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911A - 생리용 냅킨 - Google Patents

생리용 냅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911A
KR20060049911A KR1020050061020A KR20050061020A KR20060049911A KR 20060049911 A KR20060049911 A KR 20060049911A KR 1020050061020 A KR1020050061020 A KR 1020050061020A KR 20050061020 A KR20050061020 A KR 20050061020A KR 20060049911 A KR20060049911 A KR 2006004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eformation
sanitary napkin
rear flap
deforma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255B1 (ko
Inventor
마사타카 기노시타
다쿠야 미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옷의 내측에 전개되어 설치되는 후방 플랩부를 신체의 변형에 따르기 쉽고,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으며, 주름 및 꼬임이 잘 생기기지 않는 생리용 냅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생리용 냅킨(1)의 본체부(5)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플랩부(25)는 착의측 제2 시트와 피부측 제1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시트에는 마루부(ridge)(46)와 곡부(furrow)(47)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되며, 또한 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비변형부(48)가 형성된다. 이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함으로써, 후방 플랩부(25)가 신체에 맞추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생리용 냅킨{SANITARY NAPKIN}
도 1은 본 발명의 생리용 냅킨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후방 플랩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후방 플랩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5는 후방 플랩부 표면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A)는 도 3의 VI-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 (B)는 후방 플랩부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파형 변형부와 비변형부의 가공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평면 접촉율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기어 프레스 롤러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리용 냅킨
2: 피부측 표면
3: 착의측 표면
5: 본체부
21: 되접어 꺽인 플랩부
25: 후방 플랩부
26: 제2 시트
27: 제1 시트
32: 보강 시트
41: 전방 가장자리부
45: 파형 변형부
46: 마루부(ridge)
46a: 정상부
47: 곡부(furrow)
47a: 바닥부
48: 비변형부
본 발명은 액체 흡수 기능을 발휘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후방 플랩부를 갖는 생리용 냅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후방 플랩부가 신체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기 쉽고, 착용감이 양호하며, 또한 주름이 잘 생기지 않는 생리용 냅킨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은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 사이에 액체 흡수층이 개재된 본체부를 갖고 있다. 이 본체부가 여성의 고간부에 장착되면 질구로부터의 배출액이 표면 시트를 투과하여 상기 액체 흡수층에서 흡수된다.
생리용 냅킨에는 상기 본체부의 전후를 이등분하는 중심보다도 전방 부분에 질구를 대향하고, 본체부의 후방 부분이 항문으로부터 또한 둔부 사이의 갈라진 부분(둔부의 홈)에 걸쳐서 장착되는 세로로 긴 것이다. 이 세로로 긴 생리용 냅킨은 상기 본체부의 후방 부분에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후방 플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생리용 냅킨은 예컨대, 위를 향해서 취침할 때 및 장시간 착용하고 앉아있을 때에, 질구에서 신체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혈을 본체부의 후방 부분에서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부의 후방에서 측방으로 흘러나오려고 하는 경혈을 상기 후방 플랩부에서 저지할 수 있어 속옷을 더럽히지 않게 된다.
상기 생리용 냅킨을 신체에 착용하였을 때는 상기 후방 플랩부가 속옷의 내측에서 전개된 상태로 신체에 밀착한다. 그러나, 생리용 냅킨을 착용한 상태로 다리를 움직이면, 고간부에서 둔부에 걸쳐 신체가 변형되고, 이것에 따라 속옷이 부분적으로 늘어나거나 틀어지거나 하여 상기 후방 플랩부를 변형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그 결과, 착용중인 생리용 냅킨의 후방 플랩부가 꼬이거나 주름이 형성되기 쉽다.
그래서 이하의 특허 문헌 1에는 상기 후방 플랩부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무수히 많은 가압 엠보스부를 형성하여, 후방 플랩부의 강성을 높인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생리용 냅킨은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의 표면에 부직포를 적층하여 후방 플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 플랩부를 소정 패턴의 볼록부를 갖는 패턴롤과, 둘레면이 평활한 플래트 롤 사이에 끼워 넣고, 상기 볼록부와 평평한 둘레면에서 상기 적층체를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밀도를 높게 하여 가압 엠보스부를 형성하고, 그 결과, 후방 플랩부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후방 플랩부에서 상기 가압 엠보스부가 가로 방향으로 줄무늬형으로 연장되는 것이나 가로 방향을 향해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것, 나아가서는 가압 엠보스부가 크로스형으로 형성된 것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33976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평 9-500558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후방 플랩부에 무수히 많은 가압엠보스부를 형성하여 강성을 높이면, 속옷의 내측으로 전개시켜 신체에 밀착시키려고 하였을 때에, 후방 플랩부가 신체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기 어렵고,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특히, 가압 엠보스부가 가로 방향으로 줄무늬형으로 형성된 것에서는 후방 플랩부를 가로 방향으로 향해서 오목형으로 변형시킬 때의 저항력이 커진다. 또한, 후방 플랩부의 전방 부분은 신체 대퇴부의 내측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지만, 이 부분은 다리를 움직였을 때에 몸의 표면 형상이 변화되기 쉬운 장소이다.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이, 후방 플랩부의 전방 부분의 강성이 높아져 있으면, 상기 전방 부분이 몸의 변형에 따르기 어렵고, 대퇴부에 위화감을 부여하여 착용감을 잃게 된다.
