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650A - 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650A
KR20060052650A KR1020057004347A KR20057004347A KR20060052650A KR 20060052650 A KR20060052650 A KR 20060052650A KR 1020057004347 A KR1020057004347 A KR 1020057004347A KR 20057004347 A KR20057004347 A KR 20057004347A KR 20060052650 A KR20060052650 A KR 2006005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server
receiving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야마시타
준 모리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4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유저에 대해서,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발신원인 방송국의 명칭을, 간단하고 쉽게 알린다. 라디오 수신기(2)는,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인터넷(5)을 통해서, 정보 제공 서버(3)에 대해서 송신한다. 정보 제공 서버(3)에서는,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와 지역 데이터에 근거해,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을 특정하고, 특정된 방송국에 대응하는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해서 송신한다. 라디오 수신기(2)는, 수신한 문자열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에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한다.
정보제공, 방송국, 방송신호, 콘텐츠, 라디오 수신기

Description

정보제공방법{INFORMATION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예를 들면 라디오 수신기나 텔레비전 등의 방송 수신장치와,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가 접속하고 있는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접속되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장치, 및 이 방송 수신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송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가능하여,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의 명칭을 특정해서 통지하는 방송국 통지 서버, 및 이 방송국 통지 서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송국 특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3년 7월1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03-274302, 일본국에서 2003년 9월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03-313167 및 일본국에서 2003년 10월1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번호 2003-352897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한 것으로, 이들의 출원은 참조되는 것에 의해, 본 출원에 수용되어 있다.
소위 세트 오디오나 단품 콤포넌트 등의 오디오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이나, 휴대용 오디오, 자동차에 설치된 오디오 등에 구비되어 있는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라디오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써 유저가 악곡 등의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다.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유저에 의해 수신한 방송 신호의 주파수가 선택된다. 유저는 수신한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라디오국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라디오국에서는 인터넷상에서 각 국 고유의 정보를 공개하고 있고, 시청자에게 예를 들면 방송 신호의 송신과 동시에, 예를 들면 라디오 수신기로 청취되는 악곡의 명칭이나 연주자명, 방송되고 있는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CD의 명칭이나 번호 등 청취되는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 등은 인터넷 기능을 갖는 오디오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1참조). 이 오디오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 에 의하면, 유저가 프로그램을 청취하면서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얻는 것이 1대의 전자기기로 실현가능해진다.
비특허 문헌1: 소니 주식회사, "비트플레이 스타일(bitplay Style)", [online], [평성15년 6월 26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sony.jp/products/bitplay/bitplay_style/>
그런데, 각 라디오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는 수신가능한 지역이 한정되기 때문에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라디오국은 같은 주파수의 전파를 사 용하여 다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0.OMHz를 사용하고 있는 방송국은 수도권과 북동북 지방에서 다르다.
따라서,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주파수는 특정할 수 있지만,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은 특정할 수 없다. 또한, 유저는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인식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라디오국의 명칭을 지역마다 나타낸 테이블을 입수하여 참조하는 등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한다.
또한, 유저는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를 얻는 경우에도 라디오 수신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역과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인식한 후에 라디오국이나 프로그램 등의 홈 페이지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은 인터넷 기능을 갖는 오디오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에서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유저는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를 홈 페이지로부터 얻는 경우에도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번잡한 작업을 회피하기 위하여, 지역마다 주파수와 라디오국의 명칭이 대응되게 기억된 기억부를 탑재한 라디오 수신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기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과,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라디오국을 특정하고,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라디오 수신기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는 라디오 수신기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과 함께, 예를 들면 주위에 있는 건물 등 라디오 수신기가 사용되고 있는 환경에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전파방송 기지국(100)과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1)이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의 전파방송 기지국(100)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가능한 지역 A와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1)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가능한 지역 B가 중복할 경우가 생긴다. 즉, 지역 A와 지역 B가 중복하는 영역에서 사용되는 라디오 수신기는 제1의 전파방송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와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의 양쪽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B에 들어가지만 지역 A의 경계에 가깝고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1)측에 높은 건조물이 건설되어 있는 장소에서 라디오 수신기를 사용하면, 라디오 수신기는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1)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제1의 전파방송 기지국(100)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디오 수신기의 유저가 유선방송에 가입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선방송국에서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1) 등에서 송신된 방송 신호를 일괄적으로 수신하여, 유선으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송신하고 있다.즉, 라디오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는 제1 및 제2의 전파방송 기지국(100, 101) 등에서 송신되는 주파수와는 다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환경의 영향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에는, 라디오 수신기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변경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라디오국이 새롭게 개설되거나 폐쇄되었을 경우 등에 새로운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지역마다 주파수와 라디오국의 명칭이 대응하여 기억된 기억부를 탑재한 라디오 수신기에서는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특정할 때의 정밀도가 불충분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저가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의 방송국을 간단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 및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의 방송국을 유저에게 간단하고 쉽게 인식시킬 수 있는 방송 수신장치 및 정보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송 수신장치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의 방송국을 간단하고 쉽게 정밀도 좋게 특정하여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는 방송국 특정 서버 및 방송국 특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은,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 송국 특정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유저 송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 상기 주파수 데이터 및 지역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기억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기억수단과,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검색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 을 거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수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저 송신수단은, 상기 지역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수신수단은, 상기 유저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지역 데이터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검색 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지역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송신 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유저 수신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방송 수신장치는,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수신하고 있는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로부터 송신된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방송국 특정 서버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국 데이터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정보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제공방법은,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방송 신호의 발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는 제1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송신하는 제1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가, 상기 제1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의 수신 스텝과, 상기 제1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1의 검색 스텝과, 상기 제1의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2의 송신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수신방법은,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의 정보수신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상기 방송 신호의 발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와 접속하는 제1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방송국 