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953A - 연료탱크용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953A
KR20060051953A KR1020050092175A KR20050092175A KR20060051953A KR 20060051953 A KR20060051953 A KR 20060051953A KR 1020050092175 A KR1020050092175 A KR 1020050092175A KR 20050092175 A KR20050092175 A KR 20050092175A KR 20060051953 A KR20060051953 A KR 20060051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at
fuel tank
synthetic resin
floa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819B1 (ko
Inventor
도시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5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과제) 연료탱크용 밸브를 구성하는 플로트 밸브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소정의 중량과 체적을 가지도록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케이스(1)에 수납되고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상승 내지는 차량 등에 발생하는 기울어짐 등에 의해서 폐쇄밸브위치로 이동되는 플로트 밸브(2)가, 합성수지제의 통형상을 이루는 주플로트 구성체(22)와 이 주플로트 구성체(22) 내에 삽입되고 이 주플로트 구성체(22)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제의 부플로트 구성체(23)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밸브{VALVE FOR FUEL TANK}
도 1은 밸브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밸브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밸브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밸브의 저면도
도 5는 도 3에서의 A-A선 단면도(사용상태)
도 6은 플로트 밸브(2)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플로트 밸브(2)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주플로트 구성체(22)의 평면도
도 9는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저면도
도 10은 도 8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측면도
도 12는 상기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정면도
도 13은 상기 부플로트 구성체(23)의 평면도
도 14는 상기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저면도
도 15는 도 13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16은 밸브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연료탱크 L - 유로
1 - 케이스 2 - 플로트 밸브
22 - 주플로트 구성체 23 - 부플로트 구성체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의 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연료탱크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 중에 구비되고, 이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일정 레벨까지의 상승 시 등에, 상기 유로를 폐색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로서, 윗벽에 유로 중에 위치되는 밸브 구멍을 구비한 보디와, 보디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부상하여 상부에 구비된 밸브부에 의해 상기 밸브 구멍을 폐색하는 플로트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플로트에는 폐쇄밸브위치에서 개방밸브위치까지의 하강이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중량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는 반면, 케이스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폐쇄밸브위치로 조속히 부상하도록 일정한 체적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 다. 그러나, 밸브를 콤팩트화하는 관점에서 플로트를 대형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플로트 전체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일정한 중량과 체적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 플로트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성형 변형이 발생되기 쉬워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 성형틀에 합성수지를 주입한 후의 이 성형틀을 냉각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짧은 사이클에 의한 플로트의 성형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밸브에서는 합성수지제의 밸브에 금속제의 추를 조립하고 있다. 그러나, 플로트에 이와 같이 조립되는 금속제의 추는 그 중량에 대해서 체적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 밸브에서는 플로트를 무겁게 하기 쉬운 반면, 플로트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단순하게는 그 체적을 크게 하기 어렵고, 플로트의 부력을 얻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합성수지제의 플로트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은 금속제의 추보다 크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양자의 조립상태가 손상되기 쉬운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9232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연료탱크용 밸브를 구성하는 부상하여 밸브시트를 막는 밸브체를 구비한 플로트 밸브(플로트)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소정의 중량과 체적을 가지도록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료탱크용 밸브를 이하의 (1)∼(3)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연료탱크에 부착됨과 아울러, 연료탱크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를 구비한 케이스와,
(2) 이 케이스에 수납되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상승 내지는 차량 등에 발생하는 기울어짐 등에 의해서 상기 유로를 폐색하는 폐쇄밸브위치로 이동되는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3) 이 플로트 밸브는,
합성수지제의 통형상을 이루는 주플로트 구성체와,
