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808A - 일관식 복합열원기 - Google Patents
일관식 복합열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8808A KR20060048808A KR1020050068317A KR20050068317A KR20060048808A KR 20060048808 A KR20060048808 A KR 20060048808A KR 1020050068317 A KR1020050068317 A KR 1020050068317A KR 20050068317 A KR20050068317 A KR 20050068317A KR 20060048808 A KR20060048808 A KR 200600488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s
- burner
- partition wall
- boundary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6—Water heaters having plural combustion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having an elongated tubular form, e.g. for a radiant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단일 관체(1) 내에 병설된 한 쌍의 제1, 2버너(2-1,2-2)와, 관체 상부에 병설된 한 쌍의 제1, 2열교환기(3-1,3-2)와, 관체 내의 공간을, 제1버너 측의 제1연소실(7-1)과 제2버너 측의 제2연소실(7-2)로 구획하는 칸막이벽(8)을 구비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 기종에 따라 양 버너의 횡폭비의 변경으로 양 버너의 경계부 위치가 횡방향으로 벗어나도 양 열교환기는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한다.
[해결수단]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대해서 제1,2버너(2-1,2-2)의 경계부가 횡방향 일방으로 옵셋(offset)된 경우, 양 열교환기의 경계부(3-1,3-2)에 위치하는 칸막이벽(8)의 상부에 대해 하부가 횡방향 일방으로 옵셋된 형상의 칸막이벽(8)을 이용하고, 칸막이벽(8)의 하부를 양 버너(2-1,2-2)의 경계부에 위치시킨다.
일관식 복합열원기, 관체, 제1버너, 제2버너, 제1열교환기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열원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원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원기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원기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원기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체 2-1 : 제1버너
2-2 : 제2버너 3-1 : 제1열교환기
3-2 : 제2열교환기 6 : 연소팬
7-1 : 제1연소실 7-2 : 제2연소실
8 : 칸막이벽 8a : 광폭부
본 발명은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관체 (罐體)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병설된 한 쌍의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병설된 한 쌍의 제1, 2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연소팬에 의해 관체 내로 하방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일관식 복합열원기로서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에 이르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에 이르는 제2연소실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일방의 버너, 예를 들어 제2버너만을 연소시켜 제2열교환기를 가열하는 단독 운전시, 제2버너의 연소배기가 제1열교환기 측으로 흘러 제1열교환기가 가열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공평2-17784호공보(제3도, 제6도)].
그런데, 제1열교환기가 급탕용 열교환기이고, 제2열교환기가 급탕 이외의 용도로, 예를 들어 난방용 열교환기인 경우, 급탕 쪽이 난방보다도 큰 가열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급탕용 버너인 제1버너의 횡방향폭을 난방용 버너인 제2버너의 횡방향폭 보다 넓게 하여 제1버너쪽이 제2버너보다도 정격연소량이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단, 기종에 따라서 난방능력을 높이기 위해 제1버너의 횡방향폭을 조금 좁게 하여 그 만큼 제2버너의 횡방향폭을 넓게 한 것이 있으며, 제1, 2버너의 경계부 위치는 기종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양 버너의 경계부의 수직 상방에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를 위치시켜 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칸막이벽에 의해 제1, 2연소실을 구획하였다. 그러므로, 제1, 2버너의 경계부의 기종에 따른 위치변화에서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가 양 버너의 경계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양 열교환기를 기종에 대응되는 것을 교환하였다. 자연히, 이것은 기종마다 전용 열교환기를 제조해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식 복합열원기는 단일 관체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제1, 2열교환기와,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에 이르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에 이르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연소팬에 의해 관체 내로 하방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대해 제1, 2버너의 경계부가 횡방향으로 옵셋되어 있고,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상부에 대해 칸막이벽의 하부가 횡방향 일방으로 옵셋된 형상의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칸막이벽의 하부를 제1, 2버너의 경계부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대해 제1, 2버너의 경계부가 횡방향 일방으로 옵셋되어 있어도, 제1, 2버너의 연소배기는 칸막이벽에 의해 제1, 2 열교환기로 통하게 된다. 