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606A -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606A
KR20060050606A KR1020050077726A KR20050077726A KR20060050606A KR 20060050606 A KR20060050606 A KR 20060050606A KR 1020050077726 A KR1020050077726 A KR 1020050077726A KR 20050077726 A KR20050077726 A KR 20050077726A KR 20060050606 A KR20060050606 A KR 20060050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state
reproducing
reprodu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오하시
쿠니아키 사카이
이사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6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ith more than one format/standard, e.g. conversion from CD-audio format to R-DA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복수 포맷을 갖는 디지털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포맷 판정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포맷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 수단의 상기 상태의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을 갖는다.
재생 장치, 재생 방법

Description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도 1은 MPEG2 방식에서 1 GOP가 15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의 각 프레임의 일예의 기록순을 도시한 약선도.
도 2는 DV 방식과 MPEG 방식2와의 전환점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기간이 생겨 버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라도 DV 방식과 MPEG 방식2와의 전환점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기간이 생겨 버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적용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자기 테이프에 대한 일예인 기록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약선도.
도 6은 ITI 에어리어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한 약선도.
도 7은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기 위한 일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일예인 포맷 판정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의 형태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이 실시의 제 1의 형태에 의한 메카니컬 모드 천이의 일예인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트리거 코드 검색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약선도.
도 12는 파이널 모드 검색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약선도.
도 13은 파이널 모드 변환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약선도.
도 14는 HD2 포맷에 의해 기록된 영역의 사이에, 하지로서 기록된 DV 포맷의 영역이 곳곳에 존재하는 것을 도시한 약선도.
도 15는 설정된 시스템과, 재생 또는 입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서 포맷이 다른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한 약선도.
본 발명은 전체 내용이 여기에 레퍼런스로 병합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4-2447784호(2004년, 8월 27일 출원)에 관련된 요지를 포함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른 복수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혼재하여 기록된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로부터, 기록 매체로서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여, 하나의 기록 매체상에 인코드/디코드 단위가 다른 복수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한 기록 장치 나, 디코드 단위가 다른 복수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된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10-174032호 공보에는 복수 포맷의 압축/신장 회로를 각각 가지며, 필요에 따라 그것들을 전환함으로써, 하나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복수 포맷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한 디지털 기록 비디오 카메라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MPEG2(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2) 방식으로 부호화한 비디오 데이터와, DV 방식으로 부호화한 비디오 데이터를, 1개의 자기 테이프상에 혼재하여 기록한 경우에 관해 고찰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MPEG2 방식에서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한 프레임 내 압축 부호화와, 시계열 방향의 예측 부호화를 이용한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한다. 여기서, 시계열 방향으로 예측 부호화를 행한 B(Bidirectionally)픽처 및 P(Predictive)픽처와, 1화면(1프레임)으로 완결하는 I(Intra)픽처가 정의된다. 최저 1장의 I픽처를 포함하는 그 자신으로 완결된 그룹을 GOP(Group Of Picture)라고 부르고, MPEG의 스트림에 있어서 독립하여 액세스 가능한 최소의 단위가 된다.
여기서는 1 GOP는 1장의 I픽처와, 복수장의 P픽처 및 B픽처로 이루어지는 15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재생 시간의 0.5초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DV 방식에서는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는 행하여지지 않고, 1프레임마다 액세스가 가능하다.
도 1은 MPEG2 방식이며 1 GOP가 15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의, 자기 테이프 등 기록 매체상에 있어서의 각 프레임의 일예의 기록 순서를 도시한다. 각 픽처의 출력순은 도 1에서 「I」, 「P」, 「B」의 뒤에 각각 붙인 번호순으로 된다. 이와 같이, P픽처 및 B픽처는 자신의 예측에 이용되는 다른 픽처보다도, 기록순으로 뒤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출력순으로 최초 및 2번째의 B픽처(B0 및 B1)는 앞의 GOP의 P픽처(P14)와, 이 GOP의 I픽처(I2)를 이용하여 예측되기 때문에, 기록순으로, 픽처(I2)보다 뒤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재생순으로 4번째 및 5번째의 B픽처(B3 및 B4)는 I픽처(I2)와 P픽처(P5)를 이용하여 예측되기 때문에, I픽처(I2) 및 P픽처(P5)보다도 기록순으로 뒤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MPEG2 방식에서는 B픽처를 출력하기 위해 해당 B픽처보다도 출력순으로 전후의 화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재생시에는 미리 수 프레임분의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로부터 먼저 판독하고, 메모리에 축적하여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DV 방식에서는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를 행하지 않아, 이와 같은 선독 처리는 필요하지 않다.
그 때문에, DV 방식에 의해 프레임 단위로 동작하는 모드와, MPEG2 방식에 의해 GOP 단위로 동작하는 모드에서는 메카 기구적으로 다른 동작으로 된다. 예를 들면, DV 방식에서는 프레임 단위로 액세스 제어를 행하면 좋지만, MPEG2 방식에서는 GOP의 선두를 서치하고, 또한 수 프레임분 거슬러 올라간 프레임을 서치하는 액세스 제어 동작으로 된다.