특정 방법은,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고 있는 방송국 특정 서버의 방송국 특정 방법으로,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어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하는 스텝과,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제공 시스템, 방송 수신장치, 방송국 특정 서버, 정보제공방법, 정보수신방법 및 방송국 특정 방법에서는,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와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지역 데이터와 주파수 데이터에 의거하여,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의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국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제공 시스템, 방송 수신장치, 방송국 특정 서버, 정보제공방법, 정보수신방법 및 방송국 특정방법에서는,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송 수신장치의 유저에 대하여,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을 알리는 것이 가능 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제공 시스템은,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국의 명칭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방송국의 명칭을 나타내는 방송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방송국명 데이터,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 및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방송국 특정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방송국 특정 데이터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는,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국 특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의 명칭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방송국명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방송국의 명칭을 나타내는 방송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방송국명 데이터,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 및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방송국 특정 데이터로서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는 방송국 특정 데이터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방송국 특정 서버는,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의 명칭을 나타내는 방송국명 데이터,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 방송국 특정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제공방법은,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의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방송국의 명칭을 입력하는 방송국명 입력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방송국명 입력 스텝에서 입력된 방송국의 명칭으로부터 방송국명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송국명 데이터 작성 스텝과, 상기 방송국명 데이터 작성 스텝에서 작성된 방송국명 데이터, 상기 방송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 및 당해 방송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낸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방송국 특정 데이터로서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서버가, 상기 제1의 송신스텝에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방송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기록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정보제공 시스템, 방송 수신장치, 정보제공방법 및 방송국 특정 서버에서는, 방송 수신장치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방송국명으로부터 방송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한 방송국명 데이터와, 주파수 데이터와,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 방송국 특정 데이터로서 방송국 특정 서버에 송신한다. 그리고, 방송국 특정서버는,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방송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수단에 기록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정보제공 시스템, 방송 수신장치, 정보제공방법 및 방송국 특정 서버에 의하면, 방송국 특정 서버에 구비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을 정밀도 좋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저에 대해서 라디오 국명을 간단하고 쉽게 또한 정밀도 좋게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인접하는 다른 지역에 대하여 FM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2개의 전파방송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FM방송 신호의 수신 가능영역이 일부 중복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라디오 수신기가 사용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송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인접하는 영역에 대하여 송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유선방송에 가입하고 있을 경우에, 유선방송국이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송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라디오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관리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지역특정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관리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이다.
도 8은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라디오 수신기와 정보제공 서버 사이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라디오 수신기와 정보제공 서버 사이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라디오 수신기와 정보제공 서버 사이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동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라디오국 특정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동정보제공 시스템에서, 라디오 수신기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 호의 송신원을 특정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동정보제공 시스템에서, 라디오국 특정 서버의 테이블에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1이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4c 및 도 14d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가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a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 및 지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가 라디오 수신기(2)로 송신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5b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의 등록 회수를 늘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CD 판매 서버 및 콘텐츠 분배 서버를 구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CD 판매 서버에 의한 CD의 판매 또는 콘텐츠 분배 서버에 의한 콘텐츠의 분배를 행할 때에, 라디오 수신기, 정보제공 서버, CD 판매 서버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수 신기(2)와, 정보제공 서버(3)와, 인터넷(5)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터넷(5)에 접속되는 라디오 수신기(2)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
라디오 수신기(2)는 라디오국으로부터 송신된 FM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여, 음을 내보낸다. 또한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 및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라디오 국명에 대응하는 라디오 국명 데이터와, 주파수 데이터와, 지역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한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의 명칭을 입력하여 라디오 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한 라디오 국명 데이터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와,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로서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한다.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국 데이터나,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가 정보제공 서버(3)로 부터 라디오국 데이터나 관련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등록이나 로그인 등을 행한다.
다음에, 도 5를 사용하여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라디오 수신기(2)는 각 라디오국에서 송신되는 FM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1)와, 안테나(21)가 수신하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동시에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된 FM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튜너(22)와, 튜너(22)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근거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3)를 구비한다.
또한, 라디오 수신기(2)는 유저가 각부의 동작을 지정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24)와, 인터넷(5)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25)와, 조작부(2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나 송수신부(25)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등에 근거하여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6)와, 조작부(2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나 송수신부(25)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27)와, 각부를 제어하는 CPU(중앙 처리 유니트)(28)를 구비한다.
또한, 안테나(21)와, 튜너(22)와, 스피커(23)와, 조작부(24)와, 송수신부(25)와, 표시부(26)와, 메모리(27)와, CPU(28)는 각각 버스(29)에 접속하고 있다.
튜너(22)는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되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한다.즉,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는 튜너(22)에 의해 선택되는 주파수가 된다. 또한, 튜너(22)는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된 FM방송 신호를 가청주파수로 변환한다. 튜너(22)가 선택하는 주파수는 유저에 의해 결정된다. 유저는 예를 들어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튜너(22)에 의해 선택되는 주파 수를 결정한다(이하, 튜닝이라고도 한다).
조작부(24)는 유저가 표시부(26)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할 때나, 송수신부(25)를 거쳐서 정보제공 서버(3)에 정보를 송신할 때 등에 조작된다. 또한, 유저는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프리세트(pre-set) 넘버를 입력할 수 있다. 프리세트 넘버는 특정한 주파수에 대응시킬 수 있어, 유저가 프리세트 넘버를 입력하면 튜너(22)는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되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로서, 입력된 프리세트 넘버에 대응시킨 주파수를 선택한다. 또한, 유저는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라디오 국명을 입력한다.
송수신부(25)는 라디오 수신기(2)와, 정보제공 서버(3)와, 인터넷(5)을 통하여 접속한다. 송수신부(25)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24)의 조작에 따라 인터넷(5)을 통하여 기기 ID나, 유저 ID, 패스워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콜 사인, 우편번호에 대응하는 우편번호 데이터, 튜너(22)에 의해 선택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정보제공 서버(3)로 송신한다. 또한, 인터넷(5)을 통해 수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콜 사인 및 문자열 데이터나, 수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25)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24)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정보제공 서버로 송신한다.
