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859B1 -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859B1
KR100469859B1 KR10-2003-0014926A KR20030014926A KR100469859B1 KR 100469859 B1 KR100469859 B1 KR 100469859B1 KR 20030014926 A KR20030014926 A KR 20030014926A KR 100469859 B1 KR100469859 B1 KR 10046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display unit
lighting
key
ke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081A (ko
Inventor
박정선
김종수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8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표시부 및 플래시가 폴더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시의 점등을 위해 설정된 조명키를 가진 키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제2표시부를 점등하는 제1조명과 상기 플래시를 점등하는 제2조명과 상기 제2표시부 및 플래시의 동시 점등하는 제3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조명이 소정의 시간동안 점등될 수 있도록 소정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키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조명을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하는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 플래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어두운 장소에서 원하는 대상물을 비춰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 방법{METHOD FOR LIGHTING A FLASH AND A DISPLAY UNIT IN PO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시 및 표시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플래시 및 상기 표시부를 점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통화기능 이외에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요구사항 중 하나가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이다.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촬영, 동영상 촬영 등을 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원하는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어두운 장소에서 동전, 열쇠 등 평소에 가지고 다니는 물건을 잃어버렸거나 문자 등을 확인할 때,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두운 장소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시 및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2 표시부 및 플래시가 폴더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시의 점등을 위해 설정된 조명키를 가진 키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제2표시부를 점등하는 제1조명과 상기 플래시를 점등하는 제2조명과 상기 제2표시부 및 플래시의 동시 점등하는 제3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조명이 소정의 시간동안 점등될 수 있도록 소정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키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조명을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하는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환경설정모드에서 카메라모드의 설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환경설정모드에서 조명모드의 설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조명모드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데이터 처리부(123)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각종 기능키들은 카메라모드키, 촬영모드키, 플래시모드키, 조명모드키 등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각각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설정되거나 선택되는 키로서, 네비게이션키, 숫자키, 문자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키들의 조합으로도 기능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플래시(151)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151)는 다단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150)는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150)는 내장형을 가정으로 하고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하여 사용하는 외장형 카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60)는 상기 카메라(1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1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70)는 상기 신호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영상처리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표시부(180)의 규격에 맞도록 전송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촬영키신호, 조명키신호 등을 입력받아 플래시(15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제1 표시부(180)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영상처리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2 표시부(190)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날짜, 시간, 신호세기, 배터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190)는 설정된 조명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기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구성도이다.
상기 도 1과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 본체, 상기 폴더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2의 (a)는 폴더가 닫힌 상태로서, 상기 폴더는 상기 제2 표시부(190)와 상기 플래시(15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카메라(1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b)는 상기 (a)에서 폴더가 열린 상태로서 상기 제1 표시부(180), 상기 키입력부(127), 상기 카메라(150)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c)는 상기 (b)에서 회전한 상태로서, 상기 제2 표시부(190), 상기 플래시(151), 상기 카메라(150)를 나타내고 있다.상기 카메라(150)는 연결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 또는 아래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2의 (d)는 상기 (c)의 측면을 표시한 상태로서, 상기 카메라(150)의 촬영방향이 A일 때 상기 플래시(151)의 조명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e)는 상기 (a)의 측면을 표시한 상태로서, 상기 플래시(151)의 조명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본 발명은 상기 도 2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가정하고 있지만, 폴더형 단말기 이외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환경설정모드에서 카메라모드의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상기 도 2와 상기 도 3과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환경설정모드에서 카메라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환경설정모드는 카메라모드와 조명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모드는 상기 카메라(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촬영모드와 촬영시 상기 플래시(151)의 점등을 설정하기 위한 플래시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드는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표시부(190) 및 상기 플래시(151)의 점등 방법과 점등 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이다.
사용자가 상기 도 2의 (b)와 같이 폴더를 열어 상기 키입력부(127)의 환경설정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1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설정키는 단축키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서를 이동하는 네비게이션키와 선택하는 확인키의 조합으로 상기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키이다.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환경설정모드 키신호가 아니면 초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환경설정모드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3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환경설정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표시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3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카메라모드와 조명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3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카메라모드 키신호가 아니면 323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카메라모드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7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카메라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3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b)와 같이 카메라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3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촬영모드 키신호이면 329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촬영모드 키신호가 아니면 311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플래시모드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플래시모드 키신호이면 313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모드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다는 의미는 상기 카메라모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일 예로 1분의 시간동안 상기 촬영모드 키신호 또는 상기 플래시모드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종료한다는 의미이다.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플래시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플래시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315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c)와 같이 상기 플래시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319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설정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17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플래시를 설정한다. 상기 플래시를 설정한다는 것은 상기 카메라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진입하여 촬영할 경우 플래시를 점등하도록 설정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3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해제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해제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21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다는 의미는 상기 플래시모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일 예로 1분의 시간 동안 상기 설정 키신호 또는 상기 해제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종료한다는 의미이다.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플래시 설정을 해제한다. 상기 플래시 설정을 해제한다는 것은 상기 카메라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진입하여 촬영할 경우 플래시 소등하도록 설정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b)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c)와 같이 표시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c)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촬영모드에서 상기 플래시(151)를 점등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 촬영모드를 설명하기 전에 하나의 가정을 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플래시모드에서 플래시를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도 4의 (b)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329단계를 진행한다.상기 32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표시부(180)에 미리보기(preview)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331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카메라(1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가 상기 미리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촬영할 영상을 미리보기 위한 것이다.
