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098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098A
KR20060062098A KR1020040100825A KR20040100825A KR20060062098A KR 20060062098 A KR20060062098 A KR 20060062098A KR 1020040100825 A KR1020040100825 A KR 1020040100825A KR 20040100825 A KR20040100825 A KR 20040100825A KR 20060062098 A KR20060062098 A KR 20060062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red
flash
signal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098A/ko
Publication of KR2006006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구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모드 사용 시, 플래시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적목현상 방지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촬영 버튼 입력 시, 적색 LED를 발광시키거나, 플래시 LED를 점멸시켜 동공을 축소시키는 과정과, 상기 플래시 LED를 발광시켜 정지화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어두운 곳에서 상기 플래시 LED를 사용하여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찍힌 사람의 동공부분이 빨갛게 나타나는 적목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목현상, 카메라, 플래시, 적색LED, 착신 램프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ON OF PINK-EYE DFFEC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외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 램프의 적색 LED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시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램프의 적색 LED와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하여 동공을 축소시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격하게 사용이 늘고있는 추세이 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늘면서 서비스제공자(단말기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다양하고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Audio Layer-3),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이 늘고 있는 기능이 '디지털카메라' 기능이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이하, 카메라폰이라 칭함)의 사용이 늘면서 그 기능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폰의 화소수가 200만 화소를 넘어서 300만화소급 카메라폰도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플래시 LED를 장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폰의 기능이 발전하고 있지만, 상기 카메라폰의 기능 중 플래시 LED를 사용한 인물촬영 시, 촬영된 사람의 동공부분이 빨갛게 나타나는 적목현상이 나타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 램프의 적색 LED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시 켜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색 LED(R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촬영 버튼 입력 시, 피사체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기 적색 LED를 점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적색 LED 점등 후, 플래시 LED를 발광시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촬영 버튼 입력 시, 상기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시키는 과정과, 상기 플래시 LED 점멸 후, 상기 플래시 LED를 발광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색 LED(R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촬영 버튼 입력 시,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적색 LED를 발광하고, 플래시 LED 구동부와 카메라 모듈에 촬영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플래시 LED를 발광시키는 플래시 LED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견지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촬영 버튼 입력 시, 플래시 LED 구동부와 카메라 모듈에 촬영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한 후, 플래시 LED를 발광시키는 플래시 LED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적목현상은, 어두운 곳에서 플래시를 사용하여 인물사진 촬영 시, 어두운 곳에서 빛을 찾기 위해 사람의 동공은 확장되어 있다. 이때 플래시 LED가 발광하면, 동공 속의 혈관이 빛을 반사하여 붉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메인 바디인 본체(104)와 서브 바디인 폴더(10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4)상에는 상단에 소정의 네비게이션 키 버튼과 하단의 다수의 숫자 키 버튼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의 하측에는 통화 시 단말기가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송화부인 마이크로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4)의 왼쪽 측면에는 사이드 키가 구성된다.
상기 폴더(102)에는 엘씨디(LCD) 모듈이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에는 통화 시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수화부인 스피커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반대편에는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108)와 착신 램프(Service Light-Emitting Diode)(110)가 위치한다. 상기 플래시 LED(108)는 어두운 곳에서도 밝게 촬영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플래시 LED 발광 전에 플래시 LED를 점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착신 램프(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플래시 모드 사용 시, 적색 LED를 발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폴더(102)와 본체(104)를 연결하면 개폐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힌지 장치에는 카메라렌즈(106)가 위치한다. 상기 카메라렌즈(106)는 카메라모듈을 사용할 경우, 피사체의 광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 Unit)(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플래시 LED(108)발광 전에 상기 착신 램프(110)의 적색LED를 발광하는 기능과 상기 플래시 LED 발광 전에 상기 플래시 LED를 점멸시키는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RF부(20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02)는 송 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204)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처리부(204)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06)는 상기 데이터처리부(204)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처리부(204)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Key pad)(2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메모리(210)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카메라(212)는 피사체의 광 신호를 입력받아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 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소자(CCD : Coupled Device, 또는 CMOS :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 구동부(214)는 상기 카메라(212)를 통해 피사체의 광 신호를 입력받을 때, 상기 플래시 LED(108)를 발광시켜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있어 따라, 플래시 LED발광 전에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216)는 상기 카메라(21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표시데이터를 감마보정, 색보정 등의 신호처리를 행하여 YUV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218)로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신호처리부(216)는 프리뷰(preview)를 위해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RGB(Red-Green-Blue)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처리부(218)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216)는 디지털신호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프리뷰(preview)를 위해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RGB(Red-Green-Blue)데이터로 변환할 때 얻어지는 조도 값과 색상 값을 상기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18)는 상기 신호처리부(216)와 표시부(220) 사이에 화상신호(RGB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신호처리부(216)로부터의 YUV데이터를 JPEG(Joint Picture Expert Group)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0)로부터의 JPEG코덱 또는 MPEG코덱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 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동화상 및 정화성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2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18)로부터 인가되는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착신 램프 구동부(22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착신 램프 LED(110)를 구동하는 기능을 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플래시 LED(108)의 발광 전에 상기 착신 램프(110)의 적색 LED를 발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 램프의 적색 LED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301단계에서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대기 화면을 표시창에 디스프레이 한다. 