이 주플로트 구성체 내에 삽입되고 이 주플로트 구성체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제의 부플로트 구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를 구성하는 플로트 밸브는, 합성수지제의 주플로트 구성체와 이것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제의 부플로트 구성체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 구성체의 두께를 과대하게 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성형 정밀도가 높고, 또한 짧은 사이클로서 성형하기 쉬운 상태로, 일정한 중량과 체적을 구비한 플로트 밸브를 구비한 밸브를 구성할 수 있다. 플로트 밸브는 지장없이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플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주플로트 구성체의 내면에 접하는 개소의 외곽형상이, 이 주플로트 구성체의 내곽형상에 거의 따른 형상이 되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플로트 밸브를 가능한 한 소형화하면서 그 중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와 부플로트 구성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해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주플로트 구성체와 부플로트 구성체의 조립상태가 경시적으로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와 부플로트 구성체를 동일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구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양 구성체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을 염려하는 일 없이 주플로트 구성체와 부플로트 구성체의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플로트 밸브의 중량의 산출 등의 플로트 밸브의 사양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 및 부플로트 구성체 중 어느 일측에, 이 주플로트 구성체 내로의 부플로트 구성체의 삽입에 따라서 탄성변형되는 이들의 타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의 이 삽입종료위치에서의 탄발에 의해서 이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를 형성시켜 두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주플로트 구성체와 부플로트 구성체를 원터치로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6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특히, 도 5는 상기 밸브의 사용상태를 연료탱크(T)를 상상선으로 해서 나타내고 있으며, 케이스(1)의 플랜지(10)의 외주부(10a)에 있어서 연료탱크(T)의 외면부(Tb)와 오버랩된 부분이 용착대(용착할 부분)가 된다. 도 6 및 도 7은 플로트 밸브(2)를 구성하는 주플로트 구성체(22)와 부플로트 구성체(23)를 분리시켜서 나타내고 있고, 또 도 8∼도 10은 주플로트 구성체(22)를, 도 11∼도 15는 부플로트 구성체(23)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6은 차량에 기울어짐이 발생한 경우의 밸브의 밸브시트(1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는 연료탱크(T)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L) 내에 구비되고,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일정 레벨까지의 상승 내지는 차량 등에 발생하는 기울어짐 등에 의해서 상기 유로(L)를 폐색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이다.
상기 유로(L)는 전형적으로 연료탱크(T)에서 캐니스터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전형적으로 연료 자체가 캐니스터에 도달되는 일이 없도록, 상기 연료의 일정 레벨까지의 상승 시 등에 있어서, 상기 유로(L)를 폐색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밸브는 전형적으로 연료탱크(T) 내의 압력이 대단히 높아지거나, 또는 대단히 낮아지거나 하지 않도록, 이 연료탱크(T)와 캐니스터를 연결하는 유로(L) 내에 형성된, 통상은 개방밸브된 밸브로서 사용할 수 있다(소위 컷 밸브).
또 상기 밸브는 전형적으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이 일정한 레벨에 도달한 단계에서, 캐니스터의 유로(L)에 대한 통기를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진 밸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는 이 통기의 차단 또는 감소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키고, 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필러튜브(filler tube) 내의 연료의 액면레벨을 상승시켜서 급유 노즐(급유 건 등이라고도 함)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하게 하고, 따라서 과급유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소위 벤트 밸브).
상기 밸브는 케이스(1)와 플로트 밸브(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는 연료탱크(T)에 부착됨과 아울러, 연료탱크(T)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L)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는 상부(1a)에 외향의 플랜지(10)를 구비한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의 상부(1a)의 내부에는 밸브시트(11)가 형성되고, 또 케이스(1)의 상부(1a)의 외부에는 접속관(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관(12)의 관내단부가 밸브시트(11)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이 접속관(12)의 관외단부측에 캐니스터로의 유로(L)를 구성하는 통기용 튜브(P) 등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1)의 측부(1b)와 저부(1c)에는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의 저부(1c)는 하면을 개방시킨 케이스 본체(14)의 이 개방된 하면을 막도록 이 케이스 본체(14)의 하부에 조립되는 덮개판(1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4) 내에 상기 플로트 밸브 (2)를 이 케이스 본체(14)의 하측에서 삽입시킨 후, 이 케이스 본체(14)에 덮개판(15)을 조립함으로써 밸브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밸브는 연료탱크(T)를 구성하는 상벽부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부착구멍(Ta)에 대해서, 케이스(1)의 플랜지(10)에서 하방을 삽입시키고, 또한 연료탱크(T)의 외면부(Tb)에 이 플랜지(10)의 외주부(10a)를 용착해서 고정함으로써, 연료탱크(T)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 밸브(2)가 상승하고 그 밸브체(20)에 의하여 상기 밸브시트(11)를 폐색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1)의 관통구멍(13)과 상기 밸브시트(11)와 상기 접속관(12)에 의해 연료탱크(T)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기체의 유로(L)가 형성된다.
