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772B1 - 일관식 복합열원기 - Google Patents

일관식 복합열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772B1
KR100731772B1 KR1020060029711A KR20060029711A KR100731772B1 KR 100731772 B1 KR100731772 B1 KR 100731772B1 KR 1020060029711 A KR1020060029711 A KR 1020060029711A KR 20060029711 A KR20060029711 A KR 20060029711A KR 100731772 B1 KR100731772 B1 KR 10073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rtition wall
burner
combustion
bu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914A (ko
Inventor
히데오 오카모토
마사이치 시미즈
히로아키 사사키
히로이츠 오오타
마사키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3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2971B2/ja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6Water heaters having plural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having an elongated tubular form, e.g. for a radiant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단일 관체(1) 내에 병설된 한 쌍의 버너(2-1,2-2)와, 관체의 상부에 병설된 한 쌍의 열교환기(3-1,3-2)와, 관체 내의 공간을 2개의 연소실(7-1,7-2)로 구획하는 칸막이벽(8)을 구비하는 동시에, 연소팬(6)의 연소용공기를 관체 하부에 형성된 급기실(5)을 통해 양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 칸막이벽과 각 버너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확대시키지 않고 칸막이판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열원기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해결수단] 칸막이벽(8)은 2장의 판(8a)으로 이루어진 중공 구조로 구성하고, 칸막이벽(8)의 내부 공극으로 급기실(5)로부터의 공기가 흐르게 한다. 또한, 급기실(5)로 연통되는 중공의 공기안내부재(10)를 설치하고, 공기안내부재(10)의 내부공극을 통해 그 상단으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8)의 횡방향 양측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가 생성되게 한다.
일관식 복합열원기, 관체, 제1버너, 제1연소실, 칸막이벽

Description

일관식 복합열원기{Complex heat source machine with one can}
도 1은 본 발명 열원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절단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으로 절단된 절단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으로 절단된 절단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열원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절단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열원기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절단정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의 칸막이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으로 절단된 확대절단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열원기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절단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열원기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절단정면도이다.
도 10는 도 9의 X-X선으로 절단된 절단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열원기의 제6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인 절단정면도 이다.
도 12는 제6실시예에서 칸막이벽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체 2-1 : 제1버너
2-2 : 제2버너 2a : 단위버너
3-1 : 제1열교환기 3-2 : 제2열교환기
4 : 분포판 4a : 분포공
5 : 급기실 6 : 연소팬
7-1 : 제1연소실 7-2 : 제2연소실
8 : 칸막이벽 8a : 판
8b : 중칸막이판 8f : 단부
10 : 공기안내부재 10b : 견부
10c : 측판부 10d : 공기취출공
본 발명은 단일관체와, 이 관체내에 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제1, 2열교환기를 구비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일관식 복합열원기로서, 관체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 기의 사이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일측의 버너, 예를 들어, 제2버너만을 연소시켜 제2열교환기를 가열하는 단독 운전시에, 제2버너의 연소배기가 제1열교환기측으로 흘러 제1열교환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특공평2-17784호공보(제3도,제6도)] 참조). 또한, 이것에는 관체의 하부에 분포판으로 격리된 급기실을 형성하고, 연소팬의 연소용공기를 분포판에 형성된 분포공을 통해 제1, 2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관체 내에 칸막이벽을 설치한 경우, 제1, 2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칸막이벽이 가열되어 상당히 고온이 되기 때문에 칸막이벽의 내열성의 확보가 문제시되었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급기실에서 분포판의 분포공을 통해 각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칸막이벽의 외벽면을 따라 흐르도록 되어 있지만, 칸막이벽의 외벽면을 따라 흐르는 것은 칸막이벽 근처의 분포공에서 유입되는 미세한 양의 공기이기 때문에 칸막이벽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칸막이벽과 각 버너 사이의 횡 방향 간격을 넓게 하여 칸막이벽에 대한 각 버너로부터의 열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열원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칸막이벽과 각 버너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넓게 하지 않고 칸막이판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관체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2열교환기와,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관체의 하부에 분포판으로 분리된 급기실을 형성하고, 연소팬에서 연소용공기를 분포판에 형성된 분포공을 통해 제1, 2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칸막이벽은 공극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2장의 판으로 구성되며, 양판간의 공극으로 급기실로부터의 공기가 흐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포판 상에, 칸막이벽의 배치위치에 맞춰, 칸막이벽보다 횡방향 폭이 넓은 중공의 공기안내부재를 배치하고, 공기안내부재의 내부공극을 급기실로 연통시켜, 공기안내부재의 내부공극을 통해 공기안내부재의 상단에서 취출된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의 횡방향 양측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가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2장의 판 사이의 공극, 즉, 칸막이벽의 내부공극에 급기실로부터의 공기가 흐르고, 칸막이벽이 내측에서 효율 좋게 냉각된다. 따라서, 칸막이벽과 각 버너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그다지 넓게 하지 않아도 칸막이벽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열원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급기실에서 공기안내부재를 통해 도입되는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의 외벽면을 따라 냉각공기류가 적극적으로 생성되어 칸막이벽의 냉각 효율이 좋게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칸막이벽과 각 버너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그다지 넓게 하지 않아도 칸막이벽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열원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특징에 있어서, 칸막이벽을 상기 제1특징과 같이 공극을 갖는 횡방향으로 대향되는 2장의 판으로 구성하고, 양 판간의 공극에 급기실로부터의 공기를 급기실에서 직접적 또는 공기안내부재를 통해 흐르도록 하면 칸막이벽의 냉각성능이 비교적 향상된다.
