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151A -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151A
KR20060049151A KR1020050100014A KR20050100014A KR20060049151A KR 20060049151 A KR20060049151 A KR 20060049151A KR 1020050100014 A KR1020050100014 A KR 1020050100014A KR 20050100014 A KR20050100014 A KR 20050100014A KR 20060049151 A KR20060049151 A KR 2006004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ainer
amount
lid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448B1 (ko
Inventor
마코토 치시마
구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9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73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1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8824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845Electromagnetic waves for discrete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측정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서 대향 배치되는 송신부(1)와 수신부(2)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송수신 세트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당해 송수신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부(1) 및 수신부(2) 사이에서 주고받아지는 전자파의 감쇠량에 근거하여, 측정 대상물의 양을 추정하고, 당해 추정한 측정 대상물의 양에 관한 정보를 발신하는 발신부(4)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CONTAINER DEVICE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개요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본체측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측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및 배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서의 내용량과 신호 강도와의 관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서의 임계값 정보의 저장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및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가로로 놓여진 경우의 상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소정의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가로로 놓여진 경우의 상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중량 센서 12 : 덮개부 센서
13, 23 : 정보 유지부 14, 21 : 정보 통신부
15, 22 : 제어부 16, 26 : 전원부
24 : 무선 판독부 25 : 표시부
본 발명은 식품 보존 등의 용도로 제공되는 용기 장치 및, 음료, 또는 식료품의 양이나 유무 등의 정보를 발신하는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관리 등의 목적을 위해 무선 태그(RFID 태그)가 주목받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식품마다 당해 식품의 종별 등을 기록한 RFID 태그를 부여해 놓 고, 냉장고 등의 저장고내에 있는 식품의 수량이나 종류를 관리할 때에, 당해 RFID 태그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이용한다.
예를 들면, 포장 용기에 포장된 계란의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계란 정보 관리 시스템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50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 의해서 부여된 IC 태그에는, 계란의 유통 기한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가정 등에서 당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위치가 정해져 있는 식품의 재고 관리를 할 때에, 재고 관리를 개시하기 전에 한번만 식품명, 식품 잔량 임계값 등의 식품 정보를 입력시켜, 식품 잔량을 검출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7856호 공보).
그러나, 가정내에서는, 예를 들면 식육 등을 모아서 구입하여, 조리할 때마다 일부를 꺼내서 이용하거나, 어느 정도 사전 준비를 한 단계에서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필요한 양만큼 꺼내서 조리한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 일반적으로는 타파웨어(등록상표)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구입 시점의 포장으로부터 타파웨어(등록상표) 등으로 이체(移替)한 경우, 구입 시점에서의 포장에 부여되어 있었던 RFID 태그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체용의 용기에도 정보를 기억ㆍ표시하는 장치를 조립해 놓고, 예를 들면 키보드 등으로부터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수 구입하는 식품의 정보를 일일이 입력해 야 된다고 하면, 손이 많이 가서 편리성이 낮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필요한 양만큼 꺼내서 조리하는 식품의 경우, 이체한 용기내의 내용량의 관리는, 예를 들면 외견으로 판단하는 등의 방법으로밖에 파악되지 않는다. 이래서는 장래적으로, 가전 제품의 정보화가 진행한 경우에, 충분한 정보 관리를 할 수 없어 편리성이 낮다.
또한, 상기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예를 들면, 알과 같이 수납 위치가 정해져 있는 고형물에 대해서만 잔량 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등의 잔량을 관리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또한, 밀봉한 병 등을 가로로 놓은 경우나, 알의 수납 위치에 알 이외의 것(예를 들면, 튜브형 고추냉이 등) 놓은 경우에, 잔량 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등, 현실적인 음식품의 수납 상태에 적합할 수 없어, 이용 가능 장면이 한정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용 가능 장면을 확대할 수 있는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대응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용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대상물의 양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대상물의 양의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 상태로 된 타이밍에서,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대상물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대상물의 양의 정보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용기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와, 이에 대응하는 덮개부(2)를 포함해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1)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중량 센서(11)와, 덮개부 센서(12)와, 정보 유지부(13)와, 정보 통신부(14)와, 제어부(15)와, 전원부(16)를 포함하는 본체측 장치(10)가 내장되어 있다. 덮개부(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통신부(21)와, 제어부(22)와, 정보 유지부(23)와, 무선 판독부(24)와, 표시부(25)와, 전원부(26)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량 센서(11)는 탄성체과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를 이용하는, 이른바 로드셀(load cell) 방식의 센서 등, 공지의 센서라도 상관없다. 이 중량 센서(11)의 출력은 필요에 따라서 A/D 변환되어, 내용량 정보로서 제어부(15)에 출력된다.