또한, DV 방식에서는 화상 사이즈가 720화소×480라인으로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있지만, MPEG2 방식에서는 더욱 고해상도의 기록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60Hz 시스템의 「1280화소×720라인, 30프레임 매초, 애스펙트비 16:9」, 「720화소× 480라인, 60프레임 매초, 애스펙트비 16:9」, 「720화소×480라인, 60프레임 매초, 애스펙트비 4:3」, …, 50H 시스템의 「720화소×576 라인, 50프레임 매초, 애스펙트비 16:9」, 「720화소×576 라인, 25프레임 매초, 애스펙트비 4:3」, … 라는 복수의 화 사이즈를 선택 가능하다. 이 경우도, DV 방식과 MPEG2 방식에서는 신호 처리계에 있어서, 다른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DV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와 MPEG2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된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면, DV 방식과 MPEG 방식2의 전환점에서, 시스템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 시간을 필요로 하고, 도 2에 일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기간이 생겨 버린다. 예를 들면, 재생중의 시스템을, 자기 테이프상의 기록 포맷에 따라 전환하도록 한 경우, MPEG2 방식으로부터 DV 방식으로 전환될 때 수 프레임, DV 방식으로부터 MPEG2 방식으로 전환되었을 때 수 초의, 재생 불능 기간이 생겨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유저가 의도적으로 MPEG2 방식 및 DV 방식을 전환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DV 방식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기록이 완료된 테이프에 대해, MPEG2 방식에 의해 재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도 발생하게 되어, 문제였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긴다. 도 3를 참조하면, 당초, 메카니컬 모드가 재생(PB) 상태, 시스템이 DV 방식에 대응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거기에, 외부로부터 MPEG2 방식의 입력 스트림이 입력됨과 함께, 메카니컬 모드가 기록(REC) 모드로 전환된 경우, 시스템은 DV 방식으로부터 MPEG2 방식으로 동작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DV 방식으로부터 MPEG2 방식으로 동작을 전환할 때에는 수 초의 시스템 천이 시간이 발생하고, 그 동안, 입력 스트림의 기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예를 들면 포맷 단위로 상태 천이표를 준비하고, 포맷 사이에서 차분이 있는 상태 천이만 특수 처리를 행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특수 처리를 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거대화, 복잡화하여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포맷을 전환하는 처리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행하고, 포맷을 고정하는 방법이 없었다. 그 때문에, 포맷 전환시에, 시스템 고유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는 기록 재생 장치와 퍼스널 컴퓨터를, 예를 들면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라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로 접속하고, 기록 재생 장치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에 대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전송하는 비디오 스트림의 포맷을 자동 판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다른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그것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로 접속처의 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포맷의 스트림을 전송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접속처의 기기에 있어서, 시스템이 행업 하는 등의 부적당함이 일어날 가능성이 다분히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다른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때의 상태 천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다른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생할 때, 포맷의 전환점에서의 데이터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를 통신 수단으로 외부의 컴퓨터 장치 등에 송신할 때, 다른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재생된 경우에, 수신측의 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복수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혼재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 가능한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포맷 판정 수단과,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포맷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재생 수단의 상태의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복수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혼재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도록 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포맷 판정의 스텝과,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는 재생의 스텝과, 포맷 판정의 스텝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재생의 스텝 상태의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 관리의 스텝을 갖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판정한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도록 재생의 상태 천이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에 따라 재생의 상태를 천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검출하고, 검출된 포맷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카니컬 모드가 천이되기 때문에, 유저는 재생시에 포맷의 전환점에서 전혀 조작을 하는 일 없이, 계속해서 재생 화상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맷의 전환점의 앞의 포맷에는 있는 메카니컬 모드가, 전환점의 후의 포맷에는 없는 경우, 전환점의 후의 메카니컬 모드가 재생 화상을 외간상 크게 변하지 않는 메카니컬 모드로 바뀌어지기 때문에, 유저에 대해 포맷이 전환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천이를 하고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제 1의 포맷 및 제 2의 포맷의 어느 하나의 메카니컬 모드를 유저가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변경되어도, 포맷의 변경에 의한 지연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 포맷을 대상으로 한 편집 작업시에, 지연에 의한 신호의 놓침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 장치 등에 송신할 때, 송신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유저가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재생중에 변경되어도, 송신처의 컴퓨터 장치 등에서 장애가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선의 실시예를 이하 상세히 기술하여 보다 더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적용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촬상 소자로 촬상되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신호 포맷으로서는 DV 포맷과, MPEG2 방식을 이용하여 1280화소×720라인(프로그레시브)으로 기록하는 비디오 포맷(이하, HD1 포맷)과, MPEG2 방식을 이용하여 1440화소×1080라인(인터레이스)으로 기록하는 비디오 포맷(이하, HD2 포맷)에 대응한다.
즉,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DV 포맷 및 HD2 포맷을 1개의 자기 테이프상에 혼재하여 기록 가능하다. 또한, DV 포맷, HD1 포맷 및 HD2 포맷이 혼재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 가능하다.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 있어서, DV 포맷에서는 컬러 시스템이 4:1:1, 화 사이즈가 720화소×480라인이고, 오디오 신호에 관해, 양자화 비트 수가 12비트이고 샘플링 주파수 32kHz와, 양자화 비트 수가 16비트이고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를 기록시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HD2 포맷에서는 컬러 시스템이 4:2:0이고 화 사이즈가 1080i(1440화소×1080라인, 인터레이스), 오디오 신호에 관해, 양자화 비트 수가 16비트, 샘플링 주파수가 48kHz로 되어 있다.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복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50, 51, 52 및 53)를 갖는다. 이들 복수의 CPU가 서로 연휴하여 동작함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전체가 제어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CPU(50, 51, 52 및 53)는 각각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가지며, ROM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RAM은 CPU의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복수의 CPU의 역할 분담으로서, CPU(50)는 유저 인터페이스(71) 및 비디오 카메라 장치(1) 전체의 제어에 관련된다. CPU(51)는 광학계(10)를 포함하는 촬상 처리의 제어에 관련된다. CPU(52)는 MPEG2의 인코드 처리 및 디코드 처리 및 MPEG2의 PS(Program Stream)에 의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다중화 및 분리 처리에 관련된다. 또한, CPU(53)는 자기 테이프의 기록 재생이나, 메카의 제어에 관련되며, 예를 들면 기록시와 재생시의 메카니컬 모드의 천이나 신호 처리계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제어한다.
또한, CPU(50)에 대해, 버스(60)가 접속된다. 버스(60)에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라는 재기록 가능한 ROM(61)과, RAM이 접속된다. 또한, 버스(60)에는 탈착 자유롭고 재기록 가능한 ROM(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64)이 장전 가능한 메모리 인터페이스(63)가 접속된다.
또한, CPU(50)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71)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71)는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 대해 각종 설정이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류나,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상태에 따라 표시가 되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지는 표시 소자가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유저는 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 의한 촬영이나 촬영된 영상 신호의 기록, 기록된 영상 신호의 재생,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 대한 각종 설정 등의 여러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기록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유저가,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동작을 기록 동작으로 전환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유저 인터페이스(71)를 조작한다. 이때,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HD2 포맷 및 DV 포맷의 어느 것으로 기록하는지가 지정된다. 또한, DV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의 비트 해상도가 12비트 및 16비트로부터 선택된다.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서 각각의 포맷에 허용되는 여러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유저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가 유저 인터페이스(71)로부터 CPU(50)에 공급된다. CPU(50)는 이 제어 신호에 따라, CPU(50)에 의해 조작 화면 등 소정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각 부분에, 동작 모드가 기록 모드로 전환된 취지 및 기록 포맷을 통지한다. CPU(53)는 이 통지를 받고, 회전 헤드(27)의 회전이나 자기 테이프(28)의 주행을 구동하는 메카 기구를 기록시의 동작에 대응하는 용으로 전환함과 함께, 신호 처리계의 동작을 기록 모드에 대응하도록 전환한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광학계(10)를 통하여, 촬상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11)에 입사된다. 도 4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광학계(10)는 포커스 기구, 줌 기구, 조리개 기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CCD(11)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삼원색의 각 색에 각각 독립한 CCD를 갖는 이른바 3판식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CCD(11)로부터는 실제로는 R, G 및 B의 각 색의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CCD(11)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A/D 변환 회로(12)에 의해, 샘플링되어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CDS 및 A/D 변환 회로(12)의 출력은 촬상 신호 처리 회로(13)에 공급된다. 촬상 신호 처리 회로(13)는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해, 게인 조정 처리, γ 처리, 화이트 밸런스 처리 등의 소정의 영상 신호처리를 시행하고, 출력한다. 촬상 신호 처리 회로(13)의 출력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공급된다.
또한, CDS 및 A/D 변환 회로(12) 및 촬상 신호 처리 회로(13)는 CPU(51)에 의해 소정의 제어가 된다.
음성은 마이크로폰(15)에 의해 집음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17)에 의해, 소정의 증폭 처리나 음질 보정 처리, 잡음 저감 처리 등이 시행된다.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17)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에 공급된다.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입력에 대해서는 A/D 변환을 시행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입력에 대해서는 D/A 변환을 행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공급된다.