한편, 플로트 밸브(2)는 상기 케이스(1)에 수납되고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상승 내지는 차량 등에 발생하는 기울어짐 등에 의해서 상기 유로(L)를 폐색하는 폐쇄밸브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상기 플로트 밸브(2)는 통상은 케이스(1)의 저부(1c) 내면에 그 저부를 접하게 한 개방밸브위치에 그 자중에 의해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밸브(2)는 연료탱크(T) 내의 연료가 일정 레벨까지 상승되면 케이스(1)의 관통구멍(13)에서 케이스(1) 내로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서 폐쇄밸브위치까지 부상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플로트 밸브(2)는 일정한 상기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경우에, 폐쇄밸브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플로트 밸브(2)의 저부의 대략 중앙에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 스(1)를 구성하는 덮개판(15)의 대략 중앙부에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융기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21)에 스프링 상단부를 삽입하고, 또한 이 융기부(15a)를 스프링 하단부에서 스프링 내측에 삽입시키도록 하여, 플로트 밸브(2)와 케이스(1)의 저부(1c)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3)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3)에 의해서 플로트 밸브(2)는 그 폐쇄밸브위치에 있어서도 항상 일정하게 상방을 향한 탄지력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플로트 밸브(2)는,
합성수지제의 통형상을 이루는 주플로트 구성체(22)와,
이 주플로트 구성체(22) 내에 삽입되고 이 주플로트 구성체(22)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제의 부플로트 구성체(23)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주플로트 구성체(22)는 통상단부를 대체로 폐색시키고, 또한 통하단부를 개방시킨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주플로트 구성체(22)의 통상단부의 외면 대략 중앙부에는, 짧은 치수의 원주형상을 이루는 융기부(22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융기부(221)의 대략 중앙부에서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오므라드는 원추형상을 이루는 밸브체(20)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주플로트 구성체(22)의 통상단부의 내면 대략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통하단부를 개방시킨 원통형상 돌출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상 돌출부(222) 내의 공간은 상기 융기부(221)의 기부 내까지 연속되어 있고,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상부에는 둥근구멍형상 오목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체(20)의 내부에는 이 밸브체(20)의 외형에 따른 원추형상을 이루는 구멍 내주면을 가진 테이퍼 오목부(2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 오목부(224)와 상기 둥근구멍형상 오목부(223)는 서로 연이어 통해져 있다.
또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융기부(221)를 둘러싸는 둘레방향에는 인접하는 연통구멍(225)간에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4개소의 연통구멍(225…22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통구멍(225)은 모두 이 융기부(221)를 둘러싸는 가상원의 원호를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상부 구멍입구(225a)와, 원통형상 돌출부(222)의 측면과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동일하게 형성된 하부 구멍입구(225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4개의 연통구멍(225…225) 중, 직경방향 양측에 있는 2개의 연통구멍(225,225)의 하부 구멍입구(225b)는 상부 구멍입구(225a)보다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 2개의 연통구멍(225,225)에 있어서의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외면측에 위치되는 구멍벽에는, 상방을 향한 단차면(225c)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단차면(225c)이 후술하는 피걸어맞춤부(225d)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2개의 연통구멍(225,225)에 있어서의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멍벽에는, 이 연통구멍(225)의 좌우방향 거의 중간정도의 위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25e)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플로트 구성체(23)는 주플로트 구성체(22)의 개방된 통하단부에서 이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고, 이 주플로트 구성체(22)와 일체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부플로트 구성체(23)는 그 상부에 주플로트 구성체(22)의 테이퍼 오목부(224)에 거의 밀접하게 끼워지는 원뿔대형상부(231)와, 이 원뿔대형상부(231)의 하방에 있어서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둥근구멍형상 오목부(223)에 거의 밀접하게 끼워지는 원주형상부(232)와, 이 원주형상부(232)를 둘러싸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돌편(233)간에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어서 형성되고 각각 상방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연통구멍(225)에 하방에서 거의 밀접하게 끼워지는 4개의 돌편(233…233)을 구비하고 있다.
