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453A - 자동차용 냉온장고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온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453A
KR20060051453A KR1020050087555A KR20050087555A KR20060051453A KR 20060051453 A KR20060051453 A KR 20060051453A KR 1020050087555 A KR1020050087555 A KR 1020050087555A KR 20050087555 A KR20050087555 A KR 20050087555A KR 20060051453 A KR20060051453 A KR 2006005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hot
pip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석
Original Assignee
오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석 filed Critical 오상석
Publication of KR2006005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온장고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공조 시스템의 냉온기를 이용하여 음료수 등을 냉장 또는 온장 보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음료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냉온장고로서, 공조장치로부터 에어 덕트로 냉·온기를 전달하는 공조관으로부터 냉·온기를 공급받아 냉온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유입관, 유입관과 내부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유입측 개폐밸브, 냉온장고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음료수 등을 넣거나 꺼낼때 냉온장고를 개폐하는 도어, 유입관을 경유하여 내부공간을 통과한 냉·온기를 에어 덕트로 전달하는 유출관 및 내부 공간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출 여부를 결정하는 유출측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냉온장고, 음료수, 글로브박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온장고{Refrigerator for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에서 A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개폐밸브가 열리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개폐밸브가 닫히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3에서 B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냉온기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4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 덕트 12: 고정핀
14: 차체측 힌지 20: 컵홀더
22: 고정핀 30: 음료수
40: 뚜껑 42: 글로브 박스
44: 유입부 46: 유출구
50: 글로브 박스 60: 공조관
100200,300: 냉온장고 102: 냉온장고측 힌지
104,104': 연장관 106: 제1연결관
106': 제4연결관 108: 제2연결관
108': 제3연결관 110,226: 유입관
110',226': 유출관 120: 개폐밸브
122: 밸브힌지 130: 도어
132: 손잡이 135,228: 내부 공간
140: 외벽 142: 발포수지
144: 내벽 150,214: 열차단튜브
210: 뚜껑 212: 뚜껑측 고정 부재
216: 이동 손잡이 220: 본체
222: 본체측 고정 부재 224: 결합홈
230,234: 힌지 232: 유입측 개폐밸브
236: 유출측 개폐밸브 238,338: 방향 선택 부재
250,350: 연결관 252,352: 유입 부재
254,354: 연장부 256: 결합 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온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공조 시스템의 냉온기를 이용하여 음료수 등을 냉장 또는 온장 보관할 수 있는 냉온장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탑승자들이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음료수를 거치할 수 있는, 소위 '컵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컵홀더는 자동차의 센터페시아, 팔걸이 등의 위치에 제공되는데, 음료수를 장시간 컵홀더에 두는 경우, 또는 잠시 자동차에 놓아두는 경우에, 음료수의 온도가 자동차 내부 온도와 같아지게 된다. 그러나, 적정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음료수의 맛을 좋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음료수의 온도가 자동차의 내부 온도가 같아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컵홀더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공조 시스템의 에어 덕트를 이용하는 컵홀더가 제안되었 다.
도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의 에어덕트(10)를 이용한 컵홀더(20)는, 배면에 에어덕트(10)의 공기 유출 방향을 조정하는 조절판에 컵홀더(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핀(22)을 이용하여 컵홀더(20)를 에어덕트(10)에 고정시킨 후, 음료수(30)를 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컵홀더(20)에 의해, 공조 시스템을 통한 냉기 또는 온기가 에어덕트(10)를 통해 음료수(30)에 전달될 수 있어서, 음료수(30)의 내용물을 차게 또는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컵홀더(20)는 자동차 내부로 인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진로를 방해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따뜻하게 또는 시원하게 유지하는 공조 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 수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덕트(10)에 컵홀더(20)가 부가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사고시에 부상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거치식 컵홀더(2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온장고가 제안되었다.
도14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장고가 글로브 박스(42) 위치에 설치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42)형 냉온장고는 실내로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글로브 박스(42)로 유도하여 냉장 또는 온장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글로브 박스(42)의 일측에 유입부(44)를 형성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글로브 박스(42)로 유입되게 하여, 글로브 박스(42)에 수납된 음료수를 차게 또는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음료수를 차게 또는 따뜻하게 만든 냉기 또는 온기는 유출구(46)를 통해 유출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이동된다.