대신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단자(16)로부터 입력할 수도 있다. 실제로는 오디오 입출력 단자(16)는 오디오 입력 단자 및 오디오 출력 단자가 각각 독립하여 이루어진다. 오디오 입출력 단자(16)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17)를 통하여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에 공급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대해 공급된다.
또한,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서는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에서의 A/D 변환시의 비트 해상도를 12비트/샘플, 16비트/샘플이라는 바와 같이, 기록의 모드나 유저의 선택에 의해 복수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비트 해상도는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71)에 대한 조작에 따른 CPU(50)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CPU(53)로부터 건네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17)는 마이크로폰(15)의 접속의 유무, 오디오 입출력 단자(16)에 대한 접속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는 마이크로폰(15)이나 오디오 입출력 단자(16)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때, 그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17)에 의한 오디오 입출력 단자(16)에 대한 접속의 유무의 검출 결과나, 오디오 신호의 레벨 데이터는 CPU(53)에 건네진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는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시행하고, 출력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HD2 포맷 및 DV 포맷중 지정된 포맷에 대응한 화 사이즈 변환 처리나 컬러 시스템 변환 처리, 필드 처리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촬상 화상의 모니터 등에 이용되는 표시 패널(34)이나, 뷰 파인더(EVF)(37)에 공급하기 위해, 이들 표시 패널(34)이나 뷰 파인더(37)의 표시에 적합하도록 화 사이즈 변환이나 각종 처리가 시행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MPEG 처리부(20) 및 DV 처리부(25)에 공급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표시 패널(34) 및 뷰 파인더(37) 및 외부 출력 단자인 D4 단자(31) 및 SD 단자(39)에도 도출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서 표시 패널(34)용으로 소정의 처리가 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드라이버(33)에 공급된다. 드라이버(33)는 CPU(53)에 의해 제어되는 타이밍 제네레이터(TG)(32)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34)을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서 EVF(37)용으로 소정의 처리가 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드라이버(36)에 공급되고, CPU(53)에 의해 제어되는 TG(35)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예를 들면 LCD로 이루어 지는 EVF(37)를 구동한다.
또한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드라이버(30)에 의해 구동되어 D4 단자(31)에 도출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SD I/F(38)에 공급되고, SD(Standard Definition)의 규격에 준하는 포맷에 매핑되고, SD 입출력 단자(39)에 도출된다. 또한, 실제로는 SD 입출력 단자(39)는 SD 입력단자 및 SD 출력 단자가 각각 독립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출력되고 MPEG 처리부(20)에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MPEG 인코더(ENC)(21)에 입력되고, MPEG2 방식에 의해 인코드된다. 예를 들면, 우선 움직임 벡터(vector)를 이용한 예측 부호화에 의해 프레임간 압축을 행한다. 이때, 15프레임으로 1 GOP를 구성하도록, 15프레임마다 I픽처를 1장 배치하고, 또한 P픽처 및 B픽처를 소정의 배치를 하고, 프레임간 압축을 행한다. 그리고, 프레임간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해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 압축을 행하고, 또한 가변 길이 부호를 이용하여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MPEG 인코더(21)로부터 출력된 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MUX/DEMUX(24)에 공급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코덱부(23)에 공급된다. 오디오 코덱부(23)는 기록시에는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해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입력된 압축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해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오디오 코덱부(23)에서, 예를 들면 MPEG1 레이어2 방식에 의해 소정의 압축 부호화된 압축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MUX/DEMUX(24)에 공급된다.
MUX/DEMUX(24)는 기록시에는 멀티플렉서로서 기능하고, 재생시에는 디멀티플렉서로서 기능한다. 멀티플렉서로서의 기능시에는 공급된 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압축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각각 소정 사이즈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패킷마다 소정의 헤더를 부가하여 MPEG 시스템에 규정되는 패키타이즈드 엘리멘터리 스트림(PES)으로서, 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압축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MUX/DEMUX(24)로부터 출력된 PES는 기록/재생부(26)에 공급된다.
한편, DV 처리부(25)에 공급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DV 포맷에 따라 DCT를 이용한 프레임 내 압축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다. 그리고, 압축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DV 처리부(25)에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함께 DV 포맷의 스트림에 매핑되어 출력된다. DV 처리부(25)로부터 출력된 스트림은 기록/재생부(26)에 공급된다.
기록/재생부(26)는 DV 포맷 및 HD2 포맷중,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지정된 포맷에 대응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취한다.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상술한 MPEG 처리부(20) 및 DV 처리부(25)중, 지정된 포맷에 대응하는 쪽의 기능만을 유효로 하여 두도록 하여도 좋다. 기록/재생부(26)는 수취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시행하고, 또한 기록 부호화하고, 자기 테이프(28)에의 기록에 적합한 기록 신호를 생성한다. 기록/재생부(26)로부터 출력된 기록 신호는 회전 헤드(27)에 공급된다.
자기 테이프(28)에의 기록은 회전 헤드(27)가 자기 테이프(28)에 대해 비스듬하게 트랙을 형성하는 헬리컬 스캔 방식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5는 자기 테이프(28)에 대한 일예의 기록 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28)에 대해 트랙(100, 100, …)이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1프레임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복수의 트랙(100, 100, …)을 이용하여 기록된다. 도 5A에 각각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28)가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주행되고, 회전 헤드(27)는 자기 테이프(28)를 도면의 하방에서부터 상방을 향하여 트레이스 한다.
트랙(100)의 포맷은 현행의 DV 포맷에 의거하여,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헤드(27)에 의한 트레이스의 선두측으로부터, ITI(Insert and Track Information) 에어리어(104), 오디오 에어리어(103), 비디오 에어리어(102) 및 서브코드 에어리어(101)의 순으로 데이터가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각 에어리어 사이에는 에디트 갭이 마련된다. ITI 에어리어(104)는 시스템 데이터가 기록된다. 비디오 에어리어(102)는 비디오 포맷이 HD1 포맷 또는 DV 포맷이라면, 선두측에 AP2 에어리어가 마련된다. HD2 포맷의 경우 AP2 에어리어는 마련되지 않는다.
도 6은 ITI 에어리어(104)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ITI 에어리어(104)에는 트랙(100)의 선두측으로부터 스타트 싱크, 트랙 피치에 관한 정보(TP1, TP2), 트랙의 서보에 관한 정보(PF), 트랙의 데이터 구조를 규정하는 정보(APT) 및 APT에 의해 규정되는 시스템 데이터가 격납된다. HD2 포맷으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 APT에 값 "010b"가 기록되고, DV 포맷으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 또는 HD1 포맷으로 기 록된 트랙은 APT에 값 "000b"가 기록된다.
상술한 AP2는 비디오 에어리어(102)의 데이터 구조를 규정하는 것이고, DV 포맷으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 AP2에 값 000b가 기록된다. 또한, HD1 포맷으로 기록된 트랙은 AP2에 값 001b가 기록되어 있다.