다음에, 상기 특허 문헌 2에는 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플랩부에, 시트를 파형상으로 변형시킨 제1 영역을 마련한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시트를 변형시킨 마루부의 정상부와 곡부의 바닥부가 생리용 냅킨의 세로 방향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도 6과 도 7에는 상기 플랩부에 상기 제1 영역이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또한 신장성이 작은 부분인 제2 영역이 가로 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은 본체부가 속옷의 가랑이부의 내측에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플랩부가 속옷 가랑이부의 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것이다. 이 플랩부에 제1 영역을 마련한 이유는 상기 본체부를 속옷 가랑이부의 내측에 설치하여 속옷을 끌어 당겼을 때에 상기 플랩부가 속옷 주위에서 접혀 속옷의 외면을 향해 쉽게 변형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상기 플랩부는 속옷 가랑이부의 측 가장자리부에서 접히는 것이며, 속옷의 내측에 전개된 상태로 신체에 장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파형으로 변형된 제1 영역은 플랩부를 속옷의 측 가장자리부 주위에서 접히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속옷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설치되었을 때에 신체의 형상에 맞추어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주름 등의 변형이 생기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속옷의 내측에서 전개되어 신체에 밀착되는 후방 플랩부를 마련한 것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랩부가 신체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며, 또한 주름 등의 변형이 잘 생기지 않고, 또한,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생리용 냅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 흡수층을 갖고 액체 흡수 기능을 발휘하는 세로로 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후방 플랩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 플랩부가 속옷의 내측에서 전개된 상태로 신체에 장착되는 생리용 냅킨에 관한 것으로,
상기 후방 플랩부를 구성하는 시트에는 세로 방향을 향해 마루부와 곡부가 교대로 반복되어 마루부의 정상부와 곡부의 바닥부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형 변형부와,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곡부를 횡단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 또는 선형의 비변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비변형부는 상기 마루부와 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마루부의 정상부와 상기 곡부의 바닥부 사이의 높이 치수가 상기 파형 변형부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후방 플랩부가 파형 변형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을 향한 굽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을 향한 굽힘 강성도 작아지며, 전체로서 만곡 변형이 쉬워져 신체 형상의 변화에 쉽게 따르게 된다. 특히, 상기 파형 변형부와 비변형부가 후방 플랩부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대퇴부 내측에서의 신체의 변형 및 속옷의 변형에 쉽게 따르게 된다. 또한 후방 플랩부의 굽힘 강성이 낮기 때문에,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으며, 특히 대퇴부 부근의 신체 변형량이 큰 부분에 대하여 후방 플랩부가 위화감을 잘 부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플랩부에서는 적어도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제1 시트와, 착의측 표면에 드러나는 제2 시트가 겹쳐지고, 상기 제1 시트에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 변형부의 곡부의 바닥부가 상기 제2 시트 또는 제2 시트상에 위치하는 다른 시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피부측 표면에 드러나는 제1 시트에 파형 변형부가 형성되고, 이 제1 시트가 평탄한 제2 시트에 접합되어 있으면, 파형 변형부를 가압하였을 때의 부피 회복율을 높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후방 플랩부가 피부측이 오목부가 되도록 구부려졌을 때에, 제1 시트의 파형 변형부는 도 6(B)와 같이 변형됨으로써, 후방 플랩부가 큰 저항을 일으키지 않고 구부러진다. 그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주름이나 꼬임이 잘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파형 변형부에서 상기 마루부와 곡부가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고, 상기 파형 변형부에서의 상기 마루부와 곡부의 피치가 상기 후방 플랩부의 전방에서는 좁고, 후방에서는 상기 전방보다도 넓은 것이라도 좋다.
후방 플랩부의 전방 부분에서 파형 변형부 마루부의 피치를 짧게 하면, 후방 플랩부의 전방 부분이 대퇴부의 내측 부근에서 몸의 움직임에 쉽게 따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변형부는 상기 파형 변형부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고, 상기 비변형 부는 상기파형 변형부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이면서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각각의 후방 플랩부에서 상기 비변형부가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조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변형부가 복수조 마련되어 있으면, 각각의 후방 플랩부의 가로 방향을 향한 굽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신체에 따라 쉽게 변형된다.
