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655A - 차량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655A
KR20160043655A KR1020140138018A KR20140138018A KR20160043655A KR 20160043655 A KR20160043655 A KR 20160043655A KR 1020140138018 A KR1020140138018 A KR 1020140138018A KR 20140138018 A KR20140138018 A KR 20140138018A KR 20160043655 A KR20160043655 A KR 20160043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emory card
controller
unit
un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건용
Original Assignee
에스앤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655A/ko
Publication of KR2016004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압축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시간간격마다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버퍼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인덱스를 생성하여 녹화종료시 상기 메모리카드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버퍼메모리부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녹화시간 전체에 해당하는 단일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이루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카드의 수명을 늘리도록 하여, 메모리카드의 교체에 따른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메모리카드의 수명 증가를 위한 포맷 등의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이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카드의 수명을 늘리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나 불편을 해소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및 사고 발생시, 당시 상황의 정보를 영상으로 촬영 및 기록하여, 사고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나 외부 또는 내,외부에 설치된 카메라와 영상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블랙박스는 기존 교통 사고의 발생시, 사고 원인 규명이 주로 목격자의 진술에 의하거나, 경찰관의 경험적 판단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어, 사고의 과실 여부 판단이 객관적이면서 명확하지 않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블랙박스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9780호의 "블랙박스 영상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촬영 시간 및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통행한 도로 주변의 로드뷰를 생성하는 로드뷰 생성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로드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카메라가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마이콤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면, 마이콤은 영상 데이터와 GPS로부터 입력받은 위치, 시간 정보를 종합하여 촬영 시간, 촬영 장소 등의 정보가 포함된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마이콤이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블랙박스는 메모리로서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메모리카드는 덮어 쓰는 횟수가 많고, 다수의 저장단위들의 각 속성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기록 횟수가 많으며,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메모리카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메모리카드로 사용되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의 경우, 최근 영상을 밀어내기식 저장을 하면서, 지우기, 읽기, 쓰기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횟수가 TLC(Triple Level Cell) 타입의 경우 1,000~3,000회, MLC(Multi Level Cell) 타입의 경우 5,000~10,000회가 수명의 기준이 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시간에 따라 1~6개월의 짧은 수명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메모리카드의 사용주기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중요한 상황에서의 영상 저장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월 1~2회 정도 주기적으로 메모리카드를 포맷하여 레지스트리를 정리하고, 적어도 2~3개월에 한번 로우레벨 포맷을 하여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메모리카드의 수명을 늘리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의 수명을 늘리도록 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나 불편을 해소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압축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시간간격마다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버퍼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인덱스를 생성하여 녹화종료시 상기 메모리카드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버퍼메모리부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녹화시간 전체에 해당하는 단일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이루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시간간격이 30초 ~ 2분에 해당하는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시점부터 오프(off)되는 시점동안 상기 버퍼메모리부에 의한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시점에 상기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생성한 인덱스 전체를 상기 메모리카드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퍼메모리부는, 램(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에 의하면, 메모리카드의 수명을 늘리도록 하여, 메모리카드의 교체에 따른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메모리카드의 수명 증가를 위한 포맷 등의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이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는 카메라(11), 콘트롤러(12) 및 버퍼메모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는 예컨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는 본체(미도시)에 설치되거나, 이러한 본체(미도시)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측방을 촬영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도록 한다.
콘트롤러(12)는 블랙박스(10) 본래의 기능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본체(미도시)에 전자소자, PCB 등으로 구현되어 내장되며,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압축하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H.264를 비롯하여 다양한 압축방식에 의해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압축하도록 하는 압축 코넥(12a)을 내장하고 있다.
버퍼메모리부(13)는 콘트롤러(12)에 의해 제어되고, 일례로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콘트롤러(12)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되, 콘트롤러(12)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한 시간간격마다 메모리카드(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콘트롤러(12)가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생성하여 녹화종료시 메모리카드(20)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버퍼메모리부(13)에 의해 메모리카드(20)에 저장되는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녹화시간 전체에 해당하는 단일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버퍼메모리부(13)는 예컨대 H.264 방식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 내지 인덱스 보호를 위해 이러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후, 정해진 시간, 예컨대 1분 단위로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카드(2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콘트롤러(12)는 일례로 인덱스를 버퍼메모리부(13)를 통해서 메모리카드(20)에 기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12)는 단위블록 영상데이터의 분할을 위한 시간기준인 상기한 시간간격이 30초 ~ 2분, 일례로 1분에 해당하는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도록 버퍼메모리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2)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시점부터 오프(off)되는 시점 동안 버퍼메모리부(13)에 의한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메모리카드(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시점에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생성한 인덱스 전체를 메모리카드(20)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12)는 차량이 시동 중인 상태에서 공급하는 전원신호를 전달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시동 온(on)/오프(off)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나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블랙박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수 또는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구성, 예컨대 사용자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콘트롤러(120)가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각종 스위치나 버튼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 콘트롤러(12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카드(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인덱스를 참조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차량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GP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시동 온(on)과 오프(off) 동안 카메라(11)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카드(20)에 저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의 충격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콘트롤러(12)가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카드(20)에 정해진 시간동안 저장되도록 충격녹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메모리카드(20)는 블랙박스(10)의 본체 내에 마련되는 카드접속부(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며, TLC(Triple Level Cell) 타입 또는 MLC(Multi Level Cell) 타입의 SD 카드(Secure Digital Car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이크로 SD 카드는 물론, (마이크로) SDHC 카드, (마이크로) SDXC 카드를 비롯하여 착탈식 메모리로 사용되는 모든 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에 따르면, 녹화 시간 전체가 하나의 파일로 메모리카드(20)에 구성되며, 인덱스를 각각 단위블록 영상데이터 단위로 가지고 있지만, 녹화 시간 전체에 대하여 1회만으로 메모리카드(20)에 전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20)는 저장을 위해 압축된 파일을 사용하되, 인덱스가 시스템적으로 분리되어 사용함으로써, 정전이나 전원 차단과 녹화 종료시에 생성되는 정전용 인덱스와 함께 메모리카드(20)에 한번만 저장된다. 즉 하루에 차량의 시동을 온(on)/오프(off) 하는지 여부에 따라 인덱스의 저장 횟수가 결정되는데, 이를 MLC 타입의 SD 카드를 예로 들어 나타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MLC 타입의
SD 카드 수명
최소 5,000회의 경우 최대 10,000회의 경우
하루 평균 2회 전원 off시 5,000회/2회/30일 = 약 83개월
(약 6년 11개월)
10,000회/2회/30일 = 약 166개월
(약 13년 10개월)
하루 평균 5회 전원 off시 5,000회/5회/30일 = 약 33개월
(약 2년 7개월)
10,000회/5회/30일 = 약 66개월
(약 5년 5개월)
하루 평균 10회 전원 off시 5,000회/10회/30일 = 약 16개월
(약 1년 4개월)
10,000회/10회/30일 = 약 33개월
(약 2년 9개월)
하루 평균 15회 전원 off시 5,000회/15회/30일 = 약 11개월 10,000회/15회/30일 = 약 22개월
(약 1년 10개월)
표 1에서와 같이, MLC 타입의 SD 카드의 경우 그 수명이 기존의 1~6개월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카드의 수명을 늘리도록 하여, 메모리카드의 교체에 따른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메모리카드의 수명 증가를 위한 포맷 등의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이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 카메라 12 : 콘트롤러
12a : 압축 코덱 13 : 버퍼메모리부
14 : 카드접속부 20 : 메모리카드

