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638A - 밀봉 장치 및 밀봉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 및 밀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638A
KR20060048638A KR1020050056518A KR20050056518A KR20060048638A KR 20060048638 A KR20060048638 A KR 20060048638A KR 1020050056518 A KR1020050056518 A KR 1020050056518A KR 20050056518 A KR20050056518 A KR 20050056518A KR 20060048638 A KR20060048638 A KR 2006004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evice
sealing
expandable member
seal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브라힘 가밤 샤히디
퀜틴 폰타나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트 콤포지츠 그룹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트 콤포지츠 그룹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드밴스트 콤포지츠 그룹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4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isostatic pressure, e.g. pressure difference-moulding, vacuum bag-moulding, autoclave-moulding or expanding rubber-moulding

Abstract

팽창성 부재(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E)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I)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장치(10)와 밀봉 방법이 개시되며, 밀봉 장치(10)는, 팽창성 부재(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E)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I)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또한 그 팽창성 부재(I)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본체(B)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봉 장치 및 밀봉 방법{SEAL DEVICES AND SEALING METHODS}
본 발명은 밀봉 장치와 밀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 성형기(collapsible mold)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밀봉 장치와 밀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섬유 강화 합성 성형품과 같은 성형품은 일반적으로 성형기 상에 혹은 그 내에 혹은 그 주위에 형성된다. 일례로 수지가 주입된 섬유 재료, 수지, 섬유, 프리프레그(prepreg) 등과 같은 재료는 성형기 상에 대체로 "평평하게 배치"된다. 특히 다수의 재료 층을 성형기에서 가공하여 제품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내에서 혹은 오토클레이브 외에서 대기압이 아닌 진공과 같은 압력을 성형기의 재료에 인가하여, 재료의 압밀, 경화 혹은 부분 경화가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층들 사이에 포집된 공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어떤 제품을 성형시키기 위해서는 성형기가 접이식이어야 한다. 이는, 성형기와 성형할 제품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성형 공정의 완료시에 제품을 성형기로부터 간단하게 제거시킬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접이식 성형기는, 성형된 제품이 제거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대개 이러한 성형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성형기는 하나의 유닛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때 부품들을 선택적으로 접힌 배치 상태와 성형을 위한 배치 상태 사이에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접이식 성형기가 사용되고 가공을 위해서 대기압이 아닌 진공과 같은 압력이 필요한 경우에, 밀봉부를 접이식 성형기의 해당 부품들 사이에 마련하여, 소망하는 압력을 형성시켜 만족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이식 성형기를 밀봉하는 한 가지 방법은 가압가능 밀봉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밀봉부는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정합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채널에서 유지된다. 채널의 윤곽은, 상기 채널이 채널의 주 본체에서보다 정합면을 향해 있는 측부를 따라서 폭이 좁게 형성되어 밀봉부가 위치할 수 있게 되지만, 가압되는 경우에는 팽창되어 상기 개방 측부로 그리고 그 개방 측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인접 부품의 면을 밀봉시키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채널은 키이(key) 홈 형태일 수 있다.