덮개부 센서(12)는 덮개부(2)에 의해서 용기 본체(1)가 봉해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2)에 영구 자석을 설치해 놓고, 당해 영구 자석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측에 덮개부 센서(12)로서의 홀 소자(자계 센서)를 설치해 놓는다. 이에 의해, 덮개부(2)에 의해 용기 본체(1)에 덮개가 덮어져 있을 때에는 자계가 검출된다. 그래서, 이 자계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은 제어부(15)가 덮개부(2)의 센서(12)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덮개부(2)에 의해서 봉해져 있다고 판단한 다. 또한, 이 덮개부 센서(12)는 덮개부(2)에 의해서 봉해졌을 때에 온(ON), 덮개부(2)가 분리되었을 때에 오프(OFF)로 되도록 배치된 스위치이더라도 무방하다.
정보 유지부(13)는,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소자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정보 유지부(13)는 제어부(15)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이 정보 유지부(13)는 제어부(15)로부터 판독의 요구가 있으면, 유지하고 있는 정보의 내용을 제어부(15)에 출력한다.
정보 통신부(14)는 제어부(15)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무선으로써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이 정보 통신부(14)는 무선으로써 도래한 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신호를 복조하여 얻은 정보를 제어부(15)에 출력한다.
제어부(15)는, 예를 들면 CPU로서,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한다. 이 제어부(15)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중량 센서(11)가 출력하는 내용량 정보를 정보 유지부(13)에 유지시키는 처리나, 당해 내용량 정보를 정보 통신부(14)를 거쳐서 송신하는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 제어부(15)의 처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부(16)는 용기 본체(1)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이 전원부(16)는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와, 충전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충전 장치는 전자 결합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이차 전지를 충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의 정보 통신부(21)는 용기 본체(1)측의 정보 통신부(14)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이 정보 통신부(21)는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무선으로써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이 정보 통신부(21)는 무선으로써 도래한 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신호를 복조하여 얻은 정보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CPU로서, 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이 제어부(22)는 정보 통신부(21)에 의해서 수신된 정보를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하고, 표시부(25)에 표시 출력시키는 처리를 한다. 또한, 이 제어부(22)는 무선 판독부(24)에서 판독한 정보를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하고, 표시부(25)에 표시 출력시키는 등의 처리도 하고 있다. 이 제어부(22)에 의한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정보 유지부(23)는,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소자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정보 유지부(23)는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이 정보 유지부(23)는 제어부(22)로부터 판독의 요구가 있으면, 유지하고 있는 정보의 내용을 제어부(22)에 출력한다.
무선 판독부(24)는 RFID 태그 등,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발신 장치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신호를 복조하여 얻은 정보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 표시부(25)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이 표시부(25)는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전원부(26)는 덮개부(2)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이 전원부(26)는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와, 충전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충전 장치는 전자 결합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이차 전지를 충전한다.
여기서, 먼저, 용기 본체(1)측의 제어부(1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5)는 덮개부(2)에 의해서 용기 본체(1)가 봉해져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덮개부(2)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 상태로 된 타이밍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한 타이밍에서, 중량 센서(11)가 출력하는 내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즉, 용기 본체(1)가 유지하고 있는 식품 등의 양이 변화되는 것은, 덮개부(2)를 분리하여 내용물을 꺼낸 후에 한정된다고 상정되기 때문에, 덮개가 열리고, 또한 닫혀진 타이밍에서 측정함으로써,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켜, 저전력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제어부(15)는 취득한 내용량 정보를 정보 유지부(13)에 저장한다. 또한, 이 제어부(15)는 당해 취득한 내용량 정보를 정보 통신부(14)를 거쳐서 덮개부(2)측에 송신한다.
덮개부(2)측의 제어부(22)는 정보 통신부(21)에서 수신한 정보를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정보 통신부(21)가 수신하는 정보는 용기 본체(1)측으로부터 송신된 내용량 정보이다. 즉, 제어부(22)는 용기 본체(1)측에서 측정된 내용량 정보를 받아들여,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한다. 또한, 이 제어부(22)는 무선 판독부(24)에서 판독한 정보도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한다. 여기서, 무선 판독부(24)에서 판독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식품의 패키지 등에 부여되어 있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서, 구체적으로는 식품의 종류(「쇠고기 간 것」 등의 구체적인 식품명)이나, 유통 기한, 소비 기한, 산지, 가공 방법 그 밖의 정보이다.
제어부(22)는 이들 정보 유지부(23)에 유지한 정보를 표시부(25)에 표시 출력시킨다. 이 결과, 표시부(25)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품의 종류, 유통 기한의 정보와, 용기 본체(1)측에서 측정된 내용량 정보가 표시된다.
[용기 장치의 동작예]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구입한 식품의 패키지에 당해 식품의 종류와, 유통 기한의 정보를 유지하는 RFID 태그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용기 장치의 이용자는 구입한 식품의 패키지에 대하여 덮개부(2)를 접근시킨다. 그렇게 하면, 덮개부(2)의 무선 판독부(24)가 식품의 패키지에 부여된 RFID 태그로부터 식품의 종류와, 유통 기한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들 정보는 제어부(22)에 출력되고, 제어부(22)가 정보 유지부(23)에 당해 정보를 유지한다.