미설명부호 '40'은 뚜껑으로서, 음료수가 위치된 곳의 냉기 또는 온기가 유출구(46)가 아닌 실내로 직접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42)형 냉온장고는,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음료수를 차게 또는 따뜻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공조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한 기능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또한, 공조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에만 냉온장고의 기능이 수행되는 것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냉온장고의 단열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 시스템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공조 시스템 및 외부와의 열교환을 방지하여 냉온장고의 기능 수행을 연장할 수 있는 냉온장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규한 차량 뿐만 아니라 종래의 차량에서도 용 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기존 글로브박스 위치에 적용됨으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 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및 제조 과정이 간단하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한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냉온장고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음료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냉온장고로서, 공조장치로부터 에어 덕트로 냉·온기를 전달하는 공조관으로부터 냉·온기를 공급받아 냉온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유입관; 유입관과 내부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유입측 개폐밸브; 냉온장고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음료수 등을 넣거나 꺼낼때 냉온장고를 개폐하는 도어; 유입관을 경유하여 내부공간을 통과한 냉·온기를 에어 덕트로 전달하는 유출관; 및 내부 공간과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출 여부를 결정하는 유출측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유입측 개폐밸브와 유출측 개폐밸브는,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힌지를 중심으로, 냉·온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경우에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냉·온기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고, 냉·온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닫히는 동작을 하는 하방으로 편심된 중심을 갖는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전술된 도어는 냉온장고의 본체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 열차단 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전술된 자동차용 냉온장고는 속이 빈 2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열전도를 방지하는 열차단 수지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냉온장고는, 자동차의 공조장치로부터 전달된 냉온기를 차량내부로 공급하는 에어덕트와 연결되어 음료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냉온장고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덕트로부터 냉온기를 공급받아 상기 냉온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유입측 개폐밸브; 상기 유입관을 경유하여 내부공간을 통과한 냉온기를 냉온장고 외부로 전달하는 유출관;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출 여부를 결정하는 유출측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에어덕트와 유입관의 연결은, 상기 에어덕트에 대응되는 형상의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유도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종단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의 외주를 따라 결합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유입측 개폐밸브와 상기 유출측 개폐밸브는, 상기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힌지를 중심으로, 냉·온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경우에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냉·온기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고, 냉·온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닫히는 동작을 하는 하방으로 편심된 중심을 갖는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유출관은 상기 유출측 개폐밸브를 통해 유출된 냉온기의 유출방향 조절이 가능한 방향 선택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본체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 가능한 형상을 갖고, 상기 뚜껑은 상기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된 본체의 전방에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구 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50)가 위치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글로브 박스(50)와 같은 형상으로 냉온장고(100)가 형성되어 고정핀(12)과 차체측 힌지(14)를 통해 냉온장고(10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고정 방법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고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30'은 도어이고, '132'는 손잡이이다. 즉 도어(130)를 통해 음료수 등을 냉온장고(100)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이때 도어(130)의 개폐 동작을 돕기 위해 손잡이(132)가 사용된다. 그러나 도어(130)와 손잡이(132)의 형태는 전술된 도면 또는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픈형 도어 대신 서랍식 슬라이드형 도어가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평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는 기본적으로 속이 빈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냉온장고(100)의 양 측면에는 유입관(110)과 유출관(110')이 형성된다. 