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08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085A
KR20060053085A KR1020050064261A KR20050064261A KR20060053085A KR 20060053085 A KR20060053085 A KR 20060053085A KR 1020050064261 A KR1020050064261 A KR 1020050064261A KR 20050064261 A KR20050064261 A KR 20050064261A KR 20060053085 A KR20060053085 A KR 2006005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main body
filter
longitudinal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710B1 (ko
Inventor
야스히로 모테기
마유미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종래의 공기흡입구의 형태에 대체하여, 청소가 쉬운 형태의 공기흡입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수용된 공기조화기 본체(2)와, 이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패널(7)을 구비하고, 공기조화기 본체(2)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그물형상의 필터(9)가 배치된 공기흡입구(5)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이다. 그리고, 공기흡입구(5)는 공기조화기 본체(2)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20)에 의하여 그 전체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장공(20)이 전후에 이르는 복수의 종리브만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구분흡입구(5A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기조화기, 공기흡입구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종단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필터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 상면에 있어서 공기흡입구 부분의 부분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공기조화기 2 : 공기조화기 본체
3 : 열교환기 4 : 송풍기
5A : 상면의 공기흡입구 6 : 필터
7 : 전면패널 9, 9D : 필터지지레일부
11 : 공기취출구 20 : 장공
21 : 종리브 22 : 보강리브
S : 종리브의 폭치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본체 내에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배치되고, 내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공기흡입구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 본체 내에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배치되고, 안쪽에 필터가 배치되는 공기흡입구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과 전면에 형성된 공기조화기가 있다. 이 경우, 공기흡입구는 그 안쪽의 필터 등의 가리개를 하는 것과 같은 디자인적 고려에 의하여, 다수의 횡잔과 이 횡잔을 보강하는 복수의 종잔으로 연결된 격자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 2003-19436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횡잔 상호의 간격이 좁고, 그 때문에 횡잔과 종잔의 외표면에 있어서, 오염된 곳의 청소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정면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된 공기흡입구를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하지 않고, 상면에만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 주된 공기흡입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본체의 정면에도 공기흡입구를 설치 한 경우는, 이 정면의 공기흡입구는 정면으로부터 직시하기 어렵도록 가리개를 하는 등이 고려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공기조화기 본체 상면의 공기흡입구는 다수의 횡잔과 이 횡잔을 복수의 종잔으로 연결해서 횡잔을 보강하는 형태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공기의 흡입저항이 크게 되고, 그 만큼 열교환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게다가, 공기조화기의 상면으로 손을 끼워서 하는 공기흡입구 부분의 청소도 횡잔과 종잔의 표면을 닦아 내는 작업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 공기흡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종래의 공기흡입구의 형태를 대체해서, 청소가 쉬운 형태의 공기흡입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청소의 용이함과 함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공기흡입구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흡입구 부분의 강도가 확보될 수 있으면서도, 필터의 삽입의 방해물이 되지 않는 보강형태의 공기흡입구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수용된 공기조화기 본체와, 이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그물형상의 필터가 배치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에 의하여 그 전체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장공이 전후에 이르는 복수의 종리브만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구분흡입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분흡입구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리브는 좌우의 폭치수가 10~30mm 로 설정된 광폭의 것으로 하고, 또한 외면의 중앙위치에는 그 종리브의 전장에 걸치는 외향으로 돌출된 보강리브가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리브의 내면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수용된 공기조화기 본체와, 이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그물 형상의 필터가 배치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에 의하여 그 전체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장공이 전후에 이르는 복수의 종리브만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구분흡입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기재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종단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필터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 상면의 공기흡입구 부분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1)는 실내벽에 걸 수 있는 타입의 벽걸이식 실내용 공기조화기이고, 냉매의 압축기와 응축기와 이들의 열교환용 송풍기 등을 수납한 실외기로 일조의 분리형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공기조화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열교환기(3)와 송풍기(4)가 수용되고, 상면에 실내공기를 받아들이는 큰 면적의 공기흡입구(5A)가 형성되고, 이 공기흡입구(5A)의 내측에는 그물형상의 필터(6)가 배치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는 공기조화기 본체(2)와 전면 패널(7)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2)는 공기조화기(1)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기체부(2A)와, 그 기체부(2A)의 전면측에 편성된 커버부(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2B)는 전후로 개구해서 공기조화기(1)의 외형 형상을 한 테두리 형상을 이루고, 전면패널(7)은 커버부(2B)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그 커버부(2B)의 좌우상단부에 축지지부(8)로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체부(2A)의 전면측에는 열교환기(3)과 송풍기(4)와 전기장치상자 등이 설치되고, 커버부(2B)가 이들의 주위를 덮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1)를 실내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실내벽에 고정된 고정판(미도시)에 대응해서, 상기 기체부(2A)의 배면부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3)와 송풍기(4)는 공기조화기 본체(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역V자 형상으로 배치된 전면측 열교환부(3A)와 후면측 열교환부(3B)로 구성되어 있고, 전면측 열교환부(3A)는 하부가 후방으로 굴곡된 부분(3A1)을 형성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열교환기(3)는 병렬배치된 다수의 알루미늄 박판(P)에 냉매 파이프(Q)가 관통배치된 플레이트핀형 열교환기의 구성이다. 송풍기(4)는 횡축(4B)에 지지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날개(4A)가 원주에 배치된 횡류식 팬이고, 그리고 이 송풍기(4)는 열교환기(3)의 내측에 배치되어, 대략 열교환기(3)의 좌우 전폭에 이르는 길이를 가진다.
