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776A -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776A
KR20070117776A KR1020060051846A KR20060051846A KR20070117776A KR 20070117776 A KR20070117776 A KR 20070117776A KR 1020060051846 A KR1020060051846 A KR 1020060051846A KR 20060051846 A KR20060051846 A KR 20060051846A KR 20070117776 A KR20070117776 A KR 20070117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unit
pixel camera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340B1 (ko
Inventor
손재곤
김순진
김동우
이문희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4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고화질의 영상 촬영 시 휴대용 단말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화소 카메라부와 저화소 카메라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1 단계, 촬영 모드인 경우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2 단계, 정지 영상 촬영 모드,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는 3 단계,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촬영 키의 입력을 기다리는 4 단계, 촬영 키가 입력되면 고화소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5 단계,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6 단계, 및 촬영 완료 키가 입력되면 고화소 카메라부를 정지시키고 동영상의 저장을 완료시키는 7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하고,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여 저장하므로, 고화소 카메라부만을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종래에 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저화소 카메라, 영상 프레임, 듀얼 카메라, 전송용 동영상

Description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mobile device with dual camera and method for photograph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동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용 동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지 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통신부 20 : 데이터 처리부
30 : 오디오 처리부 40 : 키 입력부
42 : 촬영 모드 전환 키 44 : 촬영 키
46 : 전송 키 50 : 카메라부
50a : 고화소 카메라부 50b : 저화소 카메라부
60 : 영상처리부 70 : 표시부
80 : 저장부 90 : 제어부
100 : 휴대용 단말기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화질의 영상 촬영 시, 휴대용 단말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음성 또는 영상저장기능, 인터넷 기능, 오락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에 더하여 디지털카메라 기능이 추가로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가 등장함으로서, 원하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이하, 모두 영상이라 칭함)을 손쉽게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거나 이메일 또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 등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500만 화소에서 800만 화소에 이르는 고성능의 디지털카메라들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화질면에서 종래의 카메라와 유사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영상 촬영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한 경우, 디지털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preview)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게 되며, 촬영 키가 입력되면 디지털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메모리와 같은 저장부에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 고성능의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된 경우, 영상 촬영 시 대량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에, 입력되는 대량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프레임 처리하여 저장부에 저장해야 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에 부하가 크게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성능의 디지털카메라로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경우, 고화질의 영상으로 저장되므로,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저장된 동영상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송하는 경우, 전송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에 사용자가 높은 데이터 전송 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휴대용 단말기의 부하 를 줄일 수 있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용 동영상을 용이하게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저화소 카메라부와, 고화소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영상처리부와 연결되고, 화면을 통해 프리뷰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영상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처리부에 입력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정지 영상 및 일반 동영상 촬영 시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며, 전송용 동영상 촬영 시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부로 전송하여 프리뷰 영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화소 카메라부와 저화소 카메라부로 구성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1 단계, 촬영 모드인 경우,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2 단계, 정지 영상 촬영 모드,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는 3 단계,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촬영 키의 입력을 기다리는 4 단계, 촬영 키가 입력되면, 고화소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5 단계,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6 단계, 및 촬영 완료 키가 입력되면, 고화소 카메라부를 정지시키고, 동영상의 저장을 완료시키는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3 단계 내지 7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프리뷰 영상은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3 단계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정지 영상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P1 단계, 정지 영상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P2 단계, 및 P2 단계에서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로 판단하는 P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 영상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키가 입력되면 고화소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S1 단계, 고화소 카메라부 및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정지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S2 단계, 및 고화소 카메라부를 정지시키는 S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S2 단계는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고화질의 정지 영상을 기본 이미지로 저장시키고,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저화질의 정지 영상은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 단계 내지 S3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프리뷰 영상은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은 S3 단계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고화질 이미지, 또는 썸네일 이미지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키가 입력되면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M1 단계 및 촬영 완료 키가 입력되면, 전송용 동영상의 저장을 완료시키는 M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M2 단계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전송용 동영상을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1 단계는 저화소 카메라부와 고화소 카메라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 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90), 무선통신부(10), 데이터 처리부(20), 오디오 처리부(30), 키 입력부(40), 카메라부(50), 영상처리부(60), 표시부(70), 및 저장부(80)를 포함한다.