이용자는 용기 장치의 덮개를 열은 상태(용기 본체(1)를 덮개부(2)로 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패키지내의 식품을 용기 본체(1)내에 수납한다. 그리고, 덮개부(2)에 의해서 용기 본체(1)를 봉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부 센서(12)가 덮개부(2)에 의해서 봉해진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고, 제어부(15)가 이 타이밍에서 중량 센서(11)의 출력에 근거하여 내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내용량 정보는 수납되어 있는 식품의 중량이다.
제어부(15)는 당해 내용량 정보를 정보 유지부(13)에 저장하고, 또한, 정보 통신부(14)를 거쳐서 이 내용량 정보를 덮개부(2)측으로 송신한다. 덮개부(2)의 제어부(22)는 정보 통신부(21)를 거쳐서 내용량 정보를 받아들여,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 유지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표시부(25)에 표 시 출력한다(도 4).
그 후, 이용자가 수납되어 있는 식품의 일부를 사용하기 위해, 덮개부(2)를 열어서 내용물을 꺼내면, 용기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용자가 내용물의 일부를 꺼낸 후, 덮개부(2)를 닫으면(용기 본체(1)를 덮개부(2)로 봉하면), 덮개부 센서(12)가 덮개부(2)에 의해서 봉해진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고, 제어부(15)가 이 타이밍에서 중량 센서(11)를 이용하여 내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취득되는 내용량 정보는 일부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전회 측정한 결과로부터 사용한 양만큼 줄은 값으로 된다. 제어부(15)는 당해 내용량 정보를 정보 유지부(13)에 덮어쓰기 하여 저장하고, 또한, 정보 통신부(14)를 거쳐서 이 내용량 정보를 덮개부(2)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어부(15)는 중량 센서(11)로부터 취득한 내용량 정보를 그대로 정보 유지부(13)에 덮어쓰기 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다음과 같이 하더라도 무방하다. 즉, (1) 정보 유지부(13)에는 내용량 정보로서 「0」(예를 들면, 중량 0그램)이 유지되고, 중량 센서(11)로부터 내용량이 W그램(W>0)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량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새롭게 내용물이 수납된 것으로 하여 정보 유지부(13)내에 당해 취득한 내용량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2) 정보 유지부(13)에는 내용량 정보로서 W'(W'>0)가 유지되고, 중량 센서(11)로부터 내용량이 W그램(W>0, W≠W')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량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내용물이 이용되었던지, 추가된 것으로서 정보 유지부(13)내에 당해 취득한 내용량 정보를 덮어쓰기 한다. 또한, (3) 정보 유지부(13)에는 내용량 정보로서 「0 」(예를 들면, 중량 0그램)이 유지되고, 중량 센서(11)로부터 받아들인 내용량 정보에 의해서 표시되는 내용량이 소정의 임계값 ω 미만의 W그램(ω>W≥0)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량 정보가 받아들여진 경우, 내용물이 다 쓰여진 것으로서, 정보 유지부(13)로의 정보의 저장을 하지 않는다. 또한, 이 (3)과 같이 내용물이 다 쓰여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에서는, 제어부(15)는 정보 통신부(14)를 거쳐서 덮개부(2)에 대하여 내용물이 다 쓰여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내용량이 「0」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량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덮개부(2)의 제어부(22)는 정보 통신부(21)를 거쳐서 내용량 정보를 받아들여서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한다. 그리고, 정보 유지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표시부(25)에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정보에 있어서는, 식품의 종류와 유통 기한의 정보는 당초대로이지만, 내용량 정보가 사용한 만큼만 갱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 장치에서는, 식품의 패키지 등에 RFID 태그가 부여되어 있으면, 덮개부(2)를 당해 식품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RFID 태그에 근접시킴으로써 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내용량의 정보를 더불어서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입력의 변형예]
또한, 덮개부(2)의 무선 판독부(24)는 덮개부(2)가 용기 본체(1)로부터 떨어져 있을(용기 본체(1)를 봉하고 있지 않을) 때에 RFID 태그 등,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발신 장치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를 위해서는, 용기 본체(1)의 덮개부 센서(12)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1)를 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나 센서를 덮개부(2)에 구비하고, 당해 스위치나 센서의 출력에 의해서 용기 본체(1)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검출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덮개부(2)를 분리하여 RFID 태그에 접근시킨 경우에만, 당해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되어, 예를 들면 용기 본체(1)를 봉하고 있는 상태에서, RFID 태그가 붙은 패키지가 근접해 왔을 때에, 당해 정보를 잘못해서 판독해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정보의 소거]
또한, 용기 본체(1)의 제어부(15)나 덮개부(2)의 제어부(22)는 정보 유지부(13)나 정보 유지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소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중량 센서(11)가 출력하는 내용량 정보(중량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정한 임계값 미만으로 됐을 때에, 제어부(15)는 저장되어 있는 식품이 다 쓰여졌다고 판단하여, 정보 유지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내용량 정보로서 「중량 0」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덮개부(2)측에 송신한다.