표시부(26)는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 등을 표시한다. 또한, 송수신부(25)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 기(2)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 국명,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라디오 국명, 및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27)는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데이터나, 각 프리세트 버튼과 대응시켜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 송수신부(25)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관련 정보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CPU(28)는 각부를 제어한다. 또한, ROM(Read Only Memory)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튜닝된 라디오국의 주파수 데이터와,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하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정보제공 서버(3)로 송신한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수신되는 조작부(24)에 의해 선택된 라디오국을 특정하는 콜 사인과, 라디오 국명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열 데이터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또한, 조작부(24)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된 라디오 국명으로부터 라디오 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한 라디오 국명 데이터와, 수신중의 FM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로서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역 데이터로서 우편번호를 나타내는 우편번호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우편번호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일본 전국을 12000개소로 세분화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라디오 국명을 더욱 정밀도 좋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국명 데이터를 수신중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와 관련시켜 메모리(27)에 기록함으 로써 등록한다.
다음에,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보제공 서버(3)는 단말관리 서버(31)와, Now on Air(이하, NoA라고 한다) 서버(32)를 구비한다.
단말관리 서버(31)는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31A)와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베이스(31B)를 구비한다.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31A)는 라디오 수신기(2)의 기기 ID와, 기기 ID에 대응하는 유저 ID 및 패스워드를 기억한다. 또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베이스(31B)는 지역특정 테이블과,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과, 각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문자열 데이터 및 콜 사인을 기억한다.
지역특정 테이블은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되는 지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특정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역 데이터로서 우편번호에 대응하는 우편번호 데이터가 사용되고, 우편번호 데이터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특정하는 테이블이다.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와 라디오국과의 관계를 지역마다 나타낸 테이블이다.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은 예를 들면 새로운 라디오국이 개국했을 때 등에는 바꿔 쓸 수 있다. 또한, 도 7은 수도권에 있어서의 주파수와 라디오국과의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문자열 데이터는, 라디오 수신기(2)의 표시부(26)에 라디오 국명을 표시시키 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콜 사인은, 각 라디오국마다 부여된 데이터로, 예를 들면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콜 사인을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하면, 정보제공 서버(3)가,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콜 사인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NoA 서버(32)는, NoA데이터베이스(32A)를 구비한다. NoA 데이터베이스(32A)는, 라디오국으로부터 차차 송신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시간마다 기억한다. 각 라디오국은, NoA서버(32)에 대하여, 송신중의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차차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송하고 있는 악곡의 곡명, 연주자명, 연주 시간, CD번호,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스폰서 정보등을 송신한다. NoA 서버(32)에서는, 라디오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NoA데이터베이스(32A)에 기록한다. 또한 NoA서버(32)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되는 NoA접속 요구에 따라, NoA데이터베이스(32A)에 기억되어 있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송신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 행해지는 라디오 수신기(2)와 정보제공 서버(3)와 라디오국과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우선,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는, 단말관리 서버(31)에 대하여 유저 등록 요구를 송신한다(스텝ST1). 구체적으로는, 단말관리 서버(31)에 대하여, 기기 ID가 송신된다.
다음에, 단말관리 서버(31)는, 유저 등록을 완료시킨다(스텝 ST2). 구체적으 로는, 기기 ID에 대응한 유저ID와 패스워드를 발행하고,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유저 등록이 완료한 라디오 수신기(2)의 기기 ID와, 기기 ID에 대응해서 발행된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고객인증 데이터베이스(31A)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유저가 라디오 수신기(2)를 튜닝한다(스텝 ST3). 튜닝되면, 라디오 수신기(2)는, 표시부(26)에,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한다(스텝ST4, 스텝ST5).
여기서, 라디오 수신기(2)가 표시부(26)에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할 때에, 라디오 수신기(2)와 정보제공 서버(3)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유저가 라디오 수신기(2)를 튜닝함에 의해, 튜너(22)가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되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한다(스텝ST51). 튜너(22)가 선택한 주파수는, CPU(28)에 의해 특정된다(스텝ST52). 또, CPU(28)에 의해 특정된 주파수가 프리세트 넘버와 대응시켜서 기억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CPU(28)에 의해 특정된 주파수를, 프리세트 넘버에 대응시켜서 기억시켜도 된다(스텝ST53).
다음에,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우편번호를 입력한다(스텝ST54). 다음에, 튜너(22)가 선택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스텝ST54에서 입력된 우편번호에 대응하는 우 편번호 데이터가, 송수신부(25)를 거쳐서 단말관리 서버(31)에 송신된다(스텝ST55).
다음에, 단말관리 서버(31)가,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와 우편번호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ST56). 그리고, 우편번호 데이터와 지역특정 테이블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특정한다(스텝ST57).예를 들면 스텝ST54에서 우편번호 106으로 입력되었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지역특정 테이블로부터,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은, 수도권이라고 특정된다. 다음에, 스텝ST57에서 특정된 지역에 근거하여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을 선택하고, 선택한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과 주파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짜넣는다(스텝ST58). 예를 들면 스텝ST57에 있어서, 라디오 수신기(2)가 수도권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을 선택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과 스텝ST56에서 수신한 주파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짜넣는다.
다음에, 스텝ST60에서, 단말관리 서버(31)는,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이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을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이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ST61에 진행되고,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이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기록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스텝ST80으로 진행된다.
스텝ST61에서, 단말관리 서버(31)는,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이 1국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1국일 때에는 스텝ST62로 진행되고, 2국 이상일 때에는 스텝ST70으로 진행된다.
스텝ST62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는,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스텝ST61에서 후보로서 들 수 있었던 라디오국에 특정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가 80.OMHz일 때에는,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은 A방송국(FM동경)만이 되므로, A방송국에 특정한다.
