식별 정보(31) 자체가, 인터넷에 있어서의 정보 자원의 소재를 특정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디자인 식별 정보(31)가, 교체 시트(30)의 제공자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정보 서버를 특정하는 URL로서 놓음으로써, 교체 시트(30)의 첨부에 의한 사후적인 케이싱(18)의 디자인 변경에도 적확하게 대응한, 디폴트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의 유저는, 번잡한 설정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정보 처리 장치(10)의 출하 후의 교체 시트(30)의 첨부에 의한 케이싱(18)의 디자인의 변화에 대응한 적절한 테이스트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0)의 케이싱(18)의 형상은, 도 6에 예시한 것에 한하지 않고, 폴드식, 기타,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부기 1>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정보 표시 수단,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 표시 수단,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화상, 아이콘, 조명, 음악, 음성,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3>
부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의 형상, 색채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4>
부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부설된 피복재의 형상, 색채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5>
부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기억된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6>
부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촬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수단을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을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하는 방법,
또는, 상기 촬영 수단으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영하는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부기 7>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설정하는 제1 공정과,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3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8>
부기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표시 수단,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 표시 수단,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화상, 아이콘, 조명, 음악, 음성,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9>
부기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 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의 형상, 색채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0>
부기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부설된 피복재의 형상, 색채 및 모양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1>
부기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촬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기억된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방법,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을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방법,
또는, 상기 촬영 수단으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2>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자인 소프트웨어 중에서, 상기 제1 공정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제2 공정과,
선택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3 공정
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13>
부기 12에 기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정보 표시 수단,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 표시 수단,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화상, 아이콘, 조명, 음악, 음성,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14>
부기 12에 기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의 형상, 색채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15>
부기 12에 기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부설된 피복재의 형상, 색채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16>
부기 12에 기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기억된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17>
부기 12에 기재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촬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외관을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하는 방법,
또는, 상기 촬영 수단으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촬영하는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부기 18>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자인 설정 정보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2 기능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을 준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장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19>
부기 1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표시 수단,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 표시 수단,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화상, 아이콘, 조명, 음악, 음성,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부기 20>
부기 18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관 디자인 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의 형상, 색채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도, 정보 처리 장치의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개발 공정수의 증가나 소프트웨어 관리의 번잡화 등을 발생하지 않고도, 케이싱 디자인의 테이스트에 매치시킨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번잡한 설정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출하 후의 케이싱 디자인의 변화에 대응한 적절한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설정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로 특정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정보 표시 수단,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보 표시 수단, 상기 음성 입출력 수단 및 상기 진동 발생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화상, 아이콘, 조명, 음악, 음성,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 설정하는 제1 공정과,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며,
    하드웨어 디자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자인 소프트웨어 중에서, 상기 제1 공정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제2 공정과,
    선택된 상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3 공정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5. 정보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외관 디자인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환경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자인 설정 정보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외관 디자인을 식별하는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의 식별 결과에 대응한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환경 디자인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설정하는 제2 기능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공정과,
    복수의 상기 디자인 설정 정보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실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50042428A 2004-12-08 2005-05-2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29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4854A JP2006166047A (ja) 2004-12-08 2004-12-0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4-00354854 200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468A true KR20060064468A (ko) 2006-06-13
KR100629838B1 KR100629838B1 (ko) 2006-10-02

Family

ID=3657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428A KR100629838B1 (ko) 2004-12-08 2005-05-2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22718A1 (ko)
JP (1) JP2006166047A (ko)
KR (1) KR100629838B1 (ko)
CN (1) CN1004495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7198B (zh) * 2007-04-11 201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中外观元素的确定方法、处理装置及终端
CN101415178B (zh) * 2007-10-19 201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外观包的管理方法、系统和设备
JP5258483B2 (ja) * 2008-09-29 2013-08-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6173786B2 (ja) * 2013-06-12 2017-08-0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209395B2 (ja) * 2020-10-06 2023-01-20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3731B1 (en) * 1995-07-27 2006-02-21 Digimare Corporation User control and activation of watermark enabled objects
US20020057289A1 (en) * 2000-11-16 2002-05-16 Jerry Crawford User station providing localized manufacturing for personalized products
JP2002330204A (ja) * 2001-04-27 2002-11-15 Toshiba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切り替え方法
EP1393533B1 (en) * 2001-05-14 2008-11-05 Innovision Research & Technology PLC Electrical devices
US7093198B1 (en) * 2001-08-16 2006-08-15 Nokia Corporation Ski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3135695A (ja) * 2001-11-06 2003-05-13 Heiwa Corp 遊技機および遊技機の製造方法
US7421269B2 (en) * 2002-03-01 2008-09-02 Nokia Corporation Functional cover for use with a wireless terminal
JP4172968B2 (ja) * 2002-08-1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7121469B2 (en) * 2002-11-26 2006-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processing of digital images
EP1632077A1 (en) * 2003-06-12 2006-03-08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ver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20050149399A1 (en) * 2003-12-18 2005-07-07 Fuji Photo Film Co., Ltd. Service server and service method
KR20050066128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체인지 커버를 이용한 메모리카드의 교체구조 및 방법
JP2005204039A (ja) * 2004-01-15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22718A1 (en) 2006-06-08
CN1786938A (zh) 2006-06-14
CN100449526C (zh) 2009-01-07
JP2006166047A (ja) 2006-06-22
KR100629838B1 (ko) 200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8272B (zh) 用于修改多媒体用户界面的行为模式的移动终端、关联方法及装置
US2008007061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CN1148093C (zh) 在电话中提供特定日期通告功能的方法
KR100629838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7383040B2 (en) Virtual technician for providing technical support for manipulation of radiotelephones
JP2005237014A (ja) 情報端末機能付き腕時計及び携帯電話
JP477643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74275A (ja)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表示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CN101346687A (zh) 便携式通信终端、便携式通信终端中使用的功能菜单显示方法和程序
JP4895744B2 (ja) 携帯通信端末
JP47220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5069589A1 (ja) 携帯端末
JP2002118638A (ja) 移動通信端末
KR200600787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방법
JP2004140695A (ja) 情報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4248170A (ja) 携帯電話機の環境一括設定システム
KR1011045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KR200332458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버튼을 이용한 캐릭톤 시스템
JP2005323006A (ja) 携帯電話端末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3249983A (ja) 情報端末機能付き腕時計及び携帯電話
KR2007007188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검색 제공 방법
KR1009171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알림 방법
JP2004254198A (ja) 携帯電話端末
JP2009020576A (ja) 情報処理装置
KR2003002957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버튼을 이용한 캐릭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