공기조화기(1)는 송풍기(4)의 운전에 의하여 열교환기(3)와 열교환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5A)가 상면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또한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6)는 필터망이 그 주변에 형성되는 합성수지제 테두리를 사출성형함과 동시에 이 합성수지제 테두리와 일체성형된 것이고, 좌우 각 1매를 일조로 하고 있다.
상기 각 필터(6)는 전면 패널(7)을 개방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 본체(2)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필터지지레일부(9)와, 그 중간부에 형성된 필터지지레일부(9)(도 3에서 9D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9C는 칸막이벽이고, 이 칸막이벽(9C)은 필터(6)의 두께와 동일하다.)에 대응해서, 커버부(2B)의 전면 개구측에서 상방으로 향하는 슬라이드식의 삽입에 의하여 떼어 내고 자유자재로 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좌우일조의 필터(6)는 각각 좌우 양연부가 필터지지레일부(9) 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흡입구(5A)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3)의 전면측과 상면측의 전역을 덮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터(6)를 필터지지레일부(9, 9D)에 슬라이드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필터(6)가 열교환기(3)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의 필터지지레일부(9)사이에 이르는 횡잔(9A)과, 이 횡잔(9A)의 상호로 상하에 이르는 종잔(9B)에 의하여 격자형상의 필터지지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다.
공기조화기(1)는 도시된 형태의 열교환기(3)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의 상면전단부와 전면패널(7)의 상하 중간부의 쌍방으로 세로보다 가로의 길이가 긴 공기흡입구(5B, 5C)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흡입구(5B)는 전면패널(7)의 상단부에 상기한 좌우의 축지지부(8)의 사이를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고, 한편, 전면측의 공기흡입구(5C)는 상기 전면패널(7)에 형성된 세로보다 가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의 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10은 공기청정필터이고, 상기 필터(6)보다도 더한 정도의 높은 공기정화작용을 행하는 화학섬유제의 필터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풍기(4)의 운전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와 열교환하는 공기의 주된 양은 흡입구(5A)로부터 흡입되어, 필터(6)를 통과하여 열교환기(3A, 3B)와 열교환하지만, 공기흡입구(5B)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주로 필터(6)와 공기정화필터(10)를 통해서 전면측 열교환부(3A)로 흡입되고, 그리고 공기흡입구(5C)에서 흡입된 공기는 주로 필터(6)를 통해서 전면측 열교환부(3A)의 하부 부분(3A1)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4)의 운전에 의하여 열교환기(3A, 3B)와 열교환한 후의 조화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전면하부에 형성된 세로보다 가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의 공기취출구(11)에서 전방으로 취출된다. 상기 공기취출구(11)에는 축(12A)에 의해 상하 작동하도록 축지지된 상하동풍향판(12)과, 취출하는 공기흐름을 좌우의 복수 흐름으로 분활하는 좌우동풍향판(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기(3A, 3B)에서 아래로 흐르는 이슬은 그 하방의 이슬받침접시(14, 15)로 받아서 실외로 배출한다.
상기 공기흡입구(5A)는 공기조화기 본체(2)의 상면의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20)에 의하여 그 전체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장공(20)이 전후에 이르는 복수개(실시예에서는 5개)의 종리브(21)만에 의해 대략 구분된 복수의 구분흡입구(5A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구분흡입구(5A1)는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구분흡입구로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종리브(21)에 의하여 대략 구분되는 것에 의하여, 장공(20)의 공연간이 적절한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되므로, 장공(20)의 주연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각 종리브(21)는 좌우의 폭치수 S가 약 10~20mm(실시예에서는 약 20mm)로 설정되어 종래보다도 폭 넓게 형성된 것이고, 외면의 중앙위치에는 그 종리브(21)의 전장에 이르며 외향으로 길게 돌출된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종리브(21)의 내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각 종리브(21)의 구성은 이들 각 종리브(21)의 강도확보와, 종리브(21)의 내측에 삽입되는 필터(6)의 삽입의 방해물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필터(6)는 필터(6) 주연의 테두리가 좌우의 필터지지레일부(9, 9D)를 따라 슬라이드해서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그 안쪽의 지지부(횡잔(9A)과 종잔(9B)로 형성)와 종리브(21)의 안쪽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종리브(21)의 내측에 당접 또는 근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 때문에, 각 구분흡입구(5A1)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섞인 먼지와 티끌은 필터(6)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고, 열교환기(3A, 3B)의 핀 P의 눈막힘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6)의 삽입의 경우에, 종리브(21)의 평탄한 내면이 필터(6)의 상면측의 삽입가이드면으로 되므로, 필터(6)의 삽입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좌우 일조의 필터(6)의 서로 이웃하는 단연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레일부(9D)와, 필터(6)의 종잔(9B)을,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리브(21)의 안쪽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6)의 상하면이 이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안정한 삽입이 행해진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필터(6)의 종잔(9B)이 흡입구(5A)의 종리브(21) 사이에 노출되는 경우에, 공기의 흡입저항이 그 만큼 크게 되므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상기한 것과 같이, 필터지지레일부(9, 9D)와, 필터(6)의 종잔(9B)을 종리브(21)의 안쪽에 대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저항이 증가할 염려가 없다. 또한, 필터(6)의 횡잔(9A)도 흡입구(5A)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면, 한층 바람직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기(1)의 상면의 공기흡입구(5A)는 실내의 벽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직접 눈으로 보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종래와 같이 다수의 횡잔에 의하여 그 내측의 필터 등의 가리개와 같은 디자인적 고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기흡입구는 열교환기(3)의 형상 이나 공기유로의 형태에 의하여, 공기조화기(1)의 상면만의 공기흡입구(5A)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기흡입구(5A)의 전체형상을 형성하는 세로보다 가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20)은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종리브(2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어림잡은 구분흡입구(5A1)에 의하여 구분되므로, 주된 공기의 공기흡입구가 크게 되고, 다수의 횡잔이 존재하는 것에 비하여, 흡입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3A, 3B)와 열교환하는 공기의 양을 확보하기 쉽게 된다. 