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181A -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181A
KR20060048181A KR1020050047784A KR20050047784A KR20060048181A KR 20060048181 A KR20060048181 A KR 20060048181A KR 1020050047784 A KR1020050047784 A KR 1020050047784A KR 20050047784 A KR20050047784 A KR 20050047784A KR 20060048181 A KR20060048181 A KR 2006004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formation
remaining amount
container
de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101B1 (ko
Inventor
하지메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69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based on the amount printed or to be pr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9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for ink level ind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1Fluid pattern dispersing device making, e.g., ink jet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 제트 기록을 위한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잉크 용기에 장착 가능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며, 지지 기판과, 지지 기판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과, 지지 기판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된, 정보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의 정보 저장 수단과, 지지 기판에 제공되어 있고, 검출용 전극이 잉크와 접촉하여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고, 정보 저장 소자에 기입되어야 하는 정보를 외부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INK REMAINDER DETECTING MODULE FOR INK JET APPARATUS, INK CONTAINER WITH SAME AND INK JET APPARATUS}
본 발명은 잉크 제트 기록 또는 인쇄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에서 잉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이러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구비된 잉크 용기 및 이러한 잉크 용기와 함께 사용 가능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적어도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하나의 기록 헤드와 기록 헤드로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용기를 이용한다. 잉크가 소모품이기 때문에, 대부분 잉크 용기 또는 일체형 잉크 용기와 기록 헤드를 구비한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잉크 용기가 다 사용되면 새로운 용기로 교환될 수 있다.
잉크 용기 내에 잉크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실용화되어 잉크 용기의 교환이 필요할 때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잉크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한 쌍의 전극이 잉크 용기에 구비되며 잉크 레벨(잉크 액면의 높이)이 소정 레벨까지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잉크에 전류를 흘려 보낸다.
(2) 잉크의 굴절율과 거의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프리즘이 잉크 용기의 내측 벽면에 제공되며, 프리즘으로 빛이 유도된다. 잉크 레벨이 소정 레벨까지 도달하는 것은 잉크의 액면의 위치가 프리즘의 위치보다 높을 때와 프리즘보다 낮을 때 사이에서 빛 굴절의 차이를 이용하여 검출된다.
(3) 잉크 레벨이 소정 레벨로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잉크 용기 외측에 제공된 전극과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조합되거나,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된 잉크의 양이 인쇄된 도트수와 잉크 토출 횟수를 기초로 환산되는 소위 도트 카운트 방법과 조합된다.
도12a 내지 도12c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중에서 잉크의 잔류량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검출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도12a는 잉크 잔류량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종래의 잉크 용기(101)의 단면도이다. 도12b는 잉크 용기(101)의 컵부(cup portion, 102)의 사시도이다.
잉크 용기(101)는 잉크를 수용하는 케이싱(104)을 제공하기 위해 컵부(102)를 덮는 덮개부(103)와 컵부(102)를 포함한다. 케이싱(104)의 내측은 컵부(102)로 형성된 구획벽(114)에 의해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구획벽(114)은 그 하단부에서 연통부(109)를 갖는다. 한쪽 공간은 잉크를 직접 수용하기 위한(실질적으로 기포 등을 보유하는 잉크 없이) 잉크 수용실(106)이고, 다른 공간은 잉크를 보유하기 위한 부압 발생 부재(111)를 수용하기 위한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이다.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의 벽은 잉크를 (도시하지 않은) 기록 헤드부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110)가 제공되며, 잉크의 소비에 수반하여 외측으로부터 잉크 용기(101) 내로 대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 환기구(108)가 제공된다. 도12a에서, 잉크를 보유하는 부압 발생 부재(11)의 영역은 사선으로 표시되었다.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에서 구획벽(114)의 벽면은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로부터 잉크 수용실(106)까지 대기의 도입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통부(109)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기체 도입 홈(119)이 제공된다.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에서, 공기 환기구(108) 주변에 부압 발생 부재(11)를 포함하지 않는 완충 공간이 제공된다.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 내의 가스-액체 경계면(111a)이 도12a에 도시된 기체 도입 홈(119)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정도까지 기록 헤드부에 의해 부압 발생 부재(111)로부터 잉크가 소비될 때, 후속된 잉크 소비에 의해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 내로 공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연통부(109)를 통해 잉크 수용실(106)로 진입한다. 그 대신 잉크 수용실(106) 내의 잉크는 연통부(109)를 통해 발생 부재 수용실(105) 내로 공급되며, 부압 발생 부재(111)를 충전시킨다. 이를 소위 "가스-액체 교환 동작"이라고 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부에 의해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 내의 잉크가 소비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잉크량이 잉크 수용실(106)로부터 부압 발생 부재(111)로 공급되어,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105) 내에서의 공기-액체 경계면(11la)이 대략 일정한 높이로 유지된다. 따라서, 부압 발생 부재(1l1)는 그 안에 대략 일정한 양의 잉크를 유지하고 있어, 이에 의해, 기록 헤드부에 공급된 잉크의 부압이 대략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어, 기록 헤드부에의 잉크 공급이 안정화된다.
잉크 수용실(106)의 저면에는 정점의 각도가 90°인 삼각 프리즘 형상을 갖는 광학 반사 부재(113)가 구비되며, 이 광학 반사 부재(113)는 컵부(10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잉크 용기(l01)가 장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주 조립체에서는, 도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152)와 수광부(153)를 갖는 광학 센서 모듈(151)이 광학 반사 부재(113)의 아래에 구비된다.
잉크 수용실(106)에 잉크가 없는 경우, 도12c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152)로부터 나온 빛은 광학 반사 부재(113)에 입사되고, 프리즘의 2개의 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153)로 복귀된다. 잉크 높이가 광학 반사 부재(113)의 사면에 대한 광 입사 위치보다 높은 경우, 파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152)로부터 출사하여 광학 반사 부재(113)에 입사한 광은 대부분 광학 반사 부재(113)를 투과한다. 따라서, 수광부(153)에 복귀되는 광의 양에 의해 잉크의 유무가 검출될 수 있다.
