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276B1 -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276B1
KR101902276B1 KR1020170048399A KR20170048399A KR101902276B1 KR 101902276 B1 KR101902276 B1 KR 101902276B1 KR 1020170048399 A KR1020170048399 A KR 1020170048399A KR 20170048399 A KR20170048399 A KR 20170048399A KR 101902276 B1 KR101902276 B1 KR 10190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ortable
mode
unit
commun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익
Original Assignee
에이치비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비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비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범 영상 촬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는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방범 목적으로 전방 상황을 촬영하여 녹화하고 주변의 소리를 녹취함으로써 불측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설정한 예약 시간에 예약된 장소에 있을 경우에 자동으로 영상과 오디오를 녹화할 수 있으며, 그 촬영 모드 중에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경로정보도 녹화함으로써 현장 상황을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Portabl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by Using Camera}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한 상태에서 방범 목적으로 전방 상황을 촬영하여 녹화할 수 있는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범 영상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든 방범용 CCTV 시스템은 고정된 상태로 구현되었다. 대표적으로, 골목에 CCTV를 설치하여 골목의 상황을 24시간 녹화하거나, 가정의 경우에는 주택의 주변이나 출입문에 카메라를 설치되어 출입문을 출입하는 사람을 감시하거나 주택 주변의 담장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녹화하였다. 빌딩이나 건물의 실내에도 CCTV를 설치할 수 있다. 메인 홀(Hall)이나 복도, 각종 중요 시설물의 출입문에 설치된 CCTV는 감시범위(촬영 범위) 내의 상황을 24시간 감시한다.
이처럼, CCTV 시스템은 특정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된 것임에 따라 24 시간 녹화할 필요가 있었고, 당연히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그 이유 중 하나는 CCTV 녹화에 DVR 또는 NVR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DVR 또는 NVR 시스템은 카메라가 24 시간 녹화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 모니터와 함께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간혹, 주정차 단속과 같은 다른 목적으로 CCTV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동식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주정차 단속 차량은 불법으로 주차 또는 정차된 차량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식으로 단속을 하는데, 카메라를 차량의 상측에 설치하고 차량 내에 DVR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CCTV 시스템은 차량에 고정된 상태이었고, 다만 차량이 이동하는 형식이다.
방범과 관련하여, 대로나 골목에는 많은 CCTV가 설치되고 있지만, 여전히 CCTV 사각이 존재하고 CCTV 자체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도 많이 있다. 이러한 지역을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불측의 사고나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CCTV 처럼 그 상황을 촬영하여 보존할 방법이 없다. 당연히 방범이 취약해진다.
[관련 기술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이 휴대한 상태에서 방범 목적으로 전방 상황을 촬영하여 녹화할 수 있는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범 영상 촬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은, (1) 사용자의 옷에 결합하는 클립 또는 목걸이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카메라와, (2) 상기 휴대형 카메라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형 카메라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데이터생성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배터리로 내부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전원부와, 촬영모드 중에 상기 카메라부와 오디오데이터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 형식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촬영제어부와, 상기 촬영제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대기모드에서 상기 촬영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드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와,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형 카메라가 제공하는 영상 및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영상 파일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기설정된 장소에 있으면 상기 모드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이벤트처리부와,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형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긴급한 사용자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개시명령을 입력받은 모드제어부는 동작모드를 상기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장소에서 전방의 상황을 촬영하고 녹음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이벤트처리부에게 촬영모드에 따른 동작을 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벤트처리부는, 상기 촬영 모드 중에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영상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 상기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상기 영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방범 영상 촬영방법은, 사용자의 옷에 결합하는 클립 또는 목걸이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카메라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형 카메라가 무선 채널로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생성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벤트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기설정된 장소에 있으면 상기 휴대형 카메라로 하여금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모드제어부가 동작모드를 상기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촬영제어부가 상기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카메라부로 