또한 양 측면에 전술된 차체측 힌지(14)와 결합되어 냉온장고(100)를 고정시키는 냉온장고측 힌지(102)가 돌출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유입관(110)을 통해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가 냉온장고(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유출관(110')을 통해 다시 공조 시스템으로 유출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설치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는 공조 시스템의 공조관(60)의 일단부와 유입관(110)을 제1연결관(106), 제1연장관(104) 및 제2연결관(108)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또한 냉온장고(100)의 유출관(110')은 제3연결관(108'), 제2연장관(104') 및 제4연결관(106')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설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자동차 제작시에 연결관과 연장관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공조 시스템과 연결하여 설치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 밸브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4~도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4는 도3에서 A부분의 상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개폐밸브가 열리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개폐밸브가 닫히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의 개폐밸브(120)는 유입관(110)과 냉온장고(100)의 내부공간(135) 사이에 위치되는 유입측 개폐밸브와, 냉온장고(100)의 내부 공간(135)과 유출관(110') 사이에 위치되는 유출측 개폐밸브가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입측 개폐밸브와 유출측 개폐밸브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개폐밸브의 동작은 유입측 개폐밸브만을 기준으로 설명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20)는 유입관(110)과 냉온장고(100)의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되어, 유입관(110)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냉기 또는 온기가 가진 운동 에너지에 의해 개폐밸브(120)가 열려지게 되고, 유입관(110)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밸브(120)의 하방 편심된 구성에 의해 개폐밸브(120)가 닫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개폐밸브(120)의 동작에 의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유입관(110)과 내부공간(135) 사이, 내부공간(135)과 유출관(110') 사이에 위치된 개폐밸브들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려지게 되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관(110), 내부공간(135) 및 유출관(110')의 순서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된 음료수 캔 등을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공조 시스템을 작동시키지 않게 되면, 유입관(110)과 내부 공간 사이, 내부공간(135)과 유출관(110') 사이에 위치된 개폐밸브들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지게 되어, 내부 공간에 있던 냉기 또는 온기가 내부 공간에 머무르게 되어 소정의 시간동안 내부 공간이 차갑거나 따뜻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120)가 닫혀지는 경우에 내부 공간에 있던 냉기 또는 온기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 따 른 냉온장고(100)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도3에서 B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는 내벽(144)과 외벽(140)을 갖는 2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내벽(144)과 외벽(140) 사이의 빈 공간에는 열차단 발포수지(142)가 충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냉온장고(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사이의 열교환이 방지되어, 내부 공간의 냉기 또는 온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는 이와 같은 2중벽 구조와 더불어 열차단 튜브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냉기 또는 온기가 도어(130)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130)는 냉온장고(100)의 본체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 열차단 튜브(15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열차단 튜브(150)의 사용에 의해, 도어(130)와 냉온장고(100)의 밀폐도가 높아지게 되고, 도어(130)를 통한 냉온장고(100)의 내부 공간과 냉온장고(100)의 외부와의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9 내지 도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를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냉온기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가 차량의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차량 내부의 시트나 바닥 등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200)는 크게 본체(220)와 본체(220)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된 뚜껑(210)으로 구성된 냉온장 기능 부분과, 자동차의 에어덕트로부터의 냉온기를 냉온장 기능 부분으로 전달하는 연결관(250)으로 구성된다.
본체(2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유입관(226)이 타측에 유출관(226')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220)는 냉온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속이 빈 2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열전도를 방지하는 열차단 수지가 충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연결관(25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외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냉온장고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유입관(226)은 연결관(250)의 결합 돌기(25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를 따라 결합홈(224)이 형성된다. 결합 돌기(256)는 결합홈(224)에 끼움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합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유입관(226)의 내부 공간에는 유입측 개폐밸브(232)가 힌지(230)를 통해 결합된다. 유입측 개폐밸브(232)의 구성 및 동작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 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출관(226')은 본체(220)의 내부 공간(228)을 지나온 냉온기를 차량의 실내로 유출한다. 유출관(226')의 내부 공간에는 유출측 개폐밸브(236)가 힌지(234)를 통해 결합된다. 유출측 개폐밸브(236)의 구성 및 동작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유출측 개폐 밸브(235)를 통해 유출된 냉온기는 방향 선택 부재(238)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방향 선택 부재(238)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냉온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여, 냉온장고(200)는 냉ㅇ온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의 에어덕트가 미쳐 담당하지 못하는 부분(예를 들면 운전자 뒷좌석 등)으로도 냉온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방향 선택 부재(238)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뚜껑(210)에는 뚜껑측 고정 부재(212)가 본체(220)에 결합된 본체측 고정 부재(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상부에 이동 손잡이(216)가 형성된다. 또한 열차단 튜브(214)를 결합하여, 뚜껑(210)과 본체(220)의 밀폐성을 높인다.