그러므로, 열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일방의 버너만의 연소로 일방의 열교환기를 가열하는 단독 운전시에 일방의 버너의 연소배기가 타방의 열교환기로 흘러 타방의 열교환기가 가열되는 문제점도 방지된다. 따라서, 기종에 따라 제1, 2버너의 경계부 위치가 변화되어도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 위치를 양 버너의 경계부 위치변화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열교환기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소형능력의 기종에서는 제1, 2버너를 합친 횡방향폭이 꽤 넓게 형성되고, 관체 및 제1, 2열교환기를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관체와 열교환기를 이용한 경우, 제1버너와 제2버너를 횡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하면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의 횡방향폭에 비해 제1, 2버너의 경계부의 횡방향폭이 넓어진다. 여기서, 관체 내로 그 하방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가 양 버너의 경계부를 통해 각 연소실로 흐르면 이 공기는 연소에 이용되지 않고 각 열교환기에 도달하며 각 열교환기는 공기로 냉각되어 열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관체 내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량은 원래 적게 들지만 양 버너의 경계부를 통해 연소에 기여하지 않는 쓸모없는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그 만큼 공기공급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의 횡방향 폭에 비해 제1, 2버너의 경계부의 횡방향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제1, 2버너의 상단 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상부의 횡방향폭에 비해 횡방향폭을 넓게 한 광폭부를 형성하며, 이 광폭부를 제1, 2버너의 경계부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 하면, 양 버너의 경계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이 이 경계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광폭부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열효율 저하가 방지되고, 또한, 연소팬에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연소에 기여하지 않은 쓸모없는 공기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각 공기공급량은 적게 들어 연소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단일 관체(1) 내에 제1버너(2-1)와 제2버너(2-2)를 횡방향으로 병설하는 동시에 관체(1)의 상부에 제1버너(2-1)에 의해 가열되는 급탕용 제1열교환기(3-1)와, 제2버너(2-2)에 의해 가열되는 난방용 제2열교환기(3-2)를 횡방향으로 병설하여 된 일관식 복합열원기를 나타낸 것이다.
각 버너(2-1,2-2)는 각각 관체(1)의 깊이(奧行)방향(도 1의 저면직교방향)에 장방형 단위버너(2a)를 횡방향으로 복수열로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 단위버너(2a)로 각 버너(2-1,2-2)용 가스매니폴드(2b)에 설치된 각 노즐(2c)을 통해 가스가 공급된다.
관체(1)의 하부에는 관체(1) 내의 공간에 대해 분포판(4)으로 나누어진 급기실(5)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기실(5)로 접속되는 연소팬(6)을 설치하여, 이 연소팬(6)에서 연소용 공기를 급기실(5)에서 분포판(4)에 형성된 다수의 분포공(4a)을 통해 관체(1) 내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관체(1) 내에는 제1, 2버너(2-1,2-2)와 제1, 2열교환기(3-1,3-2)의 사이 공간을 제1버너(2-1)에서 제1열교환기(3-1)에 이르는 제1연소실(7-1)과, 제2버너(2-2)에서 제2열교환기(3-2)에 이르는 제2연소실(7-2)로 구획하는 칸막이벽(8)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제1버너(2-1)의 연소배기는 제1연소실(7-1)을 통해 열교환기(3-1)로 통하고, 제2버너(2-2)의 연소배기는 제2연소실(7-2)을 통해 제2열교환기(3-2)로 통한다. 제1, 2열교환기(7-1,7-2)에서 열 교환된 연소배기는 양 열교환기(3-1,3-2)의 상측 배기후드(9)로 흘러 이 배기후드(9)에 형성된 배기구(9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각 열교환기(3-1,3-2)는 관체(1)의 깊이(奧行)방향에 다수 배열된 흡열핀(3a)과, 이 흡열핀(3a)을 관통하는 구불구불한(蛇行) 형상의 흡열관(3b)으로 구성된다. 제1열교환기(3-1)의 흡열관(3b)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류측의 급수관과 하류측의 출탕관이 접속되어 있고, 출탕관의 하류단 출탕구(出湯栓)를 열어 제1열교환기(3-1)로 통수시킬 때, 제1버너(2-1)에 점화가 되어 출탕구에서 설정온도의 탕(湯)이 출탕된다. 제2열교환기(3-2)의 흡열관(3b)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냄관(往管)과 복귀관을 통해 마루난방 등의 난방회로(미도시)에 접속되어 있고, 이 난방회로에 제2열교환기(3-2)를 통해 탕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한다.