하여금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하고, 오디오데이터생성부로 하여금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및 상기 촬영제어부가 상기 촬영모드 중에 생성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는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방범 목적으로 전방 상황을 촬영하여 녹화하고 주변의 소리를 녹취함으로써 불측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설정한 예약 시간에 예약된 장소에 있을 경우에 자동으로 영상과 오디오를 녹화할 수 있으며, 그 촬영 모드 중에 사용자가 이동한 이동경로정보도 녹화함으로써 현장 상황을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자 조작부(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즉시 현장 상황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휴대형 카메라가 비록 대기모드에 있더라도 버튼 조작만으로 동작을 개시하여 현장 상황을 즉시 기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휴대형 카메라의 착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휴대형 카메라와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100)은 휴대형 카메라(110)와 휴대 단말기(1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인이 일상적으로 휴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고정식 CCTV가 없는 지역에서도 촬영할 수 있고, CCTV가 있는 지역이라도 현장 상황을 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이동 경로 정보와 함께 통합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휴대형 카메라(110)는 휴대 단말기(130)와 연결되며, 촬영한 영상을 휴대 단말기(130)로 실시간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30)는 인터넷(10)을 통해 영상서버(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형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영상서버(30)로 전송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30)는 인터넷(10)을 통해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5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영상서버 및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우선, 영상서버(30)는 본 발명의 휴대형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 파일(이미지 파일 포함), 오디오 파일 및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이다. 영상서버(30)는 본 발명에 전속한 전용 서버일 수도 있지만, 저장매체를 대신하기 위해 범용으로 사용되는 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영상서버(30)에 저장되는 동영상 파일 또는 디지털 이미지 파일은 종래에 알려진 동영상 파일 포맷(MP4, AVI 등)이나, 이미지 파일(JPG 등)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50)는 소위 '앱 스토어(App Store)'라고 알려진 인터넷 페이지를 제공하면서 소프트웨어를 분배하는 서버로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130)에 설치될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51)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130)는 인터넷(10)을 통해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5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휴대형 카메라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형 카메라(110)는 개인이 상시 휴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 카메라로서, 손으로 휴대하는 방법보다는 사용자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클립(Clip), 목걸이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상의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형 카메라(110)는 휴대 단말기(130)와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을 휴대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형 카메라(110)는 카메라부(301),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 배터리전원부(305),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 사용자 조작부(309), 메모리(311) 및 카메라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301)는 카메라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311)에 저장한다.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는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메모리(311)에 저장한다. 다만,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필수 구성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130)에 내장된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전원부(305)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동작 전력을 공급한다. 휴대형 카메라(11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30)와 분리된 무선 기기로 설계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배터리전원부(305)는 전원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전원부(305)는 어댑터(Adaptor)와 같은 외부 전원장치(AC-DC Converter)로부터 공급되는 직류로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도 있고, 배터리(미도시)를 교체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는 휴대 단말기(130)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와 연결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휴대형 카메라(110)가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로는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309)는 카메라부(301)의 일 측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동작 개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버튼이나 키보드(Keyboard) 등이 해당한다. 또한, 예컨대 적외선 통신이나 기타 종래에 알려진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리모컨 및 그 리모컨 신호 수신 수단도 본 발명의 사용자 조작부(309)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 개시명령이 있으면, 휴대형 카메라(110)는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되어 촬영을 개시한다. 대기모드와 촬영모드를 포함하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동작모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메모리(311)에는 카메라부(301)가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며,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가 생성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도 저장된다.
카메라제어부(330)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작을 위하여 모드제어부(331) 및 촬영제어부(333)를 포함한다.