또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외주면은, 주플로트 구성체(22) 내에 거의 밀접하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저부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부플로트 구성체(23)의 내부에는 이 오목부(21)에 연속해서 상기 원주형상부(232)에 이르는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플로트 구성체(23)의 4개의 돌편(233…233) 중, 직경방향 양측에 있는 2개의 돌편(233,233)에는 각각 한쌍의 세로분할홈(233a,233a)과 이 한쌍의 세로분할홈(233a,233a)의 홈 하단부간에 이르는 가로분할홈(233b)에 의해서 구분된 탄성편(233c)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탄성편(233c)의 외면 하부에 하방을 향한 걸어맞춤면(233e)을 구비한 걸어맞춤 돌기부(233d)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233d)가 후술하는 걸어맞춤부(233f)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 밸브(2)에는 폐쇄밸브위치에서 개방밸브위치까지의 하강이 조속 히 이루어지도록 일정한 중량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는 반면, 케이스(1) 내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폐쇄밸브위치로 조속히 부상하도록 일정한 체적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밸브를 콤팩트화하는 관점에서 플로트 밸브(2)를 대형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플로트 밸브(2) 전체를 대형화하지 않고 일정한 중량과 체적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에 의해서 구성한 경우, 플로트 밸브(2)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성형 변형이 발생되기 쉽고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 성형틀에 합성수지를 주입한 후의 이 성형틀을 냉각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짧은 사이클에 의한 플로트 밸브(2)의 성형이 곤란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를 구성하는 플로트 밸브(2)를 합성수지제의 주플로트 구성체(22)와 이것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제의 부플로트 구성체(23)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양 구성체(22,23)의 두께를 과대하게 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성형 정밀도가 높고, 또한 짧은 사이클로서 성형하기 쉬운 상태로, 일정한 중량과 체적을 가진 플로트 밸브(2)를 구비한 밸브를 구성할 수 있다. 플로트 밸브(2)는 지장없이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플로트 밸브(2)를 주플로트 구성체(22)에 1개의 부플로트 구성체(23)를 조립해서 구성하고 있으나, 주플로트 구성체(22)에 2이상의 부플로트 구성체(23,23…)를 조립해서 상기 플로트 밸브(2)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플로트 구성체(23)에 있어서의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내면에 접하는 개소의 외곽형상이, 이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내곽형상 에 거의 따른 형상이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외곽형상이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내곽형상에 거의 따르고 있고, 주플로트 구성체(22)의 통하단부에서 이 주플로트 구성체(22) 내에 끼워 넣어지는 부플로트 구성체(23)에 의해 주플로트 구성체(22)의 내부공간이 거의 밀접하게 채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로트 밸브(2)를 가능한 한 소형화하면서 그 중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주플로트 구성체(22)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와 부플로트 구성체(23)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해 두면, 주플로트 구성체(22)와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조립상태가 경시적으로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주플로트 구성체(22)와 부플로트 구성체(23)를 동일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구성시켜 두면, 양 구성체(22,23)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을 염려하는 일 없이 주플로트 구성체(22)와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플로트 밸브(2)의 중량의 산출 등의 플로트 밸브(2)의 사양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주플로트 구성체(22) 및 부플로트 구성체(23) 중 어느 일측에, 이 주플로트 구성체(22) 내로의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삽입에 따라서 탄성변형되는 이들의 타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233f)의 이 삽입종료위치에서의 탄발에 의해서 이 걸어 맞춤부(233f)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225d)를 형성시켜 두면, 주플로트 구성체(22)와 부플로트 구성체(23)를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상기 연통구멍(225)에 이 연통구멍(225)의 하부 구멍입구(225b)로부터, 이 주플로트 구성체(22) 내로의 부플로트 구성체(23)의 삽입에 따라서, 부플로트 구성체(23)의 돌편(233)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탄성편(233c)을 구비한 돌편(233)의 이 탄성편(233c)의 걸어맞춤 돌기부(233d)가 이 삽입에 따라서 단차면(225c)을 구비한 연통구멍(225)의 구멍벽에 눌려서 이 탄성편(233c)이 일단 휘어져 들어간 후의 이 걸어맞춤 돌기부(233d)가 단차면(225c)의 상방에 삽입된 삽입위치에서의 이 탄성편(233c)의 탄발에 의해서, 그 걸어맞춤면(233e)을 이 단차면(225c)에 걸어맞춤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주플로트 구성체(22)의 상기 연통구멍(225)의 구멍벽에 형성된 홈(225e)이, 부플로트 구성체(23)의 돌편(233)의 탄성편(233c)이 휘어져 들어가는 공간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 밸브(2)의 외면과 케이스(1)의 내면 사이의 피치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케이스(1)의 저부(1c)의 관통구멍(13)을 통해서 케이스(1) 내로 유입되는 연료가 플로트 밸브(2)의 상부의 외면과 케이스(1) 상부의 내면 사이로 들어가기 어렵고, 밸브시트(11)를 통해서 연료탱크(T)의 바깥, 전형적으로는 캐니스터측으로 연료가 누출되는 사태를 한층 더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밸브시트(11)가, 차량 등에 발생하는 기울어짐 이나 차량의 선회가속도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 액면이 약 39도 경사졌을 때에, 케이스(1) 측부(1b)의 관통구멍(13)의 상부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수평선(y)보다도 상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16). 