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806A -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806A
KR20060062806A KR1020040101774A KR20040101774A KR20060062806A KR 20060062806 A KR20060062806 A KR 20060062806A KR 1020040101774 A KR1020040101774 A KR 1020040101774A KR 20040101774 A KR20040101774 A KR 20040101774A KR 20060062806 A KR20060062806 A KR 2006006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igment
photoluminescent pigment
apply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필주
Original Assignee
권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필주 filed Critical 권필주
Priority to KR102004010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806A/ko
Publication of KR2006006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10/00Special effects or uses of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10/50Fluorescent, luminescent or photoluminescent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처리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네차례에 걸쳐 도포함으로써, 평상시는 빛을 저장하고 빛이 차단되면 상당기간 빛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시 나 정전시에 관계없이 발광되는 안내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를 전처리제로 코팅하여 축광안료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전처리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1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1차 건조하는 단계와, 1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2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2차 건조하는 단계와, 2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3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3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3차 건조하는 단계와, 3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4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4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4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표시구, 축광안료, 글라스비드, 마감재

Description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GUIDE-SIG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내표시구의 사시도.
본 발명은 안내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처리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네차례에 걸쳐 도포함으로써, 평상시는 빛을 저장하고 빛이 차단되면 상당기간 빛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상황시나 정전시에 관계없이 발광되는 안내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항이나 지하철역 등의 승강장이나 통행로 또는 주택가, 빌딩 등의 공공장소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안내표시구가 설치되어 있으나, 소등시나 야간시에는 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축광기능을 갖는 안내표시구를 사용하게 되었는 데, 축광기능을 갖는 안내표시구로서는 테이프, 반사시트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부착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야광테이프는 무기축광안료를 테이프 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뒷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벽이나 바닥 등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임의의 모양으로 간단하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도로나 지하철 등의 안내표시구로서 사용할 시에는 점착기능으로 인하여 쉽게 표시판으로 부터 테이프가 이탈될 수 있고, 훼손의 우려가 있으며,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빛이 약하여 식별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시트는 광반사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반드시 광원이 있어야 되는 문제가 있고 내구성 또한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안내표시구가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처리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네차례에 걸쳐 도포함으로써, 평상시는 빛을 저장하고 빛이 차단되면 차단이 후 종래의 안내표시구에 비하여 장기간 빛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상황시나 정전시에 관계없이 발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네차례에 걸친 안료의 도포 및 건조로 인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어 유지보수비용을 감소되도록 하며, 도로표시의 목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축광안료에 글라스비드를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반사기능 또한 동시에 갖도록 하는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내표시구(A)의 제조방법은,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안내표시구(A)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를 전처리제로 코팅하여 축광안료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전처리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1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1차 건조하는 단계와,
1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2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2차 건조하는 단계와,
2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3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3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3차 건조하는 단계와,
3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4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4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4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마감재를 추가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명접착제를 이용하여 글라스비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한 후,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하는 단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는, 축광안료 75∼85중량%에 글라스비드 15∼25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안내표시구(A)의 표시판체를 전처리제로 코팅하여 축광안료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표시판체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하도록 하며, 전처리제 역시 표시판체의 재질에 따라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축광안료의 도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전처리제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전처리 후, 전처리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한다. 상기 축광안료는 평상시 빛에너지를 축적시키고 정전, 야간 등과 같이 빛이 차단되는 유사시에 축적된 빛이 양호하게 발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축광안료는 약 0.1mm 내외로 도포하도록 한다.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한 후, 축광안료가 1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1차 건조한다. 이 때 건조방법은 경제적,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선택하도록 하며 자연건조가 가장 바람직하며, 건조시간은 1차 도포된 축광안료의 두께, 종류 등에 따라 달리하는 바, 2차 도포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시간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1차 건조 후, 1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1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도포하고, 이를 2차 건조하도록 하며, 이를 3차, 4차가 되도록 반복함으로써 축광안료의 발광효과가 우수하도록 하며, 내구성 또한 우수하도록 한다.
상기한 안내표시구(A)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자, 도안 등을 다양한 색채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사이에 당연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적으로 4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마감재를 추가로 도포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상기 마감재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축광안료를 한번더 보호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단계 후, 투명접착제를 이용하여 글라스비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한 후, 축광안료를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빛의 반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미세하게 도포되는 데, 이 때 상기 글라스비드는 0.1mm 이하의 정제된 미세한 가루형태를 적용하며, 빛의 반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접착제를 이용한다.
또한 이러한 빛의 반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글라스비드를 별도처리하지 않고, 축광안료 75∼85중량%에 글라스비드 15∼2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글라스비드를 별도처리 함과 동시에 축광안료에 글라스비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1차 도포는 글라스비드가 혼합된 축광안료를 도포하고, 2,3,4차 도포는 글라스비드가 혼합되지 않은 축광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1,2차는 혼합된 것을 사용하고 3,4차는 혼합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라스비드가 축광안료에 15중량% 미만으로 투입되면 글라스비드의 반사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25중량%를 초과하여 투입되면 도포공정이 용이치 않으므로, 그 배합비를 축광안료 75∼85중량%에 글라스비드 15∼2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으로 안내표시구(A)를 제조하면, 다수회에 걸쳐 축광안료를 도포함으로써 발광기능이 우수해 지는 것은 물론, 내구성 또한 우수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도시철도, 지하철, 도로 등 어떠한 곳에 사용하여도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은 전처리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네차례에 걸쳐 도포함으로써, 평상시는 빛을 저장하고 빛이 차단되면 빛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상황시나 정전시에 관계없이 발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네차례에 걸친 안료의 도포 및 건조로 인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어 유지보수비용을 감소되도록 하며, 도로표시의 목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축광안료에 글라스비드를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반사기능 또한 동시에 갖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안내표시구(A)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내표시구의 표시판체를 전처리제로 코팅하여 축광안료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전처리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1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1차 건조하는 단계와,
    1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2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2차 건조하는 단계와,
    2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3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3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3차 건조하는 단계와,
    3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축광안료를 4차 도포하는 단계와,
    축광안료가 4차 도포된 표시판체를 4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차 건조된 표시판체에 마감재를 추가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 후,
    투명접착제를 이용하여 글라스비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한 후, 축광안료를 1차 도포하는 단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는, 축광안료 75∼85중량%에 글라스비드 15∼25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KR1020040101774A 2004-12-06 2004-12-06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KR20060062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774A KR20060062806A (ko) 2004-12-06 2004-12-06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774A KR20060062806A (ko) 2004-12-06 2004-12-06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06A true KR20060062806A (ko) 2006-06-12