본 발명의 생리용 냅킨의 후방 플랩부의 강성으로서는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의 부피 회복율이 7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는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시트에 비하여, 링 크러쉬 강도(ring crush strength)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생리용 냅킨을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후방 플랩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후방 플랩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5는 후방 플랩부의 피부측 표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6(A)(B)는 도 3의 VI-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과 도 8은 후방 플랩부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은 세로 방향(Y 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로 방향(X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세로로 긴 형상이며, 또한, 세로 방향 중심 선(0y)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 형상이다. 생리용 냅킨(1)이 여성의 고간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세로 방향으로 향하는 앞 가장자리부(1a)가 치골 위치 혹은 하복부에 설치되며, 뒤 가장자리부(1b)가 둔부 사이의 갈라진 부분(둔부의 홈) 또는 미저골 부근에 설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가로 방향 기준선(Ox)와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교차점 부근이 질구 전후 개구 폭의 중심 부분에 대향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은 신체를 향하고 있는 피부측 표면(2)과, 속옷의 내면을 향하는 착의측 표면(3)을 갖고 있다. 생리용 냅킨(1)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11)와, 이 이면 시트(11) 위에 설치된 액체 흡수층(12)과, 상기 액체 흡수층(12)을 덮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13)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액체 흡수층(12)은 앞 가장자리부(12a)와 뒤 가장자리부(12b) 및 우측 가장자리부(12c)와 좌측 가장자리부(12d)를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다.
이 생리용 냅킨(1)은 상기 액체 흡수층(12)의 우측 가장자리부(12c) 및 그 연장선과, 좌측 가장자리부(12d) 및 그 연장선과, 또한, 앞 가장자리부(1a)와 뒤 가장자리부(1b)로 둘러싸인 부분이 액체 흡수 기능을 갖는 본체부(5)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5)에는 표면 시트(13)와 액체 흡수층(12)이 피부측 표면(2)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가압된 한쌍의 세로 압축선(6)이 가로 방향(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세로 압축선(6)은 전방에서, 전방 가로 압축선(6a)에 의해 연결되며, 후방에서 후방 가로 압축선(6b)으로 연결되어 있다. 세로 압축선(6) 은 세로 방향으로 긴 범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좌우의 세로 압축선(6) 및 전방 가로 압축선(6a)과 후방 가로 압축선(6b)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주로 경혈을 흡수하는 중앙 흡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 흡수 영역에서는 상기 액체 흡수층(12) 위에 부피가 크면서 액의 투과 기능을 갖는 쿠션층(14)이 마련되며, 이 중앙 흡수 영역의 피부측 표면이 신체를 향해서 융기하고 있다.
상기 세로 압축선(6)끼리의 가로 방향의 간격은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의 위치에서 가장 좁게 되어 있다.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이 횡단하고 있는 위치에서는 상기 세로 압축선(6) 각각의 외측에, 전방 외측 압축선(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보다도 후방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는 각각의 세로 압축선(6)의 외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외측 압축선(8)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후방 외측 압축선(8)끼리가 상기 후방 가로 압축선(6b)보다도 후방 위치에 있어서, 외측 가로 압축선(8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5)의 좌우 양 외측에 플랩부가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생리용 냅킨(1)의 전방 부분에는 좌우 양측부로부터 각각 조금씩 연장되어 나오는 전방 플랩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이 횡단하고 있는 위치에는 본체부(5)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되접어 꺾인 플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되접어 꺽인 플랩부(22)의 후방 부분에 생리용 냅킨(1)의 폭 치수를 감소시키는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오목부(23)의 후방에 본체부(5)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나오는 후방 플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플랩부(21), 되접어 꺾인 플랩부(22) 및 후방 플랩부(25)는 착의측 표면(3)에 제2 시트(26)가 나타나며, 피부측 표면(2)에 제1 시트(27)가 나타나고 있다. 상기 제2 시트(26)는 상기 본체부(5)의 착의측 표면(3)에 나타나고 있는 상기 이면 시트(11)와 동일한 시트이며, 상기 이면 시트(11) 중 상기 본체부(5)로부터 좌우로 연장된 부분이 제2 시트(26)이다. 상기 제1 시트(27)는 상기 표면 시트(13)와는 별체의 시트이며, 전방 플랩부(21), 되접어 꺾인 플랩부 (22) 및 후방 플랩부(25)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26)에 겹쳐지면서 상기 표면 시트(13)와 접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5)의 좌우 양 외측에서는 상기 제1 시트(27)가 2장 겹쳐져 있으며, 그 겹쳐진 부분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28)는 세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27)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기단(31)보다도 전방의 고정부(32)와, 후방 기단(33)보다도 후방의 고정부(34)에서는 제1 시트(27)의 2장 겹쳐진 부분이 겹쳐저 표면 시트(13)의 표면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방 기단(31)과 후방기단(33) 사이에는 제1 시트(27)의 겹쳐진 부분 중 일부가 자유로운 상태이다. 상기 탄성 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 기단(31)과 후방 기단(33) 사이에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여, 생리용 냅킨(1)이 피부측 표면(2)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만곡 변형되면, 전방 기단(31)과 후방 기단(33) 사이에서 상기 제1 시트(27)가 표면 시 트(13)와의 접합 경계부(35a)를 기점으로 하여 피부측을 향해서 세워져 샘 방지벽(35)이 형성된다.