연결관(250)은 유입 부재(252), 연장부(254) 및 결합 돌기(256)로 구성된다.
유입 부재(252)는 자동차의 에어덕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에어덕트에 부착되어 에어덕트로부터의 냉온기를 유입한다.
연장부(254)는 유입 부재(252)로부터 유입된 냉온기를 유입관(226)까지 전달한다. 연장부(254)는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돌기(256)는 유입관(226)의 외주에 형성된 결합홈(224)과 밀폐 결합되 어, 냉온기의 의도하지 않은 누설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온장고(200)의 설치는, 유입 부재(252)를 자동차의 에어덕트에 결합하고, 결합 돌기(256)를 결합홈(224)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설치에 따라, 자동차의 에어덕트로 빠져나온 냉온기는 유입 부재(252), 연장부(254), 유입관(226), 내부 공간(228), 유출관(226'), 방향 선택 부재(238) 및 차량 내부 공간의 순서로 이동되고, 특히 내부 공간(228)에서 음료수(30) 등을 냉각 또는 온장 한다. 특히 여기서, 냉온기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유입측 개폐 밸브(232)와 유출측 개폐 밸브(236)가 중력에 의해, 각각 유입관(226)과 유출관(226')을 막기 때문에, 냉온장고(200)의 냉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장시간의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100)에 비해 설치 위치의 제약이 적고, 휴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제1실시예와 같이 차량의 글로브박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후술되는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온장고(300)는 차 량의 글로브박스 위치에 설치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냉온장고(300)의 전방에 유입관과 유출관을 모두 설치한 후, 연결관(35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차량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오픈형 도어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형 도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 없으므로 별도의 전력 공급 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경제적인 자동차용 냉온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 시스템이 정지되면 냉온기가 유입, 유출밸브가 편심된 중심을 가진 구조로 인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공조 시스템이 정지되더라도 일정한 시간 동안에도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장고의 도어에는 상기 냉온장고의 본체와 접촉되는 부분 을 따라 열차단 튜브가 결합되어 도어 부분으로 온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단열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냉온장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장고의 본체는 속이 빈 2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열전도를 방지하는 열차단 수지가 충진되므로, 단열 상태를 더욱 효율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공조 시스템이 정지된 경우 더욱 장시간 냉온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장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냉온장고를 종래의 글로브박스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므로, 종래의 차량의 글로브박스를 본원발명의 냉온장고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신규의 차량에는 글로브박스 자체의 구조를 본원발명에 따른 냉온장고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차량 및 신규 차량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온장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장고는 기존 글로브박스 위치에 적용됨으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뛰어나며 운전자의 손이 바로 닫는 위치이므로 사용이 편리한 자동차용 냉온장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장고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의 구조를 기본으로 구성이 추가된 것으로서, 그 구조 및 제조 과정이 간단하므로 기존 자동차용 냉장고 등과는 달리 제작비용이 저렴하므로 누구든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장고는 글로 박스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을 이용하되 휴대성이 있는 냉온장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온장고에서는 유출측 개폐 밸브를 통해 유출된 냉온기는 방향 선택 부재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유출시켜, 냉ㅇ온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자 뒷좌석 등의 에어덕트가 미처 담당하지 못하는 부분으로도 냉온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 가능한 형상을 갖고, 뚜껑은 상기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된 본체의 전방에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휴대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차량의 글로브박스 내에 설치되어 공간 활용도가 높은 냉온장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8)

  1. 자동차의 공조장치로부터 냉·온기를 전달받아 음료수 등을 냉온장시킬 수 있도록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냉온장고로서,
    공조장치로부터 에어 덕트로 냉·온기를 전달하는 공조관으로부터 냉·온기를 공급받아 상기 냉온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유입측 개폐밸브;
