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452A -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452A
KR20060058452A KR1020040097510A KR20040097510A KR20060058452A KR 20060058452 A KR20060058452 A KR 20060058452A KR 1020040097510 A KR1020040097510 A KR 1020040097510A KR 20040097510 A KR20040097510 A KR 20040097510A KR 20060058452 A KR20060058452 A KR 2006005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ing
display device
layer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193B1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193B1/ko
Priority to JP2005313238A priority patent/JP2006156361A/ja
Priority to EP05110625A priority patent/EP1662590A1/en
Priority to US11/283,762 priority patent/US20070205719A1/en
Priority to CNB2005101315620A priority patent/CN100566481C/zh
Publication of KR2006005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단자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함께 밀봉재를 통하여,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밀봉하는 밀봉 기판을 구비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최외곽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도면 부호 "A"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c는 도 2b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홈부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c 내지 도 3c는 도 2b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밀봉층을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d는 도 4c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기판 120...버퍼층
130...반도체 활성층 140...게이트 절연층
150...게이트 전극 160...중간층
170a,b...소스/드레인 전극 180...보호층
190...제 1 전극층 191...화소 정의층
192...유기 전계 발광부 200...디스플레이 영역
210...제 2 전극층 310...밀봉재
400...밀봉 기판 500...수평 구동 회로부
600...단자부
본 발명은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영역을 더욱 증대시켜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습 등으로 인한 열화를 저감 내지 방지시키는 구조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무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등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 구동방식의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형과, 능동 구동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 (Active Matrix: AM)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패시브 매트릭스형은 단순히 애노드와 캐소드가 각각 컬럼(column)과 로우(row)로 배열되어 캐소드에는 로우 구동회로로부터 스캐닝 신호가 공급되고, 이 때, 복수의 로우 중 하나의 로우만이 선택된다. 또한, 컬럼 구동회로에는 각 화소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형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용해 각 화소 당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방대한 양의 신호를 처리하기에 적합하여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애노우드 전극과 캐소오드 전극의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을 갖는다. 이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들 전극들에 애노드 및 캐소드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애노우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캐소오드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어, 이 유기 발광층에서 전자와 홀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iton)를 생성하고, 이 여기자가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유기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풀컬러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적(R), 녹(G), 청(B)의 삼색을 발광하는 화소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풀컬러를 구현한다.
한편, 통상적인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수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큰 원기판 및 밀봉 원기판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통합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고, 이를 스크라이빙 과정을 통하여 분할함으로써 개별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게 된다.
도 1a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판(10)의 일면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20)이 구비되고, 밀봉재(30)를 통하여 기판(10)은 밀봉 기판(40)과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20)을 밀봉시킨다.
이와 같은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기판 및 밀봉 원기판의 스크라이빙 과정을 거쳐 개개의 장치로 분할되어 얻어진다. 원기판 및 밀봉 원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재는 스크라이빙 위치( 기판의 최외곽 )와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 경우 도 1b에서 너비가 w1 으로 표기된 밀봉재의 배치 영역은 매우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차후 행해지는 밀봉재의 경화 과정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도출되는 밀봉재의 배치 위치는 매우 축소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제한된 기판 면적하에서 밀봉재를 배치함으로써, 밀봉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밀봉재의 배치 폭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경우 밀봉재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과류될 수도 있다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효과적인 밀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봉재의 배치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영역과, 단자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함께 밀봉재를 통하여,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밀봉하는 밀봉 기판을 구비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최외곽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들은 서로 마주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기판 및 밀봉 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으로,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단차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된 최외곽 단부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단차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된 최외곽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단차의 측면은 상기 밀봉 기판 및 기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측면일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단차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 측을 향할수록 개구가 넓어지는 경사 측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원 기판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밀봉 원기판의 일면으로,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봉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원기판과 상기 밀봉 원기판을 밀봉시키는 단계;
상기 스크라이빙 위치를 따라 상기 원기판과 상기 밀봉 원기판을 절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형성 단계 전에, 상기 원기판의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밀봉재 형성 단계 전에, 상기 밀봉 원기판의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차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차는 비연속적으로 형성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 세히 설명한다 .