상기 되접어 꺽인 플랩부(22)에서는 상기 제2 시트(26)와 제1 시트(27) 사이에 구 형상 보강 시트(36)을 끼원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플랩부(25)에서는 상기 제2 시트(26)와 상기 제1 시트(27) 사이에, 보강 시트(37)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 플랩부(25)는 상기 오목부(23)의 바닥점, 즉 생리용 냅킨(1)의 폭 치수가 오목부(23) 내에서 가장 짧아지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후방을 향해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는 전방 가장자리부(41)와, 상기 폭 치수가 대략 최대가 되는 중간 가장자리부(42)와, 상기 중간 가장자리부(42)로부터 상기 폭 치수가 서서히 좁아지는 후방 가장자리부(43)를 갖고 있다. 이 생리용 냅킨(1)이 속옷의 가랑이부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이 질구의 중앙부에 대향하면, 상기 전방 가장자리부(41)가 대퇴부에 대향하고, 또한 전방 가장자리부(41)가 속옷의 각 개구부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된다.
상기 후방 플랩부(25)는 상기 전방 가장자리부(4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 부분이고, 상기 중간 가장자리부(4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중간 부분이며, 상기 후방 가장자리부(4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후방 부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후방 플랩부(25)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제1 시트(27)에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단면도에서는 보강 시트(37)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파형 변형부(45)의 수직 상승 높이 치수를 H로 나타내고 있다. 이 높이 치수 H를 상하로 2 등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기준선(Oh)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마루부(46)이며, 그 정상부를 부호(46a)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평 기준선(Oh)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곡부(47)이며 그 바닥부를 부호 (47a)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플랩부(25)의 세로 방향의 전체 길이(LO)에 걸쳐 파형 변형부(4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마루부(46)와 곡부(47)가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고, 마루부(46)의 정상부(46a)와 곡부(47)의 바닥부(47a)가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직교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형 변형부(45)에서는 상기 곡부(47)의 바닥부(47a)가 보강 시트(37)에 접착되어 있으며, 그것 이외의 부분에는 제1 시트(27)와 보강 시트(37)가 접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후방 플랩부(25)에 보강 시트(37)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곡부(47)의 바닥부(47a)가 상기 제2 시트(26)에 접착된다.
상기 후방 프랩부(25)의 상기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시트(27)에 상기 마루부(46)와 상기 곡부(47)를 횡단하는 복수의 비변형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비변형부(48)에서는 제1 시트(27)에 상기 마루부(46)와 곡부(47)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편평한 형상이다. 또는 상기 비변형부(48)에 파형 변형부(45) 정도는 아니지만, 도 6(A)에 도시하는 높이 H보다도 낮은 마루부와 곡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비변형부(48)는 띠형 또는 선형이며, 각 각이 세로 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하고, 세로 방향을 향해서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속하여 연장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후방 플랩부(25)에 3조의 비변형부(48)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단, 상기 비변형부(48)가 후방 플랩부(25)에 파형 변형부(45) 전체 길이에 거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소정 길이의 비변형부(48)가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시트(27)의 상기 비변형부(48)는 상기 보강 시트(37)에 접착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6(A)에 도시하는 상기 파형 변형부(45)에서 마루부(46)의 피치{곡부(47)의 피치) Xp는 0.5∼5 mm 정도이며, 높이 H는 0.5∼5 mm 정도이다. 또한, 곡부(47)의 바닥부(47a)와 보강 시트(37)와의 접착부의 폭 치수(Xa)는 0.1∼3 mm이다. 또한, 상기 비변형부(48)의 폭 치수는 0.1∼3 mm 정도이다. 그러나, 각 치수는 상기 치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방 플랩부(25)에서는 제1 시트(27)에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1 시트(27)가 되접어 꺽인 플랩부(22) 등에 비해서 연질이 된다. 따라서, 후방 플랩부(25)의 굽힘 강성을 다른 부분보다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형 변형부(45)에서는 마루부(46)와 곡부(47)가 세로 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되며 또한 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시트(27)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변형부(4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비변형 부(48)가 가요선으로서 기능하고, 가로 방향(X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도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후방 플랩부(25)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변형되기 쉽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형 변형부(45)에서는 제2 시트(26)와 보강시트(37)로 제1 시트(27)의 마루부(46)와 곡부(47)가 평면 형상으로 전개할 수 없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파형 변형부(45)에 있어서, 제1 시트(27)에 압축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마루부(46)와 곡부(47)가 잘 찌부러지지 않으며, 찌부러지더라도 형상을 회복하기 쉽다.
또한, 후방 플랩부(25)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부러졌을 때에, 제1 시트(27)는 마루부(46)끼리 서로 접근하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제1 시트(27)의 구부러짐에 대한 저항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후방 플랩부(25)에 대하여, 도 6(B)에 도시하는 굽힘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제1 시트(27)와 제2 시트(26)가 그 변형에 쉽게 따르게 되며 제2 시트(26)로 접히는 일이 잘 발생되지 않는다. 접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후방 플랩부(25)에 주름이 생기거나 꼬임이 생기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플랩부(25)의 피부측 표면에 제1 시트(27)의 마루부(46)가 나타나 있기 때문에, 후방 플랩부(25)와 피부와의 실질적인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피부에 달라 붙는 것도 억제하기 쉽다.