상술한 광학적인 잉크 잔류량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용기의 구성은 일본 특개평7-164626호(미국 특허 제6137503호)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전색 화상(full-color image)을 인쇄할 수 있게 되어, 사용되는 잉크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그로 인해,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탑재하는 잉크 용기의 종류도 증가되고, 이를 고려할 때, 잉크 용기의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 용기에 고유의 정보가 주어진다. 잉크 용기가 고유의 정보를 갖도록, 기계적인 ID 구조를 잉크 용기에 구비시키거나, 바코드 라벨을 잉크 용기에 접착하거나, ROM 등의 정보 저장 소자를 잉크 용기에 구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문헌1] 특개평7-164626호 공보
상술한 최근의 경향은 잉크의 색상의 수 및 잉크 용기의 종류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반면, 이동 가능한 사용성의 관점에서 보다 작은 설치 면적(foot print) 및 소형화가 또한 요구된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소형화는 잉크 용기의 소형화를 필요로 하며, 그 다음 잉크 잔류량 검출 수단을 소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잉크 잔류량 검출과 관련된 정보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로 전달되어,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의해 잉크 용기의 교체 필요성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잉크 용기에 고유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 정보는 잉크 용기의 오장착의 방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잉크 용기에 수용된 잉크에 관련된 정보가 단순한 구조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검출된 정보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저장될 수 있는 잉크 용기,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 제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제트 기록을 위한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잉크 용기에 장착 가능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며,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과,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일 측부 상에 제공된, 정보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지지 기판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검출용 전극이 잉크와 접촉하여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기억 소자에 기입되어야 하는 정보를 외부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전극, 정보 기억 수단 및 정보 전송 수단이 지지 기판상에 제공되어, 작은 크기의 잉크 용기상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조밀하고 간단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정보 기억 수단은 비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자체에 격납(格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실과, 상기 잉크실로부터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와, 상기 제1 실시예에 한정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잉크 용기로서, 상기 잉크 용기는 상기 잉크실의 외벽 및 잉크 공급구를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은 상기 검출용 전극이 상기 잉크실의 내측에 노출되면서, 상기 케이싱 부재 상에 장착되는 잉크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용기는 실질적으로 잉크 용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잉크 잔류량에 관련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실시예에 한정된 잉크 용기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재에 기록을 행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로서, 상기 잉크 용기는 상기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상기 잉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잉크 용기에 장착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 받기 위한 장치측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런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그 자신과 잉크 용기 상에 장착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정보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로부터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잉크 용기의 잉크 잔류량에 대한 정보는 본래 잉크 용기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실 수용측 및 잉크실로부터 기록 헤드 내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용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잉크실 및 상기 잉크 공급구의 외측 벽을 이루는 케이싱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실 내로 잉크를 채우는 단계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저장 소자 내의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은 상기 잉크실의 내측에 노출된 상기 검출 전극과 함께 상기 잉크실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이런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잉크가 채워진 뒤에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내에 기록되기 때문에, 데이터는 본래 잉크 용기 안에 쉽고 확실하게 기록된다. 또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정보와 잉크 용기가 잉크로 다시 채워질 때, 정보 저장 수단에 보유된 정보 사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참고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의 고찰에 의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1)는 도12에 도시된 잉크 용기(10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4)은 컵부(2) 및 캡부(cap portion, 3)로 구성된다. 케이싱(4)의 내측은 잉크 및 부압 발생 부재(11)를 수용하기 위한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5)을 직접 포함하거나 포함하기 위해 수납벽(14)에 의해 잉크 수용실(6) 내로 구획된다. 수납벽(14)은 연통부(9)와 하단부에 제공된다. 부압 발생 부재 수용실(5)을 구성하는 벽면에는 잉크 공급구(10) 및 공기 환기구(8)가 제공된다. (잉크 용기(1)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설정된 경우) 사용 시의 잉크 용기(1)의 거동에서, 상부에 위치되고, 잉크 공급구(10)는 캡부(3) 내의 공기 환기구(8) 및 컵부(2)의 바닥벽 내의 잉크 공급구(10)를 형성함에 의해 하부에 위치된다. 부압 발생 부재(11) 및 공기 환기구(8) 사이에, 부압 발생 부재(11)로부터 잉크 공급구(10) 내로 잉크 공급을 촉진하기 위한 잉크 도출 부재(12)가 제공된다.
잉크 수용실(6) 내의 잉크 잔류량에 대한 검출 정보를 위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은 잉크 수용실(6)을 구성하는 구역에 제공된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에 대한 구조는 도12에 도시된 잉크 용기(101)와 다르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2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근방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3은 컵부의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을 구비하는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2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에 관한 주요 구조를 나타낸 대략적인 단면도이고, 특정한 선을 따라 얻은 도면은 아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에 관한 구조가 설명된다. 컵부(2)의 바닥벽에서 잉크 용기(1) 중 잉크 용기(1)의 외부면(도1)을 이루는 표면에는 오목부(recess, 2a)가 제공되고,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은 오목부(2a) 내로 끼움 결합된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은 지지 기판(21)과, 지지 기판(21)의 제1 면(21a) 상에 탑재된 정보 저장 소자(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정보 저장 소자(22)는 정보 저장 소자(22)로부터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판독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정보 저장 소자(22)로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기재할 수 있는 비휘발성 기억 저장 장치이다. 정보 저장 소자(22)는 도시되지 않은 밀봉제로 덮혀지고 보호된다.
지지 기판(21)의 제1 면(21a)에는 잉크 수용실(6) 내에서의 잉크 잔류량 검출을 위한 한 쌍의 검출 전극(3)이 더 제공되고, 전극(23)은 서로 이격된다. 제1 면(21a)과 대향된 지지 기판(21)의 제2 면(21b)에는 검출 전극(23)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외부 접촉 전극(24)과, 정보 저장 소자(22)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소자에 대한 외부 접촉 전극(25)이 제공된다.