여기서, 제1, 2열교환기(3-1,3-2)의 흡열핀(3a,3a)은 공통의 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 열교환기(3-1,3-2)를 개별적으로 조립하지 않아 조립공수가 삭감되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통핀(30)의 제1, 2열교환기(3-1,3-2)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 열교환기(3-1,3-2)용 흡열관(3b)을 적어도 상하 2단으로 관통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3-1)에는 급수관에서의 물을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하단의 흡열관(3b)을 경유하여 상단의 흡열관(3b)으로 흐르도록 하고, 또한, 제2열교환기(3-2)에 서도 난방회로에서 돌아온 물을 하단의 흡열관(3b)을 경유하여 하단의 흡열관(3b)으로 흐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통핀(30)의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는 공통핀(30)의 하변에서 각 열교환기(3-1,3-2)의 하단 흡열관(3b)의 배치 높이보다 상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절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취부(31)에 칸막이벽(6)의 상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난방보다도 급탕 쪽이 큰 가열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각 버너(2-1,2-2)를 구성하는 단위 버너(2a)의 개수는 제1버너(2-1) 쪽이 많게 된다. 즉, 제1버너(2-1) 쪽이 제2버너(2-2) 보다도 횡방향폭이 넓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것에는 우측의 9개의 단위버너(2a)로 제1버너(2-1)가 구성되고, 좌측의 3개의 단위버너(2a)로 제2버너(2-2)가 구성된다. 그리고, 단위버너(2a)의 개수는 실제로는 도시한 것보다 많다.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는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 (절취부 31)에 대하여 좌측으로 약간 옵셋(offset)되어 있다. 여기서, 칸막이벽(8)으로는 칸막이벽(8)의 하부가 상부에 대해 좌측으로 약간 옵셋된 형상의 것을 이용하며, 칸막이벽(8)의 하부가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에 삽입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 보다 난방능력을 높인 일관식 복합열원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에는 좌측의 4개의 단위버너(2a)로 제2버너(2-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2열교환기(3-1,3-2)는 제1실시예의 것과 공통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절취부 31)에 대해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가 우측으로 약간 옵셋된 형상의 것을 이용하며, 칸막이벽 (8)의 하부가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대해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가 횡방향으로 옵셋되어 있어도 칸막이벽(8)으로서 대응하는 옵셋 형상의 것을 이용함으로서 양 버너(2-1,2-2)와 양 열교환기(3-1,3-2)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2-1)에서 제1열교환기(3-1)에 이르는 제1연소실(7-1)과, 제2버너(2-2)에서 제2열교환기(3-2)에 이르는 제2연소실(7-2)로 구획하고, 각 버너(2-1,2-2)의 연소배기를 대응하는 각 열교환기(3-1,3-2)로 확실히 통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열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일방의 버너, 예를 들어, 제2버너(2-2)만을 연소시켜 제2열교환기(3-2)를 가열하는 난방 단독 운전시에 제2버너(2-2)의 연소배기가 제1열교환기(3-1) 측으로 흘러 제1열교환기(3-2)가 가열되고, 다음의 출탕시에 고온의 탕이 출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대해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가 횡방향으로 옵셋되어 있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고, 결국, 제1, 2열교환기(3-1,3-2)로서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가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일관식 복합열원기의 표준기종과 난방능력업(up)기종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어떤 기종이라도 관체(1) 및 제1, 2열교환기(3-1,3-2)는 공통의 것이 사용되고, 또한, 관체(1) 내에 정격연소량 2500kcal/h의 단위버너(2a)가 23개 배치되며, 표준기종에서는 우측의 18개의 단위버너(2a)로 제1버너(2-1)가, 좌측의 5개의 단위버너(2a)로 제2버너(2-2)가 구성되며,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절취부 31)와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의 횡방향 위치가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준기종에서의 제1버너(2-1)의 정격연소량은 45000kcal/h, 제2버너(2-2)의 정격연소량은 10000kcal/h가 된다. 이 표준기종에 있어서 제1버너(2-1)의 좌단 단위버너(2a)를 제2버너(2-2)로 전용하여 난방능력업기종을 구성하면, 제1버너(2-1)(단위버너 17개)의 정격연소량은 42500kcal/h, 제2버너(2-2)(단위버너 6개)의 정격연소량은 12500kcal/h가 되고, 급탕측이 5%정도 능력 저하되는 것에 대해 난방측은 25%가 능력업(up) 된다. 또한, 표준기종에 있어서 각 열교환기(3-1,3-2)의 열 교환효율이 84%라고 하면 제1, 2버너(2-1,2-2)의 졍격연소량에 의한 연소시에 해당 칼로리의 열효율은