도 3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플랩부(25)의 전역에 파형 변형부(4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플랩부(21)와 되접어 꺾인 플랩부(22)에는 상기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후방 플랩부(25)를 전방 플랩부 (21) 및 되접어 꺾인 플랩부(22)보다도 강성이 낮은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되접어 꺽인 플랩부(22)는 속옷 가랑이부의 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되접어 꺾여 속옷의 외면에 접착되고, 생리용 냅킨(1)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강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반하여, 후방 플랩부(25)는 속옷의 내측에서 전개되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강성을 감소시켜 탄성 회복력을 높게 함으로써, 몸의 형상의 변화를 따르기 쉽고, 또한 주름 및 꼬임이 잘 생기지 않게 한다. 또, 후방 플랩부(25)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신체에 대하여 이물감 등의 위화감을 부여하는 일이 적다.
특히, 후방 플랩부(25)의 전방 부분은 대퇴부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크고, 복잡한 변형을 일으키는 힘이 부여된다. 따라서, 이 전방 부분에 상기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해 둠으로써, 몸의 형상 변화에 쉽게 따르며, 게다가 전방 가장자리부(41)가 대퇴부에 닿아도 대퇴부에 경질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후방 플랩부(25)에서는 적어도 전방 가장자리부(41)를 갖는 상기 전방 부분(도 3에 있어서 La로 나타내는 범위)에 상기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전방 기단(31)과 후방 기단(33) 사이에, 탄성 부재(28)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여, 전방 기단(31)과 후방 기단(33) 사이에서 본체부(5)를 만곡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상기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는 영역의 측방에 즉, 후방 플랩부(25)에 있어서, 적어도 후방 기단(33)보다도 전방 영역(도 3의 Lb의 영역)에 상기 파형 변 형부(4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후방 플랩부(25)의 중간 부분 및 후방 부분에는 상기 파형 변형부(45)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혹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퇴부에 끼워져 큰 변형력을 받기 쉬운 전방 부분(길이 Lc의 영역)에서 마루부(46)의 피치{곡부(47)의 피치)를 짧게 하고, 후방 부분(길이 Ld의 영역)에서 상기 피치를 성기게 하여도 좋다.
상기 후방 플랩부(25)를 형성하는 제1 시트(27)는 부피 회복성을 유지하기 위해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코어부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며, 시스부에는 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합성 수지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에 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합성 수지 섬유가 사용된다. 제1 시트(27)는 상기 합성 수지 섬유를 이용하여 스루 에어법으로 형성된 부직포, 혹은 스펀 본드법 및 포인트 본드법으로 형성된 부직포가 사용된다. 제1 시트(27)는 기본 중량이 10∼40 g/㎡의 범위이며, 두께가 0.1∼1.5 mm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1 시트(27)에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부형 장치가 사용된다. 이 부형 장치는 제1 기어 프레스 롤러(50)와 제2 기어 프레스 롤러(60)를 갖고 있다. 제1 기어 프레스 롤러(50)의 둘레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51)와 오목부(52)가 주위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되며, 또한, 원주 방향을 향하는 띠형의 평탄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기어 프레스 롤러(60)의 둘레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61)와 오목부(62) 가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며, 또한 원주면을 향하는 평탄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 프레스 롤러(50)와 제2 기어 프레스 롤러(60)는 볼록부(51)가 오목부(62)에 들어가도록 조합된다.
상기 제1 시트(27)를 제1 기어 프레스 롤러(50)와 제2 기어 프레스 롤러(60)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공급 방향(MD)을 향해서 마루부와 곡부가 반복되는 파형 변형부(45)와, 공급 방향(MD)을 향해서 띠형 또는 선형으로 연장되는 비변형부(48)가 형성된다. 또,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후방 플랩부(25)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비변형부(48)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평탄부(53, 63)를 구비한 기어 프레스 롤러가 사용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비변형부(48)가 세로 방향중심선(Oy)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하는 MD와, 생리용 냅킨(1)의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방향이 평행하다. 그리고, 생리용 냅킨(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1 기어 프레스 롤러(50)와 제2 기어 프레스 롤러(60)로 파형 변형부(45)를 형성하면서 제1 시트(27)를 송출할 때에 비변형부(48)가 연장되는 방향이 MD에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시트(27)가 사행(蛇行)되지 않고, 제1 시트(27)를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방향으로 정확히 송출하는 수 있으며, 제1 시트(27)의 파형 변형부(45)의 방향과, 비변형부(48)의 방향을 생리용 냅킨(1)의 세로 방향에 정확히 맞추어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하여 가공된 파형 변형부(45)에서는 마루부(46)의 정상부(46a)와, 곡부(47)의 바닥부(47a)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비교적 높지만, 마루부 (46)와 곡부(47)의 측벽부에서는 기어 프레스 롤러의 볼록부에 의해 부직포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가 늘어나기 때문에 섬유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파형 변형부(45)가 가공된 영역의 강성이 파형 변형부를 갖고 있지 않는 동일한 시트보다도 감소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된 제1 시트(27)의 링 크러쉬 강도는 상기 파형 변형부(4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시트에 대하여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여기서, 링 크러쉬 강도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제1 시트로 MD가 100 mm, MD와 직교하는 방향(CD)이 20 mm인 긴 직사각형편을 제조하고, MD를 향하는 단부를 겹치기 위해 남겨둔 부분 이 2 mm가 되도록 겹쳐 스테플러로 고정하여 높이가 20 mm인 원통을 형성한다. 이 원통을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오토그래프 압축 측정 장치에 설치하고, 최대 하중 50 N, 측정 속도 10 mm/분으로, 원통을 찌부러뜨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데, 그 때에 측정된 최대 하중이 링 크러쉬 강도이다.