컵부(2)의 오목부(2a)에서, 컵부(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2개의 관통구멍(2b)이 제공된다. 관통구멍(2b)은 각각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검출 전극(23)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검출 전극(23)은 각 관통구멍(2b) 내에서 잉크 수용실(6) 내측에 노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지 기판(21)의 제2 면(21b)은 잉크 용기(1)의 외측을 향하고, 검출용 외부 접촉 전극(24) 및 소자용 외부 접촉 전극(25)은 잉크 용기(1)의 외표면에 노출된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과 컵부(2)와의 간극 및 정보 기억 소자(22)는 접착제(26)로 밀봉되어,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이 고정되고, 잉크 수용실(6)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방지된다.
컵부(2)의 내벽면에서, 분단구(2c)가 관통구멍(2b) 사이에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관통구멍(2b)의 사이의 분단구(2c)의 각 측부의 영역은 분단 영역(27)이다. 이것은, 잉크 수용실(6) 내의 잉크가 소모되어, 잉크 없음이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통구멍(2b) 사이에서 잉크 브릿지(잉크 연결)가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분단구(2c) 외의 다른 요철 구조가 컵부(2)의 내벽면의 관통구멍들(2b)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컵부(2)의 내측으로부터 볼 때, 관통구멍(2b)은 깔때기 형상이어서, 잉크의 잔류량이 적을 때, 잉크는 관통구멍(2b) 내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2b)의 내면(깔때기 면)에는 모세관 힘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모세관구(2d)가 관통구멍(2b) 내의 잉크를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 쪽으로 유도한다. 이것에 의해, 관통구멍(2b) 내의 잉크는 검출 전극(23)의 표면상에 당겨질 수 있다. 잉크 용기(1)(도1)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 잉크 용기(1)는 상면이 하방을 향하며, 기포는 관통구멍(2b)의 측면이나 관통구멍(2b)에 부착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일이 발생되면, 잉크 용기(1)가 장착 배향(사용시의 자세)을 취할 때, 모세관 홈(2d)은 잉크를 양호하게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 상에 당기는데 효과적이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전기적 구성이 도5에 도시된다. 잉크 용기(1)측에서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정보 기억 소자(22)에 접속된 다양한 소자용 외부 접촉 전극(25)은 데이터 입출력 단자(DI/DO), 정보 기억 소자(22)의 구동용 전원 단자(Vdd), 접지용 공통 단자(CON4)이다. 한편,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는 잉크 용기(1)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하는 캐리지(51)를 갖고 잉크 용기(1)는 캐리지(51)에 장착된다. 캐리지(51)는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도시되지 않음)를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탑재하고, 잉크는 잉크 용기(1)로부터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 공급된다. 공급된 잉크를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하여, 종이나 수지 시트 등의 기록재에 기록을 수행한다.
캐리지(51)는 잉크 용기(1)가 장착되었을 때, 검출용 외부 접촉 전극(24) 및 소자용 외부 접촉 전극(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검출용 접촉 단자(51a) 및 소자용 접촉 단자(51b)가 제공된다. 검출용 접촉 단자(51a) 및 소자용 접촉 단자(51b)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검출용 접촉 단자(51a)에서 얻어진 정보는 필요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어, 소자용 접촉 단자(51b)를 통해 정보 기억 소자(22)에 입력된다.
검출용 접촉 단자(51a) 및 소자용 접촉 단자(51b)는 잉크 용기(1)가 캐리지(5l)에 장착됨으로써, 검출용 외부 접촉 전극(24) 및 소자용 외부 접촉 전극(25)과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잉크 용기(1)가 캐리지(51)에 장착되었을 때, 검출용 접촉 단자(51a) 및 소자용 접촉 단자(51b)를 검출용 외부 접촉 전극(24) 및 소자용 외부 접촉 전극(25)에 양호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용 접촉 단자(51a) 및 소자용 접촉 단자(51b)는 도전성 부재의 판 스프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도시된 검출용 접촉 단자(51a) 및 소자용 접촉 단자(51b)는 잉크 용기(1)와의 접속부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며, 이 형상 및 배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잉크 잔류량의 검출이 설명된다. 잉크 수용실(6) 내에 잉크가 충분한 경우,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2개의 검출용 전극(23)은 잉크 수용실(6) 내의 잉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검출용 전극(23) 사이에 전류의 흐름(잉크의 존재)을 검출함으로써,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부는 잉크 용기(1)에 잉크가 남아 있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부(도5 참조)의 판단 결과가 잉크를 표시하는 정보로서 데이터의 입출력용의 단자(도5에 도시된 단자 DI/DO)를 통해 적절한 시기에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정보 기억 소자(22)에 기록된다.
잉크 수용실(6) 내의 잉크가 소비되고,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수용실(6) 내의 잉크가 분단 영역(27)에 의해 2개의 검출용 전극(23) 사이에서 분단되면, 검출용 전극(23)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검출용 전극(23)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검출되지 않으면,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부는 이것을 잉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데이터의 입출력용 단자를 통하여,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 내의 정보 기억 소자(22)의 잉크의 부재가 기록된 잉크 존재 데이터를 갱신한다. 데이터의 갱신은 정보 기억 소자(22)에 기입된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정보 저장 소자(22)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기록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잔류하는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정보 저장 소자(22) 내의 다른 저장 영역에 잉크의 부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기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잉크가 없음을 경고하여, 잉크 용기(1)의 교환을 재촉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기록 동작을 중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전극(23)은 지지 기판(21)의 일측 상에 구비되고, 검출용 외부 접촉 전극(24)은 그 반대측 상에 구비되어, 전기 전도성을 이용한 보증된 잉크 잔류량 검출 수단이 작은 공간 안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수단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잉크와 (예컨대, 프리즘과 같은) 반사 부재 사이의 반사 경계면의 반사로 인한 잘못된 검출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잉크 용기는 사용된 잉크 용기에 잉크가 재충전되어 재사용될 경우에 안정적이다.