덮개부(2)의 제어부(22)는 내용량이 없어진 취지(「중량 0」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량 정보 등)를 수신하면, 내용물이 다 쓰여진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 유지부(23)에 저장한 정보를 소거한다.
또한, 세정된 것이나, 건조를 위해서 덮개부(2)와 용기 본체(1)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미리 정한 일정한 시간, 거꾸로 놓여져 있는 것을 검출하여 각 정보 유지부(13, 23)의 내용을 소거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용기 본체의 제어부(15)는 덮개부 센서(12) 등에 의해서 덮개부(2)와 용기 본체(1)가 떼어져 있는(봉해져 있지 않는) 것을 검출한다. 또한, 유체의 유동이나 금속볼의 회전을 이용한 경사 센서 등에 의해서 거꾸로 놓여져 있는 것을 검출한다.
제어부(15)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해서 거꾸로 놓여져 있는 시간을 측정하고, 당해 시간이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면, 세정ㆍ건조되어, 내용이 없어진 것으로 하여, 정보 유지부(13)에 저장한 정보를 소거한다. 이 경우, 제어부(15)는 다음에 덮개부(2)에 의해서 봉해진 것을 검출했을 때에, 덮개부(2)측에 내용물이 다 쓰여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내용량이 「0」인 것을 나타내는 내용량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 놓는다. 그리고, 덮개부(2)의 제어부(22)가 당해 내용물이 다 쓰여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 정보 유지부(23)의 내용을 소거한다.
또한, 정보의 소거를 지시하는 취지의 신호(미리 정한 신호)를 방사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덮개부(2)의 무선 판독부(24)가 당해 정보의 소거를 지시하는 취지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제어부(22)가 정보 유지부(23)의 내용을 소거하고, 정보 통신부(14, 21)를 거쳐서 용기 본체(1)측에 대하여 정보의 소거를 해야 하는 취지의 소거 지시를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측의 제어부(15)는 당해 소거 지시를 수신했을 때에, 정보 유지부(13)의 내용을 소거한다.
[내용량 정보의 다른 예]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내용량 정보가 중량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내용량 정보는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의 수이더라도 무방하다. 내용물의 수량은, 예를 들면, 수납된 각각의 물품에 RFID 태그가 부여되어 있으면, 당해 RFID 태그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등에 의해서 용기 본체(1)내에 서로 구획된 N개의 공간을 화성(畵成)하여, 각 공간마다 중량 센서(11)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각 공간에 하나씩 내용물을 넣은 것으로 하면, 소정 임계값 이상의 중량을 검출하고 있는 중량 센서(11)의 수에 의해서 내용물의 수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공간을 화성하여, 각각의 공간마다 중량 센서(11)를 마련한 경우, 각 공간내의 내용물마다의 중량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가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중량의 정보의 총합을 연산함으로써, 용기 본체(1)내의 내용물 전체의 내용량 정보로 하더라도 무방하다. 칸막이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칸막이를 빼고 내용물을 넣은 경우에, 이 총합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제공의 다른 예]
또한, 여기서는 덮개부(2)가 표시부(25)를 구비하고, 제어부(22)가 당해 표시부(25)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용기 본체(1)측에도 표시부를 마련하고, 제어부(15)가 정보 통신부(14, 21)를 거쳐서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의 종류의 정보 등을 받아들여, 이 표시부에도 도 4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의 표시를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용기 본체(1) 또는 덮개부(2)의 정보 통신부(14, 21) 중 적어도 한쪽이, 예를 들면 근방(주위 수 미터 내지, 겨우 100미터 정도의 범위)의 가전 제품이나 모뎀 장치 등과 통신하여, 다른 가전 제품(예를 들면, 냉장고 등)에 대하여 내용물의 종류 등의 정보와 내용량 정보를 송신 출력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를 거쳐서, 또는 휴대 전화망 등과 통신하여, 휴대 전화기 등에 대하여 내용물의 종류 등의 정보와 내용량 정보를 송신 출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정보 제공 장치로서, 측정 대상물의 잔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측정 대상물은, 사용에 따라서 내용량이 변화(예를 들면, 감소)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팩이나 병내에 잔존하는 음료나 식료이다. 이하에서는, 측정 대상물로서 음료나 식료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5는 유지 용기로서의 팩 용기에 정보 제공 장치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팩 용기는 기본적으로 밀봉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개봉 후, 마시다 말은 상태에서 가로로 놓여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가로로 놓여지지 않은 용기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팩 용기의 상부와 바닥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송신부(1)와 수신부(2)의 세트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측정의 대상으로 되는 음료를 사이에 두고서 송신부(1)와 수신부(2)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정보 제공 장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송신부(1) 및 수신부(2)에 접속된 제어부(3) 및 발신부(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3)는 외 부로부터 측정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부(1)로부터 수신부(2)로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전파)를 방사시킨다. 이 전자파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분에 의한 감쇠율이 비교적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해 놓는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레인지 등에서 이용되는 2.4㎓ 정도의 주파수로 한다.