다음에, 스텝ST63에서, 단말관리 서버(31)는, 스텝ST62에서 특정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ST64에서, 라디오 수신기(2)가, 단말관리 서버(31)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수신하고, 표시부(26)에 문자열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하고, 메모리(27)에 콜 사인을 기록해서 스텝ST85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ST70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는,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의 후보가 복수가 되는 취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테이블에서는, 주파수가 84.7MHz일 때에는, 후보가 되는 라디오국으로서, C방송국(FM Yokohama)과 D방송국(NHK-Yamanashi)의 2국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스텝ST71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는, 스텝ST70에서 인식된 복수의 라디오국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ST72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단말관리 서버(31)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수신한다.
그리고, 스텝ST73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단말관리 서버(31)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26)에, 복수의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T74에서는, 유저가, 표시부(26)에 표시된 복수의 라디오국 중에서 1국을 선택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 방송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특정한다.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이 특정되면, 라디오 수신기(2)는, 표시부(26)에 특정된 라디오국의 명칭만을 표시한다. 또한, 메모리(27)에 특정된 라디오국의 콜 사인을 기록하고, 스텝ST85에 진행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스텝ST80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는,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의 후보국이, 스텝ST58에서 선택된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취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 텔레비전국이 FM방송 신호의 재송신을 행하고 있을 때 등에는,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표시되지 않고 있는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송신된 FM방송 신호가,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될 경우가 있다.
다음에, 스텝ST81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는,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우편번호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전 라디오국 각각의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ST82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단말관리 서버(31)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수신한다.
그리고, 스텝ST83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단말관리 서버(31)로부터 송신된 문자열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26)에, 복수의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T84에서는, 유저가, 표시부(26)에 표시된 복수의 라디오국 중에서 1국을 선택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특정한다.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이 특정됨으로써, 라디오 수신기(2)는, 표시부(26)에 특정된 라디오국의 명칭을 표시하고, 메모리(27)에 특정된 라디오국의 콜 사인을 기록하고, 스텝ST85로 진행된다.
스텝ST85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는, 특정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문자열 데이터와 콜 사인을, 튜너(22)가 선택하고 있는 주파수와 함께, 프리세트 넘버에 대응시켜서 메모리(27)에 대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라디오 수신기(2)는,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때, 유저의 희망이 없을 때에는, 스텝ST85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도 8로 되돌아가서,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는, 단말관리 서버(31)에 대하여 로그인 요구를 송신한다(스텝ST6). 구체적으로는, 라디오 수신기(2)는, 단말관리 서버(31)에 대하여, 기기 ID와,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송신한다.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의 로그인 요구를 받으면, 단말관리 서버(31)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공급된 기기 ID와, 유저 ID와, 패스워드가 고객 인증 데이터베이스(31A)에 기억되어 있는 취지를 확인한 후에 패스포트 번호를 발행하고, 라디오 수신기(2)에 송신함으로써, 로그인을 완료시킨다(스텝ST7). 이때,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 패스포트 번호를 사용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는, 단말관리 서버(31)에 의한 기기 ID와, 유저 ID와, 패스워드와의 확인을 받지 않고, 직접 NoA서버(32)에 대하여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스포트 번호는, 인증 티켓이다. 패스포트 번호는, 발행 후 소정의 시간만큼 유효로 된다.
로그인이 완료하면, 라디오 수신기(2)는, NoA서버(32)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마다,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NoA접속 요구를 송신한다(스텝ST8). 구체적으로는, NoA서버(32)에 대하여, 패스포트 번호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콜 사인을 송신한다. NoA 접속 요구의 송신은, 소정 시간마다 행해진다.
NoA 서버(32)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되는 패스포트 번호가, 단말관리 서버(31)에서 정확하게 발행된 유효 인증 티켓인가 아닌가, 단말관리 서버(31)에 패스포트 번호 확인 요구를 행한다(스텝ST9). 단말관리 서버(31)는, NoA서버(32)로부터 받은 패스포트 번호가 고객 인증 데이터베이스(31A)에 기억되어 있을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패스포트 번호확인 응답으로서 NoA서버(32)에 회신한다(스텝ST10). NoA 서버(32)는, 라디오 수신기(2)가 수취한 패스포트 번호가 단말관리 서버(31)에서 정확하게 인증되면, NoA서버 인증 티켓을 발행해 NoA데이터베이스(32A) 에 기억하고, 발행한 NoA서버 인증 티켓을 라디오 수신기(2)에 송신한다(스텝ST11).
라디오 수신기(2)는, NoA서버(32)에 옳은 것이 인증되면, NoA서버(32)에 콜 사인에 근거해 NoA요구를 행한다(스텝ST12).
NoA 서버(32)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NoA서버 인증 티켓과 콜 사인을 받고,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받은 NoA서버 인증 티켓이 유효하면, 라디오국에 관련 데이터 송신 요구를 행한다(스텝S13).
라디오국은, NoA서버(32)로부터 관련 정보의 제공이 요구되면, NoA서버(32)에 대하여, 송신중의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ST14). 라디오국은, 예를 들면, NoA서버(32)가 NoA요구를 수신한 시간에 방송하고 있었던 악곡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와, NoA요구를 수신한 시간에 방송하고 있었던 악곡의 앞에 방송하고 있었던 악곡의 수 곡분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때, 스텝ST13 및 스텝ST14의 처리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NoA접속 요구가 송신되지 않을 때에도, 소정의 시간마다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0초마다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NoA서버 인증 티켓이 유효한 소정의 기간내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에 NoA요구시에 인증을 행할 필요는 없다. NoA 서버 인증 티켓이 소정의 기간을 넘는 등 무효이었을 경우에는, 단말관리 서버(31)에 재차 NoA요구를 행해 스텝ST8로부터 스텝ST14의 처리를 적절하게 반복한다.
NoA 서버(32)는, 라디오국으로부터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 를 수신하면,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수신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ST15). 라디오 수신기(2)는, NoA서버(32)로부터 송신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메모리(27)에 기록한다. 또한, 수신한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1)에 의하면, 유저는,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 즉, 튜너(22)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주파수의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간단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유저는, 예를 들면, 청취하고 있는 악곡의 명칭이나 연주자명 등, 청취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에 관련된 여러가지의 정보를, 간단하게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는, 단말관리 서버(31)와 NoA서버(32)가 일체화되어 있지만, 각각 별도의 유닛으로서 인터넷(5)에 접속하여도 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 행해지는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라디오 국명을 유저에 통지하는 처리에 대해서, 더 설명을 한다.
