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292A -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292A
KR20100045292A KR1020080104410A KR20080104410A KR20100045292A KR 20100045292 A KR20100045292 A KR 20100045292A KR 1020080104410 A KR1020080104410 A KR 1020080104410A KR 20080104410 A KR20080104410 A KR 20080104410A KR 20100045292 A KR20100045292 A KR 2010004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le
black box
vehicl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픽
Priority to KR102008010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5292A/ko
Publication of KR2010004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47File system types specifically adapted to static storage, e.g. adapted to flash memory or 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6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life time, e.g. increasing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과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파일 시스템에 따른 동작으로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대해 집중적으로 사용되는 현상을 해결하여 데이터 저장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거치대 형상, 기존의 거치대 또는 차량 내, 외부에 장착 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데이터 저장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장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 메모리, 거치대

Description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A VEHICLE BLACKBOX APPARATUS IMPROVED IN MEMORY PERFORMANCE}
본 문서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의 성능 개선을 통해 수명을 연장시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는 사고 원인분석 등을 위해 전방상황을 지속적으로 촬영 저장하는 차량주행 저장장치(일명, DVR 시스템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라고 함)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 차량주행 저장장치에는 반드시 차량 전방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카메라는 촬영 각도를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해 차량 전면창의 상부에 고정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량주행 저장장치를 갖춘 자동차의 전면창에는 룸미러 어셈블리 이외에 카메라가 별도로 부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차량주행 저장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면창 중앙에는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이 별도로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카메라용 브래킷 장착부위가 종래 룸미러 어셈블리의 설치부위와 중첩되기 때문에, 차량 실내 가 협소해지며 운전자 시야를 가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룸미로 일체형으로 구현되더라도, 개별 카메라에 대한 시야각도 조절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카메라의 시야 각을 확보하려면 룸미러의 시야가 벗어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장착과정이 복잡하고 설치비등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용 블랙박스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저장 매체로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되는데 이는 물리적인 특성상 수명이 존재한다. 특히, 차량용의 경우 장기간 저장하고 계속적으로 반복 사용되는 경우 신뢰성을 확보하여 저장하기가 사실상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문서는 상술한 배경기술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의 저장 방식에 있어서 메타 데이터 영역에 대한 접근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메모리 저장 에 대한 신뢰성 및 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공을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문서는 거치대 형태로 구현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나 기존의 거치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공을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문서는 블랙박스 장착되는 구조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하는 영상, 음성 입력부가 있는 장치와 연결하여 연동이 되는 구조로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공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파일 크기 및 저장 위치가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과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에 대한 파일 정보가 관리되는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의 저장 위치가 기록된 정보 테이블 및 상기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확인하여 최후에 사용된 제1 데이터 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제2 데이터 파일의 저장 위치를 상기 정보 테이블을 통해 확인하여, 데이터가 상기 제2 데이터 파일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이 없는 경우 메타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는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에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에는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의 초기 파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에 대한 저장 위치를 기록한 상기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초기화 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 대신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호스트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읽기 명령이 인식되는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 대신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일 정보는, 해당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생성 날짜 및 데이터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시 기기 고유 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데이터에 삽입하는 영상 처리후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내장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압착기구가 구현되고 영상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와 일체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소정의 장치의 볼트와 너트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조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입력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원 출력이 가능한 전원 단자와 음성 출력 단자 및 영상 출력 단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일부 영역에만 반복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전체 영역이 고르게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수명을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별도의 다수개의 로그 파일로 관리함으로써 파일 시스템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파일 정보가 관리되는 메타 데이터 영역에 대한 삭제/쓰기 동작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메모리의 특정 영역 즉 메타 데이터 영역에 대한 잦은 사용으로 메모리 수명이 단축되는 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저장하도록 하여 전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원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데이터는 저장되도록 하여 데이터 손실의 염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중이라도 메타 데이터 영역에 대한 삭제/쓰기가 수행되지 않아 메타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을 줄임으로써 복구 가능한 부분에 대하여 복구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저장시 장치 고유 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영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영상 처리함으로써 데이터의 보안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거치대 형상으로 구현하거나 기존의 거치대에 연결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하여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전원 단자, 음성 출력 단자 또는 영상 출력 단자를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배선으로 외부 장치와 쉽게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메타 데이터 영역에 대한 