또한, 정보 저장 소자(22)는 지지 기판(21) 상에 지지되므로, 검출 전극(23)에 의해 검출된 후에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에 의해 처리된 잉크 잔류량에 관한 데이터가 정보 저장 소자(22)에 기록될 수 있다. 결국, 소자 외부 접촉 전극(25)을 사용한 정보 저장 소자(22)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잉크 용기(1) 내의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가 간단한 방식으로 알려질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 소자(22)는 내부로 대면하는 잉크 용기(1)의 표면 상에 지지되어, 결국 정보 저장 소자(22)가 지지 기판(21)에 의해 보호되며, 따라서 정보 저장 소자(22)가 손상 방지된다.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는 매우 정밀할 필요는 없으며 잉크의 존재 여부를 표시하는 계단식 등의 정도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요구량은 비교적 작다. 정보 저장 소자(22)는 반도체 칩 소자일 수 있어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크기는 정보 저장 소자(22)가 지지되는 경우라도 여전히 작다. 정보 저장 소자(22)는 정보가 삭제 및 정보 기록에 의해 겹쳐쓰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하다면 추가의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소형화 성능에 의해, 확실한 잉크 잔류량의 검출 및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의 저장이 작은 크기의 잉크 용기 또는 작은 크기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에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에 의해 처리된 정보는 잉크의 존재/부재를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그러나, 잉크량이 소멸되고 있는 상태는 높은 정밀도로 검출 전극(23)들 사이의 전류 유동의 레벨을 검출함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검출 전극(23)들 사이의 잉크를 분리하기 직전에 검출 전극(23)들 사이의 전기 저항이 더욱 높고, 따라서 검출 전극(23)들 사이의 전류가 0이 아니더라도 전류는 잉크량이 많을 때보다 더욱 작다. 따라서, 검출 전극(23)들 사이의 전류 유동이 없는 상태 직전에 전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잉크 수용실(6) 내의 잉크 잔류량의 양이 부족하다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분단 구역(27)의 3차원 구조는 전류 변화가 커지도록 수정될 수 있다.
정보 저장 소자(22)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 이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잉크 용기(1)에 관한 고유 정보, 제품 번호, 저장된 잉크의 종류, 색상, 제조 월일, 로트 넘버 등이 정보 저장 소자(22)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잉크 용기(1)의 제조 시에 이미 정보 저장 소자(22)에 기록된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기는 잉크 용기(1)가 장착될 때 정보 저장 소자(22)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 측면에는 정보 저장 소자(22)에 기록된 정보와 비교하도록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는 잉크 용기(1)의 데이터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잉크 용기(1)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에 가용한지 및/또는 잉크 용기의 위치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필요하다면 경보를 생성한다.
장치에 장착된 잉크 용기(1)가 잉크가 재충전된 재사용 용기일 경우에,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정보 저장 소자(22)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와 같이 잉크의 부재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 후에, 재사용된 잉크 용기(1)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 상에 장착될 때 잉크 잔류량에 관하여, 검출 전극(23)에 의해 생성된 정보와 정보 저장 소자(22)에 의해 생성된 정보 사이의 모순이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에,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기는 검출 전극(23)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우선 순위를 두고, 정보 저장 소자(22) 내의 잉크 잔류량 정보가 겹쳐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순을 피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잉크 용기의 제조할 때는 물론, 잉크 용기(1)의 재사용 시에 잉크 용기 제조 단계에서,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가 케이싱(4) 내에 잉크가 충전된 후에 정보 저장 소자(22)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의 기록은 정보를 기록하고 갱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재사용된 잉크 용기(1)의 정보 저장 소자(22)는 이미 잉크의 부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잉크의 부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재기록 또는 겹쳐지거나,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정보 저장 소자(22) 내의 다른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잉크의 충전시, 잉크가 적어도 검출 전극에서 접촉하고, 접촉한 잉크가 사용중인 잉크 용기(1)의 상태에서 잉크 공급구로 연속되도록 잉크가 충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사용된 잉크 용기(1)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에 장착될 때에도 검출 전극(23)에 의해 제공된 정보와 정보 저장 소자(22)에 의해 제공된 정보 사이의 불일치를 피할 수 있다. 잉크 용기(1)가 장치로부터 사용된 용기인지 사용되지 않았던 용기인지 여부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도 잉크 용기(1) 내의 잉크 존재 여부는 정보 저장 소자(22)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쉽고 확실하게 확인될 수 있다.