상기 33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촬영 키신호가 아니면 329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촬영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33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3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촬영시간 동안 상기 플래시(151)가 점등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시간이란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시간으로서, 일 예로 750ms 정도의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3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조명모드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조명모드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25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키신호가 아니면 종료하다는 의미는 상기 환경설정모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일 예로 1분의 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모드 키신호 또는 상기 조명모드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종료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3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조명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환경설정모드에서 조명모드의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상기 도 2와 상기 도 4와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조명모드에서 플래시의 점등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도 4의 (a)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명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1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조명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5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조명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점등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511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점등설정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05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점등설정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507단계를 대기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e)와 같이 점등설정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선택 키신호가 아니면 505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선택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09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점등설정을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한다.즉, 상기 도 4의 (e)에서 사용자가 "제2 표시부 점등", "플래시 점등", "제2 표시부 점등과 플래시 동시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설정을 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하나의 점등설정을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여기서 상기 "제2 표시부 점등"은 상기 제2 표시부(190)만 점등한다는 의미이고, 상기 "플래시 점등"은 상기 플래시(151)만 점등한다는 의미이고, 상기 "제2 표시부 점등과 플래시 동시 점등"은 상기 제2 표시부(190)와 상기 플래시(151)를 동시에 점등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점등해제 키신호가 아니면 515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점등해제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13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점등설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점등시간 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501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점등시간 설정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17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점등시간 설정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5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f)와 같이 점등시간 설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한번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527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한번설정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21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523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표시부(180)는 상기 도 4의 (g)와 같이 5초, 10초의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5초와 상기 10초는 시간표시의 일 예로서, 15초 등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5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선택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521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선택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25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상기 5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시간을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 4의 (f)에서 "한번설정"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표시부(180)에 상기 도 4의 (g)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 4의 (g)에서 "10초"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점등시간을 10초로 설정한 후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5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항상설정 키신호가 아니면 상기 517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항상설정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529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상기 52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부(190) 및 상기 플래시(150)가 항상 점등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한다. 항상 점등된 상기 제2 표시부(190) 및 상기 플래시(150)를 소등하기 위해, 사용자는 소등키를 입력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를 열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조명모드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상기 도 2와 상기 도 4와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설정된 조명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0)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조명모드는 폴더가 닫힌 상태일 경우에만 동작하는 모드이다.
6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27)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키신호가 조명 키신호가 아니면 초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키신호가 상기 조명 키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603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조명키는 사이드키(Up key, Down key) 등을 의미할 수 있다.
6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607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605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6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조명모드에서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129)에 저장된 점등설정과 점등시간 설정에 따라 상기 플래시(151)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점등설정은 "제2 표시부 점등", "플래시 점등", "제2 표시부와 플래시 동시 점등"이 있고, 상기 점등시간 설정은 "한번설정"과 "항상설정"이 있다. 상기 "한번설정"은 "5초"와 "10초"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조명모드에서 상기 점등설정을 "플래시 점등"으로 설정하고 점등시간 설정을 "한번설정(10초)"로 설정했으면, 상기 조명 키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플래시(151)를 10초 동안 한번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조명모드에서 상기 점등설정을 "제2 표시부과 플래시 동시 점등"으로 설정하고 점등시간 설정을 "항상설정"으로 설정했으면, 상기 조명 키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부(190)와 상기 플래시(151)를 항상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폴더를 열거나 소등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부(190)와 상기 플래시(151)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소등키는 상기 키입력부(127)에 있는 종료키, 취소키일 수 있고, 문자키 및 숫자키 등의 조합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조명모드에서 점등해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부(190) 및 상기 플래시(151)를 점등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6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려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려있지 않으면 611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려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609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상기 6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부 및 상기 플래시(151)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6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오류라고 판단하여 종료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의 두 가지 상태가 있다. 여기서 상기 오류는 상기 폴더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가 아닌 상태를 의미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 표시부(190) 및 상기 플래시(151)를 점등하지 않고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 플래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어두운 장소에서 원하는 대상물을 비춰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2 표시부 및 플래시가 폴더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시의 점등을 위해 설정된 조명키를 가진 키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제2표시부를 점등하는 제1조명과 상기 플래시를 점등하는 제2조명과 상기 제2표시부 및 플래시의 동시 점등하는 제3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조명이 소정의 시간동안 점등될 수 있도록 소정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키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조명을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하는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과정은
    상기 폴더가 오픈되면 상기 점등된 조명을 소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14926A 2003-03-10 2003-03-10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KR10046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926A KR100469859B1 (ko) 2003-03-10 2003-03-10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926A KR100469859B1 (ko) 2003-03-10 2003-03-10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081A KR20040080081A (ko) 2004-09-18
KR100469859B1 true KR100469859B1 (ko) 2005-02-02

Family

ID=3736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926A KR100469859B1 (ko) 2003-03-10 2003-03-10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305B1 (ko) * 2019-12-24 2021-03-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의 후면에 포함된 플래쉬라이트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조명의 형상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081A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018B1 (ko) 휴대폰
US20040082367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6237914A (ja) 携帯端末装置
JP4233631B2 (ja) 遠隔通信可能な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703474B2 (ja) 通信装置
KR20010093895A (ko)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KR100469859B1 (ko)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 및 표시부 점등방법
JP2004304517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H1098702A (ja) テレビ電話装置
JPH1184491A (ja) 照明を有する撮像装置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KR100513053B1 (ko) 영상데이터 프리뷰 자동 제어 방법
JP3877515B2 (ja) 携帯電話機
JP2005277466A (ja) 通信装置
JP3822209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画像送信方法
JP200214197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26297A (ko)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9858B1 (ko) 영상입력부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래시를점등시키는 방법
KR100526501B1 (ko) 플래시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의 소모를 줄이는장치 및 방법
KR100613567B1 (ko) 플래시 적정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4005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명 제어장치
KR10080083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JP200124503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600620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적목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11122591A (ja) 情報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