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644A -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644A
KR20200049644A KR1020190135644A KR20190135644A KR20200049644A KR 20200049644 A KR20200049644 A KR 20200049644A KR 1020190135644 A KR1020190135644 A KR 1020190135644A KR 20190135644 A KR20190135644 A KR 20190135644A KR 20200049644 A KR20200049644 A KR 2020004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mera
accident
vehicle
smar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049B1 (ko
Inventor
노병진
Original Assignee
(주)서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서울소프트
Publication of KR2020004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폰들을 활용하여, 차량의 사고여부 및 사고의 형태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마트단말기들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로부터 모션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측정된 모션센싱값의 결과치들로부터 차량의 사고유무 및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사고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후속조치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을 통해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의 측정값을 연동하여 사고감지 및 사고유형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CAR ACCIDENT DETEC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폰들을 활용하여, 차량의 사고여부 및 사고의 형태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업계에 따라 끊임없이 발전하고, 자동차가 점차 각 가정에서 보급됨에 따라 자동차 안전 문제도 점차 사람들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자동차 충돌(Car crash)의 혹은 전복 등 중대한 안전사고에 대한 신속한 조치 여부에 따라 탑승자의 신체에 일정한 상해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시 신속한 조치에 때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차량에 특수 장비를 설치하여 교통사고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신고하는 시스템이 있었으나, 특수 장비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위급한 사고는 거의 발생하지 않음에도 매월 상당액의 통신비를 지불해야 하므로 널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8904호에서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는 기술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폰의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사고를 감지함에 있어, 사고의 유형 파악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휴대폰의 통화 사용시에는 차량사고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89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고감지 효율 및 사고 유형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대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마트단말기들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로부터 모션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측정된 모션센싱값의 결과치들로부터 차량의 사고유무 및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사고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후속조치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차량사고의 유무 및 유형은, 가속센서의 측정값 및 자이로센서의 변화값을 기준으로 판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고유형 중 차량의 전복 여부는, 복수의 자이로센서의 변화값 사이의 시간차를 기준으로 판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속조치 메시지의 전송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통신 유형별 연결 상태에 따라 전송방식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비젼을 구성하고, 차량 외부에 구비되어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차량용 어라운드뷰(AVM)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전방, 좌측후방, 우측전방 및 우측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1카메라, 제 2카메라, 제3카메라, 제4카메라, 제5카메라 및 제6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합성 또는 분할하여, 상기 멀티비젼 상에 설정된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멀티비젼의 설정영역은, 차량의 운행모드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전방, 좌측후방, 우측전방 및 우측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1카메라, 제2카메라, 제3카메라, 제4카메라, 제5카메라 및 제6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을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에 각각 매칭된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매칭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배치위치에 따라 매칭되되;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배치위치 설정은, (A)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개수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분할 이미지들을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무작위적으로 매칭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분할 이미지의 매칭 스마트단말기를 변경하는 단계와; (D)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분할 이미지의 매칭 스마트단말기를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원본 이미지 상의 상기 분할 이미지들의 분할 위치정보에 따라, 변경되어 매칭된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배치위치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매칭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개수가 상기 카메라들의 개수 미만인 경우, 각각의 카메라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가중치에 따라 스마트단말기를 할당하여 매칭하되; 상기 가중치는, 차량의 운행모드에 따라 각 카메라들에 다르게 부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은, 각각 가속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가속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사고 유무를 판별하되, 각 가속센서들의 가속도가 모두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충돌사고로 판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회전량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전복 유무를 판별하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 측정값이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차량의 전복을 판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은, 4개 이상의 스마트단말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을 산출함에 있어, 전체 평균 회전량과 기설정된 비교값 이상의 회전량을 갖는 스마트단말기는 제외하여 상기 평균 회전량을 보정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을 산출함에 있어, 스마트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회전량과, 매칭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의 회전량과 차이값이 기설정된 오차값 이상인 스마트단말기는 제외하여 상기 평균 회전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의 측정값을 