가장 보급된 형태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는 복수개의 잉크를 이용하는 풀칼라(full-color)형 장치이다. 그 때문에,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는 다른 색의 잉크를 함유하는 복수개의 잉크 용기(1)로 구성되며, 다른 색의 잉크 용기의 용기 본체가 대부분 일반적이다. 다른 색의 잉크 용기(1)는 각각의 색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런 경우에, 정보 저장 소자(22)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이 양호하다. 다음, 잉크 제트 기록 장치(50)의 제어기는, 정보 저장 소자(22)에 기록된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잉크 용기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검사하며, 이에 따라 잉크 용기(1)의 오장착을 양호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런 색 기록 잉크 용기(1)를 재이용하는 경우에, 재사용되고 재수집된 잉크 용기(1)에 있어서,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가 정보 저장 소자(22)에 이미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용기(1)에 잉크가 재충전될 때, 정보 저장 소자(22)에 이미 기록된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는 정보 저장 소자(22)로부터 판독된다. 이렇게 실행됨으로써,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를 재기록할 필요가 없다.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색과 다른 잉크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정보 저장 소자(22)에 이미 기록된 잉크의 색을 지시하는 데이터는 충전될 잉크에 적응하여 재기록된다. 잉크 용기(1)를 재이용하는 경우에, 잉크를 재충전하기 전에 잉크실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량일지라도 오래된 잉크가 잉크 용기(1)에 잔존할 수 있기 때문이며 잉크의 혼색을 피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단색 기록이거나 동일한 색의 잉크가 충전되는 경우나, 정보 저장 소자(22)가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잉크실 내에 잔류하는 소량의 잉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질되기 때문에, 잉크실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전기적 구성은 도5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7a 내지 도7c를 참조하여,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전기적 구성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7a에 도시된 예는, 검출 전극(23)과 접속되는 외부 접촉 전극(24) 중 하나는 소자용 외부 접촉 전극(25)의 접촉부(COM)와 공통으로 이용한 예이다. 검출 전극(23)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검출 전극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지된 경우에, 검출 전극(23) 사이에 전위차를 공급하면 가능하다. 정보 저장 소자(22)의 접촉부 중 하나가 접지되기 때문에,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실행함으로써, 도5에 도시된 예와 비교하여,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 전극의 개수는 하나 절감되고, 이에 따라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측부 내의 접촉부의 개수도 하나 저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잉크 용기와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촉 위치의 개수는 저감되고, 이에 따라 부적절한 접촉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7b에 도시된 예에서, 정보 저장 소자(22a)는 아날로그/디지털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검출 전극(23)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아날로그 정보이다. 정보 저장 소자(22a) 그 자체가 정보 저장 소자(22a)의 메모리 영역에서 아날로그 정보를 처리 가능한 형태의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검출 전극(23)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정보 저장 소자(22a)에 직접 입력될 수 있고, 소정의 아날로그/디지털 처리는 정보 저장 소자(22a)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는 정보 저장 소자(22a)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고, 외부 접촉 전극(25a)을 통해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로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다. 이런 구성에 따라,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검출 외부 접촉 전극과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측부의 검출 접촉부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접속 위치의 개수는 저감될 수 있다. 정보 저장 소자(22a)는 단일칩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이브리드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도7c에 도시된 예에서, 잉크 수용실(6) 내에 있는 잉크와 접촉 가능한 전극의 개수는 하나이다. 잉크를 통해서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가 검출될 수 있다면 잉크 잔류량의 검출을 위한 전극쌍은 잉크 용기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7(c)에 도시된 예에서, 검출 전극(23) 중 하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 즉 잉크 용기에 배치되고, 다른 검출 전극(23a)은 잉크와 접촉하는 기록 헤드(52)의 일부에 배치된다. 기록 헤드(50)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여러 개의 전기 회로가 잉크 토출을 위하여 제공되고, 이런 전기 회로의 일부는 검출 전극(23a)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헤드가, 잉크에서 비등하는 막을 형성하기 위해 잉크가 전기열 변환체 요소에 의해 사용되고, 잉크가 비등하는 막에 의해 생성된 기포의 압력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형태의 경우에, 전기열 변환체 요소의 표면에는 대부분 반공동(anti-cavitation) 막과 같은 탄탈럼(Ta)막이 제공된다. 탄탈럼 막은 검출 전극(23a), 즉 기록 헤드(52)에 배치되는 전극(23a)의 하나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런 구성에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20)의 개수는 추가로 감축될 수 있다.
도7a 내지 도7c에서, 잉크 용기와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 전달은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나 이는 비접촉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도8은 이런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8에 도시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30)은 RF-ID(무선 주파수 식별)라고 불리는 방식에 의해, 마이크로파라고 불리는 수 GHz 단위의 고주파 전파를 이용하여 비물리적 접촉으로 정보 전달을 수행한다. 쌍을 이루는 검출 전극(33), 정보 저장 소자(32), 정보 저장 소자(32), 그리고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달을 위한 안테나부(34)가 제공된다. 검출 전극(33), 정보 저장 소자(32) 및 안테나부(34)는 지지 기판(비도시) 상에 제공된다. 검출 전극(33)과 정보 저장 소자(32)는 잉크 용기의 외부에 물리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지 기판의 일 측부에 제공된다. 안테나부(34)는 잉크 용기의 잉크에 의한 전파의 고주파 에너지 흡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검출 전극(33)과 정보 저장 소자(32)를 구비한 측부에 대향하는 측부 상에 제공된다. 한편,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30)과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부(36)가 제공된다.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저장 소자(32)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 및/또는 잉크 용기 고유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32c)과, 검출용 전극(33)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처리부(32a)와,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부(34)에 접속되는 RF부(고주파 처리부)(32d)와, 아날로그/ 디지털 처리부(32a)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정보를 잉크 잔류량에 관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 잉크 잔류량에 관한 변환된 데이터를 메모리 영역(32c)에 기입하고 잉크 잔류량에 관한 변환된 데이터를 RF부(32d)로 전송하고 아날로그/디지털 처리부(32a), 메모리 영역(32c) 및 RF부(32d) 사이에서의 송수신 신호를 제어하는 로직부(32b)를 포함한다.
또한, 도8b에 도시된 정보 저장 소자(32)의 구성은, RF부(32d)의 제공을 제외하고 도7b 및 도7c에 도시된 정보 저장 소자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7b 및 도7c에 도시된 정보 저장 소자는 도8b의 RF부(32d) 대신에, 접점과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한다.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송수신하는 상기 구조에 의해,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30)과 잉크 제트 기록 장치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접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제거되어, 간단한 구조가 달성되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30)의 위치의 자유도가 크게 향상한다.
물리적 비접촉형의 전술된 설명에서, 정보 저장 소자로서 GHz 단위의 고주파 전파를 이용한 RF-ID가 이용되었다. 조밀성에 있어서 고주파 전파를 이용한 RF-ID만큼 우수하지는 않지만, 고주파 전자 유도를 이용한 전자 유도 결합의 RF-ID가 이용될 수 있다. 잉크 잔류량 검출 수단과 일체화된 정보 저장 수단이 유리하다. 전자 유도가 이용되는 경우, 안테나부는 루프 코일 안테나이다.