이상과 같은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는, 또한,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유저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정보제공 서버(3)는, 이상 설명을 한 기능과 아울러, 또한,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와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주파수 데이터 및 지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해서 기억한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베이스(31B)를 구비한다.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베이스(31B)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지역 데이터와, 주파수 데이터와, 라디오 국명 데이터로 이루어진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기록된 테이블(33)을 구비한다.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베이스(31)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테이블(33)에 기록한다. 테이블(33)에는, 각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라디오 수신기(2)에서 등록된 회수도 기록된다.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 및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면, 테이블(33)을 참조하여, 수신한 주파수 데이터 및 지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검색한다.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검색되었을 때에는, 검색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복수로 검색되었을 때에는, 검색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모두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을 때에는, 지역 데이터가 일치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모두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정보제공 시스템(1)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특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ST86에서, 유저가 라디오 수신기(2)를 튜닝함에 의해, 튜너(22)가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되는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ST87에서는, 튜너(22)가 선택한 주파수가 CPU(28)에 의해 특정된다.
다음에, 스텝ST88에서,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우편번호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T89에서, 라디오 수신기(2)는, 튜너(22)가 선택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스텝ST88에서 입력된 우편번호에 대응하는 우편번호 데이터를, 송수신부(25)에 의해, 인터넷 망(5)을 거쳐서,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한다.
다음에, 스텝ST90에서,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데이터와 우편번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스텝ST91에서, 정보제공 서버(3)는, 스텝ST90에서 수신한 주파수 데이터 및 우편번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여, 판정을 행한다. 주파수 데이터와 우편번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검색되었을 때, 즉, 테이블(33)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이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선택해서 스텝ST92로 진행되고, 주파수 데이터와 우편번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을 때, 즉, 테이블(33)에 기록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스텝ST8로 진행된다.
스텝ST92에서, 정보제공 서버(3)는, 스텝ST91에서 선택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때, 선택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2개 이상일 때에는, 모두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ST95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ST93에서는,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에 송신하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의 후보가, 테이블(33)에 기록되지 않고 있는 취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면, 유선방송국이 FM방송 신호의 재송신을 행하고 있을 때 등에는, 라디오국 특정 테이블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송신된 FM방송 신호가, 라디오 수신기(2)에 의해 수신될 경우가 있다.
다음에, 스텝ST94에서는, 정보제공 서버(3)가,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우편번호 데이터가 일치하는 모든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ST95에 진행된다.
다음에, 스텝ST95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송신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부(26)에, 수신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구성하는 라디오 국명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국명을 표시한다. 이때, 수신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가 복수일 때에는, 모든 라디오 국명을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T96에서, 라디오 수신기(2)는, 표시부(26)에, 수신중의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 국명이 표시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라디오 국명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ST97에서 라디오 국명을 선택하고, 등록해서 종료하고, 라디오 국명이 표시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스텝S98로 진행된다.
스텝S98에서는,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하고,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의 명칭을 입력한다. 라디오 수신기(2)에서는, 입력된 라디오국의 명칭으로부터 라디오 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된 라디오 국명 데이터와, 수신중의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와, 우편번호 데 이터를 관련시켜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로서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S99에서는, 정보제공 서버(3)가,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테이블(33)에 기록한다.
이때, 스텝ST97에서 라디오 국명의 등록을 행했을 때에는, 라디오 수신기(2)는,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등록된 라디오 국명을 나타내는 등록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 데이터는, 예를 들면, 등록된 라디오국의 명칭을 나타내는 라디오 국명 데이터와, 수신중의 FM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와, 라디오 수신기(2)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작성한다.
또한,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등록 데이터를 내용마다 카운트함으로써, 각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의 등록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수가 많은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테이블(33)에 남김으로써, 테이블(33)은, 신뢰성이 높은 것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작성한 신뢰성이 높은 테이블(33)은, 판매 등 다른 용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의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는, 처음부터 등록 회수가 100회 많게 기록되어 있어, 실제의 등록 회수에 관계되지 않고 테이블(33)에 남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스텝S98, 21에 있어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작성할 때, 및, 스텝ST97에서 라디오 국명의 등록을 행했을 때에, 라디오 수신기(2)가,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등록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등록 데이터를 송신하고, 각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의 등록수를 카운트할 때의 정보제공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4a에 나타낸 것처럼, 라디오 수신기(2)가, 우편번호 100-0002을 나타내는 우편번호 데이터, 주파수 80.OHz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 및 D방송국을 나타내는 방송국명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1으로서,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한다(스텝S98).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1을 수신한다. 테이블(33)에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1이 기억되지 않고 있으므로, 정보제공 서버(3)는, 도 14b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블(33)에,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1을 기록한다(스텝S99).
다음에, 도 14c에 나타낸 것처럼, 라디오 수신기(2)가, 우편번호 100-0001을 나타내는 우편번호 데이터, 주파수 79.8Hz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및 D 방송국을 나타내는 방송국명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로서,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한다(스텝S98).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을 수신한다. 테이블(33)에는,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가 기억되지 않고 있으므로, 정보제공 서버(3)는, 도 14d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블(33)에,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을 기록한다(스텝S99).
다음에, 도 15a에 나타낸 것처럼 라디오 수신기(2)가, 우편번호 100-0001을 나타내는 우편번호 데이터, 주파수 79.8Hz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를,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ST89). 정보제공 서버(3)는, 우편번호 100-0001을 나타내는 우편번호 데이터, 주파수 79.8Hz를 나타내는 주파수 데이터를 수신하면(스텝ST90), 수신한 우편번호 데이터 및 주파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라디오 특정 데이터 R12를 검색하고(스텝ST91),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ST92).