또한, 도 3과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형 변형부(45)를 갖는 제1 시트(27)가 보강 시트(37)상에 접합된 후방 플랩부(25)의 부피 회복율은 70∼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피 회복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후방 플랩부(25)를 MD(세로 방향 중심선 Oy와 동일한 방향)와 CD의 치수를 각각 20 mm로 한 시험편을 제조하고, 키엔스 제조 현미경으로 49 Pa의 압력하에서 두께 Ta를 측정하고, 다음에 14.7 kPa의 압력 을 3시간 부여하여, 압력을 제거한 후 5분 경과 후의 두께를 Tb로 하였을 때에 부피 회복율은 (Tb/Ta)×100(%)이다.
다음에, 상기 파형 변형부(45)를 형성한 후방 플랩부(25)의 피부측 표면의 평면 접촉율은 40% 이하이고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 접촉율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후방 플랩부(25)를 MD(세로 방향 중심선 Oy와 동일한 방향)와 CD의 치수를 각각 20 mm로 한 시험편을 제조하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루부(46)의 정상부에 아크릴판 AB를 설치하고, 14.7 kPa의 압력으로 5분간 가압하여, 그 후에 하중을 제거한다. 하중을 제거하였을 때에 인접하는 마루부 정상부의 중심선간의 피치 Aa와, 아크릴판 AB와 마루부 접촉부의 간격 Ab를 키엔스 제조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평면 접촉율은 (Aa-Ab)/Aa×100(%)이다.
파형 변형부(45)를 형성한 제1 시트(27)의 링 크러쉬 강도가 상기 범위 내 이며, 부피 회복율이 상기 범위 내이며 평면 접촉율이 상기 범위이면, 속옷의 내측에 전개시켜 신체에 밀착되었을 때에 후방 플랩부(25)가 신체의 변형에 따라 변형되기 쉽고, 또 주름 및 꼬임이 잘 생기지 않으며 또한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는다.
실시예 1로서,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합성 수지 섬유로 기본 중량이 22 g/㎡인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고, 도 9에 도시하는 기어 프레스 롤러(50, 60)로 파형 변형부를 형성하였다. 또한, 폭 치수가 1 mm인 비변형부(48)를 MD로 연속하도록 형성하고, 이 비변형부(48)의 CD에서의 피치를 10 mm로 하였다. 도 9에 도시하는 기어 프레스 롤러(50, 60)는 Wa가 0.3 mm, Wb가 0.7 mm, Wc가 1.36 mm, 기어 측면의 각도 θ가 23.434°였다.
상기한 기어 프레스 롤러(50, 60)를 이용하여 10 mm/분의 속도로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하였다. 이 시트의 링 크러쉬 강도는 0.07442 N이며,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하지 않는 상기 시트의 측정치 0.1496 N에 대하여 49.7%였다.
또, 실시예 2로서 코어부가 폴리에스테르이며, 시스부가 폴리에틸렌인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수지 섬유로 기본 중량이 20 g/㎡인 스루에어 부직포를 제조하고, 도 9에 도시하는 기어 프레스 롤러(50, 60)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하였다.
이 시트의 링 크러쉬 강도는 0.033 N이며, 파형 변형부(45)와 비변형부(48)를 형성하지 않는 상기 시트의 측정치 0.0936 N에 대하여 35.3%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기본 중량이 23.5 g/㎡의 폴리에틸렌 수지인 제2 시트(26)에 접착하여 후방 플랩부와 동일한 구조인 것을 제조하였다. 그 부피회복율은 실시예 1이 95%이며, 실시예 2는 97%였다. 평면 접촉율은 양 실시예 모두 22∼27%의 범위였다.
상기 제2 시트(26){이면 시트(11)}는 기본 중량이 15∼45 g/㎡ 정도의 폴리에틸렌 수지 시트로 제조된다. 혹은 제2 시트(26)가 부직포라도도 좋다.
상기 보강 시트(37)는 제2 시트(26)를 보강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도 6(A)에 도시하는 파형 변형부(45)를 찌부러뜨리는 압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곡부(47) 바닥부(47a)의 간격이 오그라들거나 넓어져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피 회복율을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플랩부(25)가 구부러졌을 때에, 그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복원력을 발휘한다.
보강 시트(37)는 종이,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지만, 발포 우레탄 시트, 발포폴리에틸렌 시트, 합성 고무 시트, 신축성 부직포 등과 같은 탄성 복원력이 풍부한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구성 부재는 일반적인 생리용 냅킨과 동일한 물건을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흡수층(12)은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SAP) 등으로 구성된다. 표면 시트(13)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 및 액체 투과 구멍을 갖는 개공 필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쿠션층(14)은 스루에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의 착의측 표면(3)에서는 본체부(5)에 감압 접착제층(71)이 마련되고, 각각의 되접어 꺾인 플랩부(22)와, 각각의 후방 플랩부(25)의 착의측 표면에도 감압 접착제층(71)이 마련된다.