Claims (4)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압축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시간간격마다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버퍼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인덱스를 생성하여 녹화종료시 상기 메모리카드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버퍼메모리부에 의해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녹화시간 전체에 해당하는 단일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이루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시간간격이 30초 ~ 2분에 해당하는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로 분할하도록 상기 버퍼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시점부터 오프(off)되는 시점동안 상기 버퍼메모리부에 의한 다수의 단위블록 영상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시점에 상기 단위블록 영상데이터마다 생성한 인덱스 전체를 상기 메모리카드에 한번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퍼메모리부는,
    램(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140138018A 2014-10-14 2014-10-14 차량용 블랙박스 KR20160043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018A KR20160043655A (ko) 2014-10-14 2014-10-14 차량용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018A KR20160043655A (ko) 2014-10-14 2014-10-14 차량용 블랙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655A true KR20160043655A (ko) 2016-04-22

Family

ID=5591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018A KR20160043655A (ko) 2014-10-14 2014-10-14 차량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6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0259A1 (en) 2019-12-17 2021-06-23 SOLiD Inc.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for automatic setting wavelength thereof
KR20210077632A (ko)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쏠리드 광 트랜시버 및 이의 파장 자동 설정 방법
KR20220071925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쏠리드 광 통신 장치 및 이의 파장 설정 방법
KR20220117991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쏠리드 광통신 장치의 자동 파장 설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0259A1 (en) 2019-12-17 2021-06-23 SOLiD Inc.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for automatic setting wavelength thereof
KR20210077632A (ko)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쏠리드 광 트랜시버 및 이의 파장 자동 설정 방법
KR20220071925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쏠리드 광 통신 장치 및 이의 파장 설정 방법
KR20220117991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쏠리드 광통신 장치의 자동 파장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3655A (ko) 차량용 블랙박스
DK200200176A (da) Billed- og stemmeoptager til køretøj
EP1359554A3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with
CN204614054U (zh) 一种行车记录仪
KR201501079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저장 방법
JP2020098514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KR20090096661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CN107195016A (zh) 基于震动传感器的停车监控系统
TW201241792A (en) Navigation device with a capability of driving recording
CN210690977U (zh) 警用执法记录眼镜以及实时在线取证系统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EP4152281A1 (en) Vehicle recording device, 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203504685U (zh) 高清审讯系统
KR20100045292A (ko)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150851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US20200053263A1 (en) Drive recorder
KR20140069855A (ko)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6270389A (ja) 画像監視装置
KR20130098005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1902276B1 (ko)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15930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200424807Y1 (ko) 차량용 카메라
JP2006039934A (ja) 警備用車両
CN205722014U (zh) 一种北斗部标一体机的远程防伪鉴定终端
US20240005442A1 (en) Image Frame Storage Method, Photograp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