모드제어부(331)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휴대형 카메라(110)의 동작모드는 영상 촬영을 하지 않고 배터리(미도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 상태로 대기하는 대기모드와, 영상을 촬영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모드로 구분된다. 모드제어부(331)는 사용자 조작부(309)의 조작이나 휴대 단말기(130)의 요청에 따라 대기모드와 촬영모드 사이의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대기모드 상태에서, 모드제어부(331)는 사용자 조작부(309)를 통해 동작개시명령을 입력받으면 동작모드를 촬영모드로 전환한다. 동작개시명령에 따라 촬영모드로 전환한 경우에, 모드제어부(331)는 휴대 단말기(130)에게 동작개시명령을 전달하여 촬영모드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30)의 이벤트처리부(371)와 데이터관리부(373)가 백그라운드에서 다시 활성화되어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대기모드 상태에서, 모드제어부(331)는 휴대 단말기(130)의 이벤트처리부(371)가 제공하는 예약 이벤트에 따라 동작모드를 촬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촬영제어부(333)는 촬영모드 중에 카메라부(301)를 제어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 각종 영상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생성되는 영상의 포맷 등을 제어한다. 또한, 촬영제어부(333)는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를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제어부(330)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130)는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단말기로서, 휴대형 카메라(110)에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소위 '스마트 폰'으로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130)로 바람직하지만, 네트워킹 기능을 구비한 개인 디지털 기기(PDA),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도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3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3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방범 영상 촬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표시부(351), 입력부(353), 저장매체(355), 위치정보생성부(357),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1) 및 단말기제어부(370)를 포함한다.
표시부(351)는 엘시디(LCD), 오엘이디(OLED) 등과 같이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고, 입력부(353)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표시부(351)와 입력부(353)가 하나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매체(355)는 휴대형 카메라(110)가 생성하여 제공하는 동영상/이미지 파일이 최종 저장된다. 저장매체(355)로는 어떠한 형태도 무방하지만, 카드 슬롯(355a)에 끼워져 장착되는 외장 메모리, 예를 들어 SD(Secure Digita) 카드 등이 바람직하다.
위치정보생성부(357)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기(미도시)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시간단위로 생성하여 단말기제어부(370)에 제공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와 연결될 수 있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1)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3세대 또는 4세대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인터넷(10)을 통해 영상서버(30) 또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 예컨대 영상서버(30) 또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50) 등과 휴대 단말기(130)의 단말기제어부(370) 사이의 정보 전달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1)를 경유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것처럼 설명되더라도, 이러한 표현은 단지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한 것이어서 실질적으로는 반드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1)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말기제어부(370)는 휴대 단말기(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개인 방범 영상 촬영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별히 이벤트처리부(371)와 데이터관리부(373)를 포함한다.
단말기제어부(370)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30)의 주된 또는 기본 기능(예컨대, 전화, 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처럼 단말기제어부(370)가 휴대 단말기(130)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경우, 단말기제어부(370)는 휴대 단말기(130)가 기본적으로 보유하는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과, 그 칩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기능적으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벤트처리부(371)와 데이터관리부(373)는 그 운영체제 프로그램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단말기에 본 발명의 이벤트처리부(371)와 데이터관리부(373)가 설치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30)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50)가 구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51)에 기록되어 흔히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30)가 인터넷(150)을 통해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30)에 접속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371)와 데이터관리부(373)는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벤트처리부(371)와 데이터관리부(373)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벤트처리부(371)는 대기 모드 중에 '예약 이벤트' 조건을 판단하여, 조건이 완성되면 예약 이벤트를 생성하여 휴대형 카메라(110)의 모드제어부(331)로 하여금 동작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가 휴대형 카메라(110)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이벤트처리부(371)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로 하여금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에 연결하여 무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예약 이벤트는 '예약 이벤트' 조건으로 설정된 시간에 '예약 이벤트' 조건으로 설정된 장소에 있으면 휴대형 카메라(110)가 촬영을 개시하도록 요청하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퇴근길 중에서 늦은 시간에 주로 보행하게 되는 지역과 그 시간을 '예약 이벤트'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장소는 일정한 지역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371)는 위치정보생성부(357)가 생성한 휴대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정보와 현재 시간정보를 기초로 예약 이벤트 조건이 완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371)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모드제어부(331)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을 전달받으면, 촬영모드에 따른 동작을 개시하면서 사용자에 의한 동작개시명령에 따른 촬영모드를 처리한다.
