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620B1 -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620B1
KR101482620B1 KR1020140068021A KR20140068021A KR101482620B1 KR 101482620 B1 KR101482620 B1 KR 101482620B1 KR 1020140068021 A KR1020140068021 A KR 1020140068021A KR 20140068021 A KR20140068021 A KR 20140068021A KR 101482620 B1 KR101482620 B1 KR 10148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eneration condition
satisfied
image fram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김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완 filed Critical 김재완
Priority to KR102014006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620B1/ko
Priority to PCT/KR2015/003505 priority patent/WO2015186900A1/ko
Priority to US14/718,414 priority patent/US201503585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7Details realated to data compression, encryption or encoding, e.g. resolution modes for reducing data volume to lower transmission bandwidth or memory requi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95Arrangements wherein non-video detectors start video recording or forwarding but do not generate an alarm themsel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와 연결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는 영상 프레임을 내부 메모리에 녹화 저장하거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범행 시도인에게 스마트폰을 빼앗겨도 범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SECURITY MANAGEMENT METHOD USING IMAGE FRAME,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하는 납치와 같은 범죄에 관한 대비책으로서,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몇 대의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에 의존하거나,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폰의 GPS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들이 있었다.
이같은 종래의 기술은 방범용 폐쇄회로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미리 파악하고 접근하는 범행 시도인에 대한 추적이 어려우며, 먼 곳에 설치되어 있는 폐쇄회로 카메라의 특성상 정밀하게 범행 시도인의 용모를 파악하여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폐쇄회로 카메라는 소리를 기록할 수는 있지만 소음이 섞이고 피해자의 목소리 등이 정밀하게 녹음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피해자가 소지한 휴대폰을 범행 시도인이 빼앗아 전원을 꺼버리면 휴대폰의 GPS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어려우며, 휴대폰 자체가 범죄 상황을 녹화한다고 하더라고 범행 시도인이 피해자가 소지한 휴대폰을 빼앗으면 그 녹화 파일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피해자 주변의 상황을 정밀하게 저장하지 못하며, 피해자가 피해 직전에 피해 상황 등 말로 남긴 기록을 저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4517호 (2004년10월06일 공개)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조건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함으로써 중요하지 않은 시간대에는 가급적 전력이나 저장 공간 등 자원 소요를 줄이고, 중요한 시간대에만 자원을 높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프레임 전송 조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범행 시도인에게 스마트폰을 빼앗겨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촬영 기기를 브로우치 또는 장신구 형태로 제작하여 범행 시도인으로 하여금 카메라일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죄 사건 조사 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상황진술을 확보하여 범죄의 상황을 추적하여 범죄 검거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영상 촬영 기기와 연결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영상 촬영 기기와 연결된 단말 장치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영상 프레임 저장부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고, 상기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영상 촬영 기기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조절된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영상 촬영 기기와 연결된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기능,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조건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함으로써 중요하지 않은 시간대에는 가급적 전력이나 저장 공간 등 자원 소요를 줄이고, 중요한 시간대에만 자원을 높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프레임 전송 조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범행 시도인에게 스마트폰을 빼앗겨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기기를 브로우치 또는 장신구 형태로 제작하여 범행 시도인으로 하여금 카메라일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 사건 조사 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주변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상황진술을 확보하여 범죄의 상황을 추적하여 범죄 검거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벤트'란, 보안 위험도가 높아서 주의가 요망되는 상황, 또는 이미 위험이 발생한 응급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의 정의 및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각종 기준값은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 영상 촬영 기기(200), 클라우드 서버(300), 응급 센터의 단말(400) 및 정보 열람 단말(500)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는 통상적 의미의 클라우드(cloud) 서버를 의미하지만, 상기 단말 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일반적인 보안 관리 전용 서버인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영상 촬영 기기(200) 및 단말 장치(100)는 유선 통신(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200)는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에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차량에 블랙박스와 유사한 상태로 장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에 소형 브로우치 또는 장신구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영상 촬영 기기(20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100)는 차량 충돌 발생과 같은 차량 고유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별도로 설치되는 각종 차량 제어기기 또는 센서(예, 차량 충돌 감지 센서, ECU 등, 도면 미도시)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 기기(200)는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은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며,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에 연결되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영상 촬영 기기(200)에 공지의 상용 카메라 모듈 제품을 적용하는 경우, 초당 25/30 영상 프레임( PAL / NTSC ) 또는 초당 50/60 ( PAL / NTSC ) 영상 프레임으로 프레임 생성 조건을 설정 가능하다.