(45000 × 84% + 10000 × 84%)/55000 = 84%
가 된다. 난방능력업기종에서는 제2버너(2-2)의 횡방향폭이 넓게 되기 때문에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대해 제1,2버너(2-1,2-2)의 경계부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측으로 옵셋되어 있다. 칸막이벽(8)으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에 대해 하부가 우측으로 옵셋된 형상의 것을 이용하여 제1연소실(7-1)과 제2연소실(7-2)을 구획하면, 제2열교환기(3-2)에서는 연소배기의 유속이 빨라져 열 교환효율이 81%정도로 저하되지만, 제1열교환기(3-1)에서는 연소배기의 유속이 느려져 열 교환효율이 84.2%정도로 약간 상승된다. 따라서, 제1, 2버너(2-1,2-2)의 정격연소량으로 연소시 해당 칼로리의 열효율은
(42500 × 84.2% + 12500 × 81%)/55000 = 83.5%
가 된다. 이렇게 표준기종과 난방능력업기종에서 공통의 열교환기(3-1,3-2)를 사용하여도 해당 칼로리의 열효율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 제1, 2실시예에서는 제1, 2연소실(7-1,7-2)에 단일 연소팬(6)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고 있지만, 제1, 2연소실(7-1,7-2)에 각각 별도의 연소팬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팬타입으로 구성하여도 가능하다. 도 3, 도 4는 도 1, 도 2에 나타낸 제1, 2실시예의 열원기를 2팬타입으로 변경한 제3, 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3, 4실시예에서는 칸막이벽(8)의 하단을 분포판(4)의 하방까지 연장하고, 급기실(5)을 제1연소실(7-1)의 직하방의 제1급기실(5-1)과, 제2연소실(7-2) 직하방의 제2급기실(5-2)로 구분하며, 제1, 2급기실(5-1,5-2)의 각 연소팬(6-1,6-2)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각 연소실(7-1,7-2)로의 공급공기량을 각 버너(2-1,2-2)의 연소량에 맞춰 적절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도 5는 관체(1) 내에 배치된 단위버너(2a)의 수를 적게 한 소능력기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5실시예에서는 우측의 6개의 단위버너(2a)에 의해 제1버너(2-1)가 구성되고, 좌측의 3개의 단위버너(2a)에 의해 제2버너(2-2)가 구성된다. 제1, 2열교환기(3-1,3-2)는 상기 실시예와 공통이고, 양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인 절취부(31)의 횡방향폭에 비해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의 횡방향폭은 꽤 넓게 되어 있다. 여기서, 칸막이벽(8)의 하부에는 절취부(31)로 삽입되는 칸막이벽(8)의 상부 횡방향폭에 비해 횡방향폭을 꽤 넓게 한 광폭부(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광폭부(8a)는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에 삽입되어 있다.
칸막이벽(8)으로는 광폭부(8a)가 없는 것을 이용하면,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를 통해 다량의 공기가 연소에 사용되지 않고 열교환기(3-1,3-2)까지 흐 르게 되며, 열교환기(3-1,3-2)가 이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열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연소팬(6)에서 공급되는 공기 중 연소에 기여되지 않는 쓸모없는 공기의 비율이 크게 되기 때문에 그 만큼 공기공급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연소팬(6)을 소형화 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 제5실시예의 것에서는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에서의 공기의 유입이 칸막이벽(8)의 광폭부(8a)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열효율의 저하가 방지되고, 또한, 연소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중 연소에 기여하지 않는 쓸모없는 공기의 비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공기공급량이 적게 들어 연소팬(6)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5실시예에서는 광폭부(8a)를 중공의 박스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을 중실(中實)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5실시예에서는 제1, 2버너(2-1,2-2)의 상단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분포판(4)에 이르는 칸막이벽(8)의 하부 전체를 광폭부(8a)로 형성하고 있지만, 양 버너(2-1,2-2)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칸막이벽(8)의 하부 일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차양 형상의 판부를 설치하고, 이 판부로 광폭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칸막이벽(8)의 하단에 양 버너(2-1,2-2)의 경계부로 향하는 분포공(4a)을 폐쇄하도록 하여 분포판(4)에 착석(着座)된 프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프랜지부로 광폭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제1, 2열교환기(3-1,3-2)의 흡열핀(3a,3a)을 공통핀(30)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공통핀(30)을 이용하지 않고 양 열교환기(3-1,3-2)를 개별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양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가 되 는 양 열교환기(3-1,3-2) 사이의 간격에 칸막이벽(8)의 상부를 삽입한다.