연동하여 사고감지 및 사고유형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통신사의 무선통신망, 인접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연결 등을 다양한 통신방법에 의해 사고에 대한 후속조치를 수행하므로, 사고 후속조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미개통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AVM 시스템 구성의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미개통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멀티비젼을 확장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응 및 대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응 및 대응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응 및 대응 절차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들과 카메라들의 매칭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단말기들에 부여된 가중치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응 및 대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응 및 대응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응 및 대응 절차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마트단말기들(400, 500, 600, 700)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로부터 모션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스마트 단말들은 개통되어 사용되는 스마트단말기는 물론, 미개통된 단말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과 각 단말과의 연결은 블루투스등의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유닛(20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션센서는 크게 가속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속센서는 가속도의 변화값을 측정하여 차량의 충돌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센서는 단말기의 회전여부를 판별하여 차량의 전복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측정된 모션센싱값의 결과치들로부터 차량의 사고유무 및 유형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차량의 충돌여부는 상기 가속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산출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어유닛의 사고유무 판별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피면, 상기 제어유닛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가속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사고 유무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각 가속센서들의 가속도가 모두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충돌사고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급감속을 의미하는 음의 값으로 설정되고, 차량의 급제동시 발생되는 감속값 보다 더 작게 설정되어, 물리적인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를 식별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상기 차량의 전복여부는, 자이로센서의 회전량에 따라 판별되는 데,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에 구비된 자이로센서들의 회전량과 발생시각을 비교하여 차량의 전복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량전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특정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떨어지거나 회전하여 발생된 자이로센서의 변화값에 의해 전복사고가 오감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전복여부 판단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유닛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회전량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전복 유무를 판별하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 측정값이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차량에 전복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차량 전복 유무의 판단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을 산출함에 있어, 전체 평균 회전량과 기설정된 비교값 이상의 회전량을 갖는 스마트단말기는 제외하여 상기 평균 회전량을 보정하여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교값은 스마트단말기들의 설치위치 등에 따라 동일한 차량 회전 내에서도 발생될 수 있는 각 스마트단말기의 회전량 편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와 같은 경우, 거치대로부터 특정 스마트단말기가 떨어지거나 분리되어 구르는 경우, 이를 차량 전복으로 오인하여 판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와 같은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하여는,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어야 하고, 실효성 있는 검증을 위하여는 4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량 전복 유무의 판단을 더욱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을 산출함에 있어, 특정 스마트단말기는 제외하여 상기 평균 회전량을 산출하도, 제외되는 스마트단말기를 카메라로부터 취득되는 영상의 변화와 상기 휴대용 단말에 구비된 자이로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회전량을 대비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자이로센서들의 평균 회전량을 산출함에 있어, 스마트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센서의 회전량과, 매칭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의 회전량과 차이값이 기설정된 오차값 이상인 스마트단말기는 제외하여 상기 평균 회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차값은 일반적인 차량의 진동(과속방지턱 등)이나 흔들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거치대(스마트단말기)의 회전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차량 외부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취득되는 영상의 회전량과 스마트단말기의 회전량이 많이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차량과 일체로 부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해당 스마트단말기의 회전량을 차량 전복 유무 판단에서 제외시켜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유무 및 사고유형에 따라 후속조치 메시지를 각 스마트단말기들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속조치 메시지는 사고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통신연결상태를 파악하여, 후속조치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상시 스마트 단말기가 통신사의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이를 통해 상기 후속조치 메시지의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다른 단말기와 접속된 경우, 접속된 타 단말기를 통해 후속조치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Wi-Fi 등의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 이를 통해 후속조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비젼을 구성하고,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차량용 어라운드뷰(AVM)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6채널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한편, 제어유닛(200)은 촬영된 영상들을 가공하여 어라운드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어유닛(200)이 휴대단말들과 연동되는데, 구체적으로 제어유닛(200)에 통신모듈(300)이 장착되어 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또는 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공한 결과물들을 휴대단말들(400, 500, 600, 700)로 송신한다.