접근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메모리 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파일 크기 및 저장 위치가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과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에 대한 파일 정보가 관리되는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리부(10)와,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의 저장 위치가 기록된 정보 테이블(11) 및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확인하여 최후에 사용된 데이터 파일,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1을 확인하고, 데이터 파일 #1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데이터 파일,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2의 저 장 위치를 상기 정보 테이블을 통해 확인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데이터 파일 #2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 따르면 메모리가 메모리 영역 전체에 대해서 고르게 사용되지 못하고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삭제/쓰기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메모리 전체 영역에 대해 고르게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일부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 빈도수가 높아지게 되고 이 메모리에 대한 보장 가능한 수명은 이 일부 특정 영역에 의해 정해지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1GB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10시간씩 매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일부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1GB 메모리 기준으로 MLC는 1만회의 수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1시간당 1GB로 가정하면 산술적으로는 약 3년의 수명이 보장된다. 즉, 일부 1GB 메모리 영역에 대해 사용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전체 크기가 예를 들어, 16GB인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더라도 최악의 경우 1GB 메모리에 대한 수명(약 3년)으로 단축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자동차 사용 환경이 열악한 점을 고려하면 수명은 이보다 더 짧아질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부(10)를 메모리의 전체 크기나 신뢰도 등에 기초하여 다수의 데이터 파일로 영역을 구분하여 이 다수의 데이터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 데이터 파일의 용량(크기), 갯수는 사용자가 설정한 값 또는 자체적으로 설정된 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순차적 파일 구조를 가지고 있는 파일 시스템 구조에서 이전 파일이 삭제되어 비어있는 경우라도, 그 파일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 지 아니하고, 최후 사용된 데이터 파일의 다음 데이터 파일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여 메모리 전체 영역이 고르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호스트 PC와 호환하는 형식(fat, ntfs, ext2)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보다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타 데이터 영역에는 삭제/쓰기 동작이 수배에서 수십배 집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메모리 수명이 사실상 훨씬 더 짧아질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관리하는 부분의 데이터가 손실되어 데이터를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를 메타 데이터 영역에서 관리하지 아니하고 이를 별도로 마련되는 로그 파일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로그 파일은 각 데이터 파일 별로 또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 파일 별로 생성하여 다수개의 로그 파일로 분산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로그 파일이 집중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 로그 파일에 저장되는 각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는, 해당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생성 날짜 및 데이터 크기를 포함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라 각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가 메타 데이터가 아닌 별도의 로그 파일에서 관리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호스트 PC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메타 데이터 영역에는 초기 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후 실제적인 쓰기가 발생할 때는 파일 시스템에 의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테이블(11)과 로그 파일에 저장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쓰기를 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각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가 메타 데이터가 아닌 별도의 로그 파일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 대신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각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도 메타 데이터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닌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된 것을 신뢰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1의 파일 생성 시간이 2004년이라 하더라도 데이터 파일 #1에 대한 로그 파일 내에 2008년으로 되어 있으면 실제 데이터 파일 #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생성된 년도는 2008년이 될 것이다. 또한,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1의 파일 크기가 1MB라 하더라도 데이터 파일 #1에 대한 로그 파일에 100KB로 되어 있으면 전체 중에 처음부터 100KB만 실제적으로 유효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는, 외부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읽기 명령이 인식되는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 대신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그 파일에 실제의 메타 데이터 정보 즉, 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블랙박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하여 USB 또는 PC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호스트로부터의 접속 특히 읽기 명령이 인 식되는 경우에 현재 메타 데이터 영역에 있는 정보를 대신하여 로그 파일에 있는 정보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생성된 일자, 크기 등이 정상적으로 호스트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호스트 PC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저장을 하고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집중적으로 삭제/쓰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각 데이터 파일에 대한 관리 정보를 별도의 로그 파일에 저장하고 관리하면 메타 데이터 영역에 대한의 삭제/쓰기 동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단계 S100에서 메모리부에 대해 상술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이 형성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 블랙박스용 형식에 따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100의 확인 결과 블랙박스용 형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00으로 진행하여 블랙박스용 메모리,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나 디지털 메모리 카드 등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단계 S200에서 제어부(12)는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이 없는 경우 메타 데이터를 통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S210 및 단계 S220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에 기초하여 생성될 데이터 파일 갯수 및 각 데이터 파일의 크기 및 저장 위치 등을 결정하고 메타 데이터에 다수개의 데이 터 파일 각각의 파일 이름, 파일 크기, 저장 위치 등에 대한 초기 파일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단계 S230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에 기 설정된 저장 위치에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240에서 제어부(12)는,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에 대한 저장 위치를 기록한 정보 테이블(11)을 생성한다. 이때 정보 테이블(11)은 SRAM과 같은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250에서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초기화시킴으로서 블랙박스용 형식에 따른 구조로 형성하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국 메타 데이터 영역에 쓰기를 하는 것이 초기의 단계 S210 및 단계 S220의 단 1회밖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쓰기가 집중되지 않으며 파일 시스템의 손상 위험이 완화될 수 있다. 