상기 촬영대기 화면(이하, 프리뷰(preview)라 칭함)는 상기 카메라(212)에서 촬영되는 동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상기 프리뷰가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플래시모드를 사용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플래시 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촬영모드 즉, 초점을 맞추고 촬영버튼을 입력한 후, 상기 제어부(200)는 315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플래시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307단계로 진행하 여 적목현상방지 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적목현상방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버튼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촬영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착신 램프(110)의 적색 LED(Red Light-Emitting Diode)를 발광시켜 확장되어 동공을 축소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플래시 LED(108)를 발광시켜 어두운 곳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15단계로 진행하여 정지 화상을 획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를 연속적으로 점멸시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401단계에서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대기 화면을 표시창에 디스프레이 한다. 상기 촬용대기 화면(이하, 프리뷰(preview)라 칭함)는 상기 카메라(212)에서 촬영되는 동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상기 프리뷰가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플래시 모드를 사용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플래시 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촬영모드 즉, 초점을 맞추고 촬영버튼을 입력한 후, 상기 제어부(200)는 415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플래시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적목현상방지 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적목현상방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버튼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촬영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108)를 소정 횟수 점멸시켜 확장되어 동공을 축소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플래시 LED (108)를 발광시켜 어두운 곳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415단계로 진행하여 정지 화상을 획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두운 곳에서 플래시 LED를 발광시켜 인물 사진 촬영 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플래시 LED 이외에 LED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 시킴으로 촬영될 인물의 확장된 동공을 축소 시켜 적목현상을 제거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 신램프의 적색 LED를 발광시켜 상기 확장된 동공을 축소 시켜 적목현상을 제거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색 LED(R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촬영 버튼 입력 시, 피사체 방향으로 발광하는 적색 LED를 점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적색 LED 점등 후, 플래시 LED를 발광시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LED는 착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촬영 버튼 입력 시, 상기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시키는 과정과,
    상기 플래시 LED 점멸 후, 상기 플래시 LED를 발광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색 LED(R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촬영 버튼 입력 시, 피사체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기 적색 LED를 점등하고, 플래시 LED 구동부와 카메라 모듈에 촬영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플래시 LED를 발광시키는 플래시 LED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전기적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화상신호를 인가 받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LED는 착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플래시 LED(Flash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촬영 버튼 입력 시, 플래시 LED 구동부와 카메라 모듈에 촬영명령을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플래시 LED를 소정 횟수 점멸한 후, 플래시 LED를 발광시키는 플래시 LED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전기적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화상신호를 인가 받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100825A 2004-12-03 2004-12-03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62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25A KR20060062098A (ko) 2004-12-03 2004-12-03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25A KR20060062098A (ko) 2004-12-03 2004-12-03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98A true KR20060062098A (ko) 2006-06-12

Family

ID=3715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825A KR20060062098A (ko) 2004-12-03 2004-12-03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743A (ko) * 2015-07-16 2017-01-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발광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743A (ko) * 2015-07-16 2017-01-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발광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452B1 (ko)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KR100261606B1 (ko)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10066347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2004289688A (ja) テレビ電話装置
KR20070117776A (ko)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20040100746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역광촬영을 보정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9157242A1 (ja) 携帯電話機
KR100325250B1 (ko) 카메라폰에서 반투과형 엘씨디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200600620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4241337B2 (ja) 携帯電話、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677193B1 (ko)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5184696A (ja) 携帯端末およびフラッシュ制御方法
KR10065742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이미지를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15753B1 (ko) 문서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과 이를 위한문서 이미지 변환 방법
KR100663471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JP4416783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KR100697627B1 (ko)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JP2007306589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2006108982A (ja) 撮像装置
JP2005107240A (ja) 撮像装置
KR20060068393A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촬영기능 제어방법
KR100469859B1 (ko)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KR100785228B1 (ko) 조도 향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조도 향상 방법
JP2004214797A (ja) 撮像機能付き携帯電子機器及び視線誘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