그리고, 공기흡입구(5A)에는 복수개의 종리브(21)만 형성되어 횡잔이 없으므로, 공기흡입구(5A) 부분의 청소는 종리브(21)를 전후 방향으로 닦아 내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청소가 용이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효과를 얻기 위하여, 공기흡입구(5A)에는 횡잔을 설치하지 않고, 종리브(21)만을 설치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기흡입구(5A)의 전체형상이 너무 크게 되고, 장공(20)의 전후연의 거리가 길게 되는 정도가 지나친 경우에는, 횡폭이 넓은 종리브(21)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장공(20)의 주연부의 강도와 종리브(21)의 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3)가 역V자 형상 이외의 형태라도 좋으며, 또한 공기흡입구는 공기조화기의 상면에만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각종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의 공기흡입구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에 의하여 그 전체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장공이 전후에 이르는 복수의 종리브만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구분흡입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종래와 같은 간격이 좁은 횡잔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오물이 부착되는 부분이 적게 되고, 청소도 간단히 할 수 있다. 게다가, 실질적으로 횡잔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기흡입구 부분을 닦아 내는 작업도 종리브를 전후로 닦아 내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청소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공기흡입저항도 적게 되므로, 송풍기를 대형으로 하지 않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복수의 구분흡입구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이므로, 횡잔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강도 증가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3 및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보강리브에 의하여 종리브의 보강이 가능하고, 그 보강에 의한 구성도 종리브의 안쪽에는 보강리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기흡입구의 안쪽에 삽입되는 필터의 착탈조작에도 방해물이 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4)

  1.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수용된 공기조화기 본체와, 이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그물형상의 필터가 배치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장공에 의하여 그 전체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장공이 전후에 이르는 복수의 종리브만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구분흡입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분흡입구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리브는 좌우의 폭치수가 10~30mm 로 설정된 광폭의 것으로 하고, 또한 외면의 중앙위치에는 그 종리브의 전장에 걸쳐 외향으로 돌출된 보강리브가 일 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리브의 내면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064261A 2004-08-25 2005-07-15 공기조화기 KR100679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5259 2004-08-25
JP2004245259 2004-08-25
JPJP-P-2005-00141102 2005-05-13
JP2005141102A JP2006090694A (ja) 2004-08-25 2005-05-13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085A true KR20060053085A (ko) 2006-05-19
KR100679710B1 KR100679710B1 (ko) 2007-02-06

Family

ID=3623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261A KR100679710B1 (ko) 2004-08-25 2005-07-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90694A (ko)
KR (1) KR100679710B1 (ko)
TW (1) TWI2915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00B1 (ko) * 2009-09-09 2014-01-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122A (ja) * 2007-01-15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6808015B2 (ja) * 2017-03-03 2021-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47B1 (ko) * 2002-04-19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100861954B1 (ko) * 2002-11-11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00B1 (ko) * 2009-09-09 2014-01-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1536B (en) 2007-12-21
JP2006090694A (ja) 2006-04-06
TW200607962A (en) 2006-03-01
KR100679710B1 (ko)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0232B1 (en) Heat exchanging ventilator
US7752863B2 (en) Air conditioner
KR2008005197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79710B1 (ko) 공기조화기
KR2005011621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CN110736149A (zh) 一种具有换新风功能的一体式空调
KR20070044291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00541038C (zh) 分体式空调器的排出格栅
KR10057531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819632B1 (ko) 공기조화기용 케이스 구조
JP3608385B2 (ja) 空気調和機
KR10125750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9243743U (zh)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3004271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119664U (zh) 空调器
KR101250159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715336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개폐도어 구조
KR200180353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JPH0334569Y2 (ko)
KR101081217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베이스구조
KR2007005383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47684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필터 삽입구조
KR0139329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JP202406027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