그러면서도, PC의 파일 시스템 하에서 동작하는 구조로서 호환성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단계 S100의 확인 결과 블랙박스용 형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S300으로 진행하여 블랙박스용 메모리,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나 디지털 메모리 카드 등에 대해 바로 데이터의 읽기/삭제/쓰기 등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단계 S300에서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확인하여 단계 S310에서 최후에 사용된 데이터 파일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부(10)의 각 파일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전체 영역을 고르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단계 S320에서 정보 테이블을 확인하여 최후에 사용된 데이터 파일 다음에 사용될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저장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S330에서 해당 데이터 파일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일부 차량의 블랙박스 장치에서는 램(RAM)과 같은 임시 저장소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 후 이를 충격 센서 등의 입력을 받아 이를 특정한 조건에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정작 데이터를 저장하여야 하는 중요한 순간을 장착 조건, 센서의 민감도 등에 따라 저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사고 순간 전후에 대한 상황 판단을 위한 자료 제공이 주된 기능임을 고려할 때 사고 순간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지 못하면 장치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함께 실시됨으로써 메모리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더라도 메모리 수명은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영역에 저장 중 상시 쓰기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터리나 케패시터와 같은 내부 소자 등의 전원 관련 문제가 발생하여 장치가 작동하지 못하는 최악의 조건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까지의 데이터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영상으로 기록/보존하여 추후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할 때 이용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 그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보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호스트로부터의 접속 동작에 있어서 읽기만 가능, 읽기/쓰기 가능 등과 같은 다수의 모드로 구분 설정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읽기만 가능한 모드로 설정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삭제하거나 변경할 수 없어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는, 제어부(12)에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저장시에 기기의 고유 번호 또는 인식 가능한 ID 등과 같은 기기 고유 정보가 숫자, 문자, 그림의 형태로 이미지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저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기기의 시리얼 번호를 이미지화하여 영상에 입히는 영상처리 후에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수정해야할 데이터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상당 시간이 소요되어 위조, 변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만약 10분 정도 저장되는 이미지에 그림의 형태로 ID를 입혀서 저장하게 되면 추후 이를 변조하기 위해서는 30 fps * 60 * 10 = 18,000 장의 이미지를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와 외부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30)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메모리부(10)와 저장 테이블(11) 및 제어부(12)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30)에 전원을 입력하거나 외부 장치로 전원을 출력할 수 있는 전원 단자(A)와 음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 단자(B)와 영상 출력 단자(C) 등이 포함되는 단자대(45)가 구현된다.
따라서, 전원 단자(A)를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전원 입력 단자(X)와 연결함 으로써 별도의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공급받는 전원을 네비게이션 장치(31)로 제공하여 차량으로부터의 하나의 전원 출력선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30)와 네비게이션 장치(31) 모두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두 개 이상의 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분기된 구조로 형성된 하나의 전원 출력선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원 출력선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30)와 네비게이션 장치(31) 모두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30)에 구현되는 음성 출력 단자(B)와 영상 출력 단자(C) 각각을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구현되는 음성 입력 단자(Y)와 영상 입력 단자(Z)와 연결함으로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30)에 저장된 음성, 영상 데이터가 네이게이션 장치(31)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 형상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압착기구(44)가 구현되고 영상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40) 형상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 및 일체의 부품이 거치대(40)의 암(ARM) 내부에 일체화되고 카메라(41)의 촬영할 각도를 내부적 혹은 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42)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로서 설치하는 구조나 룸 미러를 사용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다른 외부 장치를 차량에 장착시 사용하는 거치대의 형태를 취하여 차량에 네비게이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기존의 거치대 대신에 본 실시예에 따라 블랙박스 기능 구현된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차량 내부 관리나 정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에 장착 가능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압착기구(44)가 구현되고 영상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40)의 방향 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부(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거치대(40)를 사용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치대(40)는 방향 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연결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을 풀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구현되는 연결부(50)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하면 블랙박스는 상하위치 조절구조를 가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가격을 낮출 수 있고, 네비게이션 장치 뒤에 장착이 되므로 운전시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50)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0)에 장착됨은 일례이고, 거치대(40)외에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소정의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 를 들어, 차량 내부의 룸 미러 어셈블리에도 이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연결구조를 포함할 것이므로 상술한 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를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룸 미러 어셈블리에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형상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또는 거치대에 장착 가능한 구조물이 추가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31)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원 단자(A)와 음성 출력 단자(B) 및 영상 출력 단자(C)를 포함한다. 전원은 전원 단자(A)를 통해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분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배선이 구비되어 배선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저장된 영상,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단자(B, C)가 구비되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기타의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메모리부는, 내장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착탈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장치에 구현되는 메모리 삽입구(47)와 같은 삽입구가 블랙박스에도 구현될 것임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와 외부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 형상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에 장착 가능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1)