제어부(3)는 기억 소자를 내장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실현할 수 있다. 이 제어부(3)는 수신부(2)에서 수신한 전자파의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미리, 액체가 비어져 있을 때에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의 값 MAX와, 미개봉 상태에서의 신호 강도의 값 MIN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수신되는 전자파는 송신부(1)와 수신부(2) 사이에 개재하는 수분에 흡수되어 감쇠하기 때문에, 그 신호 강도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료의 내용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커진다. 제어부(3)는 비어 있을 때의 값 MAX 및 미사용시의 값 MIN에 대하여, 측정한 신호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잔량을 추정하고, 당해 추정한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잔량 정보)를 생성하여 발신부(4)에 출력한다. 발신부(4)는 예를 들면 RF 태그로서, 제어부(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신호로 변조하여, 당해 신호를 발신한다.
여기서 제어부(3)가 생성하는 잔량 정보는, 「고」, 「중」, 「저」, 「빔」의 4단계로 하는 등, 잔량의 단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어부(3)는, 미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용물인 음료마다 정해져 있는 임계값 정보를 기억해 놓고, 이 임계값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호 강도의 값이, 예를 들면 단계 「중」에 대응하는 임계값 이상이고, 「고」에 대응하는 임계값 미만이었을 때에, 단계 「중」이라는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도 9는 개봉 후도 밀봉 가능한 페트 병 등의 용기에 본 실시예의 정보 제공 장치를 설치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가로로 놓여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부와 바닥부에 송신부(1)와 수신부(2)를 각각 배치한 것만으로는, 측정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밀봉 가능한(가로로 놓여지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유지 용기에 있어서는, 송신부(1)와 수신부(2)와의 세트(송수신 세트)(10a, 10b …)를, 유지 용기를 세로로 놓았을 때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다. 도 9에서는, 이러한 세트(10a, 10b, …)가 바닥면으로부터 미개봉시의 액면까지의 1/4인 높이의 위치, 1/2인 높이의 위치, 3/4인 높이의 위치의 3개소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각 세트(10)에서의 송신부(1)와 수신부(2)는 서로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각 세트(10)는 다음과 같이 배치된다. 즉, 하나의 주목 세트(10)의 송신부(1)와 수신부(2)를 연결하는 선분(제 1 선분)을 생각한다. 또한, 다른 주목 세트(10)의 송신부(1)와 수신부(2)를 연결하는 선분(제 2 선분)을 생각한다. 이 때, 이 제 1 선분과 이 제 2 선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의 송수신 세트를 배치한다. 도 9에서는, 세트(10)가 다음 세트(10)에 대하여 60° 꼬이도록 배치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했음으로, 세로로 놓은 경우, 아직 음료를 소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세트(10)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사용시의 값 MIN으로 된다. 또한, 음료가 없어짐에 따라서,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세트(10)의 신호 강도로부터 순서대로, 비어 있을 때의 값 MAX로 변화된다. 예를 들면, 1/3정도 마셔 버렸을 때에는, 내용물은 2/3 미만(3/4 미만)이고, 1/2보다 많은 정도로 되기 때문에, 가장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세트(10)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가 MAX로 되고, 만량(滿量)시의 1/2인 높이의 위치와 1/4인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세트(10)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가 MIN 그대로 된다.
한편, 가로로 놓았을 경우, 아직 음료를 소비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부(1)와 수신부(2)와의 세트(10) 중, 2개까지(1b, 2b 및 1c, 2c의 각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가 미사용시의 값 MIN으로 되고, 다른 하나(1a, 2a의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가 MIN보다 약간 높은 값(공기층 A만큼만 감쇠량이 작아진 값)으로 된다. 또한, 음료를 절반 이상 소비한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부(1)와 수신부(2)와의 세트(10) 중, 하나(1b, 2b의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가 MAX로 되고, 다른 2개(1a, 2a 및 1c, 2c의 각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는 MAX보다 약간 낮은 값(액량만큼만 감쇠량이 커진 값)으로 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제어부(3)는 각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에 근거하여 용기가 세로로 놓여져 있는지 가로로 놓여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로 놓을 때에는, 각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가 약 MIN 또는 약 MAX 중 어느 한쪽인 것에 반하여, 가로로 놓을 때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트(10)의 수신 신호 강도는 MIN과 MAX 사이의 중간값으로 된다. 그래서, 제어부(3)는 어느 하나의 세트(10)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가 약 MIN도 약 MAX도 아닌 경우(예를 들면, MIN이나 MAX로부터 소정 범위내의 값이 아닌 경우)에는, 가로로 놓여져 있다고 판단한 다.
그리고, 세로로 놓여져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수신 신호 강도가 MIN 그대로 되어 있는 세트(10)의 수에 근거하여, 잔량 정보를 생성하여 발신부(4)에 출력한다.
