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198A -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198A
KR20060064198A KR1020040102905A KR20040102905A KR20060064198A KR 20060064198 A KR20060064198 A KR 20060064198A KR 1020040102905 A KR1020040102905 A KR 1020040102905A KR 20040102905 A KR20040102905 A KR 20040102905A KR 20060064198 A KR20060064198 A KR 2006006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output
base
terminal
amplifying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0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198A/ko
Publication of KR2006006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증폭한 후 에미터단에 연결 된 마이크 출력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 출력신호 출력단에 유기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에미터(E) 간 전압을 유지하는 출력안정화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의 출력안정화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고출력 및 고선형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전력 이득의 피킹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MIC INPUT CIRCU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이크 10 : 증폭 트랜지스터
12 : 가변저항 14 : 캐패시터
16 : 출력안정화회로 18, 20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치 왜곡형 선형성 마이크회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출력안정화 회로를 추가 연결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고출력 및 고선형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전력 이득의 피킹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음성통화기능을 지원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자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거나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일렉트릭 콘덴서 마이크로폰(Electric Condenser Microphone, 이하 마이크라 함)을 포함하는 마이크 입력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마이크(1)를 통해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Mic_in)를 증폭소자인 NPN형 트랜지스터(10)를 통해 중폭시켜 베이스밴드 코덱(미도시)으로 입력되도록 하고있다.
이러한 마이크 입력회로는 최대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비선형(Nonlinear)특성을 갖는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에서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마이크가 포화영역 부근에서 동작하게 되면 비선형적인 특성에 의해서 출력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왜곡되어 상호 혼변조 왜곡 성분을 발생하게 되므로 증폭소자(10)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가 경박단소하게 설계됨에 따라, 여기에 사용되는 선형 전력 증폭기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고출력 및 고선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마이크 입력회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치 왜곡형 선형성 마이크 입력회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다이오드회로를 추가 연결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고출력 및 고선형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전력 이득의 피킹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증폭한 후 에미터단에 연결 된 마이크 출력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 출력신호 출력단에 유기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간 전압을 유지하는 출력안정화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안정화소자는,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각 베이스단과 에미터단이 각기 연결된 구성을 갖는 두 개의 NPN-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베이스에 병렬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1)와, 마이크(1)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Mic_in)를 증폭하는 증폭소자(10)와, 증폭소자(10)에 입력되는 DC바이어스 전압을 제거하는 커패시터(14)와, 증폭소자(10)의 출력 이득을 평탄화시키는 가변저항(12)과, 증폭소자의 출력을 선형적으로 유지시키는 출력안정화소자(16)를 포함한다.
증폭소자(10)로는 NPN타입의 증폭용 트랜지스터(10)가 적용되어 컬렉터(collector, c)단으로 입력되는 전원(VDD)에 의해 동작하며, 베이스(base, b)단을 통해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Mic_in)를 증폭시켜 에미터(emitter, e)단을 통해 출력한다.
커패시터(14)는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e)에 연결된 마이크 출력신호(Mic_out)단에 개재되어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입력단으로 유입될 수 있는 DC 바이어스전압을 차단한다.
가변저항(12)은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c)와 베이스(b)에 병렬로 연결되어 임피던스를 감소시킴으로써, 베이스(b)로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Mic_in)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감소시킨다.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e)에는 마이크 출력신호(Mic_out)를 선형적으로 유지시키는 출력안정화소자(16)가 개재된다. 여기서, 출력안정화소자(16)는 직렬로 연결 된 두 개의 NPN-트랜지스터(18, 20)로 구성되는데, NPN-트랜지스터 (18, 20)는 특성 상 베이스(b)로 전원이 입력면 컬렉터(c)와 에미터(e) 간이 턴온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각 트랜지스터(18, 20)의 베이스(b)를 각각의 에미터(e)에 연결함으로써, 각 트랜지스터(18, 20)가 두 개의 다이오드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b)로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Mic_in)에 고주파 신호가 증가하는 경우 각 트랜지스터(18, 20)에 흐르는 전류에 비해 이크 출력신호(Mic_out)의 출력단 측에 유기되는 전류는 크게 감소하여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b)-에미터(e) 간 전압이 감소되는 특성을 보상할 수 있어 출력 이득이 안정화된다.
또한,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c)와 베이스(b)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저항(12)의 임피던스을 낮게 조절하여, 베이스(b)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임피던스가 낮은 가변저항(12) 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출력되는 마이크 출력신호(Mic_out)의 노이즈가 제거되며 신호의 선형성이 유지되어 안정화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한 입력신호(Mic_in)를 증폭하는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e)에 다이오드 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18, 20)를 추가로 연결하여, 마이크 입력신호(Mic_in)에 고주파 신호가 크게 증가하더라도 증폭용 트랜지스터(10)로 유입되는 고주파 신호를 감소시킴으로써 마이크 출력신호(Mic_out)의 출력이득을 안정화 시킬 뿐 아니라 출력이득의 피킹 현상을 제거한다.
또한,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c)와 베이스(b)에 가변저항(12)을 병렬로 연결하고 임피던스를 낮춤으로써, 증폭용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b)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여 출력 이득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고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는, 증폭 트랜지스터의 마이크 출력신호(Mic_out) 출력단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다이오드회로를 추가 하고 입력단 측에 가변저항을 연결하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증폭 트랜지스터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가변저항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되고 출력 이득을 평탄화시키고, 다이오드회로를 통해 선형성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3)