제어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어부(90)는 카메라부(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 즉, 정지 영상, 일반 동영상, 및 전송용 동영상을 제어하며, 저장부(80)에 저장시킨다.
무선통신부(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20)로 출력하고, 데이터 처리부(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모듈, 및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모듈 등을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복호화하여 제어부(90)에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3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30)는 휴대용 단말 기(100)의 음성 통화 시 데이터 처리부(2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20)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키(도시되지 않음)들 및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40)는 촬영 모드 전환 키(42), 촬영 키(44), 및 전송 키(46)를 포함한다.
촬영 모드 전환 키(42)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정지 영상 촬영 모드,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로써, 휴대용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전환 키(42)가 입력될 때 마다 순차적으로 촬영 모드가 변경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촬영 모드 전환 키(42)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지 않고 각각의 촬영 모드별로 개별적인 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 키(44)는 카메라부(50)에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부(80)에 저장하기 위한 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정상 운용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진입시키려는 경우와, 촬영을 시작하려는 경우, 및 촬영을 완료시키는 경우에 모두 촬영 키(44)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 키(46)는 저장부(80)에 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전송용 동영상을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기 위한 키로써, 사용자가 전송 키(46)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정지 영상이나 전송용 동영상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촬영 모드 전환 키(42), 촬영 키(44), 및 전송 키(46)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종 문자 키들 및 제어 키들와 연결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50)는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고화소 카메라부(50a)는 고화소의 카메라 모듈, 즉 500만 화소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며, 정지 영상이나 일반 동영상의 촬영 시 이용된다. 또한, 저화소 카메라부(50b)는 저화소의 카메라 모듈, 즉 100만 화소 이하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며, 프리뷰 영상 및 전송용 동영상의 촬영 시 이용된다.
이러한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는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지만, 영상을 촬영할 때는 동일한 피사체가 입력되도록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영상처리부(60)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7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60)는 고화소 카메라부(50a) 및 저화소 카메라부(50b)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영상처리부(60)를 이용하여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모두 처리하지만, 필요에 따라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에 각각 별도의 영상처리부(6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처리부(6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70)는 영상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70)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7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8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과, 고화소 카메라부(50a)를 통해 입력된 정지 영상 또는 일반 동영상을 저장하며, 저화소 카메 라부(50b)를 통해 입력된 전송용 동영상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90)는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110).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카메라부(50)는 영상 통화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촬영 모드로는 설정되지 않는다.
고화소 카메라부(50a)와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 촬영 키(44)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 촬영 키(44)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정상 운용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전환시킨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90)는 신속하게 저화소 카메라부(50b)를 동작시킨다(S130).
저화소 카메라부(50b)는 입력되는 영상을 영상처리부(60)로 전송하고, 영상처리부(60)는 이를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여 표시부(7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가 촬영 모드로 진입하면, 표시부(70)의 화면에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이 표시된다(S140).
이후, 사용자는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이용하여 다양한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S150, S160).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정지 영상 촬영 모드(S170),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S180), 및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S190)의 3가지 촬영 모드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입력할 때 마다, 전술된 촬영 모드들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며 휴대용 단말기(100)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촬영 모드들 중,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의 이용 방법을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동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통해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90)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촬영 명령의 입력을 기다린다(S181).
사용자가 촬영 키(44)를 입력함에 따라 촬영 명령이 제어부(90)로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신속하게 고화소 카메라부(50a)를 동작시킨다(S182). 그리고, 고화소 카메라부(50a)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영상처리부(60)에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한 후, 이를 저장부(80)에 저장시킨다(S183). 이때, 제어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70)에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에 입력된 영상이 계속해서 표시된다. 즉, 고화소 카메라부(50a)에 입력된 영상은 표시부(70)에 표시되지 않고, 영상처리부(60)를 거쳐 바로 저장부에 저장되지만, 사용자는 이와 같은 고화소 카메라부(50a)의 동작은 인지하지 못하며,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만을 보며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촬영 완료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184). 사용자가 동영 상의 촬영을 완료하기 위해 촬영 키(44)를 다시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90)는 저장부에 저장된 전송용 동영상 파일에 이름을 부여한 후, 촬영을 종료하고, 고화소 카메라부(50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85). 이때, 표시부(70)의 화면에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에 입력되는 영상이 계속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에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부(70)에 표시되고, 저장부(80)에 저장되는 동영상은 고화소 카메라부(50a)에 입력되는 영상이 저장되므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부하를 줄이며 고화질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동영상의 촬영이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을 기다리게 된다(S186). 제어부(90)는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표시부(70)에 계속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을 표시하며 대기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90)는 프리뷰 영상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던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고(도 2의 S200), 휴대용 단말기(100)는 정상 운용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된다.
