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904A -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904A
KR20060058904A KR1020040097933A KR20040097933A KR20060058904A KR 20060058904 A KR20060058904 A KR 20060058904A KR 1020040097933 A KR1020040097933 A KR 1020040097933A KR 20040097933 A KR20040097933 A KR 20040097933A KR 20060058904 A KR20060058904 A KR 2006005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msm
camera module
servi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186B1 (ko
Inventor
허윤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1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GPS를 통한 위치추적기능과 카메라모듈을 통한 동영상촬영기능 및 가속도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본체가 자동차의 거치대에 거치되면 MSM의 제어에 의해 충격감지모드로 전환되는 과정과; 교통사고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면 가속도센서로부터 계측된 충격량을 수신한 MSM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계측된 충격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지속적인 계측을 수행토록 하고, 이상일 경우에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자동차 전방상황을 촬영한 후 그 영상정보와 차량위치정보를 함께 서비스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영상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비스센터에서는 해당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사고수준을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경상일 경우에는 차량운전자와의 통화를 시도하여 후속조치토록 하고, 중상이상일 경우에는 해당기관에 연락을 취하여 후속처리토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일정정도 이상의 감도만으로도 교통사고 전후의 상황을 포착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전후의 상황이 정확하게 포착되므로 사고정황 증거로 활용될 수 있고, 사고시 신속한 연락과 인명구조 조치를 취할 수 있다.
GPS, 가속도센서, 가메라모듈, 교통사고, 동영상, 서비스센터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METHOD FOR EMBODYING FUNCTION OF BLACK BOX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속도센서의 설치관계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단말기본체 110....카메라모듈
200....거치대 300,310,320....가속도센서
400....서비스센터 500....해당기관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가속도센서와 카메라모듈 및 지피에스를 적절히 활용하여 자동차 운행시 유발되는 불측의 교통사고시 그 경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발달과 아울러 교통의 복잡성이 날로 증대되면서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율은 해마다 증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교통사고 발생시 가장 신속히 요구되는 것은 경찰, 병원, 보험사 등에 신속한 사고접수, 책임소재에 대한 명확한 증인확보 혹은 증거수집, 인적이 드문 곳일 경우에는 사고현황을 즉시 알릴 수 있는 수단 등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 혹은 동승자들은 사고후 통신장비, 이를테면 시내전화랄지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 자신이 혹은 상대방 내지 탑승자들이 사고를 접수하여야 하는데 만약, 사고시 이들이 중상을 입거나 사망하였다면 제3자에게 발견될 때 까지 사고상태를 알릴 수 없게 된다.
한편, 휴대폰의 급속한 발전은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한 단말기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각종 컨텐츠의 이용은 물론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모듈과 대용량 메모리를 이용하여 캠코더 기능까지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폰과 차량을 연결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경주되었던 바, 예컨대 지피에스(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텔레메틱스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들이 접목된 휴대폰은 차동차 내부의 거치대에 장착되어 카폰기능, 자동항법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시 그 사고상황을 촬영하여 정황증거로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고발생시 그 상황을 관계기관에 신속히 자동연 결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기능에 대하여는 그 연구가 전무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에어백용 가속도센서와 항공기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지피에스를 적절히 조합하고 이를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모듈과 연계시켜 차량 충돌 전후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원인 규명, 사고 정황증거는 물론 신속한 사고접수 및 조치를 통한 인명구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GPS를 통한 위치추적기능과 카메라모듈을 통한 동영상촬영기능 및 가속도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본체가 자동차의 거치대에 거치되면 MSM의 제어에 의해 충격감지모드로 전환되는 과정과; 교통사고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면 가속도센서로부터 계측된 충격량을 수신한 MSM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계측된 충격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지속적인 계측을 수행토록 하고, 이상일 경우에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자동차 전방상황을 촬영한 후 그 영상정보와 차량위치정보를 함께 서비스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영상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비스센터에서는 해당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사고수준을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경상일 경우에는 차량운전자와의 통화를 시도하여 후속조치토록 하고, 중상이상일 경우에는 해당기관에 연락을 취하여 후속 처리토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중 가속도센서는 단말기본체의 X,Y,X방향으로 3개가 설치되어 해당방향으로부터 발생되는 벡터합에 의해 그 충격량을 계측하도록 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정보와 차량위치정보가 송신되는 과정에서, 상기 영상정보는 촬영과 동시에 MSM의 제어에 의해 특정파일포맷 형태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과정이 선행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속도센서의 설치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과 지피에스 및 가속도센서, 특히 반도체 가속도센서의 일종인 실리콘 가속도센서를 상호 접목시켜 이루어진다.