각 채널에 있는 모든 관련 밀봉부를 사용하여 성형기가 조립될 수 있다. 일단 조립되면, 실리콘 고무 관의 형태로 공지된 밀봉부가 가압되어 채널 내에서 팽창됨으로써 상기 개방 측부를 통해 연장되어 두 정합면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밀봉부가 홈 내에서 팽창되면, 밀봉부를 제위치에 고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밀봉 장치의 심각한 단점은, 이러한 가압가능 밀봉부가 채널의 단부를 통해 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 제품을 성형기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주위에 진공이 형성될 수 있게 우수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밀봉부를 형성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장치와 밀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봉 장치는,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또한 그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본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출구 위치에서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또한 그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본체에 위치될 수 있는 밀봉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그가 본체에 위치되어 사용될 때 팽창성 부재가 위치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주 본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의 크기는 팽창성 부재가 비팽창 상태일 때 그 개구 내에 안착되게 또는 제거가능하게 압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개구는 그 내부에서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밀봉 장치를 사용 중일 때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의 밀봉 장치 표면으로부터 그 출구 위치에서 떨어진 원위 위치로 밀봉 장치를 통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통로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수단이 밀봉 장치 표면, 바람직하게는 개구 주위에 구비되어 밀봉부를 형성하게 된다. 밀봉 수단은, 밀봉 장치의 일체형 부품일 수 있거나,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를 위치시키기 전이나 그 동안에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에 그리고/또는 밀봉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변형가능 밀봉 합성물이나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런트 테이프(sealant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수단은 후속 사용을 위해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사용시 밀봉 수단이 위치되는 밀봉 장치에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은 개구 주위에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또 다른 홈이 또 다른 밀봉 수단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홈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밀봉 장치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위 위치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긴 통로의 형태이다. 통로는 부분적으로 밀봉 장치의 관형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형부는 팽창성 부재가 밀봉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 그 팽창성 부재의 원하지 않는 팽창을 억제시키는 억제 수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형부는 슬리브, 코일, 관 또는 여타 다른 종래 비팽창 장치의 형태인 억제 수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관형부는 적어도 일부에서 그의 자유단 쪽을 향한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그를 위치시키기 위해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기부 판을 포함한다. 기부 판의 배면은 상기 밀봉 장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기부 판을 통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형부는 상기 기부 판의 일측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그 일측부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그를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수단은 일례로 나사형 체결구, 스크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례로 암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수용하는 수단이 본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은 진공 형성을 위해 밀봉 장치 위나 아래에 형성되는 밀봉부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그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사용을 위해 접이식 성형기의 다수의 정합면들 사이에 위치된 가압가능 밀봉부 주위를 밀봉시키도록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방법으로서, 상기 출구 위치에서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그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봉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방법은 팽창성 부재를 밀봉 장치 내의 상기 출구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팽창성 부재는 비팽창 상태일 때 밀봉 장치 내에,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의 통로 내에 안착되게 또는 제거가능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위치되어, 통로는 그 내부에서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밀봉 장치가 본체 주위의 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팽창성 부재가 팽창되면, 본체와 밀봉 장치와 팽창성 부재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방법은,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또한 상기 출구 위치로부터 그 출구 위치에서 떨어진 원위 위치로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팽창성 부재는 밀봉 장치의 긴 통로를 따라 위치된다. 통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 장치의 관형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방법은, 팽창성 부재가 상기 출구 위치에서 밀봉 장치로 삽입될 때 그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밀봉 수단은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를 위치시키기 전이나 위치시키는 동안에 부착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변형가능 밀봉 합성물이나 밀봉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실런트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수단은 후속 사용을 위해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밀봉 방법은, 밀봉 장치와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그 본체에 대해 밀봉 작용을 하는 또 다른 밀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또 다른 밀봉부를 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팽창성 부재 위의 제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일례로 나사형 체결구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되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밀봉 장치를 활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밀봉 장치를 구비하는 접이식 성형기나 그의 부품과 같은 본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들을 보면, 팽창성 부재(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E)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I)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장치(10)와 밀봉 방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밀봉 장치(10)는, 팽창성 부재(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E)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I)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또한 그 팽창성 부재(I)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본체(B)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10)와 밀봉 방법은, 접이식 성형기 내에 밀봉부를 형성시키는 데 사용되는 가압가능 밀봉 부재 주위에서 그 밀봉 부재가 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위치에 밀봉부를 형성시키는 데 특히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타 다른 팽창성 부재가 여타 다른 본체로부터 배출될 때 그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가 형성될 필요가 있는 다른 적용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성형기는 일례로 섬유 강화 합성품과 같은 성형품의 형성에 활용된다. 이러한 제품의 재료, 일례로 수지 재료, 섬유 재료, 수지를 주입한 섬유 재료, 프리프레그(prepreg) 등은, 성형기의 성형면 내에 혹은 그 상에 혹은 그 주위에 배치되어, 적절한 경화 또는 부분 경화 처리를 받게 되거나 재료를 제품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가공 처리를 받게 된다. 섬유 강화 합성품의 제조에 있어서 특히 다수의 재료층이 성형기에 있는 경우에는, 가공 중에 대기압이 아닌 압력, 일례로 진공을 재료에 인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례로 성형품의 구조 내에 원하지 않는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가공 중에 진공이나 저압을 제품에 인가시키게 되면, 재료가 경화됨에 따라, 구조물 내로부터, 일반적으로는 각 층 사이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어떤 제품을 성형시키기 위해서는 성형기가 접이식이어야 한다. 이는, 성형기와 성형할 제품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성형 공정의 완료시에 제품을 성형기로부터 제거시키는 작업이 불편하거나 혹은 곤란하거나 심지어는 불가능한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접이식 성형기는 분리된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며, 그 부품들은 그들이 성형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상태로부터 제품이 성형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부품이 상기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접힌 상태로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성형기에 있어서, 각 부품이 함께 성형면을 형성할 때, 그들 부품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되어 소망하는 압력을 성형기와 가공될 재료에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합성 재료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와 오토클레이브 외에서의 처리를 위해 접이식 성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성형기는 적어도 대기압이 아닌 압력을 필요로 하는 영역에서는 "완전 진공"을 필요로 하게 된다.