라디오 수신기(2)는, 라디오 특정 데이터 R12을 수신해서 등록하면(스텝ST95∼97),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을 등록한 취지를 나타내는 등록 데이터를 작성하고,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송신한다. 정보제공 서버(3)는,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 15b에 나타낸 것처럼,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 R12의 등록수를 1증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라디오 국명으로부터 라디오 국명 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한 라디오 국명 데이터와, 주파수 데이터와, 지역 데이터를 관련시켜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로서, 정보제공 서버(3)에 송신한다. 그리고, 정보제공 서버(3)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라디오국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테이블(33)에 기록한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1)은, 수신중의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을 나타내는 라디오 국명을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테이블(33)의 내용을 재기록가능하고, 예를 들면 라디오국이 개국되었을 경우나, 유선방송에 의해 FM방송 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있을 경우 등에도, 테이블(33)의 내용이 재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1)은,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과, 주파수가, 정확하게 기억된 테 이블(33)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1)에 의하면, 라디오 수신기(2)가 수신하고 있는 FM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라디오국을 정밀도 좋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저에 대하여, 라디오 국명을 간단하고 더욱 정밀도 좋게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상에서 설명한 정보제공 시스템(1)을, CD(Compact Disc)의 온라인 판매 시스템 또는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더 설명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정보제공 시스템(1)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가 인터넷(5)을 거쳐서 CD(Compact Disc) 판매 서버와 접속함으로써, 유저는, 현재 청취하고 있는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CD를 간단하게 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디오 수신기(2)가 인터넷(5)을 거쳐서 콘텐츠 분배 서버와 접속함으로써, 유저는, 현재 청취하고 있는 악곡의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CD 판매 서버(40)와 콘텐츠 분배 서버(45)를 구비한 정보제공 시스템(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정보제공 시스템(1)과 동등한 구성 및 부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CD 판매 서버(40) 및 콘텐츠 분배 서버(45)는, 인터넷(5)을 거쳐서, 라디오 수신기(2)와, 정보제공 서버(3)와 접속하고 있다.
CD 판매 서버(40)는, CD 데이터베이스(40A)를 구비하고 있다. CD 데이터베이스(40A)는, 판매 대상이 되는 CD의 타이틀, 연주자명, CD번호, CD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CD의 판매를 행할 때에 CD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CD특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분배 서버(45)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5A)를 구비하고 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5A)는, 라디오 수신기(2) 등에 분배하는 콘텐츠나, 콘텐츠의 타이틀이나 콘텐츠에 대응한 콘텐츠 번호 등을 나타내는 콘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이때, 정보제공 시스템(50)에서는,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31A)에, 라디오 수신기(2)의 유저가 소유하는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정보제공 시스템(50)에서 CD를 구입하는 방법,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이하에 설명한 것과 같다. 이때, 정보제공 시스템(50)에서 CD를 구입할 때,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는, 도 8에서 설명한 스텝ST11까지의 처리가 종료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우선, 유저가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라디오 수신기(2)와 CD 판매 서버(40) 또는 콘텐츠 분배 서버(45)가, 인터넷(5)을 거쳐서 접속한다(스텝ST101). 유저는, 라디오 수신기(2)를 CD 판매 서버(4)와 접속시킬지 또는 콘텐츠 분배 서버(45)와 접속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유저는,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메모리(27)에 기억되어 있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판독한다(스텝STlO2). 라디오 수신기(2)는, 메모리(27)로부터 판독된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26)에,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6)에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악곡의 관련 정보 이외에, 전에 방송되었던 악곡 수 곡분의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다음에, 유저는,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표시부(26)에 관련 정보가 표시된 악곡 중, CD의 구입을 희망하는 악곡 또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악곡을 선택한다(스텝ST1O3).
유저에 의해 악곡이 선택되면, 라디오 수신기(2)는, 선택된 악곡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선택 코맨드와 함께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악곡의 연주자명, 악곡명, CD번호, 콘텐츠 번호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선택 코맨드와 함께 송신한다(스텝ST1O4).
다음에, 정보제공 서버(3)에서는, 라디오 수신기(2)로부터 송신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스텝ST1에서 라디오 수신기(2)가 CD 판매 서버(40)와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CD번호의 유무를 확인하고, 스텝ST1에서 라디오 수신기(2)가 콘텐츠 분배 서버(45)와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번호의 유무를 확인한다(스텝ST1O5).
이때, CD번호는 CD마다 부여된 번호로, 콘텐츠 번호는 콘텐츠마다 부여된 번호이다. 이하에서는, CD번호와 콘텐츠 번호를 총칭하여, 검색 번호라고도 한다.
정보제공 서버(3)는, CD판매 서버(40) 또는 콘텐츠 분배 서버(45)에 대하여, 스텝ST1O5에서 검색 번호가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검색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하여(스텝ST1O6), 검색 번호가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악곡명이나 연주자명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ST1O7).
CD 판매 서버(40)나 콘텐츠 분배 서버(45)에 대하여 검색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되었을 때에는, CD판매 서버(40)나 콘텐츠 분배 서버(45)는, 검색 번호에 근거하여 CD특정 데이터나 콘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CD특정 데이터나 콘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ST1O8). 라디오 수신기(2)의 표시부(26)에는,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CD의 타이틀이나 콘텐츠의 명칭, 연주자명 등이 표시된다.
또한, CD 판매 서버(40)나 콘텐츠 분배 서버(45)에 대하여 연주자명이나 악곡명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되었을 때에는, CD판매 서버(40)나 콘텐츠 분배 서버(45)는, 연주자명이나 악곡명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CD 특정 데이터나 콘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CD특정 데이터나 콘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를,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ST1O9).
이때, 스텝ST1O9에서는, CD 특정 데이터나 콘텐츠 관련 정보 데이터가,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복수로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26)에 CD의 타이틀이나 콘텐츠의 명칭, 연주자명 등이 복수로 표시되므로(스텝ST11O), 유저는, 조작부(24)를 조작해서 구입을 희망하는 CD나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한다(스텝ST111).