재생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유저가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동작을 재생 동작으로 전환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한다.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가 CPU(50)에 공급되고, CPU(50)에 의해 조작 화면 등 소정의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신호가 생성됨과 함께,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각 부분에, 동작 모드가 재생 모드로 전환된 것이 통지된다. CPU(53)는 이 통지를 받고, 회전 헤드(27)의 회전이나 자기 테이프(28)의 주행을 구동하는 메카 기구를 재생시의 동작에 대응하도록 전환함과 함께 신호 처리계의 동작을 재생 모드에 대응하도록 전환한다.
재생시는 회전 헤드(27)에 의해 자기 테이프(28)의 트랙(100, 100, …)이 ITI 에어리어(104)측으로부터 트레이스 되고, ITI 에어리어(104)에 격납된 APT와, 비디오 에어리어(102)에 격납된 AP2의 값에 의거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판정된다. 우선, APT의 값에 의거하여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HD2 포맷인지,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인지가 판정된다.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이라고 판정되면, 비디오 에어리어(102)의 말미측에 기록되는 AP2의 값에 의거하여 DV 포맷 및 HD1 포맷의 어느 것인지가 판정된다.
재생시의 처리는 기록시와는 반대의 처리로 된다. 예를 들면, 회전 헤드(27) 가 자기 테이프(28)를 소정의 트레이스를 하여 얻어진 재생 신호는 기록/재생부(26)에 공급된다. 기록/재생부(26)는 공급된 데이터를 소정의 복조를 하여 재생 디지털 신호를 얻고, 이 재생 디지털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의 복호화 처리를 행하고, 에러 정정한다. 에러 정정된 재생 디지털 신호는 일단 DV 처리부(25)에 공급된다.
DV 처리부(25)는 공급된 재생 디지털 신호에 대해 상술한 포맷 판정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의 어느 하나라면, 공급된 재생 디지털 신호를 DV 처리부(25) 내에서 처리하고,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재생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얻는다. 이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재생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공급된다.
재생 디지털 신호에 대한 포맷 판정 처리 결과,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HD2 포맷이라면, 해당 재생 디지털 신호는 MPEG 처리부(20)에 공급되고 MUX/DEMUX(24)에 입력된다.
또한, 여기서는 재생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포맷을 유저 인터페이스(71)로부터 유저가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MUX/DEMUX(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시에는 디멀티플렉서로서 기능하고, 공급된 재생 디지털 신호의 패킷으로부터, 헤더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취출하고, 다중화되어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원 래의 스트림을 복원한다. 복원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MPEG 디코더(DEC)(22)에 공급되고, 압축 부호가 복호화되고 베이스밴드의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된다. 마찬가지로, 복원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코덱부(23)에 공급되고, 압축 부호가 복호화되어 베이스밴드의 재생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된다. 이들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재생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공급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는 공급된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시행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는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하여,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대해 해당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HD2 포맷, DV 포맷, HD1 포맷)에 대응한 화 사이즈 변환 처리나 컬러 시스템 변환 처리, 프레임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촬상 화상의 모니터 등에 이용되는 표시 패널(34), 외부 출력 단자인 D4 단자(31)나 SD 단자(39)에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화 사이즈 변환이나 각종 처리를 시행한다.
재생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외부 출력 등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처리를 한다. 재생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서 소정의 처리가 되면, A/D 변환 및 D/A 변환 회로(18)에 공급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17)를 통하여 오디오 입출력 단자(16)에 도출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대해, OSD(On Screen Display)부(41)가 접속된다. OSD부(41)는 CPU(50)의 명령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이 비디오 카메라 장 치(1)에 대해 여러가지의 설정을 행하는 메뉴 화면이나, 입력 오디오 레벨이나 장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스테터스 화면이라는 촬상 화상 신호 이외의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들 각종 화면을 묘화하기 위한 데이터는 버스(60)에 접속되는 ROM(61)에 미리 기억된다. 또한, 표시 항목 등을 유저가 설정 가능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설정중의 데이터가 RAM(62)에 기억된다.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외부 메모리(64)를 메모리 인터페이스(63)에 장전하고, 외부 메모리(64)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OSD 표시를 위해 이용하여도 좋다. 유저가 설정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64)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OSD부(41)에서 생성된 OSD용 화상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 공급된다. OSD용 화상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14)에서, 예를 들면 촬상 신호 처리 회로(13)로부터 공급된 촬상 화상에 의거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합성된다. OSD용 화상 신호가 합성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지정에 따라, 표시 패널(34)이나 EVF(37)에 표시된다. D4 단자(31)나 SD 입출력 단자에 도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 도 4의 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에 대응한 1394 I/F(40)를 가지며, 외부의 컴퓨터 장치 등과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1394 I/F(40)에 소정의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한, 1394 I/F(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 등은 CPU(53)에 통지된다.
예를 들면, MUX/DEMUX(24)나 DV 처리부(25)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취출하여 1394 I/F(40)에 공급하고,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이들 컴퓨터 장치가 대응 가능한 소정의 포맷에 매핑하여, IEEE1394의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한다. 또한, 컴퓨터 장치로부터 소정의 포맷으로, IEEE1394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송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1394 I/F(40)에서 수신하고, MUX/DEMUX(24)나 DV 처리부(25)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 외부의 컴퓨터 장치와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통신 처리는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기록시 및 재생시의 어느 경우에도, 가능하다.
다음에,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방법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일예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자기 테이프(28)에 형성된 트랙(100, 100, …)이 회전 헤드(27)에 의해 트레이스 된다. 회전 헤드(27)로부터 출력된 재생 신호는 앰프(90)에서 증폭되고, 복조 회로(91)에서 소정의 복조 처리가 되어 디지털 신호가 얻어진다. 이 디지털 신호는 스위치 회로(93)에 공급됨과 함께 APT·AP2 검출 회로(92)에 공급된다. APT·AP2 검출 회로(92)는 공급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APT를 추출하고, CPU(53)에 공급한다. 또한, APT·AP2 검출 회로(92)는 필요에 따라, 공급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AP2를 추출하고, CPU(53)에 공급한다. CPU(53)는 APT나 AP2의 값에 의거하여,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신호가 HD2 포맷의 것인지,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의 것인지를 판정한다.
CPU(53)는 재생 디지털 신호가 HD2 포맷의 것이라고 판정되면, 스위치 회로(93)에서 선택 출력단(93A)을 선택하고, 복조 회로(9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MPEG 처리부(20)에 공급한다. 재생 디지털 신호가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의 어느 하나의 것이라고 판정되면, APT·AP2 검출 회로(92)에 대해, AP2의 값도 추출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APT·AP2 검출 회로(92)로부터 공급된 AP2의 값에 의거하여 재생 디지털 신호가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의 어느 것인지를 특정하고, 스위치 회로(93)에서 선택 출력단(93B)을 선택하여 복조 회로(9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DV 처리부(25)에 공급함과 함께, DV 처리부(25)에 대해 재생 디지털 신호가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의 어느 것인지를 통지한다.
도 8은 CPU(53)에 의한 일예의 포맷 판정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10에서, HD2 포맷 검출용의 카운터 값(K)이 리셋된다. 스텝 S11에서, APT·AP2 검출 회로(92)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APT가 취득되고, 다음의 스텝 S12에서 취득된 APT 값이 판정된다.
