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708A -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62708A KR20060062708A KR1020040101645A KR20040101645A KR20060062708A KR 20060062708 A KR20060062708 A KR 20060062708A KR 1020040101645 A KR1020040101645 A KR 1020040101645A KR 20040101645 A KR20040101645 A KR 20040101645A KR 20060062708 A KR20060062708 A KR 200600627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formwork
- finishing
- concrete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이나 벽체 등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나 흙을 채운 후, 마감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기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감거푸집의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거푸집 겸용 건축 외장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100 : 마감거푸집 11a,11b : 콘크리트구성재
13a,13b,113 : 결합홈 15a,15b,115 : 결합돌기
25a,25b,125 : 이음홈 27a,27b : 이음돌기
30 : 스페이서유닛 41a,41b,141 : 가이드 레일
50 : 스페이서 51a,51b : 가이드
53 : 수평바 55 : 수직바
60 : 종방향철근장착부 65 : 종방향철근
70 : 횡방향철근장착부 75 : 횡방향철근
111 : 각목 14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옹벽이나 벽체 등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나 흙을 채운 후, 마감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기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감거푸집의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거푸집 겸용 건축 외장재로서, 예컨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7-49731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 겸용 건축 외장재는 일측 단부를 단차지게 절곡한 판재(1)(1')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ㄷ"형 간격유지구(미도시)를 설치하여 조립판넬(3)을 단차부(4)로 결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 겸용 건축 외장재는 다음과 같은 트러블이 있다.
간격유지구가 접착 또는 리벳에 의해 판재와 판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다수 의 간격유지구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판재(1)(1')가 단일 크기의 목재로 구성되는 경우, 가공된 각목이나 통나무 보다 구입 비용이 더 많이 들고, 특히 시공될 판재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단일판재(1)(1') 자체 또는 취급 상 크랙이나 파손 등의 결함이 생기면, 판재 한 장를 교체해야 하는 낭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감거푸집 사이의 간격 유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벽체 시공이 편리한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는, 외벽마감거푸집과, 내벽마감거푸집과, 이 외벽마감거푸집과 내벽마감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닛을 포함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외벽마감거푸집과 상기 내벽마감거푸집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양측의 가이드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스페이서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감거푸집 사이의 간격 유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어, 스페이서의 조립이 편리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스냅링 방식의 종방향철근장착부가 더 설치되면, 종방향철근의 배근이 용이해진다.
상기 외벽마감거푸집과 상기 내벽마감거푸집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마감거푸집은 콘크리트구성재가 적층 형성되고, 상기 각 콘크리트구성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인서트된 채 양생되게 하면, 단계적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구성재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상면에는 대향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방지와 결합강도의 증가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구성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바깥쪽 두께가 안쪽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는 것이 강도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벽마감거푸집은 목재로, 상기 내벽마감거푸집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재거푸집은 각목으로 적층 형성되고, 상기 각목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상면에는 대향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면, 조립이 편리하고 단계적 시공 가능할 뿐 아니라 재활용 및 자재비용을 줄이면서 우수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1의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는 외벽마감거푸집(10a)과, 내벽마감거푸집(10b)과, 외벽마감거푸집(10a)과 내벽마감거푸집(10b)을 일정 간격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유닛(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유닛(30)은 외벽마감거푸집(10a)과 내벽마감거푸집(10b) 각각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a)(41b)과, 이 가이드레일(41a)(41b)과 결합되는 가이드(51a)(51b)가 형성된 스페이서(5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1a)(41b)과 가이드(51a)(51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절곡(평면상에서는 V자 형상)한 형상이다.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뿐 아니라 전후로도 조립/분해가 가능하다. 가이드(51a)와 가이드(51b)는 수평바(53)에 의해 연결되고, 이 수평바(53)에는 수직바(55)가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스페이서(50)가 체결되어, 작업성과 시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50)에는 스냅링 방식의 종방향철근장착부(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철근장착부(60)는 C자형 링으로서, 점선으로 표시한 종방향철근(65)을 링 개구로 밀어 넣으면 고정되어 손쉽게 배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와이어로 종방향철근(65)을 일일이 묶어 고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횡방향철근(75)이 배근될 횡방향철근장착부(70)가 스페이서(50)에 설치되는 것이, 종방향철근장착부(60)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종방향철근장착부(60)와 횡방향철근장착부(70)는 수평바(70)와 수직바(55)가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감겸용거푸집(10a)(10b)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콘크리트구성재(11a)(11b)들이 평행하게 적층되어 형성된 벽체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콘크리트마감거푸집(10a)(10b)인 경우, 그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또는 흙이 채워진 후에도, 탈형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거푸집 겸용 마감외장재로서의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구성재(11a)(11b)들이 평행하게 적층되어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단계적 시공이 가능하다.