그리고, 유저는, 조작부(24)를 조작함에 의해, 표시부(26)에 표시되어 있는 CD의 구입이나 콘텐츠의 다운로드 등을 행하는 결정을 한다(스텝ST112).
다음에, 라디오 수신기(2)는, 정보제공 서버(3)에 대하여, 구입하는 CD나 다운로드하는 콘텐츠의 관련 정보 데이터를, 구입 코맨드와 함께 송신한다(스텝ST113). 정보제공 서버(3)는, 수신한 데이터를 유저의 크레디트 카드 번호와 관련 시켜서, 관련시킨 정보를, CD판매 서버(40)나 콘텐츠 분배 서버(45)에 송신한다(스텝ST114). CD 판매 서버(40)나 콘텐츠 분배 서버(45)에서는, 정보제공 서버(3)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따라서, CD를 오프라인에서 유저가 원래 배송하거나 또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판매 처리나, 요금 부과처리 등을 행한다(스텝ST11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50)에 의하면, 유저는, 현재 청취하고 있는 악곡의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CD를, 악곡의 명칭이나 연주자명 등을 기억한 후에 구입하는 등의 정성을 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저는, 청취하고 있는 악곡의 콘텐츠를, 악곡명이나 연주자명을 입력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제공 시스템(50)에 의하면, 청취하고 있는 악곡의 콘텐츠를, 간단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콘텐츠 분배 서버(45)에 의해 분배되는 콘텐츠는, 저작권보호를 엄중하게 행할 수 있도록 암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5A)에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독하는 키 데이터를 기억하고,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콘텐츠와 함께 키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보제공 시스템(50)은, 콘텐츠 분배 서버(45)가 라디오 수신기(2)에 대하여 키 데이터만 송신하고, 라디오 수신기(2)가, 소정의 장소에 기억되어 있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를 복사하고, 키 데이터에 의해 암호를 풀음으로써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때, 본 발명이 적용된 방송 수신장치로서, FM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기(2)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AM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기나, 텔레비전 등의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텔레비전에 대하여 적용했을 때에는, 주파수 데이터로서 채널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유저 송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 상기 주파수 데이터 및 지역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기억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기억수단과,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검색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수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저 송신수단은, 상기 지역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수신수단은, 상기 유저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지역 데이터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 응하는 주파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검색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지역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송신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유저 수신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관련 정보제공 서버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련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 데이터를 기억하는 관련 정보 제공 서버 기억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련 정보제공 서버 수신수단과,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관련 정보 데이터로부터 검색하는 관련 정보제공 서버 검색수단과,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 검색수단에 의 해 검색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관련 정보제공 서버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 송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송신수단은, 상기 관련 정보 제공 서버에 대하여 방송국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수신수단은, 상기 관련 정보 제공 서버에 구비된 상기 관련 정보 서버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와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는,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콘텐츠의 분배를 행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는,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분배하는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키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 기억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 수신수단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검색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 검색수단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콘텐츠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송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대하여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수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콘텐츠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판매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와 접속하고 있고,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는, 판매 대상이 되는 기록 매체를 특정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 기억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 수신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기록 매 체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 검색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 검색 수단에 의해 검색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송신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대하여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수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상기 유저 송신수단은, 상기 유저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 중, 원하는 기록매체 특정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는,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송신된 기록 매체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판매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6.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수신하고 있는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어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로부터 송신된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관련 정보제공 서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의 사용에 필요한 키 데이터의 분배를 행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콘텐츠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판매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로부터 송신된, 판매 대상이 되는 기록 매체를 특정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수신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 중, 원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장치.
  10.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따라서 특정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국 데이터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정보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
  11.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방송 신호의 발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는 제1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송신하는 제1의 송신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가, 상기 제1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의 수신 스텝과,
    상기 제1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원이 되는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1의 검색 스텝과,
    상기 제1의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2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제2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관련 정보제공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는 제2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2의 수신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3의 송신 스텝과,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가, 상기 제3의 송신 스텝에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의 수신 스텝과,
    상기 제3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방송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2의 검색 스텝과,
    상기 제2의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4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제4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4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와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키 데이터의 분배를 행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는 제3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4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5의 송신 스텝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가, 상기 제5의 송신 스텝에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5의 수신 스텝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가, 상기 제5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3의 검색 스텝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가, 상기 제3의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6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제6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상기 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6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와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의 판매를 행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는 제4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4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7의 송신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가, 상기 제7의 송신 스텝에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되어 관련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7의 수신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가, 상기 제7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관련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매 대상이 되는 기록 매체를 특정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4의 검색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가, 상기 제4의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8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제8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8의 수신 스텝과,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제8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 중, 원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송신하는 제9의 송신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가, 상기 제9의 송신 스텝에서 송신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판매 처리를 행하는 판매 처리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15.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의 정보수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상기 방송 신호의 발신원인 방송국을 특정하는 방송국 특정 서버와 접속하는 제1의 접속 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당해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어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와를 송신하는 제1의 송신 스텝과,
    상기 방송국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중의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상기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관련 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 스텝과,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에 대하여 상기 방송국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의 송신 스텝과,
    수신하고 있는 방송 신호의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2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수신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콘텐츠의 분배를 행하는 콘텐츠 분배 서버에 접속하는 제3의 접속 스텝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2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3의 송신 스텝과,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데이터의 사용에 필요한 키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3의 수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수신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판매하는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접속하는 제4의 접속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에 대하여, 상기 제2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관련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4의 송신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 판매 서버로부터 송신된, 판매 대상이 되는 기록 매체를 특정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의 수신 스텝과,
    상기 제3의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 중, 원하는 기록 매체 특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5의 송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수신방법.
  19. 선택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방송 수신장치와 네트워크 망을 거쳐서 접속하고 있는 방송국 특정 서버의 방송국 특정방법으로,
    상기 방송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방송 수신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에서 수신된 상기 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지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 수신장치에서 수신되어 있는 방송 신호의 송신원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과,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방송국 데이터를, 상기 방송국 수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국 특정방법.