또한, 가로로 놓여져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각 세트(10)가 출력하는 수신 신호 강도의 값 중 최대인 것을 선택하고, 당해 최대로 되어 있는 값이, 비어 있을 때의 값 MAX 및 미사용시의 값 MIN에 대하여, 측정한 신호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잔량을 추정하여, 당해 추정한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잔량 정보)를 생성하여 발신부(4)에 출력한다.
이 형태의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냉장고내에 이 정보 제공 장치를 부착한 용기를 저장해 놓고,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냉장고측으로부터 측정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정보 제공 장치측에서, 설치되어 있는 용기내의 음료나 유동 형상의 식품(예를 들면, 카레물 등)의 잔량 정보를 검출하여 당해 정보를 발신한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냉장고측에 설치된 정보 판독 장치에서 판독되고, 네트워크를 거쳐서 이용자의 휴대 전화기 등에 배신한다고 하는 처리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측면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예를 들면 냉장고내에서, 측정 대상으로 된 음료, 또는 식료의 배치 장소를 사이에 두고서 대향 배치된 송신부(1)와 수신부(2)를 적어도 1세트 배치한다. 구체예로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 1개 1개를 넣는 알 배치 장소의 하나 하나에 대응시켜서, 그 위쪽, 고내의 천장 부분에 송신부(1)를 배치하고, 알 배치 장소의 하나 하나의 바닥부에 수신부(2)를 배치한다.
또한, 이 경우의 정보 제공 장치에서는, 이들 송신부(1) 및 수신부(2)에 접속된 제어부(3)를 포함한다. 제어부(3)는 외부로부터 측정 지시 신호의 입력을 받으면, 송신부(1)로부터 수신부(2)로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방사시킨다. 이 전자파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분에 의한 감쇠율이 비교적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해 놓는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레인지 등에서 이용되는 2.4㎓ 정도의 주파수로 한다.
제어부(3)는 수신부(2)에서 수신한 전자파의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미리, 대상물(음료나 식료)이 놓여져 있지 않을 때에 수신되는 신호 강도의 값 MAX와, 놓여져 있을 때 신호 강도의 값 MIN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수신되는 전자파는 송신부(1)와 수신부(2) 사이에 개재하는 수분에 흡수되어 감쇠하기 때문에, 그 신호 강도는 사이에 음료나 식료가 놓여져 있는 경우에 비교적 작은 값으로 된다. 제어부(3)는 놓여져 있지 않을 때의 값 MAX 및 놓여져 있을 때의 값 MIN에 대하여, 측정한 신호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의해서, 현실에 당해 대상으로 되는 음료 또는 식료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당해 판단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잔량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출력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거쳐서 이용자의 휴대 전화기 등에 배신된다.
즉, 본 형태에서는 현실에 알 배치 장소에 알이 놓여져 있을 때와, 튜브형 고추냉이 등의 작은 물건이 놓여져 버려 있을 때에서, 감쇠율이 상이한 것을 이용 하고 있다. 즉, 제어부(3)는 대상물(예를 들면, 알)이 놓여져 있을 때의 신호 강도의 값 MIN과, 각 수신부(2)에 의한 수신 신호 강도의 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그들의 차가 미리 정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알이 놓여져 있다고 판단하고, 미리 정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알 이외의 것이 놓여져 있던지, 아무것도 놓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는 알이 놓여져 있다고 판단되는 수신 신호 강도의 값을 출력하고 있는 수신부(2)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의 결과를 알의 수로서 배신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면, 음료 등의 잔량을 관리할 수 있고, 또한 밀봉한 병 등을 가로로 놓은 경우나, 알의 수납 위치에 알 이외의 것(예를 들면, 튜브형 고추냉이 등)을 놓은 경우에도, 잔량 측정을 할 수 있어, 이용 가능한 장면을 확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대응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용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대상물의 양을 검출하는 내용량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한 대상물의 양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장치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덮개 검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 상태로 된 타이밍에서, 상기 유지 장치가 내용량 검출 장치에 의해서 검출된 대상물의 양의 정보를 유지하는
    용기 장치.
  2.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대응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용기 장치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는 대상물의 양을 검출하는 내용량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한 대상물의 양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장치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봉해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덮개 검출 장치와,
    무선 발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용기 본체를 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용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양은 대상물의 중량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한쪽인 용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한 용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에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휴대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장치를 더 구비한 용기 장치.
  6. 정보 제공 장치로서,
    측정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서 대향 배치되는 송신부 및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세트와,
    각 송수신 세트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 사이에서 주고받는 전자파의 감쇠량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의 양을 추정하고, 당해 추정한 측정 대상물의 양에 관한 정보를 발신하는 발신부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물을 유지하는 유지 용기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정보 제공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세트를 복수개 구비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주목 송수신 세트에 대해서, 그 송신부 및 수신부를 연결하는 선분이 다른 송수신 세트의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를 연결하는 선분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상기 주목 송수신 세트가 배치되는
    정보 제공 장치.
  9. 정보 제공 장치로서,
    측정 대상물의 배치 장소를 사이에 두고서 대향 배치되는 송신부 및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세트와,
    각 송수신 세트가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 사이에서 주고받는 전자파의 감쇠량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이 당해 배치 장소에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당해 판단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장치.