Family

ID=3715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774A KR20060062806A (ko) 2004-12-06 2004-12-06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8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44B1 (ko) * 2006-12-18 2007-08-27 디에스엔터프라이즈(주) 축광법랑 표지판의 제조방법
KR101994649B1 (ko) * 2019-03-26 2019-09-24 민각기 비상구 유도등
KR102086528B1 (ko) * 2019-06-18 2020-03-09 민각기 광조도 조절이 되는 도료를 이용한 피난 유도선
KR102131864B1 (ko) * 2019-06-18 2020-07-08 민각기 자동 식각유리 제어 시스템
KR102326146B1 (ko) * 2021-09-01 2021-11-12 최영춘 전광판 및 전광판제어기용 함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44B1 (ko) * 2006-12-18 2007-08-27 디에스엔터프라이즈(주) 축광법랑 표지판의 제조방법
KR101994649B1 (ko) * 2019-03-26 2019-09-24 민각기 비상구 유도등
KR102086528B1 (ko) * 2019-06-18 2020-03-09 민각기 광조도 조절이 되는 도료를 이용한 피난 유도선
KR102131864B1 (ko) * 2019-06-18 2020-07-08 민각기 자동 식각유리 제어 시스템
KR102326146B1 (ko) * 2021-09-01 2021-11-12 최영춘 전광판 및 전광판제어기용 함체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8271A (en) Self-luminous signs
EP1723624A2 (en) Emergency information sign
JP5243016B2 (ja) 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および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作成キット
JP2004169362A (ja) 標識装置
WO2006109742A1 (ja) 蓄光発光シート
US8156671B2 (en) Photoluminescent exit device
JP2008165203A (ja) 案内標識
KR20060062806A (ko) 안내표시구의 제조방법
JP2010008624A (ja) 蓄光性と防滑性を有する視線誘導シート
JP2008280720A (ja) 凹凸ブロックの凹部貼付用積層シート
JP4589907B2 (ja) 点字プレート及び点字発光表示装置
WO1999062046A1 (fr) Panneau phosphorescent
JP2004332369A (ja) 道路標示用シート及びこれの使用方法
JP2000204270A (ja) 反射性蓄光剤組成物
JP2003043957A (ja) Ledを用いた標識表示装置
JPH0962181A (ja) 発光部又は光再帰反射部を有する点字表示物
JP2008233178A (ja) 蓄光表示板
JP2000356950A (ja) 表示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JP2011164559A (ja) 蓄光式誘導シート
KR102281194B1 (ko) 특수광에 반응하여 발색하는 네일 스티커
KR102321179B1 (ko) Led 네온 조합형 led 채널 간판
JP2000021201A (ja) 手摺り貼着用テ−プ
KR200346098Y1 (ko) 축광블록
KR200346659Y1 (ko) 축광특성을 갖는 안내 표시판
CN100410703C (zh) 具有被动磷光光源的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