접이식 성형기의 부품들 사이를 밀봉시키는 데 사용되는 공지된 유형의 밀봉부로는 가압가능 밀봉부가 있으며, 이 밀봉부는 접이식 성형기의 각 부품의 두 정합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홈이나 채널을 따라 위치된 긴 팽창성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대개 이러한 가압가능 밀봉부는 팽창성 실리콘 고무 관을 포함하며, 이 실리콘 고무 관은, 선택적인 가압/감압 작용에 따라 실리콘 고무 관이 팽창/수축되도록 하는 압력 공급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관이 홈 내에서 팽창하게 되면, 관이 인접 정합면을 가압시키게 되어, 필요로 하는 밀봉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도 1은, 4개의 구성품(P1, P2, P3, P4)을 포함하는 접이식 성형기와, 각 정합면(M)들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시키도록 배치된 가압가능 밀봉부가 사용시에 위치되는 홈(G)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을 보면, 각 홈(G)은 그 내부에 가압가능 밀봉부(I)가 없는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역 Ⅱ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압가능 밀봉부(I)가 홈(G)을 따라 연장되고 그 홈으로부터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밀봉 장치에 의하면, 접이식 성형기의 구성품들 사이에 효과적인 밀봉부가 형성된다. 하지만, 가압가능 밀봉부가 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위치에서 성형기를 완전히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데 있어 어려움이 발생된다. 이들 위치에서는 성형기를 완전히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밀봉부의 마련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성형기를 사용한 제품의 형성과 가공이 만족스럽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10)와 밀봉 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배출 위치에 효과적인 밀봉부가 구비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밀봉 장치(10)는 기부 판(14)을 구비한 주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기부 판으로부터 관형부(16)가 연장된다. 주 본체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장치의 재료가 성형기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면, 사용 중에 일례로 열 팽창과 같은 물리적 특성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피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통로(18)가 밀봉 장치(10)의 주 본체(12)를 통해 기부 판(14)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관형부(16)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기부 판(14)의 배면(20)과 관형부(16)의 자유단(22)에서 개방된다. 관형부(16)의 외부 윤곽은 기부 판(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배면(20)에 있는 통로(18)의 개구 주위에는 변형가능 밀봉부의 형태인 밀봉 수단(25)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홈(24)(도 5와 도 6 참조)이 구비되며, 이러한 밀봉 수단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8에 음영부로서 도시하였다. 밀봉 수단(25)은 일례로 "실런트 테이프(sealant tape)"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변형가능 밀봉 합성물이나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홈(24)은 또한 통로(18)의 개구 주위로부터 연장되어 밀봉 장치(10)의 일측부(26)에서 개방된다.