도 2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판(110)의 일면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화소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00)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영역(200)의 외곽으로 적어도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단자로 구성되는 패드부(60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영역(200)과 패드부(600) 사이에는 밀봉재(310)가 배치되는데, 밀봉재(310)를 통하여 기판(110) 및 밀봉 기판(400)이 밀봉됨으로써, 적어도 디스플레이 영역(200)을 밀봉시키는 밀봉 공간을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재(3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최외곽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다.
밀봉재(310)를 통하여 기판(110)과 밀봉 기판(400)이 형성하는 밀봉 공간 내에는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습기 등으로 인한 유기 전계 발광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습층(410)이 구비되는데, 흡습층(410)은 바륨, 활성 알루미나, 산화 칼륨 또는 산화 바륨과 같은 알칼리 토류 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영역(200)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전기 소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200)을 구성하는 화소로 스캔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 드라이버/데이터 드라이버와 같은 수직/수평 구동 회로부가, 디스플레이 영역(200)과 밀봉부 사이로 밀봉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2a에 도시된 수평 구동 회로부(500)와 같이 밀봉 영역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수직/수평 구동 회로부는 COG의 형태나, FPC 등을 통한 외부 전기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2b에는 도 2a의 도면 부호 "A" 부분에 대한 일화소가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두 개의 톱 게이트 형 박막 트랜지스터와 한 개의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구조의 일화소가 도시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예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게이트 전극(55)은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스캔 라인으로부터 연장된다.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와 같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가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소스 전극(57a)으로부터,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반도체 활성층(53)을 통하여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드레인 전극(57b)으로 전달된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TFT1) 드레인 전극(57b)의 연장부(57c)는 커패시터의 제 1 전극(58a)과 연결되고, 커패시터 제 1 전극의 다른 일단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서의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게이트 전극(150)을 형성하며, 커패시터의 제 2 전극은 구동 전원 공급 라인(미도시)과 소통되는 구동 라인(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2c는 도 2a의 선 Ⅲ-Ⅲ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선 Ⅲ-Ⅲ의 (a)-(e)로 표시된 부분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서의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FT2)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고, (e)-(f) 부분은 화소 개구부(194)를 도시하고, (g)-(h)부분은 구동 라인의 단면을 도시한다.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경우, 기판(110)의 일면 상에 형성된 버퍼층(120)의 상부에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 (TFT2)의 반도체 활성층(130)이 형성된다. 반도체 활성층(130)은 비정질 실리콘 층으로 구성되거나, 다결정 실리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도체 활성층(130)은 N+형 또는 P+형의 도펀트 들로 도핑되는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반도체 활성층(130)은 유기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반도체 활성층(130)의 상부에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50)이 배치되는데, 게이트 전극(150)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MoW, Al/Cu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전극(150)과 반도체 활성층(130)의 사이에는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 절연층(14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50) 및 게이트 절연층(140)의 상부에는 절연층으로서의 중간층(interlayer, 160)이 단일층 및/또는 복수층으로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소스/드레인 전극(170a,b)이 형성되는데, 소스/드레인 전극(170a,b)은 MoW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도체 활성층(130)과의 보다 원활한 오믹-컨택(ohmic contact)을 이루기 위하여 추후 열처리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전극(170a,b)의 상부에는 보호 및/또는 평탄화시키기 위한 페시베이션 층 및/또는 평탄화 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 보호층(180)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제 1 전극층(190)이 형성되는데, 제 1 전극층(190)은 보호층(180)에 형성된 비아홀(181)을 통하여 소스/드레인 전극(170a,b)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제 1 전극층(190)은, 배면 발광형인 경우,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투명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면 발광형인 경우, Al/Ca의 반사 전극과 ITO 등의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전극층(190)이 애노드 전극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 1 전극층이 캐소드 전극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층(18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에 SiNx 층을 구비하고 상부에 예를 들어 BCB(benzocyclobutene) 또는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물 층을 구비하는 이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호층(180)의 상부에는, 제 1 전극층(190)에 대응하는 영역인 화소 개구부(194)를 제외하고 화소를 정의하기 위한 화소 정의층(191)이 형성된다. 화소 개구부(194)로 제 1 전극층(190)의 일면 상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부(192)가 배치된다.
