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193B1 -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193B1
KR100677193B1 KR1020000002403A KR20000002403A KR100677193B1 KR 100677193 B1 KR100677193 B1 KR 100677193B1 KR 1020000002403 A KR1020000002403 A KR 1020000002403A KR 20000002403 A KR20000002403 A KR 20000002403A KR 100677193 B1 KR100677193 B1 KR 10067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lighting
brightness information
extracted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637A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1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일정한 시간대가 되면 언제나 측면 조명이 켜지기 때문에 전력이 비효율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문제점과, 낮시간에 터널이나 극장 등 어두운 곳에서 통화시에 측면 조명이 켜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 영상으로 부터 밝기정보를 추출하여 엘씨디와 다이얼 버튼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을 자동으로 온/오프하거나, 입력영상으로 부터 밝기정보와 에지정보를 추출하여 주위의 어두운 정도와 피사체의 입력여부에 따라 측면 조명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도록 하여, 극장이나 터널같은 어두운 곳에서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효율적인 전력소비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N/OFF CONTROLLING SIDE LIGHTING OF THE IMAG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단말기의 외관도.
도 2는 일반적인 영상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영상 단말기에서, 밝기 정보를 이용한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영상 단말기에서, 밝기정보와 에지정보를 이용한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도 4에서, AE 제어시의 동작 과정도.
도 6는 본 발명 측면 조명의 오프(OFF) 및 온(ON)시의 영상 단말기 외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측면 조명 11 : 영상센서
12 : 반사형 엘씨디 13 : 다이얼 버튼
14 : 카메라신호 처리부 15 : 영상 압축/복원부
16 : RF부 17 : 시스템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 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반사형 엘씨디(LCD)와 다이얼 버튼에 부착된 측면 조명(side-light)을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하는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통신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멀지 않아 영상 PCS폰, IMT2000 등이 상용화될 전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단말기의 외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센서(11)와, 영상을 출력하는 반사형 엘씨디(12)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 버튼(13)과, 상기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의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조명이 어두울 때 빛을 내도록 하는 측면 조명(10)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영상 센서(11)로는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가 사용되고, 엘씨디(12)는 소비전력이 적은 반사형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상기 반사형 엘씨디(12)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빛을 반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명이 어두울 때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보통 측면 조명(10)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다이얼 버튼(13)도 버튼 아래에 측면 조명(10)을 부착하여 조명이 어두울 때에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PCS 등의 무선 단말기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시 일정한 시간대에는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 조명(10)을 켜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켜지 않는 방법을 쓰고 있다.
결국 사용자가 통화하려고 플립(또는 폴더)을 연다든지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현재 시간을 체크하여 측면 조명을 온시켜야 할 시간대이면 측면 조명을 온 시켜주어 사용자가 밤에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일정시간대가 되면 계절이나 날씨 및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나 측면 조명이 켜지기 때문에 전력이 비효율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문제점과, 낮시간에 터널이나 극장 등과 같은 어두운 곳에서 통화하려고 해도 측면 조명이 켜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단말기의 입력 영상으로 부터 밝기 정보를 추출하여 엘씨디와 다이얼 버튼의 측면 조명을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켜 주도록 한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단말기의 입력 영상으로 부터의 밝기 정보 뿐만아니라 에지정보를 추출하여 측면 조명을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켜 주도록 한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와 미리 설정해둔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임계치보다 크면 반사형 엘씨디 또는 다이얼 버튼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을 오프시키고,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측면 조명을 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영상 단말기에서, 밝기정보를 이용한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정보를 추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와 미리 설정해둔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임계치보다 크면 반사형 엘씨디 또는 다이얼 버튼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을 오프시키고,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측면 조명을 온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 영상 단말기에서, 밝기정보와 에지정보를 이용한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정보를 추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와 미리 설정된 제1임계치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상기 제1임계치보다 작으면 피사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AE(Auto Exposure) 제어를 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AE 제어 후, 입력 영상으로 부터 에지정보를 추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추출된 에지정보와 미리 설정된 제2임계치를 비교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에지정보가 상기 제2임계치보다 크면 측면 조명을 온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에지정보가 상기 제2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측면 조명을 오프시키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각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센서(1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AE(Auto Exposure), AWB(Auto White Balance), AF(Auto Focus)를 제어한 후 Y, Cr, Cb 신호 형태로 변환시켜 출력하거나 전송되는 신호를 엘씨디 출력에 맞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시켜 반사형 엘씨디(1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카메라신호 처리부(14)와, 상기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압축하여 출력하거나, 압축된 영상을 본래의 영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카메라신호 처리부(14)로 전달하는 영상 압축/복원부(15)와, 상기 영상 압축/복원부(15)에서 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전송형태의 신호로 변환시켜 상대방으로 전달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상기 영상 압축/복원부(15)로 전달하여주는 RF부(16)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AE데이터, 에지데이터를 받아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부착된 측면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7)와, 상기 영상 압축/복원부(15)와 RF부(16)에서 신호 처리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메모리(18)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밝기 정보를 이용하여 측면 조명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도 2와 도 3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하여 영상 단말기의 플립(또는 폴더)을 열거나 통화버튼을 누르는 행위를 하게 된다.