이 콘크리트구성재(11a)(11b)는 가이드레일(41a)(41b)을 지지하는 지지편(43a)(43b)이 인서트된 채 양생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41a)(41b)의 간편한 지지 뿐 아니라 콘크리트구성재(11a)(11b)의 인장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성재(11a)(11b)에는 결합홈(13a)(13b)과, 이 결합홈(13a)(13b)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5a)(1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콘크리트구성재(11a)(11b)의 상대이동을 더욱 억제시키고,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홈(13a)(13b)은 콘크리트구성재(11a)(11b)의 하면에, 결합돌기(15a)(15b)는 상면에 배치하는 것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빗물) 침투가 그 반대인 경우(이 경우 빗물이 타고 홈에 유입될 수 있다)보다 어렵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성재(11a)(11b)는 결합돌기(15a)(15b)의 바깥쪽 두께(t1)가 안쪽 두께(t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쪽은 스페이서 유닛(5)과 지지편(43a)(43b) 등의 보강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바깥쪽의 강도가 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깥쪽이 외력(바람 등)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결합홈(13a)(13b)의 외측하면(14)은 내측하면(16)보다 아래에 형성되고, 결합돌기(15a)(15b)의 내측상면(20)은 외측상면(18)보다 위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결합되는 결합홈(13a)(13b)과 결합돌기(15a)(15b)로부터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결합돌기(15a)(15b)의 외측쪽 접촉면적(17)이 커서, 외벽에서 가해지는 힘에 더 견딜 수 있는 강도로 보강될 수 있고, 둘째, 결합접촉구조가 미로형태로서 바람 등의 공기 유동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여 어느 정도 단열 보온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3a)(13b)의 내측하면(16)과, 대향하는 결합돌기(15a)(15b)의 내측상면(20) 사이에는 틈새(c)가 형성되면, 특히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이 틈새(c)로 침투 고착되어 콘크리트구성재(11a)(11b)간의 결합강도를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마감거푸집(10a)(10b)들은 서로 이음을 통해 연결된다. 이음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이음홈(25a)(25b)을 두고, 이 이음홈(25a)(25b)과 결합되는 이음돌기(27a)(27b)가 결합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측 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의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12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는 외벽마감거푸집(100)과, 내벽마감거푸집(10b)과, 외벽마감거푸집(100)과 내벽마감거푸집(10b)을 일정 간격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유닛(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벽마감거푸집(10b)은 전술한 실시예1의 콘크리트마감거푸집에 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벽마감거푸집(10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각목(111)들이, 내벽마감거푸집(10b)은 전술한 콘크리트구성재(11b)들이 평행하게 적층되어 형성된 벽체로서, 이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또는 흙이 채워진 후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거푸집 겸용 마감외장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각목(111)들이 평행하게 적층되어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외관이 나무로 되어 환경 친화적이고, 현장에서 조립하여 단계적 시공 가능하다.
스페이서유닛(30)은 각목(111)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0)와, 콘크리트구성재(11b)에 인서트 된 가이드레일(41b)과, 지지부재(140)와 가이드레일(41b)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5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4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스페이서(50)는 그 양단에 가이드 레일(141)(41b)과 결합되는 가이드(51a)(51b)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41)(41b)과 가이드(51a)(51b)는 전술한 실시예1과 그 형상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이다.