스텝 S12에서, APT의 값이 "000b"라고 판정되면, 처리는 스텝 S13으로 이행하고, 포맷이 DV 포맷 또는 HD1 포맷의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처리로 들어간다. 스텝 S13에서는 APT·AP2 검출 회로(92)에 대해 AP2의 취득이 요구되고, 이 요구에 따른 APT·AP2 검출 회로(92)로부터 AP2가 취득된다. 스텝 S14에서 취득된 AP2가 판정되고, 만약, AP2의 값이 "000b"라고 판정되면, 재생 디지털 신호의 포맷이 DV 포맷이라고 된다(스텝 S15). 또한, AP2의 값이 "001b"라고 판정되면, 재생 디지털 신호의 포맷이 HD1 포맷이라고 된다(스텝 S16). 또한, 스텝 S14 또는 스텝 S15의 처리에 따라, 스위치 회로(93)에서 선택 출력단(93B)이 선택된다. 스텝 S15 또는 S16의 처리 후, 처리는 스텝 S10으로 되돌려지고, 다음의 트랙에 관해 판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스텝 S12에서, APT의 값이 "010b"라고 판정되면, HD2 포맷이 검출된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처리는 스텝 S17로 이행한다. 스텝 S17 이후의 처리에서는 복수 트랙(이 예에서는 15트랙) 연속하여 HD2 포맷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7에서는 카운터 값(K)이 "0"인지, 또는 신 APT, 즉 직전의 스텝 S11에서 취득된 APT와, 구 APT, 즉 1트랙 전의 스텝 S11에서 취득된 APT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카운터 값(K)이 "0"이 아니고, 또한 신 APT와 구 APT가 다르면, 처리는 스텝 S10으로 되돌려지고, 다음의 트랙에 관해 판정이 이루어진다.
스텝 S17에서, 카운터 값(K)이 "0"이거나, 또는 신 APT와 구 APT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18로 이행하고, 카운터 값(K)이 "1"만큼 카운트업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S19에서, 카운터 값(K)이 "15"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카운터 값(K)이 "15"를 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11로 되돌려지고, 다음의 트랙에 관해 판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스텝 S19에서 카운터 값(K)이 "15"를 넘었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재생 디지털 신호의 포맷이 HD2 포맷이라고 된다. 또한, 스위치 회로(93)에서 선택 출력단(93A)이 선택된다. 스텝 S20의 처리 후, 처리는 스텝 S10으로 되돌려지고, 다음의 트랙에 관해 판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의 형태에서는 신호처리나 데이터 배열 등이 다른 복수의 포맷을 취급하는 경우에, 이들의 포맷으로서 기록된 기록 매체(자기 테이프(28))를 재생 조작하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일련의 처리를 상태 천이로서 정의한다. 그리고, 이 상태 천이를 포맷마다 정의하고, 유저의 조작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다른 포맷의 전환의 타이밍에서,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상태 천이 관리가 자율적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태 천이는 예를 들면, 제 1의 재생 상태(예를 들면 2배속 재생)가 제 2의 재생 상태(예를 들면 1배속 재생)로 천이하는 것을 말하고,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의 형태에서는 이 상태 천이를 포맷마다 정의한다. 일예로서, 포맷이 제 1의 포맷으로부터 제 2의 포맷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제 1의 포맷시의 재생 상태(A)가 제 2의 포맷에 의한 재생 상태(B)로 상태 천이한다, 라는 바와 같이, 포맷마다 천이원의 상태와 천이처의 상태가 정의된다.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28)를 재생중에 기록되어 있는 포맷이 DV 포맷(또는 HD1 포맷, 이하, HD1 포맷에 관한 기술(記述)은 적절히, 생략한다)으로부터 HD2 포맷으로 전환되었을 때, 또는 HD2 포맷으로부터 DV 포맷으로 전환되었을 때,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상태를 전환한다. 또한, 예를 들면 HD2 포맷상에서 유저에 의한 커맨드를 받은 때,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상태를 전환하도록 한다.
실제의 처리의 제 1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른 2종류의 포맷(제 1의 포맷 및 제 2의 포맷라고 한다)에 있어서, 한쪽의 포맷에는 있고, 다른쪽의 포맷에는 없 는 메카니컬 모드에 관해, 해당 한쪽의 포맷으로부터 다른쪽의 포맷으로 재생하는 포맷이 전환되었을 때, 한쪽의 포맷에서 지정된 메카니컬 모드를, 다른쪽의 포맷에서 실행 가능한 메카니컬 모드로 강제적으로 바꾸도록, CPU(53)가 상태 천이를 관리한다. 이때, 바꾼 후의 상태에 의한 화상이 바꾸기 전의 상태에서 상정되는 화상에 대해, 외간상 크게 변하는 일이 없는 메카니컬 모드를 미리 설정한다.
또한, 실제의 처리의 제 2의 예로서는 재생시의 포맷상의 제약 등으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할 수 없는 경우에, 시스템은 실행 가능한 다른 상태로 자동적으로 천이함과 함께, 유저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제 1의 포맷 또는 제 2의 포맷상에서, 발행 금지로 되어 있는 파이널 모드를 발행하려고 하였을 때나, 파이널 모드를 발행중에 해당 파이널 모드가 발행 금지 상태로 되었을 때, 해당 파이널 모드를 강제적으로 다른 파이널 모드로 치환하도록, CPU(53)가 상태 천이를 관리한다. 또한, 파이널 모드는 상태 천이 후의 메카니컬 모드를 나타낸다.
도 9을 이용하여, 제 1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의 부분(A)이 이 제 1의 예에 대응한다. 자기 테이프(28)에는 DV 포맷과 HD2 포맷이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 있어서, DV 포맷은 2배속 재생이나 코마 보냄 재생 등의 저속 재생이라는 비디오 신호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시간축과 다른 속도로 재생하는 변(變)배속 재생은 가능하다. 한편, HD2 포맷에서는 DV 포맷에 대해 재생 모드가 제한되고, 예를 들면 1배속 재생만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에서, 자기 테이프(28)의 재생에 수반하여, DV 포맷 재생중에 시각 t0에서 유저 인터페이스(71)로 소정의 키가 압하되어, 2배속 재생이 지정된다고 한다. DV 포맷은 2배속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카니컬 모드는 2배속 재생을 행하는 2배속 재생 모드로 천이된다. 시각 t1에서, 자기 테이프(28)상에 기록되는 포맷이 DV 포맷으로부터 HD2 포맷으로 전환되면, 그 취지가 도 6 내지 도 8를 이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CPU(53)에 검출된다. 검출 결과는 CPU(53)로부터 CPU(50)에 통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HD2 포맷에 있어서의 2배속 재생에 대응하지 않는다. 그러면, CPU(50)는 CPU(53)에 보내기 위한 파이널 모드를,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가 HD2 포맷에 대해 대응하고 있는 다른 동작 모드를 파이널 모드로서 CPU(53)에 보낸다. 환언하면, 유저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가 동작 가능한 파이널 모드로 바뀐다. 이때, 변환 후의 파이널 모드는 변환 전의 파이널 모드에 대해 가장 가까운 동작이나 재생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재생 모드를 선택하면, 유저에 위화감을 주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한, 유저 입력, 자기 테이프(28)상의 기록 포맷 및 파이널 모드의 관계는 미리 테이블로서 ROM(61)에 기억되어 있다. CPU(50)는 유저 입력마다 이 테이블을 참조하고, 파이널 모드를 결정한다. 또한, 바뀌기 때문에 실행되지 않았던 동작 모드 정보는 메모리(RAM(62), CPU(50)의 레지스터 등)에 소정으로 기억된다.