그리고, 공기안내부재가 각 버너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공기안내부재에 각 버너의 연소열이 미쳐 공기안내부재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공기안내부재의 상단 높이가 각 버너의 상단에 비해 낮으면, 공기안내부재의 상단에서 취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각 버너측으로 흘러 연소용 2차공기로 이용되어 칸막이벽의 외벽면을 따라 흐르는 냉각공기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 공기안내부재의 상단 높이가 각 버너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이면 공기안내부재의 내열성을 확보하고, 냉각공기량의 감소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동등한 높이」라는 것은 공기안내부재의 상단 높이가 각 버너의 상단 높이와 정확히 동일한 경우만이 아니라 거의 같은 경우를 포함하는 말이다.
또한, 칸막이벽과는 별도로 공기안내부재를 설치하면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이 경우, 칸막이벽의 하부에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한 쌍의 견부와, 양 견부에서 상기 분포판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형성하고, 양 견부와 양 측판부로 공기안내부재를 구성하면, 칸막이벽과 공기안내부재를 일체화하여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공기안내부재의 상단이 되는 양 견부에 상향으로 개구되는 공기취출공을 개설하고, 공기취출공에서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의 외벽면을 따라 냉각공기류가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칸막이벽과 공기안내부재를 일체화하는 경우, 칸막이벽은 공극을 갖는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2장의 판으로 구성하고, 이들 각 판의 하부에 각 견부와 각 측판부를 형성하면, 칸막이벽 내부공극(2장의 판 사이의 공극)에도 냉각공기가 흘러 칸막이벽의 냉각성능이 비교적 향상되는 동시에 각 판의 단순한 절곡 가공으로 견부와 측판부를 형성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등 유리하다.
여기서, 관체와 제1, 2열교환기를 변경하지 않고, 제1, 2의 적어도 일측의 버너를 소형화 한 경우, 공기안내부재를 구성하는 양측판부 중 소형화한 일측의 버너측에 배치되는 일측의 측판부의 위치를 횡방향 외측으로 벗어나게 하여, 일측의 버너와 일측의 측판부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있다. 이렇게 하면,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2장의 판 중 상기 일측의 측판부를 형성하는 일측의 판의 양 열교환기의 경계부로 삽입되는 상단부와 일측의 측판부와의 사이의 횡방향 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일측의 판에 버너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견부의 횡방향 폭을 상기 횡방향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견부의 직상부에 압력이 낮은 환류역(還流域)이 발생하고, 버너의 화염이 환류역측으로 기울어져 연소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견부에 형성되는 공기취출공의 개구면적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면 공기과다가 되어 열교환기가 공기로 냉각되어 열효율이 나빠진다.
따라서, 견부의 높이가 각 버너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되는 동시에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2장의 판의 적어도 일측의 판의 양 열교환기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상단부와 이 일측의 판에 형성되는 측판부와의 사이의 횡방향 거리가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판에 형성되는 견부의 횡방향 폭을 상기 횡방향 거리보다 좁게 설정하고, 이 일측의 판에 이 일측의 판이 면하는 연소실에 배치되는 버너의 최대 연소시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가 되는 부분에 위치시켜 상기 횡방향 거리와 견부의 횡방향 폭의 차이만큼 횡방향 폭을 갖는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일측의 판의 견부와 단부 사이의 부분이 버너측에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견부의 직상부에 환류역이 발생하지 않고 화염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연소가 안정된다. 그리고, 최대 연소시에 있어서도 연소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부의 위치를 최대 연소시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단부의 위치가 높게 되면, 단부와 열교환기 사이의 상하방향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단부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열교환기의 부분에 연소배기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열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과 같이 버너의 최대 연소시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단부를 형성해 두면 연소의 안정성과 열효율을 양 호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관체 내에는 기주진동이 발생된다. 여기서, 제1, 2연소실은 제1, 2열교환기를 통해 통기가 가능하게 연통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양 연소실을 연속하는 하나의 진동공간으로서 기주진동이 발생되어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가 저하된다. 