다음으로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용 동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통해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S160), 제어부(90)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촬영 명령의 입력을 기다린다.
사용자가 촬영 키(44)를 입력함에 따라 촬영 명령이 제어부(90)로 입력되면(S191), 제어부(90)는 신속하게 저화소 카메라부(50b)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영상처리부(60)에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한 후, 이를 저장부(80)에 저장시킨다(S192). 따라서, 저화소 카메라부(50b)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은 표시부(70)에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영상처리부(60)를 거쳐 저장부(80)에 저장된다.
이어서 촬영 완료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193). 사용자가 동영상의 촬영을 완료하기 위해 촬영 키(44)를 다시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90)는 저장부(80)에 저장되는 전송용 동영상의 저장을 완료시키고, 저장된 전송용 동영상 파일에 이름을 부여한 후, 촬영을 종료한다(S194). 이때, 저화소 카메라부(50b)는 계속 동작하며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70)에 표시하게 된다.
계속해서,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95). 저장부(80)에 저장된 전송용 동영상 파일을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송 키(46)를 입력하게 되면, 전송 키(46)로부터 전송 명령이 제어부(90)로 전달된다. 이에 제어부(90)는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수신 번호를 묻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무선통신부(10)를 통해 해당 전송용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S196).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전송용 동영상의 촬영이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을 기다리게 된다(S197). 이 후의 과정은 전술된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종료 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즉, 제어부(90)는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표시부(70)에 계속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을 표시하고,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동작을 정지 시킨 후(S230), 휴대용 단말기(100)를 정상 운용 모드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지 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모드 전환 키(42)를 통해 정지 영상 촬영 모드를 설정하면(도 2의 S150), 제어부(90)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하면서 촬영 명령의 입력을 기다린다.
사용자가 촬영 키(44)를 입력함에 따라 촬영 명령이 제어부(90)로 입력되면(S171), 제어부(90)는 신속하게 고화소 카메라부(50a)를 동작시킨다(S172). 그리고, 고화소 카메라부(50a)로부터 입력되는 정지 영상을 영상처리부(60)에서 영상 데이터로 가공한 후, 이를 기본 이미지로 저장부에 저장시킨다(S173). 이러한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70)에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에 입력된 영상이 계속해서 표시된다. 즉, 고화소 카메라부(50a)로부터 입력된 정지 영상은 표시부(70)에 표시되지 않고, 영상처리부(60)를 거쳐 바로 저장부(80)에 저장되지만, 사용자는 이와 같은 고화소 카메라부(50a)의 동작은 인지하지 못하게 되며, 표시부(70)에 나타나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의 영상만을 보며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촬영 키(44)가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저화소 카메라부(50b)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부(80)에 저장한다(S174). 다시 말해,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80)에는 고화소 카메라부(50a)로부터 입력된 정지 영상인 기본 이미지와, 저화소 카메라부(50b)로부터 입력된 썸네일 이미지가 동시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을 완료한 후, 저장부(80)에 저장된 정지 영상의 목록을 살펴 볼 때, 별도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90)는 고화소 카메라부(50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75). 이때, 표시부(70)의 화면에는 저화소 카메라부(50b)에 입력되는 영상이 계속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70)를 통해 저화소 카메라부(50b)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보며 고화질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촬영 시 휴대용 단말기(1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76). 저장부(80)에 저장된 정지 영상 파일을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송 키(46)를 입력하게 되면, 전송 키(46)로부터 전송 명령이 제어부(90)로 전달된다. 이에 제어부(90)는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수신 번호를 묻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무선통신부(10)를 통해 해당 정지 영상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S177).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정지 영상의 촬영이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종료 명령을 기다리게 된다(S178). 이 후의 과정은 전술된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종료 시 및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 종료 시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정지 영상 촬영 모드, 및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는 사용자가 특정 키(예컨대, 종료 키)를 입력하는 경우, 즉시 정상 운용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카메라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였을 경우에만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정하였지만, 각각의 카메라가 개별적으로 촬영되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고화소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고화질의 동영상과 정지 영상을 촬영하고, 저화소 카메라부를 이용하며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며 전송용 동영상을 촬영하므로, 고화소 카메라부만을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고, 저장하는 종래에 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송용 동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여 무선 통신으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2)

  1.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저화소 카메라부와, 고화소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와 연결되고, 화면을 통해 프리뷰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영상처리부에 입력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지 영상 및 일반 동영상 촬영 시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전송용 동영상 촬영 시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3. 고화소 카메라부와 저화소 카메라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법으 로,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1 단계;
    상기 촬영 모드인 경우,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2 단계;
    정지 영상 촬영 모드,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촬영 모드가 선택되는 3 단계;
    상기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가 선택되고, 촬영 키의 입력을 기다리는 4 단계;