영상 촬영 기기(20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때, 영상 촬영 기기(20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압축하여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사용자 설정한 소정 설정값)보다 높을 때 음성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하여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이벤트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촬영 기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응급 상황 버튼이 푸쉬되면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그러면,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이벤트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촬영 기기(200)는 저조도를 인식하여 밝기 신호를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그러면, 단말 장치(100)는 밝기 신호를 이용하여(소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이벤트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200)에는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을 위하여 IR LED(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주간과 야간에 대한 저조도 기준을 달리 설정하거나, 시간대에 따라 저조도 기준을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하는 장치로서,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통상의 이동 단말, 스마트폰, 노트북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고, 조절된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을 녹화 당시 위치(예, GPS 위치 정보)와 대응시켜 내부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감소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초당 60 영상 프레임이 전송될 때 단말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의 상항이 일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초당 0.1 영상 프레임으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전송되는 초당 영상 프레임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당 30 영상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단말 장치(100)에 녹화 저장되는 영상 프레임 수도 반드시 초당 0.1 영상 프레임이 아닌 다른 조건(예, 초당 0.2 프레임, 초당 1 프레임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초당 60 영상 프레임이 전송될 때 단말 장치(100)가 일반 상황에 해당하는 초당 0.1 영상 프레임으로 녹화 저장 중인 상태였다면, 단말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의 상항이 이벤트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당초 영상 촬영 기기(200)의 촬영 설정치인 초당 60 영상 프레임으로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프레임 녹화 저장 과정을 다른 관점에서 정리하면,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는 설정값에 근거하여 초당 60 영상 프레임이 전송되는데, 단말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의 상황이 일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초당 0.1 영상 프레임으로 녹화 저장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이벤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당초 영상 촬영 기기(200)의 촬영 설정치인 초당 60 영상 프레임으로 증가시켜 녹화 저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프레임 설정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녹화 저장의 대상이 되는 이벤트의 내용 및 기기 사양 조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단위 시간당 제공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초당 60 영상 프레임이 전송될 때 단말 장치(100)는 초당 60 영상 프레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예, 초당 40 영상 프레임)에서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 장치(100)가 이벤트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 장치(100)는 현재 시간이 낮이지만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밝기가 소정 밝기 이하이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가 아니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오후 3시에 사용자의 위치가 학교가 아닌 다른 곳인 경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차량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외부에 발생하는 충격의 강도가 특정 강도 이상이거나 차량에 대해 모션(예, 불특정자의 차량 접촉 행위 등)을 감지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200) 또는 연동된 마이크(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 이상(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설정값 이상)일 때 사용자의 음성에서 미리 설정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에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100 데시벨 이상일 때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에 "살려"라는 단어가 검출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위치가 학교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기 설정된 프레임 전송 조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통신망(예를 들어, 3G, WiFi, LTE 등)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프레임 전송 조건은 단위 시간당 상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며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이벤트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응급 센터의 단말(400)에 응급 상황 발생 사실을 자동으로 알리거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미도시됨)에 응급 상황 발생 사실을 자동으로 알린다. 여기에서, 응급 센터의 단말(400)은 소방서 및 경찰서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정보 열람 단말(500)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접속하여 영상 프레임, 음성 정보, 위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단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영상 프레임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0)는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10)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영상 프레임, 음성 신호,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 밝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10)는 영상 촬영 기기(200)와 단말 장치(100)가 유선 통신(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유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10)는 영상 촬영 기기(200)와 단말 장치(100)가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한다.
영상 프레임 저장부(120)에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이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프레임 저장부(120)에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녹화 당시 위치(위치 좌표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영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음성 파일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10)로부터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면 영상 프레임의 상황이 일반 상황인지 이벤트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영상 프레임의 상황이 이벤트 발생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일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영상 프레임의 상황이 이벤트 발생 조건을 만족하면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이벤트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가 영상 프레임의 상황을 이벤트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현재 시간이 낮이지만 송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밝기가 소정 밝기 이하이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가 아니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외부에 발생하는 충격의 강도가 특정 강도 이상이거나 차량에 대해 모션을 감지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차량에 대한 모션은,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이 미리 설정된 특정 모션에 해당하는 영상인지 여부를 공지의 영상 인식 프로세스를 통해 판단하는 것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10)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 이상일 때 사용자의 음성에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되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여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의 일 실시예는 영상 촬영 기기(200) 및 단말 장치(100)가 유선 통신(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영상 촬영 기기(200)가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유선 통신으로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촬영 기기(200)는 메모리 모듈(210), 카메라 모듈(220), 마이크 모듈(230), 응급 상황 버튼(240) 및 USB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한다.