그리고,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가 저하되면, 화염이 공명진동하기 쉽게 되어 연소소음이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양 열교환기의 경계부에 면하는 각 열교환기의 측단부에 각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흡열핀 사이의 극간을 봉하는 봉지부를 설치하면, 양 열교환기 사이의 통기가 차단되고, 양 연소실의 양 열교환기로 통하는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칸막이벽을 상기와 같이 2장의 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양판을 양 열교환기의 경계부로 삽입되는 양판의 상단부가 양 열교환기의 봉지부에 접촉되도록 하면 각 판과 각 열교환기 사이의 극간을 통해 양 연소실의 연통도 차단된다.따라서, 기주진동은 각 연소실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가 높아진다. 그 결과, 화염의 공명진동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연소소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2장의 판에 공기취출공이 개설되어 있는 경우(각 판의 하부에 형성된 견부에 공기취출공을 개설하는 것도 포함), 양 연소실이 공기취출공과 2장의 판 간의 공극을 통해 연통되고, 양 연소실에 걸쳐 기주진동이 발생된다. 이 경우,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2장의 판 간에 양 판간의 공극을 분포판에서 칸막이벽의 상단에 이르는 횡 방향으로 2분되는 중칸막이판을 개설하면 양 연소실의 연통이 중칸막이판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양 연소실에 걸치는 기주진동 은 발생되지 않고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의 저하에 의한 연소소음의 증대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포판 상에 관체의 깊이방향으로 길다란 버너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버너유닛을 배치하고, 버너유닛의 이들 단위버너를 2조로 나누어 일측조의 단위버너군으로 제1버너, 타측조의 단위버너군으로 제2버너를 구성하면 각 버너에 속하는 단위버너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버너유닛은 변경하지 않고 제1버너의 정격연소량과 제2버너의 정격연소량의 비를 변경시킬 수가 있어 양 버너의 정격연소비가 다른 여러 기종의 열원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경우, 제1, 2버너의 경계부에 양 버너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단위버너의 직상부에 칸막이벽을 배치하는 동시에 해당 단위버너에 분포실로부터 공기만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면 양 버너의 경계부에 존재하는 단위버너를 공기안내부재로 겸용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상당히 유리하다.
도 1은 단일 관체(1) 내에 제1버너(2-1)와 제2버너(2-2)를 횡 방향으로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관체(1)의 상부에 제1버너(2-1)로 가열되는 급탕용 제1열교환기(3-1)와 제2버너(2-2)로 가열되는 난방용 제2열교환기(3-2)를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하여 된 일관식 복합열원기를 나타내고 있다.
관체(1)의 하부에는 관체(1) 내의 공간에 대하여 분포판(4)으로 칸막이된 급기실(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급기실(5)에 접속되는 연소팬(6)을 설치하고, 연소팬(6)의 연소용공기를 급기실(5)에서 분포판(4)에 형성된 복수의 분포공(4a)을 통해 관체(1) 내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각 버너(2-1,2-2)는 각각 관체(1)의 깊이(奧行)방향(도 1의 지면직교방향)에 길다란 단위버너(2a)를 횡방향으로 복수 배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단위버너(2a)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관체(1)의 내측(후측)으로 연장되는 혼합관부(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분포판(4)의 후부를 상방으로 오프셋(offset)하여, 급기실(5)의 후부에 입상부(5a)를 형성하고, 이 입상부(5a)에 각 단위버너(2a)의 혼합관부(2b)의 유입단이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기실(5)의 입상부(5a)에 각 버너(2-1,2-2)용 가스매니폴드(2c)를 수납하고, 가스매니폴드(2c)에 설치된 각 노즐(2d)에서 각 단위버너(2a)의 혼합관부(2b)에 가스가 공급되며, 혼합관부(2b)에 급기실(5)로부터의 연소용 일차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난방보다도 급탕쪽이 큰 가열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각 버너(2-1,2-2)를 구성하는 단위버너(2a)의 개수는 제1버너(2-1)의 쪽이 많도록 되어 있다.
각 열교환기(3-1,3-2)는 관체(1)의 깊이방향에 극간(隙間)을 갖는 복수 적층된 흡열핀(3a)과, 이들 흡열핀(3a)을 관통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흡열관(3b)으로 구성된다. 제1열교환기(3-1)의 흡열관(3b)에는 도시되지 않은 상류측 급수관과 하류측 출탕관이 접속되어 있고, 출탕관의 하류단의 출탕꼭지를 열어 제1열교환기(3-1)로 통수(通水)되도록 할 때, 제1버너(2-1)가 점화되어 출탕꼭지에서 설정온도의 온수가 출탕된다. 제2열교환기(3-2)의 흡열관(3b)은 도시되지 않은 보냄관과 복귀관을 통해 마루난방 등의 난방회로(미도시)에 접속되어 있고, 난방회로에 제2열교환기(3-2)를 통해 탕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한다.