기부 판(14)의 배면(20)에는 또 다른 홈(28)이 구비되며, 이 홈은 밀봉 장치(10)의 두 대향 측부(30, 32) 사이의 측부(26)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통로(18)의 개구 주위로부터 측부(26)로 연장되는 홈(24)과 교차하게 된다. 홈(28)은 그 내부에 또 다른 밀봉 수단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밀봉 장치(10)를 성형기에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34)가 기부 판(14)을 통해 구비된다. 4개의 개구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개수는 임의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적절한 체결 수단(36)으로는, 볼트와 같은 나사형 체결구 혹은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 체결 수단을 들 수 있다. 일례로 암나사와 같은 적절한 체결구 수용부(미도시)가 마련되어 밀봉 장치(10)를 성형기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 중에, 밀봉 장치(10)는, 일례로 가압가능 밀봉부와 같은 팽창성 부재(I)의 출구 위치 위에서 일례로 성형기와 같은 본체(B)에 설치된다.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장치(10)는, 가압가능 밀봉부(I)가 비팽창 상태로서 통로(18)를 따라 연장되면서 그 통로를 따라 관통되어 성형기(B)에 접하는 상태로 상기 가압가능 밀봉부(I) 주위에 위치된다. 밀봉 수단(25)은 밀봉 장치(10)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홈(24, 28) 내에 구비되거나,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10)를 위치시키기 전이나 혹은 위치시키는 동안에 부착될 수 있다. 실제로, 밀봉 합성물(25)은, 밀봉 장치(10)를 성형기(B)에 대해 위치시키기 전에, 가압가능 밀봉부가 성형기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 주위에서 성형기의 해당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밀봉 장치(10)는, 그를 제위치에 확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개구(34)를 관통하여 일례로 암나사와 같은 수용부에 고정되는 체결 수단(36)을 사용하여 접이식 성형기(B)의 제위치에 고정된다. 밀봉 장치(10)가 체결 수단(36)을 사용하여 제위치에 체결됨에 따라, 밀봉 수단(25)이 압축되어 변형됨으로써, 가압가능 밀봉부(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E) 위치 주위에 밀봉부가 형성되게 된다.
통로(18)의 내부 크기는, 가압가능 밀봉부(I)가 상기 통로에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하면서, 밀봉부가 비가압 상태의 비팽창 상태일 때 밀봉 장치(10)의 이동에 의해 밀봉부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사용하는 동안에 가압가능 밀봉부가 가압되어 성형기 내에서 밀봉부를 형성하게 되면, 통로(18)는 그 내부에 위치된 가압가능 밀봉부의 영역의 팽창을 억제하여, 가압가능 밀봉부(I)가 본체로부터 배출될 때 그 가압가능 밀봉부 주위에 구비된 밀봉부의 변형과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비팽창 관이나 코일(38)과 같은 또 다른 팽창 억제 수단(38)이 본체(B) 외부에 있는 가압가능 밀봉부(I)의 잔부 일부나 전부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이 팽창 억제 수단(38)은 관형부(16)(도 8), 특히 원위 단부(22)의 테이퍼진 영역에 위치되어, 본체(B)의 외부에 있는 가압가능 밀봉부의 원하지 않는 팽창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과 도 8을 보면, 사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10)가 제1 부품(B2)과 제2 부품(B3)을 포함하는 접이식 성형기(B)에 위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두 부품(B2, B3)은 접합선(L)을 따라 함께 정합되는 각각의 정합면을 구비한다. 가압가능 밀봉부(I)가 정합면 중 하나의 홈을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따라 구비되어, 가압시에 다른 정합면에 대해 밀봉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밀봉 장치(10)는 성형기(B) 외부에 있는 가압가능 밀봉부(I) 주위에서 본체(B)에 고정되어, 정합면의 접합선(L) 위에 놓이게 된다. 밀봉 장치(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되어 고정된다.
실런트 테이프(40) 밴드가 본체(B) 주위 모두에 구비되어, 진공 백(bag)(42)을 성형기(B)의 최상부 위에 그리고 성형될 재료(A) 층 위에 밀봉가능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실런트 테이프(40)는 밀봉 장치(10)의 기부 판(14) 위에서 밀봉가능하게 연장된다. 체결 수단(36)은 밀봉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홈(24, 28)과 밀봉 수단(25)은, 진공 백(42) 내에 인가된 진공이 사용 중에 완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배치된다.