  1. 파일 크기 및 저장 위치가 미리 정해진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과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에 대한 파일 정보가 관리되는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의 저장 위치가 기록된 정보 테이블; 및
    상기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확인하여 최후에 사용된 제1 데이터 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제2 데이터 파일의 저장 위치를 상기 정보 테이블을 통해 확인하여, 데이터가 상기 제2 데이터 파일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이 없는 경우 메타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는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에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에는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의 초기 파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데이터 파일 각각에 대한 저장 위치를 기록한 상기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로그 파일을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파일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 대신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호스트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파일에 대한 읽기 명령이 인식되는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 대신 해당 로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는, 해당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생성 날짜 및 데이터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시 기기 고유 정보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데 이터에 삽입하는 영상 처리후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내장형 또는 착탈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압착기구가 구현되고 영상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소정의 장치의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결구조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원 출력이 가능한 전원 단자와 음성 출력 단자 및 영상 출력 단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20080104410A 2008-10-23 2008-10-23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00045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10A KR20100045292A (ko) 2008-10-23 2008-10-23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10A KR20100045292A (ko) 2008-10-23 2008-10-23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92A true KR20100045292A (ko) 2010-05-03

Family

ID=4227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410A KR20100045292A (ko) 2008-10-23 2008-10-23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52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285A (ko) 2013-03-21 2014-10-02 주식회사 케이티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2808A (ko)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된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89740A (ko) * 2017-02-01 2018-08-09 (주)피타소프트 데이터 레코딩 장치에서의 적응형 데이터 레코딩 방법
KR20200033514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원 차량 사고 영상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33556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원 블록 체인 기반의 영상 공유 방법 및 영상 공유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600A (ja) * 1999-11-15 2001-05-25 Canon Inc 多国語表示切替装置およびその切替方法
KR20030095438A (ko) * 2002-06-10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쉬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
JP2004096701A (ja) * 2002-09-03 2004-03-25 Kenichi Shibazaki ビデオカメラ
KR20050079991A (ko) * 2005-06-29 2005-08-11 박상원 플래시 메모리의 효율적인 소거 횟수 평준화방법(k-평준화)
KR20050080706A (ko) * 2004-02-10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의 정보기록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73796A1 (en) * 2004-10-01 2006-04-06 Plastal Spa Apparatus for receiving and issuing data through a display on an interior of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20060058904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100613471B1 (ko) * 2005-11-25 2006-08-22 주식회사 나산테크 차량용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600A (ja) * 1999-11-15 2001-05-25 Canon Inc 多国語表示切替装置およびその切替方法
KR20030095438A (ko) * 2002-06-10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쉬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
JP2004096701A (ja) * 2002-09-03 2004-03-25 Kenichi Shibazaki ビデオカメラ
KR20050080706A (ko) * 2004-02-10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의 정보기록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73796A1 (en) * 2004-10-01 2006-04-06 Plastal Spa Apparatus for receiving and issuing data through a display on an interior of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KR20060058904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구현방법
KR20050079991A (ko) * 2005-06-29 2005-08-11 박상원 플래시 메모리의 효율적인 소거 횟수 평준화방법(k-평준화)
KR100613471B1 (ko) * 2005-11-25 2006-08-22 주식회사 나산테크 차량용 안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285A (ko) 2013-03-21 2014-10-02 주식회사 케이티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2808A (ko)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에 기록된 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89740A (ko) * 2017-02-01 2018-08-09 (주)피타소프트 데이터 레코딩 장치에서의 적응형 데이터 레코딩 방법
KR20200033514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원 차량 사고 영상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33556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원 블록 체인 기반의 영상 공유 방법 및 영상 공유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5292A (ko)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910007357A (ko) 화상 데이타 처리장치
US20100005227A1 (en) Memory controller,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ess device, and nonvolatile memory system
JPH05137041A (ja) デ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US20060282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JP2010283809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H1051722A (ja) ディスクを記録媒体とするカメラ
US8909684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plurality of write conditions and memory system
KR20160043655A (ko) 차량용 블랙박스
US20090102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ding user information to digital images
US7457512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JP3519526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223052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060132620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735887B2 (ja) 運行カード初期化方法
JP4781027B2 (ja) データ記録制御方法及びデータ記録システム
KR101903500B1 (ko) 고속 부팅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이미지 촬영방법
JPH1040020A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
WO2009122677A1 (ja) 画像記録装置
JP4222748B2 (ja) カメラ
JP2005352898A (ja) 情報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WO2006068190A1 (ja) 電子機器、フォーマット判別システム、フォーマット判別方法
US8255438B2 (en) Storage control device
JPH10285525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836984B2 (ja) キー・表示付きメモリ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