    냉온장고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에 음료수 등을 넣거나 꺼낼때 냉온장고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유입관을 경유하여 내부공간을 통과한 냉·온기를 상기 에어 덕트로 전달하는 유출관; 및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출 여부를 결정하는 유출측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2. 자동차의 공조장치로부터 전달된 냉온기를 차량내부로 공급하는 에어덕트와 연결되어 음료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냉온장고로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덕트로부터 냉온기를 공급받아 상기 냉온장고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유입측 개폐밸브;
    상기 유입관을 경유하여 내부공간을 통과한 냉온기를 냉온장고 외부로 전달하는 유출관;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유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냉온기의 유출 여부를 결정하는 유출측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와 유입관의 연결은,
    상기 에어덕트에 대응되는 형상의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에 연결되어 냉온기를 유도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종단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유입관의 외주를 따라 결합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개폐밸브와 상기 유출측 개폐밸브는, 상기 유입관 또는 유출관 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힌지를 중심으로, 냉·온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경우에는 유입 또는 유출되는 냉·온기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고, 냉·온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닫히는 동작을 하는 하방으로 편심된 중심을 갖는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냉온장고의 본체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 열차단 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6. 제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냉온장고는 속이 빈 2중벽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열전도를 방지하는 열차단 수지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측 개폐밸브를 통해 유출된 냉온기의 유출방향 조절이 가능한 방향 선택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 가능한 형상을 갖고,
    상기 뚜껑은 상기 글로브 박스 설치 위치에 설치된 본체의 전방에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온장고.
KR1020050087555A 2004-11-12 2005-09-21 자동차용 냉온장고 KR20060051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92295 2004-11-12
KR1020040092295 2004-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453A true KR20060051453A (ko) 2006-05-19

Family

ID=3715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555A KR20060051453A (ko) 2004-11-12 2005-09-21 자동차용 냉온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1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94B1 (ko) * 2012-02-27 2013-12-02 주식회사 대창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8415A (en) * 1981-02-18 1982-08-26 Nippon Denso Co Ltd Car-loaded refrigerator
KR19980051536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 실내의 냉,온장 장치
KR200331118Y1 (ko) * 2003-07-21 2003-10-22 김성출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 장치
KR200344352Y1 (ko) * 2003-07-29 2004-03-10 안병자 자동차용 냉온장고
KR20040042681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8415A (en) * 1981-02-18 1982-08-26 Nippon Denso Co Ltd Car-loaded refrigerator
KR19980051536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 실내의 냉,온장 장치
KR20040042681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
KR200331118Y1 (ko) * 2003-07-21 2003-10-22 김성출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 장치
KR200344352Y1 (ko) * 2003-07-29 2004-03-10 안병자 자동차용 냉온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94B1 (ko) * 2012-02-27 2013-12-02 주식회사 대창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968B2 (en) Chilled water dispens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JP6444907B2 (ja) 車両用簡易温冷蔵庫組み合わせ装置
US5701754A (en) Automobile refrigerator
JP5277050B2 (ja) 給水機
US4846257A (en) Exhaustible cooler and solar powered warmer
KR20060051453A (ko) 자동차용 냉온장고
US7108094B2 (en) Mobile water device
JP2011116234A (ja) 移動体用空調システム
CN105947428A (zh) 一种恒温车载保温箱
KR101445554B1 (ko) 차량용 냉온장고
KR100737010B1 (ko) 쿨 박스가 구비된 글로브 박스
CN107436061A (zh) 冰箱
KR200194175Y1 (ko) 자동차용 냉온장 박스
KR20070033190A (ko) 자동차용 냉온장고의 내부구조
CN115335653B (zh) 容器连接模块及具有其的制冷电器
KR10055963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냉보온장치
KR100410786B1 (ko) 냉온기능을 갖는 컵홀더
CN219523763U (zh) 一种基于汽车空调箱体冷热气可再调温冷暖盒及汽车
KR100430217B1 (ko) 냉장고의 디스팬서용 물통
EP4027089A1 (en) Refrigerator
KR200415125Y1 (ko) 차량의 그릴 부착용 냉난방 장치
CN220471960U (zh) 液氮冷机混驱集装箱
KR200363562Y1 (ko) 자동차용 냉온 음료용기 홀더
JP2000016055A (ja) 車両用冷温装置
KR200363563Y1 (ko) 자동차용 냉온 음료용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