이때 반사형 엘씨디(12)나 다이얼 버튼(13)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측면 조명(10)을 온/오프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우선 영상 센서(11)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면 이를 카메라신호 처리부(14)에서 자동제어를 위해 AE, AWB, AF를 제어한 후 Y, Cr, Cb 신호 형태로 변환시켜 영상 압축/복원부(15)로 출력하고, 제어된 AE, AWB, AF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부(17)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17)는 AE데이터(입력영상의 밝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면 조명을 제어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상기 AE 데이터는 휘도를 더한(luminance sum) 형태로 전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값을 4~10 프레임 동안 평균하여 그 평균치를 밝기 데이터로 이용한다.
보통 30 frames/sec의 속도로 영상이 입력된다고 할 때, 이 과정에 0.1초 ~ 0.3초 가량이 소요된다.
따라서 밝기 데이터는 아래에서와 같이 추출한다.(도 3에서 S31단계)
Figure 112000001001219-pat00001
그러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17)는 상기에서 추출한 밝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해둔 임계치(Th)와 비교한다.(도 3에서 S32단계)
비교 결과, 상기 밝기 데이터가 임계치(Th) 보다 작으면 주위 상황이 충분히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여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10)을 온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33), 상기 밝기 데이터가 임계치(Th) 보다 크면 이는 주위 상황이 충분히 어둡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측면 조명(10)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으로 각각 출력한다.(S34)
따라서 사용자는 주위 상황이 충분히 어두운 경우 측면 조명(10)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다이얼 버튼(13)을 인식하고, 주위 상황이 충분히 어둡지 않은 경우는 주위의 빛을 통해 다이얼 버튼(13)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다이얼 버튼(13)을 눌러 다이얼링한다.
이때 영상 압축/복원부(15)는 카메라신호 처리부(15)에서 처리된 Y,Cr,Cb 신호를 압축하고, 이를 RF부(16)에서 상대방의 전송형태로 변환시켜 전달한다.
여기서,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10)을 오프시켰을 경우 도 6의 (a)에서와 같이 나타나고, 측면 조명(10)을 온시켰을 경우 도 6의 (b)에서와 같이 나타난다.
그리고 주위상황이 어둡더라도 피사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측면 조명(10)을 켜지 않도록 하여 전력 소비면에서 좀더 효율적으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의 밝기정보 뿐만아니라 에지정보를 이용하여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부착된 측면 조명(10)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 4와 도 5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플립(또는 폴더)을 연다든지 통화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제어부(17)는 카메라신호 처리부(14)로 부터 전달되는 AE데이터(입력영상의 밝기 데이터)를 받아들여 4~10 프레임동안의 평균치를 구하고, 그 평균치를 밝기 데이터로 이용한다.(S41)
이후에 시스템 제어부(17)는 상기에서 구한 밝기 데이터와 미리 설정해둔 제1임계치(Th1)를 비교한다.(S42)
상기 비교 결과 밝기 데이터가 제1임계치(Th1) 보다 크면, 이는 주위가 충분히 어둡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부착된 측면 조명(10)을 오프시키고(S43), 상기 밝기 데이터가 제1임계치(Th1) 보다 작으면 주위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고 피사체의 입력여부에 따라 측면 조명(10)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시스템 제어부(17)는 먼저 AE(Auto Exposure) 제어를 위해 카메라신호 처리부(14)로 AE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신호 처리부(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셔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미도시된 카메라로 제공하여 셔터 제어를 행한 후 영상센서(1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와 원하는 밝기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 같으면 종료하고, 같지않으면 자동이득제어를 실시하고 이 제어된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17)로 제공한다.