예약 이벤트에 의하건 사용자의 동작개시명령에 의하건, 이벤트처리부(371)는 촬영모드 중에 위치정보생성부(357)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데이터관리부(373)는 이벤트처리부(371)에 의해 활성화되어,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를 통해 휴대형 카메라(1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매체(355)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데이터관리부(373)는 저장매체(355)에 저장된 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또는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영상서버(3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방범 영상 촬영방법 (도 4)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범 영상 촬영방법을 설명한다.
<촬영모드 진입: S401>
기본적으로, 휴대형 카메라(110)의 동작모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대기 모드에 위치한다. 예외적으로, 휴대형 카메라(110)의 모드제어부(331)가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한다. 촬영모드 전환의 원인이 되는 것은 (1) 휴대 단말기(130)가 제공하는 예약 이벤트일 수도 있고, 사용자 조작부(309)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동작개시명령일 수도 있다.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 생성: S403>
촬영모드 동안, 촬영제어부(333)는 카메라부(301)를 제어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고,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로 하여금 주위의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301)가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생성부(303)가 생성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311)에 저장된 상태에서 촬영제어부(333)에 의해 일정한 크기 또는 촬영시간 단위로 파일로 저장된다.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의 저장: S405 내지 S407>
촬영제어부(333)는 촬영모드 중에 생성되는 영상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를 통해 휴대 단말기(130)에게 제공한다(S405).
휴대 단말기(130)의 데이터관리부(373)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저장매체(355)에 저장한다(S407).
<이동경로정보 생성: S409>
이벤트처리부(371)는 촬영모드 중에 위치정보생성부(357)가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한 경로에 대한 이동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이동 경로정보에는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단위시간 단위로 기록된다.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의 서버 저장: S411>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30)의 데이터관리부(373)는 저장매체(355)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영상 파일과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1)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서버 등의 영상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영상서버(30)가 반드시 영상파일의 저장을 위한 전용 서버일 필요는 없다. 또한, 데이터관리부(373)는 이벤트처리부(371)가 생성한 이동경로정보도 영상서버(30)에게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100)의 영상 촬영이 수행된다.
실시 예1: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진입방법
앞서 설명한 것처럼, 휴대형 카메라(110)는 일반적으로 대기모드에 존재하였다가 필요한 경우에 촬영모드로 진입한다. 대기 모드 중에 휴대형 카메라(1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에 의한 무선 채널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1) 예약 이벤트에 따른 촬영모드 진입 (도 5)
대기모드 중에(S501), 이벤트처리부(371)는 예약 이벤트 조건이 완성되는지를 판단하고(S503, S505), 예약 이벤트 조건이 완성되면 이벤트처리부(371)는 예약 이벤트를 생성한다(S507).
예약 이벤트에 따라, 이벤트처리부(371)는 휴대형 카메라(110)의 모드제어부(331)로 하여금 동작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이벤트처리부(371)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로 하여금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와 연결하여 무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509).