또한, 지지부재(140)는, 마감거푸집(100)의 상하부 및 각목(111) 사이마다 배치되는 연결판(143)과, 이 연결판(143)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41)과, 마감거푸집(100)과 연결판(143)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45)과, 이 연통공(145)에 삽입 수용되는 봉(1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봉(147)의해 각목(111)과 연결판(143)이 서로 지지되어, 각목간의 상대운동을 구속하여 콘크리트 타설이나 흙 채움에 따른 큰 압력에도 확고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각목(111)에는 결합홈(113)과, 이 결합홈(113)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홈(113)의 외측하면(114)은 내측하면(116)보다 아래에 형성되고, 결합돌기(115)의 내측상면(120)은 외측상면(118)보다 위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홈(113)의 내측하면(116)과, 대향하는 결합돌기(115)의 내측상면(120) 사이에는 틈새(c)가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이 틈새(c)로 침투 고착되어 각목(111)간의 결합강도를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감거푸집(100)들은 서로 이음을 통해 연결된다. 이음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이음홈(125)을 두고, 이 이음홈(125)과 이음홈(125)의 이음구멍에 이음연결봉(127)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외벽마감거푸집과 외벽마감거푸집을 모두 나무로 적층하 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페이서의 가이드가 외벽마감거푸집과 내벽마감거푸집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양측과 결합됨으로써, 스페이서의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시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스페이서에는 스냅링 방식의 종방향철근장착부가 설치됨으로써, 종방향철근을 끼워 넣기만 하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종방향철근의 배근을 위한 철사 고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셋째, 외벽마감거푸집과 내벽마감거푸집이 콘크리트 재질의 콘크리트구성재가 적층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로 콘크리트의 타설이나 흙의 채움을 단계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구성재는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인서트된 채 양생됨으로써, 성형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이 배치될 뿐 아니라 이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인서트 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구성재의 인장강도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콘크리트구성재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상면에는 대향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①콘크리트구성재간의 상대운동을 더욱 구속하고 ②결합홈이 하면에 있어 빗물 등이 침투될 우려가 없다.
다섯째, 콘크리트구성재는 결합돌기의 바깥쪽 두께가 안쪽 두께보다 더 두껍 게 형성됨으로써, 지지편이 있는 안쪽보다 바깥쪽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또한 외적인 힘(바람, 비 등)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등의 취약을 보강할 수 있다.
여섯째, 외벽마감거푸집이 각목으로 적층 형성되고, 각목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상면에는 대향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①환경 친화적이고, ②통나무 건물과 조화를 이루며, ③단계적 시공 ④단일목재거푸집보다 결합강도가 크고, 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하고 ⑤각목과 각목간의 상대운동을 더욱 구속하고 ⑥결합홈이 하면에 있어 빗물 등이 침투될 우려가 없다.
Claims (7)
- 외벽마감거푸집과, 내벽마감거푸집과, 이 외벽마감거푸집과 내벽마감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유닛을 포함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상기 외벽마감거푸집과 상기 내벽마감거푸집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상기 양측의 가이드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스냅링 방식의 종방향철근장착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마감거푸집과 상기 내벽마감거푸집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마감거푸집은 콘크리트구성재가 적층 형성되고,상기 각 콘크리트구성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인서트된 채 양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구성재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상면에는 대향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구성재는 상기 결합돌기의 바깥쪽 두께가 안쪽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마감거푸집은 목재로, 상기 내벽마감거푸집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되,상기 목재거푸집은 각목으로 적층 형성되고,상기 각목의 하면에는 결합홈이, 상면에는 대향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1645A KR20060062708A (ko) | 2004-12-06 | 2004-12-06 |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1645A KR20060062708A (ko) | 2004-12-06 | 2004-12-06 |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2708A true KR20060062708A (ko) | 2006-06-12 |
Family