이 경우, 차량(10)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스마트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어라운드뷰 영상 및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전방, 좌측, 우측 및 후방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들은 멀티비젼을 구성하는데, 상기 휴대단말들은 미개통 스마트폰으로 구성되어, 상기 멀티비젼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어유닛과 블루투스, Wi-Fi 등 통신방법으로 연동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합성 또는 분할하여, 상기 멀티비젼 상에 설정된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분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각 휴대단말들에 매칭시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카메라의 개수보다 적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멀티비젼은 미개통 잔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여건에 따라 상기 스마트단말기를 카메라 개수만큼 구비하지 못한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하에서는 스마트단말기들과 카메라의 매칭과정을 상기 휴대용 단말들의 개수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상기 카메라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이들 사이의 매칭은 기본적으로 각 카메라의 차량 설치위치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배열위치가 일치하도록 매칭하여 사용자의 직관적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가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전방, 좌측후방, 우측전방 및 우측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1카메라, 제2카메라, 제3카메라, 제4카메라, 제5카메라 및 제6카메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스마트단말기가 6개 구비된다고 하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을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에 각각 매칭된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배치 위치를 알 수 없는데, 이를 파악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하나의 이미지를 스마트단말기 개수에 대응하여 분할한 후, 각 분할된 이미지를 임의로 스마트단말기에 매칭시켜 출력한다.
이후, 사용자는 각 분할이미지가 원래의 배열 형태로 배열되도록 터치 명령(드레그 등)을 입력하여 각 분할이미지의 배열 형태를 변경하고, 변경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은 각 스마트단말기의 배치 위치를 식별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어유닛은 (A)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개수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한다.
이후, (B) 상기 분할 이미지들을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무작위적으로 매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무작위적인 매칭으로 분할 이미지가 출력된 예가 도 5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C) 사용자는 전체 이미지가 원래의 이미지에 부합되도록 화면을 터치하여 분할이미지의 매칭 스마트단말기를 변경하고, (D)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분할 이미지의 매칭 스마트단말기를 변경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과 후방 좌우측을 변경하는 드레그 터치입력이 입력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스마트단말기에 출력된 분할 이미지가 원래이미지의 배열과 동일하게 보정되면, (E) 상기 원본 이미지상의 상기 분할 이미지들의 분할 위치정보와 변경된 매칭 청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실제 배치 위치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는 도시된 예와 같이 꼭 차량이미지일 필요는 없고, 중복되는 패턴 등의 이미지가 아닌 배티 형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쉬운 것이면 족하고, 도형 등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매칭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스마트단말기의 배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개수가 상기 카메라들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전체 카메라 취득영상을 각 스마트단말기들에 매칭시킬 수 없으므로, 각 카메라에 가중치를 두어, 가중치에 따라 우선적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가중치는 차량의 운행모드에 따라 각 카메라들에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스마트단말기는 3개이고, 카메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가 설치된 경우, 차량은 운행모드가 주행(D) 모드인 경우, 전방(제1카메라), 좌측전방(제3카메라), 우측전방(제5카메라)에 가중치를 높게 두어, 각 스마트단말기에 제1카메라, 제3카메라 및 제5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반면에 차량의 운행모드가 후진(R) 모드인 경우, 후방(제2카메라), 좌측후방(제4카메라), 우측후방(제6카메라)에 가중치를 높게 두어, 각 스마트단말기에 제2카메라, 제4카메라 및 제6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모드와 설치된 스마트단말기의 개수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영상을 조합하여 AVM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운행모드는 후진모드(R), 주행모드(D) 이외에 파킹모드(P) 또는 좌우측 차선변경모드 등에 따라 상기 가중치가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각 스마트단말기들은 사고 직전 / 직후의 출력 영상을 저장하여, 사고 발생의 원인, 후속조치에 대한 기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은 사고발생을 판단하는 경우, 각 스마트단말기로 저장명령을 전송하고, 각 스마트단말기들은 이에 따라, 설정된 전/후 시간 동안 출력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스마트폰들을 활용하여, 차량의 사고여부 및 사고의 형태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의 측정값을 연동하여 사고감지 및 사고유형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0 : 제어유닛 200 : 통신유닛
400 : 제1단말 500 : 제2단말
600 : 제3단말 700 : 제4단말

Claims (7)

  1.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마트단말기들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로부터 모션센싱값을 수신하는 제어유닛과;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와;
    상기 제어유닛은,