아날로그/디지털 처리 기능을 갖은 정보 저장 소자가 도7b, 도7c 및 도8에서 설명된 정보 저장 소자로서 이용될 때, 잉크 용기의 잔류량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저장 소자 자신은 메모리 영역에서 저장 방법을 전환하고 판단 알고리즘을 전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정된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단지 유무가 검출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잉크 잔류량이 단계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정보 저장 소자의 메모리 사이즈가 작게 만들어질 수 있어서, 비용이 저감될 수 있으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잉크 용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잉크 용기(1)는 잉크 수용실(6) 및 부압 발생 부재 수납실(5)(도1)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9에 도시된 잉크 용기(60)는, 케이싱의 내부 공간 전체가 잉크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실(65)로 되어 있다. 잉크 용기(60)의 바닥벽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구(62)가 제공된다. 잉크 공급구(62)에는 탄성 밸브 막(63)이 제공된다. 잉크 용기(60)가 (도시되지 않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탄성 밸브 막(63)은 (도시되지 않은) 잉크 도출관이 내부로 삽입될 때에만 개방하여, 이에 의해 잉크 용기(60)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잉크 용기(60)로부터 잉크가 누설하는 것이 방지된다.
잉크 용기(60)의 바닥벽에는 잉크 수용실(65)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압 발생 구조(64)가 제공된다. 부압 발생 구조체(64)는 잉크 용기(60)의 외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64a)와, 잉크 용기(60)의 내면에 형성된 제2 오목부(64b)와, 이들 오목부(64a, 64b)를 서로 연통하는 상호연결 통로(64c)를 포함한다. 상호연결 통로(64c)는 예를 들어 사행 통로일 수 있다. 잉크 용기(60)의 내압은 외압보다 낮으며, 잉크는 제2 오목부(64b) 내에서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고 잉크 수용실(65) 내에 보유된다. 잉크의 소비로 인해 내압이 낮아질 때, 상호연결 통로(64c)를 통해 잉크 수용실(65) 내로 공기가 도입되어서, 이로써 잉크 수용실(65)의 내측은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된다.
잉크 용기(60)의 측벽에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61)이 장착된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61)은 전술된 형태의 어느 것일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검출 전극이 잉크 수용실(65) 내의 잉크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61)이 잉크 용기(60)의 측벽에 장착될 때, 잉크 용기(60)의 사용 시의 배향에 있어서의 수직 방향에 대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61)의 장착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잉크 없음이 검출될 잉크 액체 표면 레벨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61)의 조밀성의 이점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3개 이상의 검출 전극들이 장착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검출 전극 사이의 도통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중간 잉크 잔류량이 중간 레벨을 포함하여 단계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10의 실시예에서, 케이싱의 내부 전체는 잉크를 보유하기 위한 부압 발생 부재(74)를 수납하는 부압 발생 부재 수납실(75)이다. 잉크 용기(70)는 잉크 수용실(6)이 제외된 도1에 도시된 잉크 용기(1)와 동일한 구조를 실질적으로 가져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71)은 잉크 용기(70)의 측벽에 장착된다. 도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 실시예의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71)은 전술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검출 전극은 부압 발생 부재 수납실(75) 내의 잉크와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3개 이상의 검출용 전극을 설치함으로써, 잉크의 있음/없음 뿐 아니라 그 중간에서의 잉크 잔류량을 단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도 도 9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 예에서, 잉크는 잉크가 부압 발생 부재(74)에 흡수된 상태에서 검출용 전극과 접촉한다. 도3에 도시된 모세관 튜브 홈이 검출용 전극의 주위에 형성되고, 부압 발생 부재(74)의 모세관 힘과 모세관 튜브 홈의 모세관 힘이 적절히 선택되어서, 잉크 용기(70) 내의 잉크가 원하는 수준에 있을 때 검출용 전극 사이의 전기 접속이 열린다. 도10에 도시된 구조는 도1의 잉크 용기(1)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근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11에 도시된 잉크 용기(80)에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81)은 잉크 공급구(86) 내에 배치된다. 잉크실(80a)은 잉크를 직접 수용할 수도 있고, 부압 발생 부재에 의한 흡수로 잉크를 보유할 수도 있다. 잉크 공급구(86) 내측에서, 필터(88)가 잉크실(80a)에 인접한 단부에 제공되고, 탄성 밸브 막(89)이 잉크 출구측 단부에 제공되어, 중간실(87)이 필터(88)와 탄성 밸브 막(89) 사이에 형성된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81)은 지지 기판(82)의 일 측부의 일 단부가 중간실(87) 내측에 노출되고 타 측부의 일부가 잉크 용기(8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잉크 용기(80)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용 전극(84)은 중간실(87) 안쪽으로 돌출된 지지 기판(82)의 일 측부의 영역에 형성된다. 정보 기억 소자(83)는 지지 기판(82)의 일면에 탑재되고 밀봉제로 밀봉되어 있다. 잉크 용기(80)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지지 기판(82)의 타 측부의 영역은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외부 접촉 전극(85)을 가진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81)과 잉크 용기(80) 사이의 간극은 접착제로 밀봉되어 있다.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81)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잉크 용기(80) 내의 잉크 잔류량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더욱 보장하기 위해서, 잔류량이 검출되어야 하는 잉크량의 해당하는 위치에 검출 전극이 배치되고, 잉크는 검출용 전극과 접촉하도록 충전되고, 충전된 잉크는 공급부 근방까지 연통되어 있다. 이것은 재생된 잉크 용기에 잉크를 재충전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여기서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은 후속하는 청구 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예의 목적내에 있는 개조예 또는 변경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 기판 위에, 검출용 전극, 정보 기억 소자 및 정보 전달 수단을 설치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을 이용하면,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류량을 조밀하고도 간단한 구성으로 검출할 수 있고, 잉크 용기 자체가 잉크 잔량에 관한 정보를 간편하고도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장착하지 않고 잉크 용기 단일 부재로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류량을 간편하고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잉크 용기를 재사용하는 경우에,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로 검출된 정보와, 정보 기억 소자에 (보유)유지된 정보와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잉크 용기의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근방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컵부의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잉크 용기의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을 갖는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실시예에서의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전기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1의 실시예에서의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에 의한 검출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전기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형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일 예의 전기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근방의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12는 광학적으로 잉크의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검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0, 70, 80: 잉크 용기
2b: 관통 구멍
4: 케이싱
20, 30, 61, 71, 81: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21: 지지 기판
22, 22a, 32: 정보 저장 소자
23, 23a: 검출 전극
24: 검출 외부 접촉 전극
25: 소자 외부 접촉 전극
50: 잉크 제트 기록 장치
51: 캐리지
51a: 검출 접촉 단자
51b: 소자 접촉 단자