상기 생리용 냅킨(1)은 본체부(5)가 속옷의 가랑이부 내면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71)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되접어 꺾인 플랩부(22)가 속옷 가랑이부의 측 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꺾여 속옷의 외면에 대하여, 상기 감압 접착제층(71)을 사이에 두고 고정된다. 후방 플랩부(25)는 속옷의 내면으로 전개되며, 상기 감압 첩착제층(71)에 의해 고정된다. 후방 플랩부(25)의 전방 가장자리부(41)는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되며 상기 전방 가장자리부(41)가 대퇴부에 끼워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플랩부(25)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양 방향으로 유연하게 만곡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르며, 또한 뻣뻣한 강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는 일이 없고, 대퇴부에 이물감을 부여하는 일도 없다. 또한 압축 및 구부러짐에 대한 회복력을 갖기 때문에, 꼬임 및 주름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후방 플랩부(25)와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로의 접착 등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파형 변형부(45)의 마루부(46)의 정상부(46a)와, 곡부(47)의 바닥부(47a)가 연장되는 방향은 세로 방향 중심선(Oy)의 직교선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직교선에 대하여 45°의 범위 이내로 경사진 상태라도 좋다. 또한, 비변형부(48)는 세로 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10°이내의 범위에서 경사진 상태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속옷의 내측에 전개된 상태로 신체에 장착되는 후방 플랩부가 신체의 형상을 따라 쉽게 변형되며, 또한 후방 플랩부의 전방 부분이 대퇴부 부근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따르게 쉽게 된다. 후방 플랩부가 신체의 변형에 따르기 쉽기 때문에, 주름 등의 변형이 잘 남지 않는다. 또한 후방 플랩부는 굽힘 강성을 낮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으며, 특히 대퇴부 부근을 크게 움직였다고 하여도 이 부분에 있어서 신체에 위화감을 쉽게 부여하지 않게 된다.

Claims (9)

  1. 액체 흡수층을 갖고 액체 흡수 기능을 발휘하는 세로 길이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후방 플랩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 플랩부가 속옷의 내측에서 전개된 상태로 신체에 장착되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랩부를 구성하는 시트에는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마루부(ridge)와 곡부(furrow)가 교대로 반복되어 마루부의 정상부와 곡부의 바닥부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형 변형부와, 상기 마루부와 상기 곡부를 횡단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 또는 선형의 비변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비변형부는 상기 마루부와 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마루부의 정상부와 상기 곡부의 바닥부 사이의 높이 치수가 상기 파형 변형부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냅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랩부에서는 적어도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제1 시트와, 착의측 표면에 드러나는 제2 시트가 겹쳐지고, 상기 제1 시트에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 변형부의 곡부의 바닥부가 상기 제2 시트 또는 제2 시트상에 위치하는 다른 시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인 생리용 냅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변형부는 상기 마루부와 곡부가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생리용 냅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변형부에서의 상기 마루부와 곡부의 피치는 상기 후방 플랩부의 전방이 좁고, 후방이 상기 전방보다도 넓은 것인 생리용 냅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변형부는 상기 파형 변형부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인 생리용 냅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변형부는 상기 파형 변형부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이면서 간헐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인 생리용 냅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좌우 각각의 후방 플랩에 있어서, 상기 비변형부가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조 마련되어 있는 것인 생리용 냅킨.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랩부의 상기 파형 변형부의 부피 회복율이 70∼90%인 생리용 냅킨.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는 상기 파형 변형부와 상기 비변형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시트에 비해서, 링 크러쉬 강도(ring crush strength)가 60% 이하인 생리용 냅킨.