  1.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 입력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증폭한 후 에미터단에 연결 된 마이크 출력신호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증폭 트랜지스터와;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 출력신호 출력단에 유기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증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간 전압을 유지하는 출력안정화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안정화소자는,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직렬로 연결되고 각 베이스단과 에미터단이 각기 연결된 구성을 갖는 두 개의 NPN-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베이스에 병렬로 연결되는 가변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KR1020040102905A 2004-12-08 2004-12-08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KR20060064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905A KR20060064198A (ko) 2004-12-08 2004-12-08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905A KR20060064198A (ko) 2004-12-08 2004-12-08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198A true KR20060064198A (ko) 2006-06-13

Family

ID=3715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905A KR20060064198A (ko) 2004-12-08 2004-12-08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1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969B1 (ko) * 2015-06-16 2016-12-21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대기중 사운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969B1 (ko) * 2015-06-16 2016-12-21 주식회사 아이시냅스 대기중 사운드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799B1 (ko) 전력 증폭 회로
CN106026932B (zh) 功率放大模块
EP1727278B1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7714657B2 (en) Low noise amplifier gain controlled scheme
US9148097B2 (en) Electronic system—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method for dynamic adjusting bias point
US7439805B1 (en) Enhancement-depletion Darlington device
JP4664835B2 (ja) 可変増幅器を備えた調整器構造
JP2007053762A (ja) 線型性及び周波数帯域を向上した増幅回路
US10749482B2 (en) Power amplification circuit
US9024689B2 (en) Electronic system—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method for self-adjusting bias point
JP3523638B2 (ja) 電力増幅器の動作点の調整のための回路装置
CN111193477B (zh) 一种复合放大器
JP2002043875A (ja) 可変利得増幅器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6006419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 입력회로
TW202316792A (zh) 功率放大器
JP4389360B2 (ja) 利得制御装置
JP4571145B2 (ja) 相互コンダクタンス回路
KR100591062B1 (ko) 역방향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치 왜곡형 선형 전력 증폭기
GB2439983A (en) Frequency compensation for an audio power amplifier
JP2020191551A (ja) 増幅回路、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通信装置
US20050253655A1 (en) Amplifier bias enhancement technique
US11121688B2 (en) Amplifier with dual current mirrors
JP2007259253A (ja) 電力増幅器
KR100600995B1 (ko)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이용한 전치 왜곡형 선형 전력 증폭기
JP2005184258A (ja) 高周波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