또한, 관체(1) 내에는 제1, 2버너(2-1,2-2)와 제1, 2열교환기(3-1,3-2)의 사 이 공간을 제1버너(2-1)에서 제1열교환기(3-1)로 연결되는 제1연소실(7-1)과, 제2버너(2-2)에서 제2열교환기(3-2)로 연결되는 제2연소실(7-2)로 구획하는 칸막이벽(8)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1버너(2-1)의 연소 배기는 제1연소실(7-1)을 통해 제1열교환기(3-1)로 도달되고, 제2버너(2-2)의 연소 배기는 제2연소실(7-2)을 통해 제2열교환기(3-2)로 도달된다. 제1, 2열교환기(7-1,7-2)에서 열 교환된 연소 배기는 양 열교환기(3-1,3-2)의 상측 배기후드(9)로 흘러 이 배기후드(9)에 형성된 배기구(9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양 버너(2-1,2-2)와 양 열교환기(3-1,3-2) 사이의 공간만이 아니고 양 버너(2-1,2-2)의 배치부도 2분되도록 칸막이벽(8)이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의 극간에서 분포판(4)으로 미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분포판(4) 상에 칸막이벽(8)의 배치 위치에 맞게 칸막이벽(8)보다 횡 방향 폭이 넓은 중공의 공기안내부재(10)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을 상세히 서술하면, 분포판(4)에, 칸막이벽(8)의 횡 방향 양 외측에 위치시켜 한 쌍의 측판(10a,10a)을 입설(立設)시키고, 양 측판(10a,10a)으로 공기안내부재(1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측판(10a)과 칸막이벽(8)의 사이 공극(空隙), 즉, 공기안내부재(10)의 안내공극은 분포판(4)에 형성된 연통공(4b)을 통해 급기실(5)로 연통되어 있다. 이 연통공(4b)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장공이고, 단위면적당 개구면적은 분포공(4a)보다 크다.
또한, 칸막이벽(8)은 공극을 갖는 횡 방향으로 대향되는 2장의 판(8a,8a)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판(8a,8a) 간의 공극, 즉, 칸막이벽(8)의 내부공극은 분포판 94)에 형성된 연통공(4c)을 통해 급기실(5)로 연통되어 있다. 연통공(4b)은, 상기 연통공(4b)과 같은 모양으로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장공이고, 단위면적당 개구면적은 분포공(4a) 보다 크다.
그렇게 하여, 급기실(5)에서 공기안내부재(10)의 내부공극에 비교적 다량의 공기가 공급되고,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에서 취출되는 공기로부터 칸막이벽(8)의 횡 방향 양측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a)가 생성되어, 급기실(5)로부터 칸막이벽(8)의 내부공극으로도 비교적 다량의 공기가 공급된다. 그러므로, 칸막이벽(8)은 그 내부 공극에 흐르는 냉각공기류(b)와 외벽면을 따라 흐르는 냉각공기류(a)로 내외에서 효율 좋게 냉각된다. 따라서, 제1, 2버너(2-1,2-2)의 칸막이벽(8) 근처의 단위버너(2a)와 칸막이벽(8) 사이의 횡방향 간극이 좁고, 칸막이벽(8)에 각 버너(2-1,2-2)의 연소열이 쉽게 미쳐도 칸막이벽(8)의 온도는 그다지 높아지지 않아 내열성이 확보된다. 이렇게 각 버너(2-1,2-2)와 칸막이벽(8)의 사이의 횡방향 간극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열원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안내부재(10)가 각 버너(2-1,2-2)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공기안내부재(10)에 각 버너(2-1,2-2)의 연소열이 미쳐, 공기안내부재(10)의 내열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 높이가 각 버너(2-1,2-2)의 상단에 비해 낮으면,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에서 취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각 버너(2-1,2-2)측으로 흘러 연소용 2차공기로 이용되어 칸막이벽(8)의 외벽면을 따라 흐르는 냉각공기량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안내부재(10)의 내열성을 확보하고 냉각공기량의 감소도 방지할 수 있도 록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 높이가 각 버너(2-1,2-2)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제2실시예와 같이, 칸막이벽(8)을 1장의 판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분포판(4)에 입설된 한 쌍의 측판(10a,10a)으로 구성되는 공기안내부재(10)를 설치하고, 급기실(5)에서의 공기를 연통공(4b)과 공기안내부재(10)의 내부공극을 통해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으로 취출시켜 칸막이벽(8)의 횡방향 양측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a)가 생성되게 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안내부재(10)의 내열성을 확보하여, 냉각공기량의 감소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 높이를 각 버너(2-1,2-2)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한다.