KR1020050061020A 2004-07-09 2005-07-07 생리용 냅킨 KR101157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2576A JP4312113B2 (ja) 2004-07-09 2004-07-09 生理用ナプキン
JPJP-P-2004-00202576 2004-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911A true KR20060049911A (ko) 2006-05-19
KR101157255B1 KR101157255B1 (ko) 2012-06-15

Family

ID=3554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020A KR101157255B1 (ko) 2004-07-09 2005-07-07 생리용 냅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1579B2 (ko)
JP (1) JP4312113B2 (ko)
KR (1) KR101157255B1 (ko)
CN (1) CN100571668C (ko)
MY (1) MY140590A (ko)
TW (1) TWI277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4390B2 (ja) * 2007-02-02 2013-03-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551064B2 (en) * 2008-06-17 2013-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2010119689A (ja) * 2008-11-20 2010-06-03 Kao Corp 吸収性物品
CN102427785A (zh) * 2009-05-01 2012-04-25 宝洁公司 包括活化区的吸收制品
US20100280480A1 (en) * 2009-05-01 2010-11-04 Gary Dean Lavo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ide Sheets
WO2010132654A1 (en) * 2009-05-15 2010-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5479784B2 (ja) * 2009-06-05 2014-04-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498386B2 (en) 2010-09-10 2016-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diaper pants
US8945326B2 (en) 2010-09-14 2015-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prefastened refastena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D714029S1 (en) 2011-08-17 2014-09-30 The Underwares Group, Llc Panel for lower body garment
US9713351B2 (en) * 2011-08-17 2017-07-25 The Underwares Group, Llc Undergarment and gusset therefor
JP5082006B1 (ja) * 2011-09-30 2012-11-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699920S1 (en) 2012-05-10 2014-02-25 Michelle L Wexler Cloud-shaped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USD681913S1 (en) 2012-07-19 2013-05-14 Michelle L. Wexler Cloud-shaped gusset for a lower body garment
USD690899S1 (en) 2012-09-12 2013-10-08 Michelle L. Wexler Undergament gusset
USD690900S1 (en) 2012-12-04 2013-10-08 Michelle L. Wexler Undergarment lining panel
USD699921S1 (en) 2013-03-13 2014-02-25 Michelle L Wexler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USD701367S1 (en) 2013-03-13 2014-03-25 Michelle L Wexler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heart shape
USD713619S1 (en) 2013-03-15 2014-09-23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pointed ends
USD718918S1 (en) 2013-03-15 2014-12-09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pointed end
JP6120324B2 (ja) * 2013-07-26 2017-04-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724818S1 (en) 2014-02-21 2015-03-24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lips shape
USD724819S1 (en) 2014-03-06 2015-03-24 The Underwares Group, Llc Lower body garment gusset panel with butterfly shape
US10322282B2 (en) 2014-06-06 2019-06-18 Medtronic, Inc. External stimulation therapy for dorsal genital nerve stimulation
JP6005124B2 (ja) * 2014-12-01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455960A (zh) * 2015-12-29 2016-04-06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CN106420175A (zh) * 2016-10-21 2017-02-22 东南大学 一种智能卫生巾及其监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415A (en) *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2079537C (en) * 1991-10-01 1999-01-05 Bruce William Lavash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DE69310406T2 (de) * 1992-02-13 1997-09-18 Japan Absorbent Tech Inst Zusammengesetzte elastische Bahn für Hygieneartikel, ihr Herstellungsverfahren und ihre Verwendung
JP3902648B2 (ja) 1993-07-22 2007-04-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下着の側部を自動的に覆う下着被覆構成要素を有する吸収物品
US5518801A (en) * 1993-08-03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EG20791A (en) * 1994-02-04 2000-03-29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US6200299B1 (en) * 1995-01-11 2001-03-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stress relaxing structures and fasteners positioned for improved fit
US5873869A (en) * 1995-03-02 1999-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oam absorbent structure providing improved menses acquisition and fit
US5906008A (en) * 1995-03-22 1999-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KR100266494B1 (ko) * 1995-10-06 2000-09-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변형된힌지및신장성대역을갖는플랩이달린흡수제품
US6168582B1 (en) * 1996-12-12 2001-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US6284943B1 (en) * 1996-12-13 2001-09-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in use
ES2202656T3 (es) * 1997-12-05 2004-04-01 THE PROCTER &amp; GAMBLE COMPANY Compresa higienica compuesta, con alas y con zona extensible.
SE517717C2 (sv) 1998-05-12 2002-07-09 Sca Hygiene Prod Ab Ett formelement med korrugeringar samt ett absorberande alster med ett sådant formelement
JP3830676B2 (ja) * 1998-10-30 2006-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748015B2 (ja) * 1999-08-27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ィング部材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3748023B2 (ja) * 1999-11-19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730068B2 (en) * 2001-07-12 2004-05-04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JP3871611B2 (ja) 2002-05-30 2007-0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40068244A1 (en) * 2002-10-07 2004-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mbination of stress relie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0590A (en) 2009-12-31
JP2006020893A (ja) 2006-01-26
US20060009747A1 (en) 2006-01-12
CN1718176A (zh) 2006-01-11
CN100571668C (zh) 2009-12-23
TWI277406B (en) 2007-04-01
KR101157255B1 (ko) 2012-06-15
TW200612873A (en) 2006-05-01
JP4312113B2 (ja) 2009-08-12
US7341579B2 (en)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255B1 (ko) 생리용 냅킨
KR101070348B1 (ko)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JP4508885B2 (ja) 吸収性物品
KR100804562B1 (ko) 생리대
JP5264270B2 (ja) 吸収性物品
KR101249122B1 (ko) 생리용 냅킨
JP3748023B2 (ja) 吸収性物品
US7857799B2 (en) Absorbent article
JP5014604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1034829B1 (ko) 흡수성 물품
JP4925632B2 (ja) 吸収性物品
US6475200B2 (en) Absorbent article
US20080221542A1 (en) Absorbent article
KR20030007127A (ko) 흡수성 물품
JP5367961B2 (ja) 使い捨ておむつ、シート部材およびプリーツ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2291795A (ja) 吸収性物品
JP4180866B2 (ja) 弾性復元部を有する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15368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2008030468A (ja) シート部材、高密度領域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部材を使用した使い捨ておむつ
KR100906705B1 (ko) 생리대
AU2645601A (en) Absorbent article
CN112654338B (zh) 吸收性物品
JP2021153741A (ja) 吸収性物品
JPH06422U (ja) 生理用ナプキン
WO2008109650A2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