이벤트처리부(371)의 요청에 따라 S401 단계 이후의 절차가 수행된다. 따라서 모드제어부(331)는 동작모드를 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촬영제어부(333)로 하여금 영상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2) 사용자의 동작개시명령 입력
사용자 조작부(309)가 조작되면, 모드제어부(331)는 대기모드에서 즉시 촬영모드로 진입한다. 촬영제어부(333)는 영상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고, 휴대 단말기(130)로 영상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전송한다. 실시 예에 따라, 대기 모드 동안 연결되지 않은 제1 통신 인터페이스(307)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359) 사이의 무선 채널이 우선 다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8)

  1.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옷에 결합하는 클립 또는 목걸이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카메라와, 상기 휴대형 카메라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형 카메라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데이터생성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배터리로 내부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전원부;
    촬영모드 중에 상기 카메라부와 오디오데이터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긴급한 사용자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촬영제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대기모드에서 상기 촬영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모드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
    상기 대기모드 동안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지 않다가, 이벤트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형 카메라가 제공하는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을 제공받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기설정된 장소에 있으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하여 무선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모드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촬영 모드 중에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기 이벤트처리부; 및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동작개시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에, 동작모드를 상기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벤트처리부로 하여금 촬영모드에 따른 동작을 개시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영상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 상기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상기 영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5.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방범 영상 촬영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옷에 결합하는 클립 또는 목걸이 형태로 구현된 휴대형 카메라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 대기모드에 있고, 상기 대기모드 동안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휴대형 단말기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생성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벤트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기설정된 장소에 있으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와 무선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휴대형 카메라에게 상기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모드 중에, 상기 이벤트처리부가 상기 위치정보생성부가 생성하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모드제어부가 동작모드를 상기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촬영제어부가 상기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카메라부로 하여금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하고, 오디오데이터생성부로 하여금 주위의 소리를 획득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제어부가 상기 촬영모드 중에 생성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파일 및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카메라의 사용자 조작부가 조작되어 사용자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모드제어부가 상기 동작개시명령에 따라 동작모드를 상기 대기모드에서 촬영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이벤트처리부에게 촬영모드에 따른 동작을 개시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방범 영상 촬영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관리부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영상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 상기 이동경로정보 데이터를 상기 영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의 방범 영상 촬영방법.
KR1020170048399A 2017-04-14 2017-04-14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99A KR101902276B1 (ko) 2017-04-14 2017-04-14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99A KR101902276B1 (ko) 2017-04-14 2017-04-14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276B1 true KR101902276B1 (ko) 2018-11-22

Family

ID=6455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399A KR101902276B1 (ko) 2017-04-14 2017-04-14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519B1 (ko) 2019-02-27 2019-07-22 이현수 이동식 정찰 카메라
KR102089421B1 (ko) 2019-03-18 2020-03-16 이현수 모듈 구조형 무선 영상 송수신 기능을 갖춘 감시용 영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5B1 (ko) * 2008-09-18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427718B1 (ko) * 2013-02-08 2014-08-07 이익선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 및 전송하는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525224B1 (ko) * 2013-12-06 2015-06-04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자동촬영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665B1 (ko) * 2008-09-18 2010-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427718B1 (ko) * 2013-02-08 2014-08-07 이익선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 및 전송하는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장치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525224B1 (ko) * 2013-12-06 2015-06-04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자동촬영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519B1 (ko) 2019-02-27 2019-07-22 이현수 이동식 정찰 카메라
KR102089421B1 (ko) 2019-03-18 2020-03-16 이현수 모듈 구조형 무선 영상 송수신 기능을 갖춘 감시용 영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487B2 (en) Comprehensive video collection and storage
JP6441958B2 (ja) カメラヘッド撮影角度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2004260304A (ja) 画像管理システム
KR101482620B1 (ko)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083381B1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US20140059704A1 (en) Client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1444006B1 (ko) Ip 카메라의 클라우드 영상 저장 시스템
KR101902276B1 (ko) 개인 휴대형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465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ata thereof
KR101420006B1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995993A (zh) 星轨视频拍摄方法、星轨视频拍摄装置及存储介质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US10785544B2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with priority network selection for data upload
JP2016122115A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
CN111107221A (zh) 一种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50736B1 (ko) 홈 cctv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JP2008311749A (ja) 画像送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6632632B2 (ja) 監視システム
JP642696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30999B1 (ko)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KR20170068957A (ko)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99127B1 (ko) 정보전송기능과 영상녹화기능이 구비된 휴대형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387852B1 (ko) 접근자의 근접 전 영상을 캡처하고 전송하는 방법
KR20180045320A (ko)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7257261A (ja) 監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