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465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465A
KR20060057465A KR1020040096616A KR20040096616A KR20060057465A KR 20060057465 A KR20060057465 A KR 20060057465A KR 1020040096616 A KR1020040096616 A KR 1020040096616A KR 20040096616 A KR20040096616 A KR 20040096616A KR 20060057465 A KR20060057465 A KR 2006005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ow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465A/ko
Publication of KR2006005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개별적으로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전원공급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ON/OFF)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을 확인하여 메모리에 상기 키입력에 대응하여 저장된 해당 전원 제어 모드별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어 최소한의 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 키패드부, SD카드부, USB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COMMUNICATION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을 위한 메뉴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배터리의 사용시간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원 공급원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이러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따라 1회 충전에 의하여 최대 사용 시간이 결정된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고유기능인 통화 송수신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시간, 날짜, 요일 등의 시간정보 제공기능, 스케줄러 기능, 알람기능, 전자수첩 기능, 게임과 사진 촬영 기능, 음악파일 재생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 기능들은 통화기능 못지 않게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전류 소모가 발생하여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의 큰 제약사항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요즈음은 배터리 자체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이전까지의 배터리 사용시간보다도 훨씬 뛰어난 성능을 보장하는 배터리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충전 용량을 늘리는 배터리 자체의 기술 개발 이외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켜 배터리 전원을 최대한 절약하는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ON)상태, 즉 이동 통신 단말기 전체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통화 기능 및 그 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주된 기능만을 사용하는 사용자인 경우 또는 배터리가 거의 소모되어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인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정 기능만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개별적으로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전원공급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ON/OFF)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을 확인하여 메모리에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여 저장된 해당 전원 제어 모드별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는 그룹별 전원 제어모드와 사용자가 전원 제어를 설정하는 사용자 모드를 나타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온/오프 시킬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온/오 프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온/오프 선택이 완료되면 각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룹별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제어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의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는 각종 기능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전원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10), 전원 공급부(120), 기능별 디바이스들(141 ~ 147)과 상기 디바이스들(141 ~ 147)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부(130)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화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후술될 각 디바이스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120)는 상기 제어부(100) 뿐만 아니라 스위칭부(130)를 통해 상기 기능별 디바이스들(141 ~ 147)에 전원 공급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130)와 상기 기능별 디바이스들(141 ~ 147)간의 전원 라인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각 디바이스별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전원 제어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는데 상기 메모리(110)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110)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 제어 모드 메뉴가 설정되면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설정 프로그램을 메모리(110)로부터 로딩시킨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기능별 디바이스들(141 ~ 147)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시킨다. 상기 전원 제어 프로그램은 하기에 후술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별 디바이스들을 간략히 설명하면, 무선 송수신부(141)는 RF 모듈과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구성된다. 먼저, RF 모듈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제어부(100)와 RF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에 인가하며, RF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상기 표시부(14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과정 등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42)는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선택 메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42)는 상기 전원 제어 모드 변경 시 전원 제어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도 표시한다.