메모리 모듈(210)에는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이 저장된다. 메모리 모듈(210)은 선택적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상술한 단말 장치(100)에만 구비되고, 영상 촬영 기기(200)에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여 USB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은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며,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에 연결되어 변경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230)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USB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응급 상황 버튼(240)은 사용자에 의해 응급 상황 시 눌려지는 버튼이며,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면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USB 인터페이스(250)를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USB 인터페이스(250)는 단말 장치(100)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카메라 모듈(2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프레임, 마이크 모듈(230)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 및 응급 상황 버튼(240)에 대한 푸쉬 신호를 USB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일 실시예는 영상 촬영 기기(200) 및 단말 장치(100)가 무선 통신(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영상 촬영 기기(200)가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무선 통신으로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를 포함하여 영상/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촬영 기기(200)는 메모리 모듈(210), 카메라 모듈(220), 마이크 모듈(230), 응급 상황 버튼(240), 코덱(260), 블루투스 모듈(270) 및 충전 배터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배터리(230)는 직접 전원 연결 충전 또는 충전 후 교체 등의 방식으로 내설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공지의 포터블 타입 태양광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뤄질 수도 있다.
메모리 모듈(210)에는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이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며, 영상 프레임은 코덱(260)을 통해 압축되고 블루투스 모듈(270)을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은 영상 촬영 기기(200)에서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며,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에 연결되어 변경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23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음성 신호는 코덱(260)을 통해 압축되고 블루투스 모듈(270)을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된다.
응급 상황 버튼(240)은 사용자에 의해 응급 상황 시 눌려지는 버튼이며,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면,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는 블루투스 모듈(270)을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된다.
블루투스 모듈(270)은 단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카메라 모듈(2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프레임, 마이크 모듈(230)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 및 응급 상황 버튼(240)에 대한 푸쉬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코덱(260)은 카메라 모듈(220)에 의해 생성된 영상 프레임, 마이크 모듈(230)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블루투스 모듈(270)에 제공한다.
블루투스 모듈(270)은 코덱(260)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충전 배터리(280)는 영상 촬영 기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한다(단계 S510).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20). 여기에서, 이벤트 발생 조건은 현재 시간이 낮이지만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밝기가 소정 밝기 이하인 상황,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가 아닌 상황, 차량의 외부에 발생하는 충격의 강도가 특정 강도 이상인 상황, 차량에 대해 모션을 감지한 상황,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 영상 촬영 기기 또는 연동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 이상일 때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된 상황 및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한다(단계 S530). 즉,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하여 저장한다.
단말 장치(100)는 조절된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한다(단계 S540).
상기 단계 S530 이하의 다른 예로서, 단말 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다시 감소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530 이하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 이전의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결합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 이전의 소정의 설정 시간(예, 30초) 동안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은 초당 0.1 영상 프레임으로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이 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예, 3분)까지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은 초당 60 영상 프레임으로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녹화 저장하고 기본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데, 이렇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녹화 저장되는 기본 영상 파일과 별도로, 상기 변형 예와 같이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 전후의 소정 설정 시간에 대하여만 별도의 이벤트 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이벤트 상황 시의 영상 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해서 기본 영상 파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스캐닝 할 필요 없이, 해당 이벤트 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만으로 이벤트 상황 시의 영상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 영상 파일의 생성 시점 및 위치 정보 등을 메타 데이터 형태로 해당 파일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여, 이벤트 영상 파일 재생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기본 영상 파일을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와 별도로 각 이벤트에 해당하는 이벤트 영상 파일을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단말 장치
110: 송수신부
120: 영상 프레임 저장부
130: 제어부
200: 영상 촬영 기기
210: 메모리 모듈
220: 카메라 모듈
230: 마이크 모듈
240: 응급 상황 버튼
250: USB 인터페이스
260: 코덱
270: 블루투스 모듈
280: 충전 배터리
300: 클라우드 서버
400: 응급 센터의 단말
500: 정보 열람 단말

Claims (26)

  1. 영상 촬영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기기는 브로우치 또는 장신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이동 단말임-,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은,
    현재 시간이 낮이지만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밝기가 소정 밝기 이하인 상황 및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가 아닌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 상기 영상 촬영 기기 또는 연동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 이상일 때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된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다시 감소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되,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 이전의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결합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 영상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당시 위치와 대응시켜 내부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에 연결되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14. 삭제
  15. 영상 촬영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기기는 브로우치 또는 장신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이동 단말임-,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영상 프레임 저장부; 및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고, 상기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 만족 여부의 판단은,