52: 기록 헤드

Claims (18)

  1. 잉크 제트 기록을 위한 잉크 용기 내의 잉크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잉크 용기에 장착 가능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며,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과,
    상기 지지 기판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된,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의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지지 기판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검출용 전극이 잉크와 접촉하여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저장 소자에 기입되어야 하는 정보를 외부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수단은 상기 검출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검출 외부 접촉 전극과, 상기 정보 저장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소자 외부 접촉 전극을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검출 전극으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처리부와, 잉크 잔류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수단은 상기 일 측부의 반대 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정보 저장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소자 외부 접촉 전극을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수단은 고주파 전자 유도 또는 고주파 전파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가지고,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정보와 고주파 신호를 상호 변환하기 위한 고주파 처리부를 포함하는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6. 잉크 용기이며,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실과,
    상기 잉크실로부터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실의 외벽 및 잉크 공급구를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은 상기 검출용 전극이 상기 잉크실의 내부에 노출되면서, 상기 케이싱 부재 상에 장착되는 잉크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잉크가 상기 검출 전극과 접촉하도록 그리고 상기 검출 전극에 접촉한 잉크는 상기 잉크 공급구로 연속하도록 잉크가 잉크실 안에 수용되는 잉크 용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은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을 가지는 면이 상기 잉크실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잉크 용기.
  9.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부재는 상기 검출 전극 또는 검출 전극들의 수와 위치에 대응하게 관통 구멍 또는 관통 구멍들이 설치되고,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은 검출 전극 또는 전극들이 상기 관통 구멍 또는 구멍들에 대응하도록 장착되는 잉크 용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재된 잉크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잉크 용기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재에 기록하기 위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이며,
    상기 잉크 용기를 장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잉크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전달 수단을 통해 자체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정보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
  11.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설치된 상기 잉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잉크 용기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기록재 상에 기록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이며,
    상기 잉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잉크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전달 수단을 통해 자체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정보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과 잉크실의 내부에 노출된 상기 검출 전극이 그 위에 장착되며, 잉크를 수용하는 또는 수용하기 위한 잉크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와,
    상기 잉크 용기가 상기 유지부 안에 장착될 때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측 상에 설치된 외부 접촉 전극에 접촉하기 위한 접점을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
  12. 제5항에 기재된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설치된 잉크 용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잉크 용기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기록재 상에 기록하기 위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이며,
    상기 잉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잉크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전달 수단을 통해 자체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정보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과 잉크실의 내부에 노출된 상기 검출 전극이 그 위에 장착되며, 잉크를 수용하는 또는 수용하기 위한 잉크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측 정보 전달 수단은 자체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안테나부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측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
  13. 내부에 수용하는 잉크실과, 잉크실로부터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이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이 상기 잉크실 내부에 노출된 상기 검출 전극과 함께 상기 잉크실에 장착되며, 상기 잉크실의 외벽과 상기 잉크 공급구를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실 안으로 잉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저장 수단 안에 잉크의 존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계는 잉크가 상기 검출 전극에 접촉하도록 그리고 상기 검출 전극에 접촉된 잉크가 상기 잉크 공급구에 연속하도록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은 잉크의 결여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상기 저장 단계는 미리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의 상기 정보 저장 수단 내에 충전할 잉크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은 잉크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잉크 충전 단계는 상기 색상의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
  18. 제13항 또는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은 잉크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충전 단계는 상기 미리 저장된 색상과 다른 색의 잉크를 충전하며,
    잉크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50047784A 2004-06-03 2005-06-03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KR100702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5889 2004-06-03
JP2004165889A JP2005343037A (ja) 2004-06-03 2004-06-03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81A true KR20060048181A (ko) 2006-05-18
KR100702101B1 KR100702101B1 (ko) 2007-04-02

Family

ID=3493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784A KR100702101B1 (ko) 2004-06-03 2005-06-03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556363B2 (ko)
EP (1) EP1602490B1 (ko)
JP (1) JP2005343037A (ko)
KR (1) KR100702101B1 (ko)
CN (1) CN100345688C (ko)
DE (1) DE602005025280D1 (ko)
TW (1) TWI2895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16B1 (ko) * 2010-06-28 2011-01-31 주식회사 딜리 Rfid태그를 이용한 프린터의 정품잉크 인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3542A (ja) * 2004-04-30 2005-11-10 Canon Inc 液体タンクおよび液体吐出記録装置
JP3840237B2 (ja) * 2004-06-0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液体収納容器を用いた記録装置
JP4217659B2 (ja) * 2004-06-02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
JP2005343036A (ja) *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MX2007001386A (es) 2004-09-01 2007-04-10 Seiko Epson Corp Contenedor de material para impresion.