휴대폰은 폴더형으로 예시하였으며, 휴대폰을 구성하는 단말기본체(100)에는 카메라모듈(110)이 장착되고, 차량 등에 고정된 마이크(210)를 갖는 거치대(200)에 거치될 수 있는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모듈(110)은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모듈이고, 자동차의 전 면유리를 통해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각도로 설치된 상태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본체(100)에는 X방향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1가속도센서(300)와, Y방향 즉 상기 X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2가속도센서(310) 및 상기 X,Y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Z방향의 충격을 감지하는 제3가속도센서(320)가 부착된다.
상기 가속도센서(300,310,320)는 관성센서의 일종으로 연구, 군사용 등의 특수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또는 최근 자동차 및 가전제품의 성능향상이나 신기능 추가 요구에 따라 그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주로 극성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양쪽면에 전하가 발생하고 그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압전소자형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형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실리콘을 이용한 센서이며, 미세기계가공(Micro Machining) 기술과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의 접목을 통한 소형화, 집적화에 용이하도록 된 모듈형 가속도센서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속도센서(300,310,320)는 단말기본체(100)에 가해지는 3방향, 즉 X,Y,Z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벡터합을 통해 그 충격량을 계측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항상 휴대폰의 위치가 추적되고 있으며, 상기 휴대폰에서는 상기 GPS를 통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됨을 전제로 한다.
상기 GPS는 지구전체의 위치결정시스템을 일컫는 것으로, 미국 국방성에서 띄운 24개(96년 현재)의 인공위성에 의해 지구상의 어떤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GPS는 6개의 궤도에 각각 4대의 위성이 배치되어 2만km 고도로 하루에 두 바퀴씩 지구주위를 회전하면서 지구 어느 곳에서도 4개의 위성이 시야에 들어오도록 운용되어 4대의 위성으로부터 받은 위치신호(WGS84라는 기준좌표)와 정확한 시간정보(GPS시간)를 활용하면 지구상의 어느 지점에서도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 휴대폰의 단말기본체(100)에 내장된 MSM(MOBILE STATION MODEM)은 가속도센서(300,310,3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로부터 송신되는 검출값을 설정값과 대비하여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서비스센터(400)와 자동적으로 통신가능하게 하며, 상기 서비스센터(400)는 해당 교신시 그에 관한 정보를 해당기관(500), 이를테면 병원, 경찰서, 보험회사, 견인차량회사 등 지정기관에 자동적으로 피이드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MSM은 서비스센터(400)가 피이드백시키는 기능까지를 함께 내장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MSM에는 사고시 정보송신하기 위한 해당기관(500)이 지정되고 그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가속도센서(300,310,320)에 의해 검출되는 충격은 상술하였듯이 자동차의 충돌충격의 통계치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혹은 메이커에서 그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설정된 값을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속도센서(300,310,320)에 의해 검출되는 충격값에 따라 본 발명이 구현되는 과정은 휴대폰이 휴대되면서 사용될 때에는 구현되지 않도록 하고, 자동차의 거치대(200)에 거치되었을 때에만 동작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모드전환을 위한 기능키를 별도 구비하거나 기존 키들중 어느 하나에 해당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핸즈프리로 사용하기 위해 자동차의 거치대(200)에 거치시키게 되면 휴대폰은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충격감지모드로 전환된다(S100,S110).