    측정된 모션센싱값의 결과치들로부터 차량의 사고유무 및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사고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후속조치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매칭시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은,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고 발생 전후의 출력 영상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의 전복 여부는,
    복수의 자이로센서의 변화값 사이의 시간차를 기준으로 판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조치 메시지의 전송은,
    각 스마트단말기들의 통신 유형별 연결 상태에 따라 전송방식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전방, 좌측후방, 우측전방 및 우측후방에 각각 장착된 제1카메라, 제2카메라, 제3카메라, 제4카메라, 제5카메라 및 제6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각 영상을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6카메라에 각각 매칭된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매칭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배치위치에 따라 매칭되되;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배치위치는,
    (A)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개수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분할 이미지들을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무작위적으로 매칭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분할 이미지의 매칭 스마트단말기를 변경하는 단계와;
    (D)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에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분할 이미지의 매칭 스마트단말기를 변경하는 단계와;
    (E) 상기 원본 이미지 상의 상기 분할 이미지들의 분할 위치정보에 따라, 변경되어 매칭된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배치위치가 판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매칭은,
    상기 스마트단말기들의 개수가 상기 카메라들의 개수 미만인 경우, 각각의 카메라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가중치에 따라 스마트단말기를 할당하여 매칭하되;
    상기 가중치는,
    차량의 운행모드에 따라 각 카메라들에 다르게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KR1020190135644A 2018-10-29 2019-10-2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KR102294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14 2018-10-29
KR20180129914 2018-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644A true KR20200049644A (ko) 2020-05-08
KR102294049B1 KR102294049B1 (ko) 2021-08-26

Family

ID=7067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644A KR102294049B1 (ko) 2018-10-29 2019-10-29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0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904A (ko)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20120066194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주변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4002B1 (ko) * 2004-12-01 2013-02-18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낙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0656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고패턴 기반 차량 사고 유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장치
KR20180024487A (ko) * 2016-08-30 2018-03-08 (주)카젠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904A (ko)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101234002B1 (ko) * 2004-12-01 2013-02-18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낙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6194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주변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0656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고패턴 기반 차량 사고 유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장치
KR20180024487A (ko) * 2016-08-30 2018-03-08 (주)카젠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49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2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questing emergency call for vehicle accident by using travell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JP6317315B2 (ja) 標識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CN110114245B (zh) 车辆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CN111565989B (zh) 用于车辆的自主驾驶的自主驾驶装置和方法
CN108447302A (zh) 信息处理装置以及程序
CN109421597A (zh) 异常检测装置、异常检测方法以及异常检测系统
US10987979B2 (en) Processing of automobile data on a smartphone
JP5804508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CN104658295A (zh) 自主车辆识别
US9349343B2 (en) Vehicular apparatus and external device screen image display system
KR20150102059A (ko) 차량 충돌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70316B1 (ko)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된 멀티비젼을 구비한 다채널 avm 시스템
CN105766008B (zh) 通信系统
KR101921055B1 (ko)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5034979A (zh) 车辆主动安全控制方法与系统
JP5874553B2 (ja) 運転特性診断システム、運転特性診断装置
CN109413377B (zh) 用于停车距离选择的方法和设备
CN107139918A (zh) 一种车辆碰撞提示方法及车辆
KR20210140816A (ko) 차량의 조명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차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48348A (zh) 一种爆胎预警方法及装置
KR102319383B1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49644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KR101887010B1 (ko) 차량 신호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