ID=3715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1645A KR20060062708A (ko) | 2004-12-06 | 2004-12-06 |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62708A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899U (ko) * | 1991-06-05 | 1993-01-21 | 주식회사 금토개발 | 콘크리트 거푸집용 유니트 |
JPH06341177A (ja) * | 1992-10-23 | 1994-12-13 | Hans-Peter Lorenz | 壁構成エレメントならびに該壁構成エレメントから形成された壁 |
JPH09235878A (ja) * | 1996-03-01 | 1997-09-09 | Tohoku Shizai Kogyo Kk | 壁構築用セパレータ |
JPH09264031A (ja) * | 1996-03-29 | 1997-10-07 | Toda Constr Co Ltd | コンクリート構造物構築用の型枠 |
JPH1018231A (ja) * | 1996-07-09 | 1998-01-20 | Tamura Kogyo:Kk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へのセパレータ取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
JPH10292537A (ja) * | 1997-04-15 | 1998-11-04 | Takeshige Shimonohara |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
JPH11193587A (ja) * | 1997-12-26 | 1999-07-21 | Kazutoshi Torisawa |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法 |
KR19990073549A (ko) * | 1999-07-22 | 1999-10-05 | 오세일 | 건축용 판넬 및 그 벽체구축방법. |
KR100350510B1 (ko) * | 2000-01-14 | 2002-08-28 |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 건축물용 내외장 제물거푸집과 그시공법 |
KR20060057235A (ko) * | 2004-11-23 | 2006-05-26 | 김삼권 | 벽체 시공용 목재 장식 거푸집 조립체 |
-
2004
- 2004-12-06 KR KR1020040101645A patent/KR200600627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0899U (ko) * | 1991-06-05 | 1993-01-21 | 주식회사 금토개발 | 콘크리트 거푸집용 유니트 |
JPH06341177A (ja) * | 1992-10-23 | 1994-12-13 | Hans-Peter Lorenz | 壁構成エレメントならびに該壁構成エレメントから形成された壁 |
JPH09235878A (ja) * | 1996-03-01 | 1997-09-09 | Tohoku Shizai Kogyo Kk | 壁構築用セパレータ |
JPH09264031A (ja) * | 1996-03-29 | 1997-10-07 | Toda Constr Co Ltd | コンクリート構造物構築用の型枠 |
JPH1018231A (ja) * | 1996-07-09 | 1998-01-20 | Tamura Kogyo:Kk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へのセパレータ取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
JPH10292537A (ja) * | 1997-04-15 | 1998-11-04 | Takeshige Shimonohara |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
JPH11193587A (ja) * | 1997-12-26 | 1999-07-21 | Kazutoshi Torisawa |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法 |
KR19990073549A (ko) * | 1999-07-22 | 1999-10-05 | 오세일 | 건축용 판넬 및 그 벽체구축방법. |
KR100350510B1 (ko) * | 2000-01-14 | 2002-08-28 |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 건축물용 내외장 제물거푸집과 그시공법 |
KR20060057235A (ko) * | 2004-11-23 | 2006-05-26 | 김삼권 | 벽체 시공용 목재 장식 거푸집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3398B1 (ko) | 프리캐스트 섬유보강 와이어매쉬 슬래브 | |
CN105133830A (zh) | 以钢代木的模板加固体系及其在外墙施工中的施工工艺 | |
US20100005744A1 (en) | Forms structure, panel support member, panel support member for internal corner, panel support member for external corn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rms | |
KR20150060107A (ko) |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 |
CN107217783B (zh) | 一种装配式整体外墙板 | |
KR100663224B1 (ko) | 벽체 시공용 목재 장식 거푸집 조립체 | |
KR100979264B1 (ko) | 골판지소재의 거푸집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 |
CN219773324U (zh) | 一种混凝土梁板结构 | |
KR100813931B1 (ko) | 천정거푸집용 장선 및 멍에의 구조 | |
KR20060062708A (ko) | 벽체 시공용 마감 거푸집 조립체 | |
CN204940845U (zh) | 一种以钢代木的模板加固体系 | |
JP2009144387A (ja) |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 |
CN207727981U (zh) | 一种预制预应力节点核心区木模板 | |
KR20210094381A (ko) |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 |
JP5204601B2 (ja) | 外装材下端部の端カバー固定構造 | |
US20090205282A1 (en) | Wall system | |
KR100757318B1 (ko) | 문틀용 거푸집 | |
KR200189909Y1 (ko) | 철근,철골콘크리트거푸집용 판넬 | |
KR200391961Y1 (ko) | 옹벽 마감용 패널 | |
CN217679785U (zh) | 一种设有柱子的装配式保温墙体 | |
CN214696146U (zh) | 一种木柱的钢构连接件 | |
CN216616193U (zh) | 装配式钢壳复合水泥板免拆模建筑 | |
CN216641101U (zh) | 装配式钢壳复合免拆模密肋楼盖 | |
KR200361277Y1 (ko) |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 |
KR200384039Y1 (ko) | 건축용 대들보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