이때, 상기 충격감지모드의 전환은 할당된 모드전환키를 사용하여 함이 바람직하나 단말기본체(100)의 사이드키에 모드전환기능을 할당하고 이 사이드키가 거치대(200)상에서 눌림되면서 자동적으로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자동차를 운행하게 된다.
만약, 운행중 교통사고 혹은 대물사고가 일어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은 휴대폰의 단말기본체(100)에 부착된 제1,2,3가속도센서(300,310,320)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S120).
충격발생후 상기 제1,2,3가속도센서(300,310,320)에 의해 검출된 값은 곧바로 MSM으로 송신되고, 상기 MSM에서는 수신된 충격량이 기설정하였던 값, 즉 기준치(값)와의 차이를 판단하게 된다(S130).
판단결과, 기준치 이하의 값이라면 상기 MSM은 상기 제1,2,3가속도센서 (300,310,320)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센싱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기준치 이상이라면 곧바로 카메라모듈(110)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자동차 전방 상황을 촬영하도록 한다(S130,S140).
정해진 시간동안 카메라모듈(110)에 의해 동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MSM은 이 촬영정보를 정해진 파일포맷으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파일과 GPS로부터 받은 현재 자동차의 위치(사실은 휴대폰의 위치)정보를 함게 서비스센터(400)로 송신하게 된다(S150,S160).
정보가 송신되면 서비스센터(400)에서는 해당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사고정도를 판단하게 된다(S170,S180).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만일 인사사고 등 중대한 사고라고 모니텅링하는 자가 판단하게 되면 상기 서비스센터(400)는 즉시에 해당기관(500)에 사고상황을 알려 수습을 위한 처리작업이 행해지게 되며, 중대한 사고가 아닌 가벼운 접촉사고로 판단되면 차량운전자와 통화를 시도하여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S180,S190,S200).
상기 과정을 거쳐 해당기관(500)에 사고로 접수되게 되면 응급을 요하는 인명사고의 경우를 비롯한 중대형 사고의 경우 병원관계자, 경찰공무원, 보험사직원 및 차량견인을 위한 관계자들이 거의 동시에 사고현황을 수신하고, 사고현장으로 급파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사고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귀중한 인명을 보할 수 있게 되며, 사고상황에 대한 중대한 증거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초소형 모듈의 사용으로 휴대폰에 장착이 용이하다.
둘째, 속도 측정이 불필요하고 단지 일정정도 이상의 감도만으로도 교통사고 전후의 상황을 포착할 수 있다.
세째, 교통사고 전후의 상황이 정확하게 포착되므로 사고정황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
네째, 사고시 신속한 연락과 인명구조 조치를 취할 수 있다.

Claims (4)

  1. GPS를 통한 위치추적기능과 카메라모듈을 통한 동영상촬영기능 및 가속도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본체가 자동차의 거치대에 거치되면 MSM의 제어에 의해 충격감지모드로 전환되는 과정과;
    교통사고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면 가속도센서로부터 계측된 충격량을 수신한 MSM이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계측된 충격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지속적인 계측을 수행토록 하고, 이상일 경우에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자동차 전방상황을 촬영한 후 그 영상정보와 차량위치정보를 함께 서비스센터로 송신하는 과정과;
    영상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비스센터에서는 해당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사고수준을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경상일 경우에는 차량운전자와의 통화를 시도하여 후속조치토록 하고, 중상이상일 경우에는 해당기관에 연락을 취하여 후속처리토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센서는 단말기본체의 X,Y,X방향으로 3개가 설치되어 해당방향으로부터 발생되는 벡터합에 의해 그 충격량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와 차량위치정보가 송신되는 과정에서,
    상기 영상정보는 촬영과 동시에 MSM의 제어에 의해 특정파일포맷 형태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과정이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당기관은 병원, 경찰서, 보험회사, 견인회사들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1020040097933A 2004-11-26 2004-11-26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10110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933A KR101107186B1 (ko) 2004-11-26 2004-11-26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933A KR101107186B1 (ko) 2004-11-26 2004-11-26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04A true KR20060058904A (ko) 2006-06-01
KR101107186B1 KR101107186B1 (ko) 2012-01-25

Family

ID=3715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933A KR101107186B1 (ko) 2004-11-26 2004-11-26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1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49B1 (ko) * 2004-12-22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805882B1 (ko) * 2007-09-18 2008-02-20 주식회사 제이콤 자동차용 영상기록 장치의 운용방법