성형 중에, 팽창성 가압가능 밀봉부(I)가 가압되어, 부품(B2, B3)의 두 정합면 사이에 필요로 하는 밀봉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밀봉 장치(10)는 가압가능 밀봉부(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밀봉 장치(10)에 의하면, 가압가능 밀봉부와 그가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의 팽창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출구 위치에서의 완전한 밀봉 작용이 보장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밀 밀봉부가 본체(B)의 부품(B2, B3)들 사이에도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가압가능 밀봉부(I)가 본체(B)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도 형성된다.
가공 중에, 재료(A)와 성형기(B)에는 제품의 재료(A)를 가공하는 공정이 수행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특정 적용 분야로서 대기압이 아닌 압력이 인가되는 적용 분야가 있다. 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가 배출구(V)를 통해 진공 백(42) 아래로부터 배출되어 진공 백 아래의 압력이 저감됨으로써 효율적인 진공 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재료(A) 내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어 가공 제품 내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재료(A)로부터 성형되는 제품이 아주 간단한 형태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접이식 성형기는, 성형기가 접이식이 아닌 경우에 성형기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성형기로부터 제품을 제거시키는 작업이 곤란한 제품 성형 분야에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접이식 성형기가 유용하고 본 발명이 각별히 활용될 수 있는 한 가지 특정 적용 분야를 보면, 섬유 배치 분야가 있다. 이러한 적용 분야에 있어서, 접이식 성형기는 중앙 성형기를 형성하거나, 주위에 섬유 권취부가 형성되는 맨드릴을 형성하게 된다. 수지가 섬유 권취부에 미리 주입되거나, 수지가 상기 섬유 권취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섬유 권취부는 중앙 성형기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경화된다.
가공 후에 이러한 섬유 권취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맨드릴이 접이식일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안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봉 장치는 다수의 가압가능 밀봉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밀봉 수단을 밀봉 장치의 배면(20)에 수용하는 홈의 구성도 임의로 적절하게 마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특징들을 가지고서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인은 개시 내용의 특별한 강조 여부와는 무관하게 도면들에 도시되고 그리고/또는 지금까지 설명한 특징들 또는 그 특징들의 조합에 대해서 청구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장치와 밀봉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밀봉 장치는,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그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또한 그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본체에 위치된다.
도 1은 접이식 성형기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역 Ⅱ를 확대시켜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팽창성 밀봉부가 제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의 방향으로 투시하여 도시한 밀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Ⅴ의 방향으로 투시하여 도시한 밀봉 장치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밀봉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밀봉 장치의 사시도로서 접이식 성형기에 사용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의 방향으로 투시하여 도시한 도 7의 밀봉 장치의 확대 단면도로서 접이식 성형기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I: 팽창성 부재 B: 본체
E: 출구 10: 밀봉 장치
14: 기부 판 16: 관형부
18: 통로 20: 배면
24: 홈 25: 밀봉 수단
28: 홈 42: 진공 백

Claims (60)

  1.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상기 팽창성 부재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장치로서, 상기 출구 위치에서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위치에서 본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가 본체에 위치되어 사용될 때 팽창성 부재가 위치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주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개구가 상기 개구 내에서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개구의 크기는 팽창성 부재가 비팽창 상태일 때 상기 개구 내에 안착되게 또는 제거가능하게 압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개구는, 밀봉 장치를 사용 중일 때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의 밀봉 장치 표면으로부터 상기 출구 위치에서 떨어진 원위 위치로 밀봉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는 통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밀봉부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밀봉 장치 표면에 밀봉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개구 주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밀봉 장치의 일체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를 위치시키기 전이나 위치시키는 동안에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상기 팽창성 부재 주위에 그리고/또는 밀봉 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변형가능 밀봉 합성물이나 밀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실런트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후속 사용을 위해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밀봉 수단이 위치되는 밀봉 