유기 전계 발광부(192)는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 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막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유기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유기 전계 발광부(192)의 일면 상부에는 캐소드 전극으로서의 제 2 전극층(400)이 전면 증착되는데, 제 2 전극층(210)은 이러한 전면 증착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발광 유형에 따라 Al/Ca, ITO, Mg-Ag 등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일층이 아닌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LiF 등과 같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플루오라이드 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d에는 도 2a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밀봉재(310)가 배치되는 영역의 폭(w2)의 더욱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기판(110)의 일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200)이 형성된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원기판(400)의 일면 상에는 흡습층(410)과 밀봉재(310)가 배치되는데, 밀봉 원기판(40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밀봉재(310)는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밀봉재(310)가 형성된 후, UV 조사 내지 열조사 등과 같은 에너지 조사를 통하여 밀봉재(310)는 일정한 경화 과정을 거친 밀봉재(310)로 변화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위치를 따라 일정한 스크라이빙 단계가 실시되어 원기판(110) 및 밀봉 원기판(400)에 의하여 형성된 각각의 부분들은, 기판(110) 및 밀봉 기판(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 개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로 분할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및 밀봉 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으로,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활한 제조 과정을 위한 구조인데, 도 4a에는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에 단차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 중의 일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원기판(110)과 밀봉 원기판(400)은 서로 마주하며, 경화 과정을 거치기 전의 밀봉재(300)를 통하여 밀봉되어 있는데, 원기판(110)의 일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200)이 형성되어 있고, 밀봉 원기판(400)의 일면 상에는 하나 이 상의 흡습층(4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재(310)가 배치되는 위치로 밀봉 기판의 일면에는 단차(420)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420)의 존재로 인하여 경화되기 전의 밀봉재(310)가 과류되어 인근 디스플레이 영역(200)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크라이빙 과정에서 밀봉 원기판(400)에 가해지는 응력은 단차(420)로 집중시킴으로써 밀봉 원기판(400)의 원치 않는 크랙 등으로 인한 밀봉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밀봉 원기판(400)에 구비되는 단차(420)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타입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420)의 측면이 차후 스크라이빙 과정을 거쳐 분할되는 밀봉 기판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단차의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단차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영역(200) 측을 향할수록 개구가 넓어지도록 측면이 밀봉 기판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스크라이빙 과정에서 스크라이빙 위치로서의 단차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밀봉 원기판 등에 가해지는 응력을 한 지점으로 더욱 집중시킬 수 있어 가공성이 더욱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스크라이빙 위치, 즉 스크라이빙 과정을 통하여 분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곽 단부에 배치되는 단차는 기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원기판(400)에 형성된 밀봉 원기판 단차(420)에 대응하는 위치로 원기판(110)의 일면 상에는 원기판 단차(110a)이 더 형성되어 스크라이빙 단계에서의 가공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차들은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차의 경우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차의 경우 대형 원기판 내지 대형 밀봉 원기판의 경우 자중이 단차에 집중됨으로써 인한 원기판 내지 밀봉 원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AM 구동형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무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PM 구동형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기판의 최외곽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봉재가 구비됨으로써, 밀봉재의 배치 영역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밀봉 공간으로의 투습 및 투산소를 더욱 저감 내지 방지할 수도 있다.
둘째, 기판 및 밀봉 기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단차를 구비함으로써, 밀봉재의 형성과정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의 밀봉재 과류를 방지할 수 있고, 스크라이빙 과정시 발생 가능한 크랙을 저감 내지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 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영역과, 단자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함께 밀봉재를 통하여,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밀봉하는 밀봉 기판을 구비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최외곽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들은 서로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밀봉 기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으로, 상기 밀봉재가 구비되는 최외곽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된 최외곽 단부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밀봉재가 구비된 최외곽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측면은 상기 밀봉 기판 및 기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측면은,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 측을 향할수록 개구가 넓어지는 경사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원 기판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밀봉 원기판의 일면으로,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봉재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원기판과 상기 밀봉 원기판을 밀봉시키는 단계;
    상기 스크라이빙 위치를 따라 상기 원기판과 상기 밀봉 원기판을 절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형성 단계 전에, 상기 원기판의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형성 단계 전에, 상기 밀봉 원기판의 스크라이빙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스플레 이 장치 제조 방법.