도 9에 있어서, 또한 HD2 포맷을 재생중의 시각 t3에 유저 인터페이스(71)로 부터 2배속 재생이 지정된 경우, 비디오 카메라 장치(1)가 HD2 포맷의 2배속 재생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HD2 포맷의 동작 모드에서 지정된 2배속 재생 모드에 가장 가까운 동작 모드(이 경우는 1배속 재생 모드)로 바뀌어 CPU(53)에 보내진다. 이 도 9의 예에서는 DV 포맷으로부터 HD2 포맷으로의 전환시에, 파이널 모드의 1배속 재생으로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1배속 재생이 계속되는 것이 된다.
또한, 자기 테이프(28)상의 기록 포맷이, 시각 t4에서 HD2 포맷으로부터 DV 포맷으로 전환되면, 그 취지가 CPU(53)에 검출되고, CPU(53)는 검출 결과를 CPU(50)에 통지한다. CPU(50)는 이 통지를 받고, 현재 바뀌어 변환중의 동작 모드를, 원래의 파이널 모드(이 경우는 시각 t3에서 미리 지정되어 있던 2배속 재생 모드)로 되돌린다.
또한, 상기 기술에서는 2배속 재생 모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DV 포맷으로 역전 코마 보냄 재생을 행하고 있을 때 자기 테이프(28)상의 포맷이 HD2 포맷으로 전환된 경우, DV 포맷에서의 역전 코마 보냄 재생 모드는 HD2 포맷으로 동작 가능하고, 또한 역전 코마 보냄 재생에 가장 재생 화상이 가까운 모드, 예를 들면 1배속 역전 재생 모드로 바뀐다.
또한,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서는 편집 점검색을 위한 에디트 서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HD2 포맷은 15프레임으로 1 GOP가 구성되고, 프레임 단위의 연결 활영점에서 정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CPU(50)는 HD2 포맷 재생중에 이루어진 에디트 서치 동작의 지시 커맨드를 접수하지 않게 된다. 이때, 에디트 서치를 지정하는 파이널 모드를, 특별히 천이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파이널 모드로 바꿀 수도 있다.
도 9을 이용하여, 제 2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의 부분(B)이 이 제 2의 예에 대응한다. 여기서는 포맷상의 제약으로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할 수 없는 동작 모드로서, HD2 포맷에 있어서의 애프레코(애프터 레코딩)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HD2 포맷에 있어서의 애프레코 동작에 대응하지 않고, HD2 포맷으로 재생중에 애프레코 동작의 파이널 모드를 발행하는 것이 금지된다.
또한, 애프레코는 이미 기록된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면서, 해당 비디오 신호의 소정 기간에 대해, 나중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동작이다. 이미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애프레코 기간의 기록필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면 애프레코에 의한 오디오 신호로 재기록된다.
도 9에서, DV 포맷 재생중에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애프레코 동작이 지정된다고 한다(도시 생략).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DV 포맷에서의 애프레코 동작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CPU(50)는 파이널 모드로서 애프레코 동작 모드를 지정하고, CPU(53)에 통지한다. CPU(53)는 이 통지를 받아서 메카나 신호 처리계를 애프레코 동작을 행하도록 전환하고, 시각 t6에서 애프레코 동작이 시작된다.
애프레코 동작중에, 자기 테이프(28)의 주행에 수반하여 테이프상에 기록되 는 포맷이 시각 t7에서 DV 포맷으로부터 HD2 포맷으로 전환되면, CPU(53)에 의해 그 취지가 검출되고, 검출 결과가 CPU(50)에 통지된다.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HD2 포맷에서의 애프레코 동작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CPU(50)는 이 통지를 받고, 파이널 모드를 정지 모드로 빠꾸고, CPU(53)에 통지한다. CPU(53)는 이 통지에 따라 애프레코 동작을 자동 정지시키고(시각 t8), HD2 포맷의 재생 상태로 한다. 재생 동작 자체를 정지시켜도 좋다. 또한, 애프레코 동작이 자동 정지되면, 예를 들면 CPU(50)의 명령에 의거하여 표시 패널(34)에 대해 그 취지가 표시된다.
이 HD2 포맷의 재생 상태중에, 유저에 의해 애프레코 동작이 지정된 경우(시각 t9),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에서는 HD2 포맷으로 재생중에 애프레코 동작의 파이널 모드를 발행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애프레코 동작의 파이널 모드는 발행되지 않고, 동작 모드는 재생 모드인 채 변경 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에는 애프레코 동작의 파이널 모드가 발행되지 않기 때문에, 이 후 자기 테이프(28)상의 포맷이 HD2 포맷으로부터 DV 포맷으로 전환되어도, 애프레코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천이하는 일은 없다.
도 10은 이 실시의 제 1의 형태에 의한 메카니컬 모드 천이의 일예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유저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71)에 대해, 예를 들면 재생 동작이나 애프레코 동작에 관한 키 조작을 행하면,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가 유저 인터페이스(71)에서 발생되고, CPU(50)에 입력된다(스텝 S30). CPU(50)는 이 입력에 따라 트리거 코드를 작성한다. 도 11은 입력 정보와 트리거 코드를 대응시키는 트리 거 코드 검색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다. 트리거 코드 검색 테이블은 예를 들면 ROM(61)에 미리 기억된다. CPU(50)는 키 조작 등이 이루어지면, 이 트리거 코드 검색 테이블을 참조하고, 키 조작에 의한 입력 정보와 대응하는 트리거 코드를 검색한다.
다음에, CPU(50)는 검색된 트리거 코드에 대응하는 파이널 모드를 취득한다(스텝 S32). 도 12는 트리거 코드와 파이널 모드를 대응시키는 파이널 모드 검색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 파이널 모드 검색 테이블은 파이널 모드마다 준비되고, 예를 들면 ROM(61)에 미리 기억된다. 즉, 우선, 스텝 S31에서 트리거 코드가 취득된 시점의 파이널 모드에 대응하는 파이널 모드 검색 테이블이 검색된다. 그리고, 검색된 파이널 모드 검색 테이블에 대해 스텝 S31에서 취득된 트리거 코드에 대응한, 다음의 파이널 모드가 스텝 S32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파이널 모드로서 검색된다.
다음의 스텝 S33에서는 CPU(50)는 CPU(53)에 의한 상술한 포맷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자기 테이프(28)상에서 현재 재생중의 포맷이 HD2 포맷이면, 파이널 모드 변환 처리를 행한다. 도 13은 파이널 모드 변환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다. 파이널 모드 변환 테이블은 예를 들면, DV 포맷에서의 파이널 모드와, 해당 파이널 모드에 동작이나 재생 화상이 가장 가까운, HD2 포맷에서의 파이널 모드가 대응시켜져 있다. 파이널 모드 변환 테이블은 예를 들면 ROM(61)에 미리 기억된다.