장치에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홈은 개구 주위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 다른 밀봉 수단을 위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홈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는 긴 통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통로는 밀봉 장치 표면으로부터 원위 단부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통로는 부분적으로 밀봉 장치의 관형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관형부는, 팽창성 부재가 밀봉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 상기 팽창성 부재의 원하지 않는 팽창을 억제시키는 억제 수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관형부는 슬리브, 코일, 관 또는 여타 다른 종래 비팽창 장치의 형태인 억제 수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관형부는 상기 관형부 위에 억제 수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부는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관형부의 자유단 쪽을 향한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해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기부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기부 판의 배면은 밀봉 장치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개구는 기부 판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부는 기부 판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관형부는 기부 판에 수직으로 일측부로부터 상기 기부 판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를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나사형 체결구, 스크류,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을 수용하는 수단이 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은, 진공 형성을 위해 밀봉 장치 위나 아래에 형성되는 밀봉부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그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을 위해 접이식 성형기의 다수의 정합면들 사이에 위치된 가압가능 밀봉부 주위를 밀봉시키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5.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상기 팽창성 부재 주위를 밀봉시키는 밀봉 방법으로서, 상기 출구 위치에서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팽창성 부재를 밀봉 장치 내의 출구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가 상기 밀봉 장치 내에서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팽창성 부재는 비팽창 상태일 때 밀봉 장치 내에 안착되게 또는 제거가능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팽창성 부재는 밀봉 장치의 통로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가 본체 주위의 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팽창성 부재가 팽창될 때 본체와 밀봉 장치와 팽창성 부재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0.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성 부재가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출구 위치에서 또한 상기 출구 위치로부터 상기 출구 위치에서 떨어진 원위 위치로 팽창성 부재의 팽창을 억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성 부재는 밀봉 장치의 긴 통로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통로는 제1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장치의 관형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3. 제36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성 부재가 출구 위치에서 밀봉 장치로 삽입될 때 상기 팽창성 부재 주위에 밀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를 위치시키기 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사용을 위해 밀봉 장치를 위치시키는 동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변형가능 밀봉 합성물이나 밀봉재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실런트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8.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후속 사용을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49. 제4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0. 제3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와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밀봉 작용을 하는 또 다른 밀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밀봉부를 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2. 제3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사용을 위해 팽창성 부재 위의 제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나사형 체결구와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5. 제3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장치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방법.
  56. 접이식 성형기나 그의 부품과 같은 본체로서,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밀봉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
  57. 첨부 도면들 중 어느 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한 밀봉 장치.
  58. 첨부 도면들 중 어느 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한 밀봉 방법.
  59. 첨부 도면들 중 어느 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한 본체.
  6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의 범위 내인지 또는 그와 관련되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본원에 개시된 신규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신규한 특징 또는 그를 조합한 특징.