이상, 급탕용 제1열교환기(3-1)와 난방용 제2열교환기(3-2)를 갖는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2열교환기(3-2)가 그 흡열핀에 욕실의 탕수를 순환시키는 욕실흡열관을 관통시킨 욕실용 열교환기인 경우 및 흡열핀에 난방흡열관과 욕실흡열관을 관통시킨 난방 겸 욕실용 열교환기인 경우에도, 또한, 제1열교환기(3-1)가 급탕용 이외의 열교환기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관식 복합열원기는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의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2)
- 단일 관체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제1, 2열교환기와,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에 이르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에 이르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연소팬에 의해 관체 내로 하방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대해 제1, 2버너의 경계부가 횡방향으로 옵셋되어 있고,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상부에 대해 칸막이벽의 하부가 횡방향 일방으로 옵셋된 형상의 칸막이벽을 이용하여 칸막이벽의 하부를 제1, 2버너의 경계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 단일 관체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한 쌍의 제1, 2열교환기와,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에 이르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에 이르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연소팬에 의해 관체 내로 하방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의 횡방향 폭에 비해 제1, 2버너의 경계부의 횡방향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제1, 2버너의 상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1, 2열교환기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의 상부의 횡방향폭에 비해 횡방향폭을 넓게 한 광폭부를 형성하며, 이 광폭부를 제1, 2버너의 경계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23198A JP4041102B2 (ja) | 2004-07-30 | 2004-07-30 | 1缶式複合熱源機 |
JPJP-P-2004-00223198 | 2004-07-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8808A true KR20060048808A (ko) | 2006-05-18 |
KR100598549B1 KR100598549B1 (ko) | 2006-07-10 |
Family
ID=3590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8317A KR100598549B1 (ko) | 2004-07-30 | 2005-07-27 | 일관식 복합열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041102B2 (ko) |
KR (1) | KR100598549B1 (ko) |
CN (1) | CN100462640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33335B2 (ja) | 2015-10-01 | 2020-01-22 | リンナイ株式会社 | 複合熱源機 |
JP6633334B2 (ja) | 2015-10-01 | 2020-01-22 | リンナイ株式会社 | 複合熱源機 |
DE102018006492A1 (de) * | 2018-08-17 | 2020-02-20 |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 Heiz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5937A (ja) * | 1983-04-08 | 1984-10-22 | Gasutaa:Kk | 強制空冷式複合湯沸器 |
JPS60173851U (ja) * | 1984-04-26 | 1985-11-18 | 株式会社ノーリツ | 温水器 |
JPS6184447U (ko) * | 1984-11-08 | 1986-06-03 | ||
JPH0960974A (ja) * | 1995-08-29 | 1997-03-04 | Harman Co Ltd | 給湯装置の熱交換器 |
JP3767941B2 (ja) * | 1996-03-25 | 2006-04-19 | 株式会社ガスター | 燃焼装置 |
JP2001201174A (ja) | 2000-01-20 | 2001-07-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1缶2回路式熱源装置 |
JP2001201185A (ja) | 2000-01-20 | 2001-07-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1缶2回路式熱源装置 |
CN2570691Y (zh) * | 2002-09-16 | 2003-09-03 | 霍虹均 | 燃气采暖、热水炉 |
-
2004
- 2004-07-30 JP JP2004223198A patent/JP404110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7-21 CN CNB2005100859637A patent/CN10046264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7-27 KR KR1020050068317A patent/KR10059854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727806A (zh) | 2006-02-01 |
JP4041102B2 (ja) | 2008-01-30 |
KR100598549B1 (ko) | 2006-07-10 |
CN100462640C (zh) | 2009-02-18 |
JP2006038423A (ja) | 2006-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7518B1 (ko) | 일관이수로식 열원기 | |
JP4252971B2 (ja) | 1缶式複合熱源機 | |
RU2651018C1 (ru) |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u-образной трубой | |
KR101608149B1 (ko) | 고효율 판형 열교환기 | |
JP5871167B2 (ja) | 燃焼装置 | |
KR101717097B1 (ko) | 열교환기 | |
JP2016153716A (ja) | ボイラ装置 | |
KR100598549B1 (ko) | 일관식 복합열원기 | |
JP2005069640A (ja) | 燃焼装置 | |
KR101717096B1 (ko) | 열교환기 | |
KR20220159460A (ko) | 전기 배열체, 패널 및 열 교환기 | |
US9404650B2 (en) | Boiler with improved hot gas passages | |
JP2008076002A (ja) | 熱交換器 | |
KR100731772B1 (ko) | 일관식 복합열원기 | |
JP6666124B2 (ja) | 燃焼装置及び給湯器 | |
JP6865117B2 (ja) | 熱交換器 | |
JP2011214771A (ja) | ガスバーナユニット及びガス給湯機 | |
JP5178656B2 (ja) | 1缶式複合熱源機 | |
KR101717092B1 (ko) | 열교환기 | |
JP2011027350A (ja) | 1缶式複合熱源機 | |
JP5369967B2 (ja) | 熱源機 | |
KR101717095B1 (ko) | 열교환기 | |
JP6630132B2 (ja) | 熱交換器及び給湯器 | |
JP2009030973A (ja) | 1缶式複合熱源機 | |
KR101717094B1 (ko) | 열교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