도 5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칸막이벽(8)을 2장의 판(8a,8a)으로 이루어진 중공구조로 구성하는 동시에 칸막이벽(8)의 하부에 각 판(8a)의 절곡에 의해 횡 방향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견부(肩部)(10b,10b)와, 양 견부(10b,10b)에서 분포판(4)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10c,10c)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양 견부(10b,10b)와 양 측판부(10c,10c)에 의해 칸막이벽(8)과 일체의 중공의 공기안내부재(10)가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안내부재(10)의 내부공극은 분포판(4)에 형성된 단위면적당 개구면적이 분포공(4a)보다 큰 연통공(4b)을 통해 급기실(5)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공기안내부재(10)의 상단을 이루는 양 견부(10b,10b)에,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향 개구된 복수의 공기취출공(10d)이 개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급기실(5)에서 공기안내부재(10)의 내부공극에 비교적 다량의 공기가 공급되고, 이 공기의 일부가 칸막이벽(8)의 2장의 판(8a,8a) 사이의 공극으로 흘러, 칸막이벽(8)의 내부에 냉각공기류(b)가 생성되는 동시에, 견부(10b)의 공기취출구(10d)에서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8)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a)가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모양으로 칸막이벽(8)이 내외에서 효율 좋게 냉각된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는 공기안내부재(10)가 칸막이벽(8)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견부(10b)의 높이는 공기안내부재(10)의 내열성을 확보하고, 냉각공기량의 감소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버너(2-1,2-2)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된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칸막이벽(8)을 2장의 판(8a,8a)으로 이루어진 중공 구조로 구성하고 있지만, 칸막이벽(8)을 1장의 판 구조로 하고, 칸막이벽(8)의 하부만을 두갈래로 분기시켜, 상기 양 견부(10b,10b)와 양 측판부(10c,10c)로 이루어진 공기안내부재(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칸막이벽(8)을 압출성형 등의 특수 제조방법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 제3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칸막이벽(8)을 구성하는 2장의 판(8a,8a)의 단순한 절곡 가공으로 견부(10b)와 측판부(10c)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비용이 절감되고, 칸막이벽(8)을 그 내외에서 냉각시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연소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도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제1, 2연소실(7-1,7-2)이 제1, 2열교환기(3-1,3-2) 및 칸막이벽(8)을 통해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지만, 양 연소실(7-1,7-2)을 연속하는 하나의 진동공간으로서 기주(氣柱)진동이 발생한다.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 F는 음속을 C, 진동공간의 길이를 L이라 할 때, F = C/2L이 된다. 양 연소실(7-1,7-2)이 연속되는 하나의 진동공간이 되는 경우, 관체(1)의 횡폭이 예를 들어 31cm이면, L은 칸막이벽(8)에 의한 저항의 영향으로 37cm정도가 된다. 또한, 연소시의 관체(1) 내의 평균 온도는 170℃ 정도가 되고, 이때 C는 435m/sec가 된다. 그리고, 양 연소실(7-1,7-2)을 연속하는 하나의 진동공간에서 발생하는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 F는 590Hz가 된다. 이렇게 저진동수에서는 화염이 공명진동하기 쉽고 큰 연소소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제3실시예에서는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면하는 각 열교환기(3-1,3-2)의 측단부에,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열교환기(3-1,3-2)의 흡열핀(3a) 간의 극간을 봉하는 봉지부(3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벽(8)을 구성하는 2장의 판(8a,8a)은, 양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삽입되는 양판(8a,8a)의 상단부가 양 열교환기(3-1,3-2)의 봉지부(3c,3c)에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봉지부(3c)에 의해 양 열교환기(3-1,3-2) 사이의 통기가 차단되고, 양 연소실(7-1,7-2)의 양 열교환기(3-1,3-2)로 통하는 연통이 차단되는 동시에 칸막이벽(8)과 각 열교환기(3-1,3-2) 사이의 극간을 통해 양 연소실(7-1,7-2)로 이어지는 연통도 차단된다. 그리고, 봉지부(3c)는 흡열핀(3a)의 측단부에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형성되지만, 흡열핀(3a)과는 별체(別體)의 판재로 봉지부(3c)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칸막이벽(8)을 구성하는 2장의 판(8a,8a)의 각각의 견부(10b)에 공기 취출공(10d)이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공기취출구(10d)와 양판(8a,8a)간의 공극을 통해 양 연소실(7-1,7-2)이 연통된다. 여기서, 양판(8a,8a) 사이에 양판(8a,8a) 간의 공극을 분포판(4)에서 칸막이벽(8)의 상단에 이르는 횡 방향으로 2분하는 중칸막이판(8b)이 개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취출구(10d)와 양판(8a,8a) 간의 공극을 통하는 양 연소실(7-1,7-2)로의 연통도 차단된다. 그리고, 양판(8a,8a)의 최상단에는 횡방향 내측에 절곡부(8c,8c)를 갖고 기립되는 접합프랜지부(8d,8d)가 형성되어 있고, 양 접합프랜지부(8d,8d)의 중간에 중칸막이판(8b)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양판(8a,8a)의 상단 절곡부(8c,8c)에,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기공(8e)을 개설하고 양판(8a,8a) 사이의 공극으로 흐르는 공기가 통기공(8e)에서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로 흘러나오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양 연소실(7-1,7-2)의 연통이 차단되면, 양 연소실(7-1,7-2)을 연속하는 하나의 진동공간으로 하는 기주진동의 발생이 방지되고, 기주진동은 각 연소실(7-1,7-2)에서 개별적으로 발생되도록 하여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제1연소실(7-1)의 횡폭이 23cm, 제2연소실(7-2)의 횡폭이 7cm인 경우, 각 연소실(7-1,7-2)에서 발생하는 기주진동의 고유진동수는 제1연소실(7-1)에서 950Hz, 제2연소실(7-2)에서 3100Hz가 된다. 고유진동수가 이렇게 높은 수치가 되면 화염이 공명진동하기가 어렵게 되어 연소소음이 저감된다.