KR1020057004347A 2003-07-14 2004-05-18 정보제공방법 KR200600526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4302 2003-07-14
JP2003274302 2003-07-14
JP2003313167 2003-09-04
JPJP-P-2003-00313167 2003-09-04
JP2003352897 2003-10-10
JPJP-P-2003-00352897 2003-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650A true KR20060052650A (ko) 2006-05-19

Family

ID=3406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347A KR20060052650A (ko) 2003-07-14 2004-05-18 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40726B2 (ko)
JP (1) JP4386035B2 (ko)
KR (1) KR20060052650A (ko)
WO (1) WO2005006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1226C (zh) * 2005-07-08 2009-02-11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可接收警报的移动通讯装置及其方法
CN101461277A (zh) * 2006-04-04 2009-06-1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无线电接入系统附着
US20090310786A1 (en) * 2008-06-11 2009-12-17 Quintic Holdings Systems for Channel Coordination of Audio and Data Transmission in a Broadcast Band
JP6234443B2 (ja) * 2012-05-17 2017-11-22 ブイティーブイ・セラピューティクス・エルエルシー 糖尿病治療のためのグルコキナーゼ活性化因子組成物
US11812102B2 (en) * 2019-01-04 2023-11-07 Gracenote, Inc. Generation of media station previews using a reference databas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31118T2 (de) * 1991-10-18 2000-12-14 Fujitsu Ltd Nachrichtenverteilungssystem mit schnurlosen nachrichtenübertragenden Unterstationen und nachrichtenempfängende Terminalendgeräte
US5907793A (en) * 1992-05-01 1999-05-25 Reams; David A. Telephone-based interactive broadcast or cable radio or television methods and apparatus
US5689245A (en) * 1992-10-19 1997-11-18 Radio Satellite Corporation Integrated communications terminal
US6300880B1 (en) * 1996-01-16 2001-10-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ultichannel audio distribution system having portable receivers
US5991737A (en) * 1996-03-11 1999-11-23 Connexus Corporation Automated consumer response to publicly broadcast information
US5857156A (en) * 1996-04-24 1999-01-05 Anderson; John R. Personal intercommunication purchase and fulfillment system
WO1997046962A1 (en) * 1996-06-07 1997-12-11 At & T Corp. Finding an e-mail message to which another e-mail message is a response
US5832223A (en) * 1996-09-13 1998-11-03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capture of internet access information in a broadcast signal for use by an internet access device
US6081693A (en) * 1997-02-07 2000-06-27 Sony Corporation Television and radio information pager
US6014569A (en) * 1997-03-05 2000-01-11 At&T Corp. Mobile interactive radio
US6282412B1 (en) * 1998-07-22 2001-08-28 Lucent Technologies Inc. Geographically adaptive portable broadcast receiver
US6317784B1 (en) * 1998-09-29 2001-11-13 Radiowave.Com, Inc.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material currently and previously broadcast by a radio station
US6314094B1 (en) * 1998-10-29 2001-11-06 Central Coast Patent Agency Inc Mobile wireless internet portable radio
JP2001051926A (ja) 1999-08-10 2001-02-23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情報閲覧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提供媒体、並びに、テレビ受信機に対する操作装置
US6628928B1 (en) * 1999-12-10 2003-09-30 Ecarmerce Incorporated Internet-based interactive radio system for use with broadcast radio stations
US7194520B1 (en) * 2000-02-25 2007-03-20 Cypress Semiconductor Corp. Content player for broadcasting to information appliances
JP2001249940A (ja) 2000-03-06 2001-09-14 Dx Antenna Co Ltd インターネット用サーバー及びインターネット検索システム
JP3732069B2 (ja) 2000-04-26 2006-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ー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4588190B2 (ja) * 2000-10-27 2010-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番組ホームページ検索システム、その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及びホームページのurl情報の取得方法
JP2002142210A (ja) 2000-10-31 2002-05-17 Dds:Kk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サーバ
US7110749B2 (en) * 2000-12-19 2006-09-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Identity blocking service from a wireless service provider
JP4199435B2 (ja) * 2001-04-27 2008-12-1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受信システム
JP2002334092A (ja) 2001-05-11 2002-11-22 Hitachi Ltd 情報関連付け方法、情報閲覧装置、情報登録装置、情報検索装置、課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58726A (ja) 2001-11-21 2003-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提供システム
US7107045B1 (en) * 2002-12-03 2006-09-1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media
JP4518768B2 (ja) * 2003-09-16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機器
JP2005092477A (ja) * 2003-09-17 2005-04-07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取得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40726B2 (en) 2008-10-21
WO2005006614A1 (ja) 2005-01-20
JP4386035B2 (ja) 2009-12-16
JPWO2005006614A1 (ja) 2006-08-24
US20060084376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8036B1 (en) Searching a data base
JP4381486B2 (ja)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KR101036588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KR100855383B1 (ko)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데이타의 전송과 수신을 위한방법과 장치
JP2009141432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81564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80275954A1 (en) Communication method
WO20000319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digital radio broadcasting and music distribution
US20080046544A1 (en) Content Acquisition Method, Content Acquisition Device, And Content Acquisition Program
KR20060034290A (ko) 정보기록장치, 정보기록방법 및 정보기록 프로그램
CN1701545A (zh) 信息提供方法
US20050216931A1 (en) Content purchase support apparatus
JP438603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放送局特定サーバ、関連情報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記録媒体販売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4080620A5 (ko)
KR101028005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정보처리 프로그램
JPWO2004111880A1 (ja) コンテンツ取得システム
US81353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8620108B2 (en)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ata processing program
KR101128673B1 (ko) 통신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프로그램
JP2003249906A (ja) メディア記録媒体入手システム、その方法、メディア記録媒体取扱い装置、メディア情報センター並びにメディア記録媒体入手装置
US807338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e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KR100988578B1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WO2005006608A1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199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ling music using sca information
US7814235B2 (en) Page data reception method, page data providing method, device thereof,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