상기 오디오부(143)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나머지 기능별 디바이스에는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때 사용되는 키패드부(144),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메모리인 SD카드부(145), 이동 통신 단말기간이나 외부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적외선 통신부(146), 외부 장치와의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 범용직렬버스)(147)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각 기능별 디바이스(141 ~ 147)에 개별적 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전원공급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 1의 전원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전원 제어 모드 메뉴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모드 메뉴 설정 방법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 모드 메뉴 설정에 따른 화면 예시도는 다음의 도 3a, 3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사용자가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원 제어 모드 설정 메뉴는 상기 도 3a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제어 모드는 전화모드, 음악모드, 파일전송모드, 전체모드, 사용자 정의 모드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전화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즉 무선 송신부(141), 표시부(142), 오디오부(143), 키패드부(144)에만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나머지 디바이스에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전원 제어는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메모리(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시켜 그에 따른 상기 스위칭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수행 동작은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4864375-PAT00001
상기 <표 1>를 참조하면, 전원 제어 모드가 음악 모드인 경우 표시부(142), 오디오부(143), 키패드부(144), SD카드부(145)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나머지 디바이스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그와 관계없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전체 모드는 모든 기능별 디바이스(141 ~ 147)에 전원을 공급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 제어 모드 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키 입력을 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30단계에서 다수의 전원 제어 모드 중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사용자 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기능별 디바이스들(141 ~ 147)을 제어하는 모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나머지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80단계로 진행하여 그에 해당되는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110)에서 로딩시킨 후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13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파일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메모리(110)로부터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동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 1>의 파일 전 송 모드에서 나타냈듯이 표시부(142), SD카드(145), 적외선통신부(146), USB부(147)에만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표시부(142)를 켜지 않고 음악을 듣거나, 파일 전송 시 적외선 통신부(146)만 사용하여 USB부(147)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기능별 디바이스의 전원을 제어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따로 제어를 할 필요에 있어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240단계에서 온/오프 시킬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한 예시도는 상기 도 3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비디오, 사운드, 적외선 통신, USB 등으로 표시되고 각 디바이스별로 온/오프가 가능하게 나타내었다.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는 단말기 제작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25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모드 메뉴에서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온/오프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가 260단계에서 상기 각 디바이스 설정이 완료됐는지 확인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00)는 270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선택한 디바이스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의 온/오프를 설정한다. 그러면 280단계에서 그에 따른 해당 모드로 동작하면 전원 제어 모드 변경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전원 제어 모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어 최소한의 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개별적으로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전원공급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미리 설정된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ON/OFF)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을 확인하여 메모리에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여 저장된 해당 전원 제어 모드별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디바이스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는 그룹별 전원 제어모드와 사용자가 전원 제어를 설정하는 사용자 모드를 나타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온/오프 시킬 디바이스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온/오프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온/오프 선택이 완료되면 각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용도에 따른 소정의 전원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96616A 2004-11-23 2004-11-23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57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616A KR20060057465A (ko) 2004-11-23 2004-11-23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616A KR20060057465A (ko) 2004-11-23 2004-11-23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65A true KR20060057465A (ko) 2006-05-26

Family

ID=3715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616A KR20060057465A (ko) 2004-11-23 2004-11-23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4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64B1 (ko) 2006-11-09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동작환경 설정과 실행 방법 및장치
KR100883067B1 (ko) * 2001-09-14 2009-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 디바이스 필요 성능 제어방법 및소프트웨어 구동 시스템
WO2011099784A3 (en) * 2010-02-12 201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operation method for terminal including three-piece display units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67B1 (ko) * 2001-09-14 2009-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 디바이스 필요 성능 제어방법 및소프트웨어 구동 시스템
KR100785064B1 (ko) 2006-11-09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동작환경 설정과 실행 방법 및장치
US8862187B2 (en) 2006-11-09 201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d executing function profil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408152B2 (en) 2006-11-09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d executing function profil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1099784A3 (en) * 2010-02-12 201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operation method for terminal including three-piece display units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317242B2 (en) 2010-02-12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operation method for terminal including three-piece display units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4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US20110230209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Automatic Activation of Applications
US2002002583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both indirect and direct communication
KR101072141B1 (ko) 휴대 전화기 및 휴대 전화기의 방송 수신 기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090049154A (ko) 다수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통신 모듈 및 제어방법
JP5166305B2 (ja) 電子機器
JP2001197197A (ja) 携帯型電話機、及び、記憶媒体
JPH11225378A (ja) 電話帳機能付き無線電話装置
KR2006005746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284758A (ja) 個別選択呼出受信機用携帯型データ記憶装置
JP2002344377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5451581B2 (ja) 携帯電話端末の消費電力を低減する方法
JP2011077950A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の機器選択プログラム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JP493267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装置、携帯電話機、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21750B1 (ko) 통화 목록 저장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4241868A (ja) 無線電話装置及びそのバッテリの消費電力低減方法
JP2002125007A (ja) 無線携帯端末機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JP3614846B2 (ja) 携帯電話端末
JP4057402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3069669A (ja) 携帯型通信装置
KR1004475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온/오프정보 표시방법
KR2005004329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365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로우배터리시 데이터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