도 8은 제3실시예의 변형예인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실시예의 관체(1) 및 양 열교환기(3-1,3-2)는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제2버너(2-2)의 정격연소량을 낮추기 위하여 제3실시예에서 제2버너(2-2)의 횡방향 최내측의 단위버너(2a)가 삭제되어 있다. 그리고, 제2버너(2-2)측(도 8의 좌측)의 측판부(10c)가 삭제된 단위버너(2a)의 부분만큼 좌측으로 변위(變位)되어 있다. 한편, 양 열교환기(3-1,3-2)는 제3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양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로 삽입되는 칸막이벽(8)의 상단부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그 결과, 칸막이벽(8)의 좌측 판(8a)의 상단부와 좌측의 측판부(10c) 사이의 횡방향 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좌측의 판(8a)에 제2버너(2-2)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좌측 견부(10b)의 횡방향 폭을 상기 횡방향 거리와 같게 설정하면 좌측의 견부(10b)의 직상부에 압력이 낮은 환류역이 발생하고, 제2버너(2-2)의 화염이 환류역측으로 기울어 연소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의 견부(10b)에 형성된 공기취출공(10d)의 개구면적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공기 과다가 되어 제2열교환기(3-2)가 공기로 냉각되어 열효율이 악화되게 된다.
여기서, 제4실시예에서는 좌측의 견부(10b)의 횡방향 폭을 상기 횡방향 거리보다 좁게 설정하고, 좌측의 판(8a)에 제2버너(2-2)의 최대연소시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가 되는 부분에 위치시켜 상기 횡방향 거리와 좌측의 견부(10b)의 횡방향 폭의 차이 만큼의 횡방향 폭을 갖는 단부(8f)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좌측의 판(8a)의 견부(10b)와 단부(8f) 사이의 부분이 제2버너(2-2) 측으로 근접된다. 그러므로, 좌측의 견부(10b)에 개설된 공기취출공(10d)의 개구면적을 크게 하지 않아도 해당 견부(10b)의 직상부에 환류역은 발생하지 않고 화염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연소가 안정된다.
여기서, 최대 연소시에도 연소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부(8f)의 위치를 최대 연소시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부(8f)의 위치가 높아지면 단부(8f)와 제2열교환기(3-2) 사이의 상하방향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단부(8f)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3-2)의 부분에 연소배기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열효율이 저하된다. 제4실시예와 같이 제2버너(2-2)의 최대 연소시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의 위치에 단부(8f)를 형성시켜 두면 연소의 안정성과 열효율을 양호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에서는 단부(8f)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단부(8f)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3-2)의 부분에 연소배기를 용이하게 도입시키기 위해 횡방향 내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단부(8f)를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제1버너(2-1)의 횡방향 최내측의 단위버너(2a)를 삭제하고 좌측의 측판부(10c)의 위치를 삭제된 단위버너(2a)의 분량만큼 우측으로 변위시키는 경우에는 우측의 판(8a)에도 좌측의 판(8a)과 같은 모양으로 단부를 형성한다.
도 9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미도시의 프레임에 단위버너(2a)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여 버너유닛을 구성하고, 이 버너유닛이 분포판(4)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유닛의 이들 단위버너(2a)를 2조로 나누고, 일측조의 단위버너군으로 제1버너(2-1)를 구성하며, 타측조의 단위버너군으로 제2버너(2-2)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1버너(2-1)의 정격연소량과 제2버너(2-2)의 정격연소량의 비가 다르게 되는 복수 기종의 열원기를 제조하는 경우, 관체(1) 및 버너유닛을 기종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하여도 제1버너(2-1)에 속하는 단위버너(2a)의 개수와 제2버너(2-2)에 속하는 단위버너(2a)의 개수의 비를 변경함으로써 복수기종에 대응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여기서, 단위버너(2a)의 분리는 제1, 2버너(2-1,2-2)의 경계부에 양 버너(2-1,2-2)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단위버너(2a)(이하, #0의 단위버너라 한다)가 남도록 행한다. 제1, 2버너(2-1,2-2)에 속하는 단위버너(2a)에는 각 버너(2-1,2-2)용 가스매니폴드(2c)의 노즐(2d)에서 가스가 공급되지만(도 2 참조), #0의 단위버너(2a)의 혼합관부(2b)의 유입단으로 향하는 위치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즐(2d)이 배열되어 있지 않고, #0의 단위버너(2a)에는 급기실(5)로부터의 공기만이 공급된다.