또한, 스텝 S33에서는 포맷 판정 결과가 DV 포맷이고, 또한, 현재의 파이널 모드가 HD2 포맷 검출시에 변환된 것이면, 원래의, 즉 HD2 포맷 검출 전의 DV 포맷 시에 설정된 파이널 모드로 되돌린다.
스텝 S33에서 파이널 모드가 변환되면, 다음의 스텝 S34에서 CPU(50)로부터 CPU(53)에 대해 상태 천이가 발생한 취지가 통지된다.
또한, 스텝 S33 및 스텝 S34의 처리는 도 8를 이용하여 설명한 포맷 판정 처리에 따라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즉, 스텝 S33 내에서 CPU(53)로 도 8의 플로우 차트의 1트랙분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포맷 판정 결과가 CPU(53)로부터 CPU(50)에 대해 통지된다. CPU(50)는 통지된 포맷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필요에 따라 파이널 모드 변환 처리를 행하고, 결과를 CPU(53)에 통지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 S33으로 되돌려지고, 다음의 트랙에 의한 포맷 판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실제로는 스텝 S30 내지 스텝 S32의 처리도, 트랙마다 유저 조작에 의한 입력이 대기되어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자기 테이프(28)상에 복수의 포맷이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포맷에 대응하는 메카니컬 모드의 전환 처리로서는 상술한 실시의 제 1의 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이 이용된다. 이 실시의 제 2의 형태에서는 메카니컬 모드를 유저가 지정한다. 예를 들면, 메카니컬 모드의 모드 천이에 관해 지정된 포맷에서의 상태 천이만을 강제적으로 행한다.
도 14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하지(下地)로서 DV 포맷에 의한 기록이 이미 행하여지고 있는 자기 테이프(28)에, HD2 포맷에 의해 기록을 행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자기 테이프(28)는 도 14에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D2 포맷에 의해 기록된 영역의 사이에, 하지로서 기록된 DV 포맷의 영역이 곳곳에 존재하는 상황으로 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자기 테이프(28)를 상술한 바와 같은 포맷의 자동 판정을 행하여 재생하면, HD2 포맷과 DV 포맷이 전환되는 곳에서 문제점으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할 수 없게 되는 부분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의 형태에서는 유저는 예를 들면 미리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재생 포맷으로서 HD2 포맷을 지정한다. CPU(50)는 이 지정에 따라, 파이널 모드를 전부 HD2 포맷의 것으로 강제적으로 설정한다. 그 결과,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HD2 포맷과 DV 포맷이 혼재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28)를 재생하면, HD2 포맷의 부분만이 재생되고, DV 포맷의 부분은 재생되지 않고, 무시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28)상의 기록 포맷이 전환될 때, 재생이 도중 절단되는 일이 없고, 포맷의 전환시에 발생하는 지연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단일 포맷을 대상으로 한 편집 작업시에, 지연에 의한 신호의 놓처버림이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제 3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1394 I/F(40)가 마련되고, 컴퓨터 장치 등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컴퓨터 장치로부터 소정의 형식으로 송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1394 I/F(40)에 의해 수신하고, 자기 테이프(28)에 기록할 수 있음과 함께,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1394 I/F(40)를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는 송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예를 들면 하드 디스 크에 일단 기록하고, 편집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술한 도 14과 같은 HD2 포맷과 DV 포맷이 혼재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28)를, 포맷 판정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대응 포맷을 전환하면서 재생하고, 1394 I/F(40)로부터 출력하는 경우에 관해 고려한다. 이 경우, 1394 I/F(40)에 의해 송신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이, 스트림 수신중의 포맷 변경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수신측은 수신 스트림에서 포맷이 변경된 시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의 제 3의 형태에서는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한 데이터를 1394 I/F(40)를 이용하여 외부에 송신할 때, 취급한 포맷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 비디오 포맷을 지정하는 조작부를 마련하고, (1) 자동 판정, (2) HD2 포맷, (3) DV 포맷의 3가지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1)의 자동 판정 모드에서는 자기 테이프(28)의 재생시에, 상술한 포맷 자동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비디오 카메라 장치(1)의 상태를 천이시키고,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는 외부의 컴퓨터 장치 등으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을 1394 I/F(40)에 의해 수신하고,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나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자기 테이프(28)에의 기록이나, 표시 패널(34)이나 뷰 파인더(37)에의 표시, D4 단자(31)로부터의 출력 등을 행할 수 있다. (1)의 자동 판정 모드에서는 이 1394 I/F(40)에 의해 수신된 스트림의 포맷 판정도, 예를 들면 스트 림의 소정의 헤더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2)의 HD2 포맷 모드에서는 시스템의 상태를 HD2 포맷 대응의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자기 테이프(28)의 재생시에 DV 포맷이 검출되고 DV 포맷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재생되어도, 출력계에 대해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의한 출력이 되지 않게 된다. 즉, 이 HD2 포맷 모드중에는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재생되어도, 표시 패널(34)이나 뷰 파인더(37)에의 화상의 표시가 되지 않음과 함께, D4 단자(31)에의 출력의 도출도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재생된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1394 I/F(40)로부터의 송신도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3)의 DV 포맷 모드에서는 (2)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의 상태를 DV 포맷 대응의 상태로 고정적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 자기 테이프(28)의 재생시에 HD2 포맷이 검출되고 HD2 포맷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재생되어도, 출력계에 대해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즉, 이 DV 포맷 모드중에는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재생되어도, 표시 패널(34)이나 뷰 파인더(37)에의 화상의 표시가 되지 않음과 함께, D4 단자(31)에의 출력의 도출도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재생된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1394 I/F(40)로부터의 송신도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1394 I/F(40)에 대해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상술한 (1) 내지 (3)의 모드중, (2) HD2 포맷 모드, 또는 (3) DV 포맷 모드중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이로써, 1394 I/F(40)로부터 송신되는 스트림의 비디오 포맷이, 자기 테 이프(28)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되고, 송신처에서, 스트림의 비디오 포맷 변경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회피된다.
또한, 상술한 (1) 내지 (3)의 각 모드의 동작은 예를 들면 CPU(50)의 명령에 의거하여 CPU(53)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2) HD2 포맷 모드 및 (3) DV 포맷 모드에 있어서 시스템 모드를 고정적으로 설정하였을 때, 설정한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되었을 때나, 1394 I/F(40)로부터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메세지를 표시 패널(34) 등에 표시하면, 바람직하다. 메세지는 D4 단자(31)에 접속된 외부 모니터 장치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5는 설정된 시스템의 포맷과, 재생 또는 입력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다른 경우의 표시의 예이다. 일예로서, (2)의 HD2 포맷 모드로 설정하고, 자기 테이프(28)로부터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재생되는 또는 1394 I/F(40)에 의해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도 15A와 같이 재생 또는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예를 들면 표시 패널(34)에 표시된다.