KR1020050056518A 2004-06-29 2005-06-28 밀봉 장치 및 밀봉 방법 KR20060048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14456.4 2004-06-29
GBGB0414456.4A GB0414456D0 (en) 2004-06-29 2004-06-29 Sealing devices and sealing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638A true KR20060048638A (ko) 2006-05-18

Family

ID=3280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518A KR20060048638A (ko) 2004-06-29 2005-06-28 밀봉 장치 및 밀봉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60006599A1 (ko)
EP (1) EP1626219A2 (ko)
JP (1) JP2006007740A (ko)
KR (1) KR20060048638A (ko)
CN (1) CN1715024A (ko)
AU (1) AU2005202835A1 (ko)
CA (1) CA2510910A1 (ko)
GB (2) GB0414456D0 (ko)
MY (1) MY1434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3808B1 (fr) * 2007-03-16 2009-04-24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d'entancheisation d'un capteur electronique de forme complexe par injection basse pression de resine reactive
JP2009034228A (ja) * 2007-07-31 2009-02-19 Apple Corp マネキンボディの成形方法
FR2943271B1 (fr) * 2009-03-18 2011-03-04 Loire Technologies Systeme d'etancheite destine a garantir un vide parfait dans un moule constitue de plusieurs elements principaux et soumis a une temperature et une pression elevees
US8192574B1 (en) 2010-05-13 2012-06-05 Textron Innovations Inc. Process for bonding a vented hollow component
US8182640B1 (en) 2010-05-13 2012-05-22 Textron Innovations, Inc. Process for bonding components to a surface
US8585856B1 (en) 2010-05-13 2013-11-19 Textron Innovations Inc. Process for fabricating aircraft parts using an integrated form
CN102166802A (zh) * 2011-01-04 2011-08-31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硅橡胶管对模具分模面密封的方法
US9545757B1 (en) 2012-02-08 2017-01-17 Textron Innovations, Inc. Composite lay up and method of forming
US9050757B1 (en) 2012-02-08 2015-06-09 Textron Innov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uring composites
US9051062B1 (en) 2012-02-08 2015-06-09 Textron Innovations, Inc. Assembly using skeleton structure
US9649820B1 (en) 2012-02-08 2017-05-16 Textron Innovations, Inc. Assembly using skeleton structure
US9302455B1 (en) 2012-02-08 2016-04-05 Textron Innovations, Inc. Fast cure process
PT2823946T (pt) * 2012-03-08 2017-08-10 Jurblami S L Molde na forma de sino para encapsular artigos com um selo moldável
US10005267B1 (en) 2015-09-22 2018-06-26 Textron Innovations, Inc. Formation of complex composite structures using laminate templates
AT518180B1 (de) * 2016-01-28 2017-08-15 Alba Tooling & Eng Gmbh Dichteinrichtung
CN105818404A (zh) * 2016-03-23 2016-08-03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直升机尾梁成型模具分型面密封结构
CN110421875B (zh) * 2019-08-10 2021-03-23 广联航空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成型模具及该模具分离面密封方法
US20230373171A1 (en) * 2022-05-17 2023-11-23 Magnum Venus Products, Inc. Two-part bag seal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690A (en) * 1915-03-27 1916-01-04 Imp Sales Company Valve for fluid-containers.
US1160712A (en) * 1915-08-20 1915-11-16 Superior Tubes And Accesories Ltd Inflation-valve for pneumatic tires.
US1185676A (en) * 1915-09-30 1916-06-06 Edward Jagels Waste-pipe connection.
US1244330A (en) * 1916-11-27 1917-10-23 Edward E Holt Tire-valve.
US1478757A (en) * 1923-02-10 1923-12-25 O'connor Frederick Augustin Balloon toy
US1702974A (en) * 1928-05-12 1929-02-19 Spalding & Bros Ag Collapsible valv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80211A (en) * 1932-05-28 1937-05-11 Bridgeport Thermostat Company Method of shaping metal
US1951565A (en) * 1932-06-20 1934-03-20 William A Sonnett Valve
US2119687A (en) * 1933-09-06 1938-06-07 Scovill Manufacturing Co Valve stem and valve
US2255932A (en) * 1937-07-08 1941-09-16 Jenkins Bros Tire valve
US2183900A (en) * 1938-01-10 1939-12-19 William J Voit Inflation valve
US2396906A (en) * 1945-02-06 1946-03-19 Antoine E Windson Balloon sealing device
US2522757A (en) * 1947-05-03 1950-09-19 Herbert J Larson Calf feeder
US3014455A (en) * 1959-10-22 1961-12-26 Olander Karl Erik Claw pieces for milking machines
US3402710A (en) * 1966-06-27 1968-09-24 Hydra Power Corp Self-closing valve device for implantation in the human body
US3704983A (en) * 1970-12-04 1972-12-05 Establissements Butin Gillet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tubular articles