그리고, #0의 단위버너(2a)의 직상부에는 칸막이벽(8)을 그 하단이 #0의 단위버너(2a)의 상단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칸막이벽(8)은 2장의 판(8a,8a)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구조이지만 그 횡방향 폭은 단위버너(2a)의 상단의 횡방향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급기실(5)에서 #0의 단위버너(2a)로 공급되는 공기는 #0의 단위버너(2a)의 내부공극을 통해 그 상단으로 분출되고, 이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8)의 횡방향 양측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a)와 칸막이벽(8)의 내부공극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b)가 생성된다. 따라서, #0의 단위버너(2a)가 공기안내부재(10)로 겸용되게 되어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버너(2a)의 상단에는 염공플레이트가 장착되지만, #0의 단위버 너(2a)는 염공플레이트가 미 장착되어도 좋다. 또한, 제5실시예에서는 칸막이벽(8)을 중공 구조로 구성하고 있지만, 칸막이벽(8)을 1장의 판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2버너(2-1,2-2)의 정격연소량이 그다지 크지 않을 경우에는 칸막이벽(8)의 내부공극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b)만으로 칸막이벽(8)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제6실시예와 같이 공기안내부재(10)를 생략하고, 칸막이벽(8)을 2장의 판(8a,8a)으로 이루어진 중공 구조로 구성하며, 칸막이벽(8)의 내부공극을 분포판(4)에 형성한 단위면적당 개구면적이 분포공(4a)보다도 큰 연통공(4c)을 통해 급기실(5)로 연통되어 칸막이벽(8)의 내부공극에만 냉각공기류(b)가 흐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6실시예에서는 제3, 4실시예와 같이 제1, 2열교환기(3-1,3-2)의 경계부에 면하는 각 열교환기(3-1,3-2)의 측단부에 각 열교환기(3-1,3-2)의 흡열핀(3a) 간의 극간을 봉(封)하는 봉지부(3c)를 설치하고, 칸막이벽(8)을 구성하는 2장의 판(8a,8a)은, 양 열교환기(3-1,3-2)의 경계부로 삽입되는 양판(8a,8a)의 상단부가 양 열교환기(3-1,3-2)의 봉지부(3c,3c)에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2연소실(7-1,7-2)의 연통이 단절되고, 양 연소실(7-1,7-2)을 연속되는 하나의 진동공간으로 하는 기주진동의 발생이 방지되어 연소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제6실시예에 있어서, 칸막이벽(8)의 각 판(8a)을,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면측으로 절기(切起)시켜 상향으로 개구된 공기취출공(8g)을 형성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칸막이벽(8)의 2장의 판(8a,8a) 사이의 공극에 냉각공기류(b)가 흐르는 동시에 공기취출공(8g)으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8) 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a)가 생성된다. 이 경우, 연소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칸막이벽(8)의 2장의 판(8a,8a) 사이에 중칸막이판(8b)을 개설하여 공기취출공(8g)과 양판(8a,8a) 사이의 공극을 통하는 양 연소실(7-1,7-2)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급탕용 제1열교환기(3-1)와 난방용 제2열교환기(3-2)를 갖는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2열교환기(3-2)가 그 흡열핀에 목욕탕수를 순환시키는 목욕흡열관을 관통시킨 목욕수재가열용의 열교환기인 경우 및 흡열핀에 난방흡열관과 목욕흡열관을 관통시킨 난방겸용목욕수재가열용의 열교환기인 경우, 또는, 제1열교환기(3-1)가 그 흡열핀에 급탕흡열관과 목욕흡열관을 관통시킨 급탕겸용목욕수재가열용 열교환기인 경우 및 급탕용 이외의 열교환기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2열교환기(3-1,3-2)는 상기 어느 실시예에 대해서도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만 제1, 2열교환기(3-1,3-2)의 흡열핀(3a,3a)을 연속하는 공통핀으로 구성하여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관식 복합열원기는 칸막이벽과 각 버너 사이의 횡방향 간격을 넓게 하지 않고 칸막이판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10)

  1. 단일관체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2열교환기와,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관체의 하부에 분포판으로 분리된 급기실을 형성하고, 연소팬에서 연소용공기를 분포판에 형성된 분포공을 통해 제1, 2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공극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2장의 판으로 구성되며, 양판간의 공극으로 급기실로부터의 공기가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열교환기의 경계부에 면하는 각 열교환기의 측단부에, 각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흡열핀 사이의 극간을 봉하는 봉지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상기 2장의 판 중 양 열교환기의 경계부로 삽입되는 양판의 상단부를 양 열교환기의 봉지부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3. 청구항2기재의 일관식 복합열원기이고, 상기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상기 2장의 판에 공기취출공을 개설한 것에 있어서,
    양 판간에는, 이 양 판간의 공극을 상기 분포판에서 칸막이벽의 상단에 이르기까지 횡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칸막이판이 개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4. 단일관체와, 이 관체 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2버너와, 관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2열교환기와, 관체 내의 제1, 2버너와 제1, 2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을 제1버너에서 제1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1연소실과 제2버너에서 제2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2연소실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관체의 하부에 분포판으로 분리된 급기실을 형성하고, 연소팬에서 연소용공기를 분포판에 형성된 분포공을 통해 제1, 2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한 일관식 복합열원기에 있어서,