KR1020040097510A 2004-11-25 2004-11-25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3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510A KR100637193B1 (ko) 2004-11-25 2004-11-25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313238A JP2006156361A (ja) 2004-11-25 2005-10-27 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該製造方法
EP05110625A EP1662590A1 (en) 2004-11-25 2005-11-11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83,762 US20070205719A1 (en) 2004-11-25 2005-11-22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B2005101315620A CN100566481C (zh) 2004-11-25 2005-11-25 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510A KR100637193B1 (ko) 2004-11-25 2004-11-25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452A true KR20060058452A (ko) 2006-05-30
KR100637193B1 KR100637193B1 (ko) 2006-10-23

Family

ID=3553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510A KR100637193B1 (ko) 2004-11-25 2004-11-25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05719A1 (ko)
EP (1) EP1662590A1 (ko)
JP (1) JP2006156361A (ko)
KR (1) KR100637193B1 (ko)
CN (1) CN1005664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531A (ko) * 2005-03-30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7059209A (ja) * 2005-08-24 2007-03-08 Toyota Industries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3765B1 (ko) 2006-01-20 2007-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869157B2 (ja) * 2006-07-05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29084B1 (ko) 2006-09-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TWI308805B (en) * 2006-09-22 2009-04-11 Innolux Display Corp Active matrix oled and fabricating method incorporating the same
KR100884477B1 (ko) * 2007-08-08 2009-02-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8198807B2 (en) 2008-02-28 2012-06-12 Corning Incorporated Hermetically-sealed packages for electronic components having reduced unused areas
JP2009259732A (ja) * 2008-04-21 2009-11-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KR100965255B1 (ko) * 2008-11-11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244706B1 (ko) * 2009-12-01 2013-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493791B2 (ja) * 2009-12-09 2014-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CN101866584A (zh) * 2010-02-26 2010-10-20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器及其封装方法
KR101680613B1 (ko) * 2010-05-17 2016-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6069B1 (ko) * 2010-10-26 2018-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043B1 (ko) 2012-10-31 2019-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3311183B (zh) * 2013-06-05 2015-08-1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平板显示器的面板及其切割方法
KR102283856B1 (ko) * 2013-11-22 2021-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7975B1 (ko) * 2013-12-27 2020-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의 제조방법
CN104409662B (zh) * 2014-11-10 2017-07-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面板及制作方法、丝网印刷版、显示装置
CN104741796B (zh) * 2015-04-20 2016-05-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8962935B (zh) * 2017-11-30 2021-01-26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N109378339B (zh) * 2018-12-24 2021-09-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具有应力缓解结构的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2133734B (zh) * 2020-09-29 2022-08-30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5187B2 (ja) * 1999-10-22 2009-04-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有機el表示装置
JP2002329576A (ja) * 2001-04-27 2002-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6888307B2 (en) * 2001-08-21 2005-05-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Patterned oxygen and moisture absorber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structures
TWI299632B (ko) * 2001-09-28 2008-08-01 Sanyo Electric Co
KR100477745B1 (ko) * 2002-05-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봉지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 패널
JP2004018333A (ja) * 2002-06-19 2004-01-22 Nippon Seiki Co Ltd ガラスパネルの切断方法
TW556447B (en) * 2002-09-05 2003-10-01 Au Optronics Cor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7109654B2 (en) * 2003-03-14 2006-09-19 Samsung Sdi Co., Ltd. Electroluminescen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2590A1 (en) 2006-05-31
CN1819728A (zh) 2006-08-16
CN100566481C (zh) 2009-12-02
US20070205719A1 (en) 2007-09-06
JP2006156361A (ja) 2006-06-15
KR100637193B1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350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93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69710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227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3149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81903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4123B1 (ko) 평판표시장치
KR100553745B1 (ko) 평판표시장치
KR100615222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73154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50280363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063714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93606A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03336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8645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96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94B1 (ko)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37195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06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15230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5996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229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51317B1 (ko) 평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