KR1020050100014A 2004-10-25 2005-10-24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KR100793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9518A JP2006117304A (ja) 2004-10-25 2004-10-25 容器装置
JPJP-P-2004-00309518 2004-10-25
JP2004311294A JP4508824B2 (ja) 2004-10-26 2004-10-26 装置
JPJP-P-2004-00311294 2004-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151A true KR20060049151A (ko) 2006-05-18
KR100793448B1 KR100793448B1 (ko) 2008-01-14

Family

ID=3550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014A KR100793448B1 (ko) 2004-10-25 2005-10-24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63497B2 (ko)
EP (1) EP1650536B1 (ko)
KR (1) KR100793448B1 (ko)
AT (1) ATE399983T1 (ko)
DE (1) DE60200500783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9506B2 (en) * 2005-07-20 2013-05-28 Chang Ming Yang Automatic feeding/phlegm extractor device
US7654421B2 (en) * 2005-08-30 2010-02-02 Johnsondiversey, Inc. Automatically configurable chemical dosing apparatus for cleaning equipment
WO2008022213A2 (en) * 2006-08-15 2008-02-21 Nectar Inc. Electronic container display
US7495561B2 (en) * 2006-08-25 2009-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tem position indicator and optimized item retrieval for a sensor equipped storage unit
US7937289B2 (en) 2006-08-25 2011-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nit depletion in an independent real-time mass storage unit system by using an estimated tare mass of the item
US8032430B2 (en) * 2006-08-25 2011-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content descriptions to reusable containers
US8226414B2 (en) 2006-08-25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policy driven meal plans
US20090266736A1 (en) * 2008-04-25 2009-10-29 Drug Plastics & Glass Company, Inc. Container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molded therei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284056B2 (en) * 2008-07-10 2012-10-09 Mctigue Annette Cote 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roduct at a location
US9691114B2 (en) * 2008-10-23 2017-06-27 Whirlpool Corporation Consumables inventory management method
US8477029B2 (en) * 2008-10-23 2013-07-02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attribute sensing device
US20100106624A1 (en) * 2008-10-23 2010-04-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ventory management
EP2180299A1 (en) 2008-10-23 2010-04-28 Whirlpool Corporation Lid based amount sensor
US7933733B2 (en) 2008-10-23 2011-04-26 Whirlpool Corporation Attribute sensing processes
US20100106515A1 (en) * 2008-10-23 2010-04-29 Whirlpool Corporation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a self-reporting portable container into an inventory system
US20100102930A1 (en) * 2008-10-23 2010-04-29 Whirlpool Corporation Introduction of a self-reporting portable container into an inventory system
US20100101317A1 (en) * 2008-10-23 2010-04-29 Whirlpool Corporation Lid based amount sensor
KR101635570B1 (ko) * 2009-07-21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WO2011046502A1 (en) * 2009-10-13 2011-04-21 Cleancandy Ab A device for dispensing granular foodstuff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remaining amount of foodstuff
CN102781185A (zh) * 2011-05-12 2012-11-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柜
US9060212B2 (en) * 2012-03-15 2015-06-16 Mucha Loic iKT universal electronic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mart cooking
DE102012011165A1 (de) * 2012-06-05 2013-12-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Gegenstandes sowie 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EP2778586A1 (de) * 2013-03-15 2014-09-17 Diehl AKO Stiftung & Co. KG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KR102024595B1 (ko) * 2013-04-25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R3017535B1 (fr) * 2014-02-14 2016-01-29 Slow Control Porte biberon avertisseur de debit
US9628434B2 (en) * 2014-05-15 2017-04-18 Medea Inc. Programmable electronic devices on containers
HK1211782A2 (en) * 2015-04-02 2016-05-27 Groking Lab Ltd Beverage container
US9911290B1 (en) 2015-07-25 2018-03-06 Gary M. Zalewski Wireless coded communication (WCC) devices for tracking retail interactions with goods and association to user accounts
US10187773B1 (en) 2015-07-25 2019-01-22 Gary M. Zalewski Wireless coded communication (WCC) devices with power harvesting power sources for monitoring state data of objects
US10032342B1 (en) * 2015-11-05 2018-07-24 Aislan Gomide Foina Storage apparatus with item count feature
US11900787B2 (en) * 2016-04-13 2024-02-13 Arian Shoari Apparatus and methods for hygiene monitoring in restaurants and grocery superstores
US10072962B2 (en) * 2016-07-05 2018-09-11 Ecolab Usa Inc. Liquid out-of-product alarm system and method