    상기 분포판 상에, 칸막이벽의 배치위치에 맞춰, 칸막이벽보다 횡방향 폭이 넓은 중공의 공기안내부재를 배치하고, 공기안내부재의 내부 공극을 급기실로 연통시켜, 공기안내부재의 내부 공극을 통해 공기안내부재의 상단에서 취출된 공기에 의해 칸막이벽의 횡방향 양측 외벽면을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냉각공기류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공극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2장의 판으로 구성되며, 양판간의 공극으로 상기 급기실로부터의 공기를 급기실에서 직접적 또는 상기 공기안내부재를 통해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부재의 상단 높이는 상기 제1, 2버너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의 하부에 횡방향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견부와, 양 견부에서 상기 분포판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형성하고, 양 견부와 양 측판부에 의해 상기 공기안내부재를 구성하며, 공기안내부재의 상단이 되는 양 견부에 상향 개구된 공기취출공을 개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공극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2장의 판으로 구성되며, 각 판의 하부에 상기 각 견부와 상기 각 측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9. 청구항 8 기재의 일관식 복합열원기이고, 상기 견부의 높이가 상기 각 버너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칸막이벽을 구성하는 2장의 판의 적어도 일측판의 상기 양 열교환기의 경계부로 삽입되는 상단부와 이 일측판에 형성되는 상기 측판부의 사이의 횡방향 거리가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에 형성되는 견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횡방향 거리보다 좁게 설정되고, 상기 일측판에 이 일측판이 면하는 연소실에 배치되는 버너의 최대연소시 에 화염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가 되는 부분에 위치시키고 상기 횡방향 거리와 견부의 횡방향 폭의 차이만큼의 횡방향 폭을 갖는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10. 제 4항 또는 제 5항에 기재된 일관식 복합열원기이고, 분포판 상에, 관체의 깊이방향으로 길다란 단위버너를 횡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구성된 버너유닛을 배치하며, 버너유닛의 이들 단위버너를 2조로 나누어서, 일측조의 단위버너군으로 제1버너를, 타측조의 단위버너군으로 제2버너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제1, 2버너의 경계부에 양 버너 중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단위버너가 잔존하도록 이들 단위버너를 나누고, 양 버너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단위버너의 직상부에 상기 칸막이벽을 배치하는 동시에 해당 단위버너에 급기실로부터 공기만을 공급하여 해당 단위버너로 상기 공기안내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식 복합열원기.
KR1020060029711A 2005-04-11 2006-03-31 일관식 복합열원기 KR100731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3786 2005-04-11
JP2005113786A JP4252971B2 (ja) 2004-08-09 2005-04-11 1缶式複合熱源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14A KR20060107914A (ko) 2006-10-16
KR100731772B1 true KR100731772B1 (ko) 2007-06-22

Family

ID=3707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711A KR100731772B1 (ko) 2005-04-11 2006-03-31 일관식 복합열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1772B1 (ko)
CN (1) CN18477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0492A (ja) * 2017-10-11 2019-05-09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CN110671811B (zh) * 2019-10-21 2023-10-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燃气热水炉及其控制方法
JP7356024B2 (ja) * 2019-12-24 2023-10-04 株式会社ノーリツ 熱交換器及び温水装置
CN111609548A (zh) * 2020-05-15 2020-09-01 重庆燃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发电蓄电的天然气热水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5937A (ja) 1983-04-08 1984-10-22 Gasutaa:Kk 強制空冷式複合湯沸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7909Y (zh) * 1996-04-04 1997-07-16 重庆博得现代厨房设备有限公司 分段式家用燃气快速热水器
JP3619090B2 (ja) * 1999-11-15 2005-02-09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CN2485583Y (zh) * 2001-01-20 2002-04-10 广东华帝集团有限公司 一种多用燃气热水器
CN2497220Y (zh) * 2001-08-15 2002-06-26 郑国隆 具有自动分段控制装置的强制排气热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5937A (ja) 1983-04-08 1984-10-22 Gasutaa:Kk 強制空冷式複合湯沸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7729A (zh) 2006-10-18
KR20060107914A (ko) 2006-10-16
CN1847729B (zh)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971B2 (ja) 1缶式複合熱源機
KR100821823B1 (ko) 증발기
JP4213742B2 (ja) 強制給気式燃焼装置
KR100731772B1 (ko) 일관식 복합열원기
JP2007278622A (ja) 偏平バーナ並びにこれを用いた燃焼装置
CN109695957B (zh) 燃烧装置
JP2020026900A (ja) 熱交換器
US10969178B2 (en) Heat exchanger
JP4718593B2 (ja) 1缶式複合熱源機
JP2008076002A (ja) 熱交換器
KR100598549B1 (ko) 일관식 복합열원기
KR101372303B1 (ko) 열교환기
JP2009113656A (ja) 鉄道車両
JPH07270036A (ja) 冷蔵庫
EP3470750B1 (en) Combustion device
JP6022142B2 (ja) 車両空調装置のための逆流熱交換器
JP2005069652A (ja) 空気調和機
JP2008062709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H0252910A (ja) 給湯機
JP3534602B2 (ja) 濃淡燃焼装置
JP2004053140A (ja) 温度成層型蓄熱装置
CN220229168U (zh) 火排和燃气设备
KR880001922Y1 (ko) 물끓임기
KR20220054116A (ko) 물 가열기용 버플 플레이트
JP2006329564A (ja) バー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媒体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