여기서,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된, 또는 1394 I/F(40)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HD2 포맷으로부터 DV 포맷으로 전환되면, 도 15B에 일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설정에서는 재생(표시)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세지가, 도 15A의 재생 또는 수신 영상에 바꾸여져서, 표시 패널(34) 등에 표시된다. 도 15B의 메세지 표시는 예를 들면 CPU(50)의 명령에 의거하여 OSD부(41)에서 작성 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이 후의 처리는 2가지가 고려된다. 제 1은 이대로 도 15B의 메세지 화면을 계속 표시하고, 자기 테이프(28)로부터 재생, 또는 1394 I/F(40)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설정된 시스템의 포맷(이 예에서는 HD2 포맷)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재생 또는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설정된 시스템의 포맷으로 되돌아오면, 표시 패널(34) 등에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의한 표시를 재개시킨다.
제 2는 도 15B의 메세지를 소정 시간, 예를 들면 수 초간만큼 표시시키고, 이후, 도 15C에 일예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28)의 재생이나 1394 I/F(40)에 의한 수신을 정지하여 버리는 방법이다.
제 1 및 제 2의 방법을 조합시켜서, 우선 제 1의 방법으로 재생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설정된 시스템의 포맷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소정 시간만큼 대기하고,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도 15C와 같이, 재생 또는 수신을 정지하여 버리는 것도 고려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제 3의 형태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의 제 3의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1394 I/F(40)에 HD2 포맷으로부터 DV 포맷으로의 다운 컨버터를 마련하고, MUX/DEMUX(24)로부터 공급된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송신한다.
이 다운 컨버터의 기능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ON/OFF할 수 있고, 시스템 이 HD2 포맷일 때, MUX/DEMUX(24)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ON에서 DV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OFF에서 HD2 포맷의 신호인 채 송신한다. 시스템이 DV 포맷일 때는 다운 컨버트 기능의 ON/OFF에 관계없이 DV 포맷의 신호가 송신된다.
이 다운 컨버터 기능에 의해 DV 포맷의 편집 환경을 가지며, HD2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편집 환경을 갖지 않는 유저도, 이 비디오 카메라 장치(1)로 촬영 및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편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그때 비디오 카메라 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DV 포맷으로 고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유저 측에서 포맷 변경에 의한 컴퓨터 장치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행할 수 있는 각종 변형,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제 1의 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검출하고, 검출된 포맷에 따라 자동적으로 메카니컬 모드가 천이되기 때문에, 유저는 재생시에 포맷의 전환점에서 전혀 조작을 하는 일 없이, 계속해서 재생 화상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맷의 전환점의 앞의 포맷에는 있는 메카니컬 모드가, 전환점의 후의 포맷에는 없는 경우, 전환점의 후의 메카니컬 모드가 재생 화상을 외간상 크게 변하지 않는 메카니컬 모드로 바뀌어지기 때문에, 유저에 대해 포맷이 전환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천이를 하고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2의 형태에 의하면, 제 1의 포맷 및 제 2의 포맷의 어느 하나의 메카니컬 모드를 유저가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변경되어도, 포맷의 변경에 의한 지연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 포맷을 대상으로 한 편집 작업시에, 지연에 의한 신호의 놓침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제 3의 형태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 장치 등에 송신할 때, 송신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을 유저가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포맷이 재생중에 변경되어도, 송신처의 컴퓨터 장치 등에서 장애가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복수 포맷을 갖는 디지털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포맷 판정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포맷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 수단의 상기 상태의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포맷이 상기 재생 수단의 처-상태(destination-state)에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의 상기 처-상태를 상기 디지털 신호의 포맷에 따라 다른 상태로 바꾸어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바뀐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의 상태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디지털 신호의 포맷이 천이되는 경우에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처-상태는 유저 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뀐 상태에서 재생된 화상은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 재생된 화상과 외관상 비슷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상기 포맷이 상기 재생 수단의 처-상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의 상태를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이 상기 상태를 지속한 이후에, 상기 포맷이 상기 재생 수단의 상기 처-상태에 대응하는 포맷으로 천이하는 경우에, 상기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은 상기 상태를 상기 처-상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상태는 상기 상태의 천이가 정지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천이 관리 수단은 소정의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를 강제적으로 천이하는 제1의 모드와, 상기 포맷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를 천이하는 제 2의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0.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복수의 포맷을 갖는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는 스텝과,
    상기 포맷 판정 스텝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 스텝의 상기 상태의 천이를 관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1.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복수 포맷을 갖는 디지털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디지털 신호의 포맷을 판정하는 포맷 판정부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상태로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포맷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재생 수단의 상기 상태의 천이를 관리하는 상태 천이 관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KR1020050077726A 2004-08-27 2005-08-24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20060050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7784A JP4042729B2 (ja) 2004-08-27 2004-08-27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JP-P-2004-00247784 2004-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606A true KR20060050606A (ko) 2006-05-19

Family

ID=3552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726A KR20060050606A (ko) 2004-08-27 2005-08-24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45493A1 (ko)
EP (1) EP1638324A1 (ko)
JP (1) JP4042729B2 (ko)
KR (1) KR20060050606A (ko)
CN (1) CN17583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6358A (ja) * 2005-07-22 2007-02-08 Canon Inc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60595B2 (en) 2006-06-23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ization of mobile device user experience
US20080050098A1 (en) * 2006-08-28 2008-02-2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8259797B2 (en) 2008-09-15 2012-09-04 Florida Atlantic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conversion of digital video
US20100133216A1 (en) * 2008-10-17 2010-06-03 Janice Lanza-Brache Raised Attic Storage System
KR101527085B1 (ko) * 2009-06-30 201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트라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862A (en) * 1994-12-19 2000-08-15 Hitachi, Ltd.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mpatible with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JPH10174032A (ja) 1996-12-11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記録ビデオカメラ
CA2289958C (en) * 1998-11-19 2003-01-21 Tomoyuki Okad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WO2001057855A1 (fr) * 2000-02-03 2001-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registreur magnetique numerique et appareil d'enregistrement/reproduction magnetique
KR20040013314A (ko) * 2002-08-05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포맷 기록 및 재생 장치와 방법,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5962A (ja) 2006-03-09
EP1638324A1 (en) 2006-03-22
CN1758359A (zh) 2006-04-12
US20060045493A1 (en) 2006-03-02
JP4042729B2 (ja)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95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still pictures and animations
WO2006027880A1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5619355B2 (ja) 画像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3529599B2 (ja) 符号化装置における編集可能点挿入方法および符号化装置
KR20060050606A (ko)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JPWO2009072276A1 (ja) 画像符号化装置、ビデオカメラ、集積回路及び画像符号化方法
JP3516450B2 (ja) ビットストリームの伝送方法及び伝送システム
JPH11164245A (ja)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再生装置ならびに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9225361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ならびに、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H07107466A (ja) 撮像装置
JP2007158432A (ja) 映像記録装置
US7058280B2 (en)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high-speed reproducing function
US6757485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still picture from recording medium
JP2009033604A (ja) 映像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3384910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2007097146A (ja) 印刷要求タイミングに応じた静止画印刷方法及び装置
JP2002252823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4497019B2 (ja) 映像処理装置
JP2003250114A (ja) 映像記録装置
JP2005303626A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5236643A (ja) 再生装置
JP2007081813A (ja) 記録装置
JP2005237020A (ja) ディジタル映像処理装置及びディジタル映像処理方法
JP2006303627A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09801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