이에따라 어두운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 우리가 원하는 밝기 레벨로 제어된 영상이 얻어진다.
이렇게 우리가 원하는 밝기 레벨로 제어된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17)는 그 영상으로 부터 에지정보를 추출한다.(S45)
여기서, 에지 정보는 상기에서 원하는 밝기 레벨로 제어된 영상을 하이패스필터(HPF)하고, 그 필터링한 영상신호를 더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에지 데이터도 밝기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4~10 프레임 동안의 평균치를 구하면 더욱 안정된 값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0001001219-pat00002
이렇게하여 에지 데이터가 구해지면 시스템 제어부(17)는 미리 설정해둔 제2임계치(Th2)와 에지 데이터를 비교한다.(S46)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에지 데이터가 상기 제2임계치(Th2) 보다 크면 이는 어두운 상황에서 피사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반사형 엘씨디(12)와 다이얼 버튼(13)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10)을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S47)
그리고 상기 에지 데이터가 상기 제2임계치(Th2) 보다 크지 않으면, 이는 피사체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측면 조명(10)을 켜지 않도록 한다.
결국, 주위 상황이 어둡더라도 피사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측면 조명을 켜지 않음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한다.
이와같이 영상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 조명을 주위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시킴으로써 상품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의 플래시 작동 제어 등의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의 반사형 엘씨디 와 다이얼 버튼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측면 조명을 주위의 밝기정보 또는, 밝기정보와 에지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전력소비를 방지하고, 터널이나 극장 등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통화시에 측면 조명이 켜지지 않는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정보를 추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와 미리 설정해둔 임계치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임계치보다 크면 반사형 엘씨디 또는 다이얼 버튼에 각각 부착된 측면 조명을 오프시키고,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측면 조명을 온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2. 입력되는 영상의 밝기정보를 추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와 미리 설정된 제1임계치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밝기정보가 상기 제1임계치보다 작으면 피사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AE(Auto Exposure) 제어를 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AE 제어 후, 입력 영상으로 부터 에지정보를 추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추출된 에지정보와 미리 설정된 제2임계치를 비교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에지정보가 상기 제2임계치보다 크면 측면 조명을 온시키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에지정보가 상기 제2임계치보다 작으면 피사체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측면 조명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4.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AE(Auto Exposure), AWB(Auto White Balance), AF(Auto Focus) 제어 후 Y,Cr,Cb 신호 형태로 변환시켜 출력하거나 전송되는 신호를 엘씨디 출력에 맞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시켜 반사형 엘씨디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카메라신호 처리부와;
    상기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압축한 후 RF부를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압축영상을 본래의 영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카메라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영상 압축/복원부와;
    상기 카메라신호 처리부로부터의 AE데이터, 에지데이터를 받아 반사형 엘씨디와 다이얼 버튼에 부착된 측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장치.
KR1020000002403A 2000-01-19 2000-01-19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7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403A KR100677193B1 (ko) 2000-01-19 2000-01-19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403A KR100677193B1 (ko) 2000-01-19 2000-01-19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637A KR20010073637A (ko) 2001-08-01
KR100677193B1 true KR100677193B1 (ko) 2007-02-05

Family

ID=1963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403A KR100677193B1 (ko) 2000-01-19 2000-01-19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13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12288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백라이트 조절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30643B1 (ko) * 2004-07-09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637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597B1 (ko)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를 위한 주변 밝기판정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방법
CN103190144B (zh) 兴趣区提取
US200802317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lor correction in a portable device
CN113810600B (zh) 终端的图像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3810601B (zh) 终端的图像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3436576B (zh) 应用于二维码扫描的oled显示屏调光方法及装置
KR20060101635A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15604572B (zh) 图像的获取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88988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0677193B1 (ko) 영상 단말기의 측면 조명 온/오프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81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메라 제어 방법
KR100663455B1 (ko) 주변 조도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JP2010178111A (ja) 撮像装置および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325250B1 (ko) 카메라폰에서 반투과형 엘씨디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방법
US2006012592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lash and method thereof
JP200917124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15706869A (zh) 终端的图像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7880628A (zh) 拍摄方法及其相关设备
KR200300055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시디 배경조명 제어방법
KR2006008349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증명사진 촬영 방법
KR100981420B1 (ko) 카메라 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제어방법, 카메라플래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CN117119314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相关电子设备
JP2001346172A (ja) 画像伝送装置、携帯端末装置
KR10071351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CN113873211A (zh) 拍照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