KR20100045292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셀픽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WO2012077965A2 (ko) * 2010-12-07 2012-06-14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321415B1 (ko) * 2011-09-05 2013-10-22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KR20180136065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차량 충격의 알림을 수행하는 주차 충격 감지 장치 및 주차 충격 감지장치를 이용한 차량 충격 알림 방법
KR20200049644A (ko) 2018-10-29 2020-05-08 (주)서울소프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374Y1 (ko) * 1999-10-15 2000-05-01 김기일 영상 및 음성 저장/전송 장치를 갖는 휴대폰
WO2000048026A1 (fr) * 1999-02-09 2000-08-17 Kanagawa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FILTRE DE LONGUEUR D'ONDE POUR GUIDE D'ONDES OPTIQUES AVEC RESONATEUR EN ANNEAU ET FILTRE 1xN DE LONGUEUR D'ONDE POUR GUIDE D'ONDES OPTIQUES
KR100453810B1 (ko) * 2001-10-31 2004-10-20 주식회사 케이티 개방형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을 위한 저속 에이티엠피브이씨 점대점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66461A (ko) * 2003-01-18 2004-07-27 홍기성 노트북과 핸드폰혼합기(일명p.d.a.),위성항법장치(g.p.s.), 디지털카메라셋트, 녹화장치의기능을 혼합하여 차량에 적용한 차량보안경비 영업방법이다.
KR100420863B1 (ko) 2003-06-23 2004-03-02 유병섭 영상기록수단을 갖춘 핸드폰
KR200335509Y1 (ko) 2003-09-18 2003-12-06 백영민 '운전 중 녹화' 전용 버튼을 가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겸용 휴대전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49B1 (ko) * 2004-12-22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805882B1 (ko) * 2007-09-18 2008-02-20 주식회사 제이콤 자동차용 영상기록 장치의 운용방법
KR20100045292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셀픽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WO2012077965A2 (ko) * 2010-12-07 2012-06-14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WO2012077965A3 (ko) * 2010-12-07 2012-10-11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321415B1 (ko) * 2011-09-05 2013-10-22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KR20180136065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차량 충격의 알림을 수행하는 주차 충격 감지 장치 및 주차 충격 감지장치를 이용한 차량 충격 알림 방법
KR20200049644A (ko) 2018-10-29 2020-05-08 (주)서울소프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186B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1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using wireless devices
EP2518710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otifying of vehicle accidents
EP2481037B1 (en)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accident
CN109196566B (zh) 传输有关交通工具的事故或故障的数据的辅助系统及方法
US20100323657A1 (en) communication devices
CN101911140A (zh) 用于发射补充或修改数据的车辆紧急呼叫系统
CN102541046A (zh) 一种汽车安全信息服务系统
KR10077561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JP2018533515A (ja) オープンな道路車両の事故状況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
KR10110718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20020020574A (ko)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RU2324980C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над участниками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озникновения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й при дорожном движении
KR100925721B1 (ko) 차량 도난 경보 시스템
JP2002123891A (ja) 車載情報通信方法および車載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50121775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7135488A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ing us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0507108B1 (ko) 차량의 탑승자 구조방법
EP2863616A1 (en) Emergency call device for vehicles
TW593024B (en) Automatic reporting system for vehicle
Mulla et al. Research paper on airbag deployment and accident detection system for economic cars
KR20040031836A (ko) 자동차용 화상 안전 시스템
KR100896907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운전자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165296A (ja) 携帯通信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200054580A (ko) 사고 영상 전송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운전자 보조시스템
KR20030016479A (ko) 차량 정보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