    촬영 키가 입력되면, 고화소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5 단계;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6 단계; 및
    촬영 완료 키가 입력되면,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동영상의 저장을 완료시키는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 내지 상기 7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프리뷰 영상은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촬영 모드인 경우, 정지 영상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P1 단계;
    상기 정지 영상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는 P2 단계; 및
    상기 P2 단계에서 상기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일반 동영상 촬영 모드로 판단하는 P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키가 입력되면,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를 동작시키는 S1 단계;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 및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정지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S2 단계; 및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를 정지시키는 S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고화질의 정지 영상을 기본 이미지로 저장시키고,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저화질의 정지 영상은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내지 상기 S3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프리뷰 영상은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고화질 이미지, 또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용 동영상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M1 단계; 및
    촬영 완료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송용 동영상의 저장을 완료시키는 M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2 단계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전송용 동영상을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상기 저화소 카메라부와 상기 고화소 카메라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20060051846A 2006-06-09 2006-06-09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79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846A KR100796340B1 (ko) 2006-06-09 2006-06-09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846A KR100796340B1 (ko) 2006-06-09 2006-06-09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776A true KR20070117776A (ko) 2007-12-13
KR100796340B1 KR100796340B1 (ko) 2008-01-21

Family

ID=3914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846A KR100796340B1 (ko) 2006-06-09 2006-06-09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48B1 (ko) * 2007-03-21 2009-01-2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절전형 화상통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절전형 화상통화 방법
KR101117271B1 (ko) * 2009-08-20 2012-03-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촬상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50089340A (ko) * 2014-01-27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영상 촬영방법
WO2017171412A3 (ko) * 2016-03-30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90104783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건화 작업자 안전 시스템
US11877072B2 (en) 2020-05-15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plurality of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17B1 (ko) 2013-06-19 2014-05-28 (주)에스디시스템 듀얼카메라가 구비된 차량용 사고기록장치
KR20220075028A (ko) 2020-11-26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크롭 기능을 갖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943A (ko) * 2003-12-13 2005-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고해상도 영상신호 저장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48B1 (ko) * 2007-03-21 2009-01-2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절전형 화상통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절전형 화상통화 방법
KR101117271B1 (ko) * 2009-08-20 2012-03-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촬상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
KR20150089340A (ko) * 2014-01-27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영상 촬영방법
WO2017171412A3 (ko) * 2016-03-30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90104783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건화 작업자 안전 시스템
US11877072B2 (en) 2020-05-15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plurality of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40B1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1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796340B1 (ko) 듀얼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EP1143694A2 (en)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accessory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KR100722308B1 (ko) 촬영 사진 입력된 주소정보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를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US9477688B2 (en) Method for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in a wireless terminal
KR10067821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KR10081026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JP4440079B2 (ja) 通信端末
KR100557184B1 (ko) 카메라와 두개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JP2001197460A (ja) 画像データの中継方法および通信管理センタ
JP2001197298A (ja) 画像データの送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1215314B1 (ko) 화면 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8353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방법
KR101015753B1 (ko) 문서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과 이를 위한문서 이미지 변환 방법
JP200214197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112998A (ko) 연속 촬영 영상의 선택 저장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89524B1 (ko) 휴대폰의 화면 보호 기능 구현 방법
KR20010063189A (ko) 카메라 폰에서의 촬영화상 전송방법
JP2005191697A (ja) 動画撮影装置、動画記録方法、および、動画記録プログラム
JP2006197217A (ja) テレビ電話装置及び画像データ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