    현재 시간이 낮이지만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밝기가 소정 밝기 이하인 상황 및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가 아닌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 상기 영상 촬영 기기 또는 연동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 이상일 때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된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다시 감소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되,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 이전의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결합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 영상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제어함-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영상 촬영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는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기기는 브로우치 또는 장신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 장치는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는 이동 단말임-,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기 설정된 프레임 생성 조건에 따라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는 기능;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상기 판단은,
    현재 시간이 낮이지만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수신된 밝기가 소정 밝기 이하인 상황 및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가 아닌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영상 촬영 기기로부터 응급 상황 버튼에 대한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상황, 상기 영상 촬영 기기 또는 연동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의 데시벨이 특정 데시벨 이상일 때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서 응급 상황 관련 단어가 검출된 상황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단위 시간당 녹화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다시 감소시켜 영상 프레임을 녹화 저장하되,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 이전의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과, 상기 이벤트 발생 조건이 만족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녹화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결합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영상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 영상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40068021A 2014-06-04 2014-06-04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48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21A KR101482620B1 (ko) 2014-06-04 2014-06-04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PCT/KR2015/003505 WO2015186900A1 (ko) 2014-06-04 2015-04-08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14/718,414 US20150358591A1 (en) 2014-06-04 2015-05-21 Security method using image fram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21A KR101482620B1 (ko) 2014-06-04 2014-06-04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620B1 true KR101482620B1 (ko) 2015-01-14

Family

ID=5258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21A KR101482620B1 (ko) 2014-06-04 2014-06-04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58591A1 (ko)
KR (1) KR101482620B1 (ko)
WO (1) WO2015186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2526A1 (zh) * 2013-10-30 2015-05-0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登录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101675306B1 (ko) * 2015-03-20 2016-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사고 정보 관리 방법
US10460534B1 (en) 2015-10-26 2019-10-29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to-vehicle accident detection
JP2019179321A (ja) * 2018-03-30 2019-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カメラおよびサーバ
EP3686856A1 (en) * 2019-01-23 2020-07-29 Howe, Anthony Richard Voice and/or image recording and transmission system
EP3799061B1 (en) * 2019-09-26 2023-11-22 Siemens Healthcare GmbH Method for providing at least one image dataset, storage medium, computer program product, data server, imaging device and telemedicine system
CN113748668B (zh) * 2020-06-19 2023-09-1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电子设备
CN113507611B (zh) * 2021-09-09 2021-12-31 深圳思谋信息科技有限公司 图像存储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542A (ko) * 2005-09-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션 이벤트 발생 율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녹화 제어장치및 방법
KR20110076693A (ko) * 2009-12-29 2011-07-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보안 기능 제공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KR20110088467A (ko) * 2011-01-31 2011-08-03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69855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에이치디비정보통신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29B1 (ko) * 2012-04-06 2012-11-16 주식회사 아이브이티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2448B1 (ko) * 2013-06-27 2014-01-10 박한영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US20150193102A1 (en) * 2014-01-08 2015-07-09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542A (ko) * 2005-09-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션 이벤트 발생 율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녹화 제어장치및 방법
KR20110076693A (ko) * 2009-12-29 2011-07-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보안 기능 제공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KR20110088467A (ko) * 2011-01-31 2011-08-03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69855A (ko) *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 에이치디비정보통신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6900A1 (ko) 2015-12-10
US20150358591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620B1 (ko) 영상 프레임을 이용한 보안 방법, 이를 실행하는 장치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10807563B1 (en) Premises security
US11854356B1 (en) Configurable motion detection and alert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952298B1 (ko)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비디오 장면의 공유
US10540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emote presence security
US20170076140A1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person
KR101495204B1 (ko)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US20160280131A1 (en) Connected vehicle system
US11526590B2 (en) Automatic low radiation mode for a wearable device
US11228736B2 (en) Guardian system in a network to improve situational awareness at an incident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KR102054930B1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76012B1 (en) Video capturing system and network system to support privacy mode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JP4303690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477913B1 (ko) 와이파이를 통한 이벤트 알림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영상운행기록 시스템
US106199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law enforcement in managing crisis situations
US20190281363A1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CN113965726A (zh) 处理交通视频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202121670U (zh) 手机配套的环境监控影音自动传输装置
JP200905508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
WO2017169356A1 (ja) 携帯型防犯端末、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765324B1 (en) Security light-cam with cloud-based video management system
KR102131907B1 (ko) 호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269507A1 (en) Device inform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