US4531330A (en) * 1982-02-01 1985-07-30 Phillips William E Bed/shelter unit
US4428149A (en) * 1982-06-21 1984-01-31 Brown Paul L Toy balloon closure device
GB8307244D0 (en) * 1983-03-16 1983-04-20 Airflex Containers Ltd Inflatable tube seals
IL70626A (en) * 1983-03-16 1987-09-16 Airflex Containers Ltd Inflatable tube seals and containers using such seals
US4593940A (en) * 1983-04-29 1986-06-10 Wilder Don R Flange assembly for hydraulic power systems
FR2594199B1 (fr) * 1986-02-10 1988-04-08 Joint Francais Joint d'etancheite gonflable, auto-serrant par depressurisation
US4784628A (en) * 1987-02-10 1988-11-15 Mcardle Blaise L Toy balloon with improved skirt and gondola
US4874190A (en) * 1988-01-11 1989-10-17 Sundstrand Corporation Specialized hose connector for connecting hydraulic hoses and ports of different ratings
US4968066A (en) * 1989-07-27 1990-11-06 Pvi Industries Inc. Bolt-on flange
US5001793A (en) * 1990-05-30 1991-03-26 Lui Yui Ching Vertically actuated array of mattress valves
FI89540C (fi) * 1992-06-03 1993-10-11 Vaisala Oy Faestarrangemang mellan tillslutnings- eller ventilstycket av en sondballong och halsen av en sondballong
US5395276A (en) * 1993-07-01 1995-03-07 Valentino; George Balloon and pinwheel toy with connecting adaptor
JPH07137154A (ja) * 1993-11-12 1995-05-30 Mitsubishi Heavy Ind Ltd 樹脂注入修理法
US5553339A (en) * 1995-02-24 1996-09-10 Thomas; Roy C. Adjustable air mattress sleeping bag
US5632291A (en) * 1995-06-12 1997-05-27 Botbyl; Marinus Circular air mattress and tent
JPH11132339A (ja) * 1997-10-28 1999-05-21 Nec Shizuoka Ltd 中空パッキン
US6007403A (en) * 1997-11-17 1999-12-28 Urspringer; Steven E. Flexible constrictor for inflatable bodies
US6516741B1 (en) * 2000-09-12 2003-02-11 Hadley Products Leak proof apparatus for mounting components to panels
US6736406B1 (en) * 2001-05-04 2004-05-18 Brian G. Provencher Self-adhesive gasket
SE523902C2 (sv) * 2001-09-07 2004-06-01 Jan Otto Solem Anordning för förslutning av en punkation i ett kroppskärl
US6834893B2 (en) * 2001-11-01 2004-12-2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anut fittings for CO2 air conditioning systems
JP3681172B2 (ja) * 2002-04-11 2005-08-10 株式会社日本製鋼所 樹脂組成物の押出方法及び装置
JP4244563B2 (ja) * 2002-05-02 2009-03-25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6599A1 (en) 2006-01-12
CA2510910A1 (en) 2005-12-29
GB0414456D0 (en) 2004-07-28
AU2005202835A1 (en) 2006-01-12
GB2415754A (en) 2006-01-04
GB0508895D0 (en) 2005-06-08
MY143434A (en) 2011-05-13
GB2415754B (en) 2008-12-17
EP1626219A2 (en) 2006-02-15
JP2006007740A (ja) 2006-01-12
CN1715024A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8638A (ko) 밀봉 장치 및 밀봉 방법
ES2664245T3 (es) Métodos y sistemas para fabricar piezas compuestas con herramientas hembra
US10040256B2 (en) Non-vented bladder system for curing composite parts
CN1665673B (zh) 装配单件共同固化结构的方法
US5087187A (en) Apparatus for molding hollow composite articles having in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s
JPS63172621A (ja) 合成の成形物とそれを作る方法
KR101882535B1 (ko) 강성/가단성 smp 장치를 사용하여 복합물 부재를 함께-본딩 또는 함께-경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1998054046A3 (en) Composite bicycle fram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A2156458C (en) Pressurized-fluid workhead for permanent bell-forming of end tracts of plastic pipes, for use in automatic bell-forming machines
JP2671600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成型方法
US4057446A (en) Pneumatic tire manufacture
US7300268B2 (en) Low-density part injection molding system
KR920017784A (ko) 층상체의 사출 성형방법
JPS605459B2 (ja) 空気タイヤの製造方法
US20130180642A1 (en) Self-stiffened composite panel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3998923A (en) Method for making objects from plastics by means of compression moulding
JP3884528B2 (ja) 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JPH07155682A (ja) 軟質成型物の塗装方法
JP2522853Y2 (ja) 中空繊維強化樹脂成形用補助具
JP4269923B2 (ja) Frp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0255444B1 (ko) 공기식 방충재 제조 방법
JPH04246510A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
KR100945843B1 (ko)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JP2874835B2 (ja) ガス注入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るガス注入射出成形法
US20190283337A1 (en) Mold insert and corresponding composite panel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