CH712996A1 (de) * 2016-09-30 2018-04-13 Hoffmann Neopac Ag Tube und Tubenkörper mit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EP3336781A1 (en) * 2016-12-13 2018-06-20 Sigma-Aldrich International GmbH Electronics assembly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status information
US20180322447A1 (en) * 2017-05-02 2018-11-08 Walmart Apollo,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non-weight-based consumption monitoring and automatic replacement initiation
US10132911B1 (en) * 2017-05-19 2018-11-20 Matthew Bullock Cargo restraint with RF beacon
US10112525B1 (en) * 2017-05-19 2018-10-30 Matthew Bullock Cargo restraint with RF beacon
FR3073828B1 (fr) * 2017-11-21 2020-11-13 Total Marketing Services Dispositif de fermeture d'un recipient comprenant un element de mesure du niveau du contenu dudit recipient
EP3916352A4 (en) * 2019-04-24 2022-05-11 Koyon Musen Corporation FLOOD DETECTION DEVICE, FLOOD DETECTION SYSTEM AND FLOOD DET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1064A (en) * 1939-10-31 1941-05-06 Gen Electric Food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s
US4462261A (en) * 1982-04-27 1984-07-3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ass and velocity flowmeter
US5014798A (en) * 1989-12-26 1991-05-14 Tenax-Glynn Corporation Patient compliance medicine cap
JPH06123781A (ja) 1992-10-09 1994-05-06 Miyake Denshi Kogyo Kk 高温物体の検知装置
DE9417632U1 (de) 1994-11-03 1995-02-16 Recytec Technologie Fuer Altgu Überwachungs- und Leitsystem für Container
JPH08313326A (ja) 1995-05-16 1996-11-29 Mitsubishi Heavy Ind Ltd 定液面位置計測装置
US6751730B1 (en) * 1995-11-22 2004-06-15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ing cap removal data
US6032020A (en) * 1997-07-28 2000-02-29 Motorola, Inc. Multi-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JP2000172811A (ja) 1998-12-04 2000-06-23 Hitachi Maxell Ltd 収納装置
JP2000310554A (ja) 1999-04-27 2000-11-07 Nippon Steel Corp レベル監視装置
US7366675B1 (en) * 2000-03-10 2008-04-29 Walker Digital,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monitoring and/or rewarding a party's compliance with a schedule for taking medicines
JP4513167B2 (ja) 2000-05-09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在庫管理機能付き冷蔵庫
US6859745B2 (en) * 2001-05-18 2005-02-22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teractive information package
JP3881884B2 (ja) 2001-12-14 2007-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物貯蔵庫
JP2003227676A (ja) 2002-02-01 2003-08-15 Toshiba Corp 冷蔵庫、貯蔵品管理方法、貯蔵品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JP3960093B2 (ja) 2002-03-22 2007-08-15 オムロン株式会社 保管庫、保管管理方法、保管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保管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325074A (ja) 2002-05-10 2003-11-18 Kyowa Machinery Co Ltd 鶏卵の情報管理システム
AU2003293041A1 (en) 2002-11-21 2004-06-18 S. C. Johnson And Son, Inc. Products having rfid tags for wireless interrogation
US7009519B2 (en) 2002-11-21 2006-03-07 S.C. Johnson & Sons, Inc. Product dispensing controlled by RFID ta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63497B2 (en) 2010-02-16
US8854227B2 (en) 2014-10-07
US20100066556A1 (en) 2010-03-18
EP1650536A3 (en) 2006-05-31
US20060119484A1 (en) 2006-06-08
ATE399983T1 (de) 2008-07-15
EP1650536A2 (en) 2006-04-26
DE602005007830D1 (de) 2008-08-14
EP1650536B1 (en) 2008-07-02
KR100793448B1 (ko) 200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448B1 (ko) 용기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US7259690B1 (en) Reader for utility meter
BR112021005652A2 (pt) dispositivo radiotransmissor para uso em método e sistema para monitoramento, controle e otimização de fluxo de produtos
US11480387B2 (en) Cold storage box and cold storage box management system
CN104736020B (zh) 胶囊存储器
JP2001187611A (ja) センサ付きidタグおよびこれを設けた容器、体温計並びに温度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システム
JP2008515321A5 (ko)
CN100537359C (zh) 容器装置
JP2007094655A (ja) 摂取カロリー管理システム、摂取カロリー管理方法、保管庫、及びプログラム
CN205221515U (zh) 一种智能冷藏箱
CN106500427B (zh) 具备温度报警的冷藏物品智能输送系统
KR101156733B1 (ko) 냉장고 물품관리 시스템
CN107709945A (zh) 被检体的使用无线能量传递的温度监测
CN208735998U (zh) 一种冷柜及冷柜系统
JP4508824B2 (ja) 装置
CN208217517U (zh) 一种铁路冷链集装器
JP6095293B2 (ja) 保管庫、および保管システム
US8278570B2 (en) Intellectual scale with a plurality of chemical management mod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819831B1 (ko) 피수납물 자동 인식 수납용기 및 피수납물을 자동으로인식하는 방법
EP1653389B1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RFID tags
CN208621152U (zh) 基于近场通信之同步识别技术的称量器
US10006812B2 (en) Temperature tracking device and method using same
KR100901037B1 (ko) 냉장고
CN109902776A (zh) 一种温度监控方法及装置
KR20240022350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