이것에 의해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경사가 발생되는 순간에 플로트 밸브(2)가 폐쇄밸브위치로 이동하는 것보다도 빠르게, 또는 그와 동시에 밸브시트(11)에 케이스(1) 측부(1b)의 관통구멍(13)에서 케이스(1) 내로 들어온 연료가 도달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탱크용 밸브에 의하면, 밸브를 구성하는 플로트 밸브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소정의 중량과 체적을 가지도록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연료탱크에 부착됨과 아울러, 연료탱크의 내외를 연이어 통하는 연료증발가스 등의 기체의 유로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고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상승 내지는 차량 등에 발생하는 기울어짐 등에 의해서 상기 유로를 폐색하는 폐쇄밸브위치로 이동되는 플로트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로트 밸브는,
    합성수지제의 통형상을 이루는 주플로트 구성체와,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에 조립되는 합성수지제의 부플로트 구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플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주플로트 구성체의 내면에 접하는 개소의 외곽형상이,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의 내곽형상에 거의 따른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플로트 구성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와 부플로트 구성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주플로트 구성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와 부플로트 구성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연료에 대한 팽윤율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플로트 구성체와 부플로트 구성체가 동일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주플로트 구성체와 부플로트 구성체가 동일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플로트 구성체 및 부플로트 구성체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주플로트 구성체 내로의 부플로트 구성체의 삽입에 따라서 탄성변형되는 이들의 타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의 이 삽입종료위치에서의 탄발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밸브.
KR1020050092175A 2004-11-04 2005-09-30 연료탱크용 밸브 KR100712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20304 2004-11-04
JP2004320304A JP2006131012A (ja) 2004-11-04 2004-11-04 燃料タンク用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953A true KR20060051953A (ko) 2006-05-19
KR100712819B1 KR100712819B1 (ko) 2007-04-30

Family

ID=3672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175A KR100712819B1 (ko) 2004-11-04 2005-09-30 연료탱크용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31012A (ko)
KR (1) KR100712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13B1 (ko) * 2009-10-30 2014-04-23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디젤 엔진 연료 밸브용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3949B2 (ja) * 2005-07-29 2010-12-22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4566960B2 (ja) * 2006-08-11 2010-10-2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2008232113A (ja) * 2007-03-23 2008-10-0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2012180037A (ja) * 2011-03-02 2012-09-20 Yachiyo Industry Co Ltd 燃料遮断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013B2 (ja) * 1988-09-29 1997-06-11 株式会社東芝 製パン器
JP3533555B2 (ja) * 1997-06-30 2004-05-3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カットバルブ
JP4158469B2 (ja) * 2002-09-27 2008-10-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キャッ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13B1 (ko) * 2009-10-30 2014-04-23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디젤 엔진 연료 밸브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31012A (ja) 2006-05-25
KR100712819B1 (ko) 200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740B2 (en) Fuel cutoff valve
US20060108000A1 (en) Fuel cut off valve
US4982757A (en) Fuel cutoff valve
KR100712819B1 (ko) 연료탱크용 밸브
US7152586B2 (en) Fuel cut-off valve
JPH07293384A (ja) 燃料タンク用フロートバルブ
JP2011201535A (ja) 燃料タンク用の2重機能のバルブ
US7717126B2 (en) Float valve structure
JP4767675B2 (ja) 燃料漏れ防止弁
US7380569B2 (en) Valve body for backflow prevention valve
US6779546B2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US7963296B2 (en) Fuel cutoff valve
CN110185836B (zh) 燃料阀
KR101509547B1 (ko) 밸브 장치
US20050051216A1 (en) Pressure opening and closing valve
JP2004257264A (ja) 満タン制御弁構造
KR102376699B1 (ko)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JP3928062B2 (ja) フロートバルブ
US20050133089A1 (en) Evaporative gas control valve structure
JP2012071639A (ja) 燃料遮断弁
JP2011046369A (ja) 燃料遮断弁
JP4807341B2 (ja) 燃料遮断弁
JP5125929B2 (ja) 燃料遮断弁
JP5123816B2 (ja) フロート弁装置
CN114599905A (zh) 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