JP4742683B2 (ja) * 2005-06-02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液体検知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4144637B2 (ja) 2005-12-26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収容体、基板、印刷装置および印刷材収容体を準備する方法
UA91582C2 (ru) * 2005-12-26 2010-08-1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с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ечати и плата,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в контейнере с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ечати
JP4640221B2 (ja) 2006-03-10 2011-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
JP4661642B2 (ja) * 2006-03-13 2011-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機器
JP4661643B2 (ja) * 2006-03-13 2011-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機器
JP4693688B2 (ja) * 2006-05-01 2011-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液残量判定方法
JP4356717B2 (ja) * 2006-08-11 2009-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CN101544122B (zh) * 2008-03-29 2012-01-18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耗材容器、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JP5577615B2 (ja) * 2009-04-01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消費システム、液体消費装置、液体供給ユニット、および、液体供給ユニットに収容された液体の残量を管理する方法
JP5056877B2 (ja) * 2010-03-19 2012-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機器
JP4924735B2 (ja) * 2010-03-19 2012-04-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機器
CN201761148U (zh) * 2010-08-30 2011-03-16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墨盒
EP3048945B1 (en) * 2013-09-27 2018-08-08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sing unit
CN106346956B (zh) * 2015-07-24 2018-02-09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喷墨墨水信息存储识别装置及方法
US11292263B2 (en) 2016-09-30 2022-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container
CN107796479B (zh) * 2017-09-15 2021-02-09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水位探针、水箱和净水机
CN109940996B (zh) * 2019-03-23 2020-06-12 福建长信纸业包装有限公司 一种循环墨量提供控制方法
US11225084B2 (en) * 2019-03-29 2022-01-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Replenishable liquid storage tank including backpressure application memb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7377003B2 (ja) * 2019-04-05 2023-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0726457B (zh) * 2019-10-24 2021-10-01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一体化废树脂液位界面测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890A (ja) 2001-03-30 2002-10-09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03136860A (ja) * 1989-10-20 1991-06-11 Canon Inc インク残量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IT1245065B (it) * 1991-04-15 1994-09-13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rivelatore dell'inchiostro per un elemento di stampa a inchiostro liquido
JP3397441B2 (ja) 1993-05-26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TE191886T1 (de) 1993-05-26 2000-05-15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JPH09145451A (ja) 1995-11-16 1997-06-06 Brother Ind Ltd 残量検出装置
FR2743749B1 (fr) * 1996-01-22 1998-04-10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rmination de la repartition de produit present dans un reservoir, notamment d'encre dans un dispositif de transfert d'image
US6151039A (en) * 1997-06-04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Ink level estimation using drop count and ink level sense
JP2000203046A (ja) * 1999-01-11 2000-07-25 Canon Inc 記録装置
US7383727B2 (en) 1999-05-20 2008-06-10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tainer having a liquid consumption detecting device therein
CN1895899A (zh) * 1999-10-04 2007-01-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喷墨式记录装置、半导体装置及记录头装置
US6851797B2 (en) * 2000-05-29 2005-02-08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filling recording material in recording material container and filling apparatus
US6685296B2 (en) * 2000-06-16 2004-02-03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DE60141830D1 (de) 2000-07-07 2010-05-27 Seiko Epson Corp Flüssigkeitsbehälter, tintenstrahlaufzeichnungsappapparat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tektion des flüssigkeitsverbrauchs
US6648434B2 (en) * 2001-03-08 2003-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ly compensated pressure ink level sense system and method
TW562749B (en) 2002-03-28 2003-11-21 Brother Ind Ltd Ink cartridge
US7422302B2 (en) * 2002-04-01 2008-09-09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injection device, liquid injec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03291367A (ja) * 2002-04-02 2003-10-14 Sony Corp 液体残量表示装置
SG115552A1 (en) * 2002-07-18 2005-10-28 Seiko Epson Corp Cartridge and printing apparatus
JP4251041B2 (ja) * 2002-08-30 2009-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7237864B2 (en) * 2004-02-06 2007-07-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ejection device identification
JP3840237B2 (ja) 2004-06-0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液体収納容器を用いた記録装置
JP4217659B2 (ja) 2004-06-02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
JP4137010B2 (ja) 2004-06-11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用いる液体収納容器
CN2734479Y (zh) * 2004-09-05 2005-10-19 珠海纳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利用电极片感应墨水量的墨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16B1 (ko) * 2010-06-28 2011-01-31 주식회사 딜리 Rfid태그를 이용한 프린터의 정품잉크 인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2490B1 (en) 2010-12-15
US7556363B2 (en) 2009-07-07
US20080291227A1 (en) 2008-11-27
JP2005343037A (ja) 2005-12-15
US8157363B2 (en) 2012-04-17
TWI289512B (en) 2007-11-11
EP1602490A2 (en) 2005-12-07
US20050270315A1 (en) 2005-12-08
KR100702101B1 (ko) 2007-04-02
US20080271316A1 (en) 2008-11-06
EP1602490A3 (en) 2007-08-08
TW200613148A (en) 2006-05-01
DE602005025280D1 (de) 2011-01-27
CN100345688C (zh) 2007-10-31
CN1704246A (zh)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101B1 (ko)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US7562952B2 (en) Residual ink amount detection module for ink jet recording, ink tank with the module, and ink jet recording device
US7383727B2 (en) Liquid cotainer having a liquid consumption detecting device therein
JP4268683B2 (ja) 構造が効率的な高性能インク容器
ES2290071T3 (es) Estructura de montaje, modulo y contenedor de liquido.
EP0963847B1 (en)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TWI255235B (en) Liquid tank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5206506B2 (ja) 装着装置、基板、液体情報を変更する方法
JP2001147147A (ja) 液体容器
EP1647406B1 (en) Transceive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ntennas for communication with wireless memory devices in a printing system
JP2005028779A (ja)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
US7465021B2 (en) Liquid-discharging recording head and liquid-discharging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head
JP5082723B2 (ja) 液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体収容容器並びに液体検出装置の製造方法
MXPA05001040A (es) Dispositivo de memoria reemplazable para un recipiente de sustancia consumible, y metodos.
KR100788066B1 (ko) 잉크 젯 기록용 잉크 잔량 검출 모듈, 상기 잉크 잔량 검출모듈을 구비한 잉크 탱크,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JP6923020B2 (ja) プリンター
JPH10100433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ケース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3032015A (ja) 装着装置、基板、液体情報を変更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