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878A -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878A
KR20060047878A KR1020050040095A KR20050040095A KR20060047878A KR 20060047878 A KR20060047878 A KR 20060047878A KR 1020050040095 A KR1020050040095 A KR 1020050040095A KR 20050040095 A KR20050040095 A KR 20050040095A KR 20060047878 A KR20060047878 A KR 20060047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eparator
suction tube
tub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아나다
게이치 묘기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직포에 대한 탈수 후의 수분율을 보다 균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직기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직포에 접하는 흡인구를 가진 석션튜브와, 기수분리기와 흡인기와 석션튜브의 급사반대측 끝단부로부터 공통의 기수분리기에 접속하는 제 1 접속관과, 석션튜브의 급사측 끝단부로부터 공통의 기수분리기에 접속하는 제 2 접속관과, 기수분리기와 흡인기를 접속하는 제 3 접속관을 구비하고, 제 1 접속관의 압력손실이, 제 2 접속관의 압력손실에 대해서 동등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THE TEHYDRATION DEVICE WHICH WAS INSTALLED ON A MACHINE FOR WATER JET LOOM}
도 1은 물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포경로의 약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이다.
도 3은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직포 3 : 템플
4 : 권취빔 10 : 석션튜브
11 : 씨실입구측 흡인구 12 :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
15 : 흡인구 21 : 제 1 접속관
22 : 제 2 접속관 23 : 제 3 접속관
30 : 기수분리기 35 : 배수관
40 : 흡인기 51, 52 : 흡인력 조정부
이 발명은,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분사식 직기로 실을 짠 후, 물을 포함한, 직포로부터 수분을 흡인하여 탈수한다. 직폭에 걸쳐서 이어지는 석션(suction)튜브에는, 직포과의 접촉면에, 전체폭에 걸쳐서 흡인구가 설치되고 있다.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수분은, 석션튜브의 일끝단에 설치된 배관으로부터, 기수분리기에 흡인되어 배수된다. 기수분리기의 끝에는 흡인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탈수장치를 개량한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로서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 설치되어 있는 기수분리기로부터 석션튜브로 이어지는 배관을 분기하여, 석션튜브의 양 끝단과 접속시킨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 10-46449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기수분리기로부터 석션튜브로 이어지는 배관을 분기하여, 석션튜브의 양 끝단과 접속시킨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 장치는, 씨실급사측에 설치된 기수분리기 및 흡인기에, 배관을 통해서 접속된 석션튜브를 설치하고 있다. 그 배관을 분기하여 석션튜브의 급사반대측에도 배관을 접속하여, 석션튜브의 양 끝단으로부터 흡인한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급사반대측으로부터 급사측에 설치된 기수분리기까지, 배관이 이어져 있기 때문에, 흡인기의 흡인력은 급사반대측에서는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포에 대한 탈수 후의 수분율을 보다 균등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직기의 프레임사이에 배치되어, 직포에 접하는 흡인구를 가진 석션튜브와, 기수분리기와, 흡인기와, 석션튜브의 급사반대측 끝단부로부터 공통의 상기 기수분리기에 접속하는 제 1 접속관과, 석션튜브의 급사측 끝단부로부터 공통의 기수분리기에 접속하는 제 2 접속관과, 기수분리기와 흡인기를 접속하는 제 3 접속관을 구비하고, 제 1 접속관의 압력손실이, 제 2 접속관의 압력손실에 대해서 동등 이하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직포(2)은 템플(3)을 경유하여 석션튜브(10)을 통과하여, 복수의 롤러사이를 진행해 권취빔(4)에 감긴다. 석션튜브(10)의 직포 접촉면에는 직포(2)의 폭방향으로 흡인구(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인구(15)로부터 직포에 포함된 수분을 흡인한다. 흡인구(15)는, 슬릿이라도 좋고,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석션튜브(10)에는 기수분리기(30) 및 흡인기(40)가 배관을 통해서 접속되고 있다.
석션튜브(10)는, 직폭방향 전체영역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석션튜브(10) 의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12)에는 제 1 접속관(21)이, 씨실입구측 흡인구(11)에는 제 2 접속관(22)이 기수분리기(3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관(21)과 제 2 접속관(22)은, 석션튜브(10)측으로부터 기수분리기(30)에 이르는 도중에 합류하여 1개의 접속관으로 된다. 이와 같이, 기수분리기(30)에 접속하기 전에 합류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접속관이 직접 기수분리기(30)에 접속되고 있어도 좋다.
제 1 접속관(21)과 제 2 접속관(22)은, 거의 동일지름, 동일길이이다. 제 1 접속관(21)과 제 2 접속관(22)의 석션튜브(10)와의 각 접속부로부터 합류부까지는 2개의 접속관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있다.
기수분리기(30)에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35)과 제 3 접속관 (23)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접속관(23)의 다른 끝단에 설치된 블로어와 같은 흡인기(40)에 의해, 공기의 흡인을 하고 있다
제 1 접속관(21)과 제 2 접속관(22)이 동일지름, 동일길이인 것으로, 2개의 접속관(21, 22)의 압력손실은 동등하게 되어, 석션튜브(10)의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12)와 씨실입구측 흡인구(11)와의 흡인능력은 같아진다. 이에 따라, 석션튜브(10) 전체영역에서 거의 균일한 흡인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를 도 3에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에 비해서, 제 1 접속관(21) 및 제 2 접속관(22)의 길이가 다르다. 기수분리기(30) 및 흡인기(40)는 씨실입구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션튜브(10)의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12)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접속관(21)의 길이는, 제 2 접속관(22)의 길이에 비해 짧아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접속관(21)의 압력손실은 제 2 접속관(22)의 압력손실에 비해 적어진다.
제 1 접속관(21)의 압력손실이 적어지는 것에 의해, 석션튜브(10)의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12)의 흡인력은, 씨실입구측 흡인구(11)의 흡인력에 비해 증대한다.
통상, 물분사식 직기에서는, 씨실입구측에 비교하여 씨실입구반대측의 직포 쪽이 수분의 함유율이 많아, 보다 강력한 탈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석션튜브(10)의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12)의 흡인력이 씨실입구측 흡인구(11)의 흡인력보다 강해지는 것에 의해 직포탈수가 보다 균일하게 행해지는 결과가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접속관의 안지름은 같은 것을 이용하였지만, 압력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굵은 지름의,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는 지름의 접속관을 이용하면 좋다. 또, 석션튜브(10)에서의 탈수 후의 직포의 직폭에 있어서의 수분율을 고려하여, 필요한 제 1 접속관과 제 2 접속관과의 압력손실의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석션튜브(10)의 씨실입구측 흡인구(11)와 씨실입구반대측 흡인구(12)와의, 최적인 흡인력 배분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속관과 제 2 접속관이 도중에 합류하고 있지만, 공통의 기수분리기에 2개의 접속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석션튜브의 양 끝단부와 기수분리기를 완전하게 분리 독립한 제 1 접속관과 제 2 접속관으로 접속하더라도 좋다.
또, 제 1 접속관과 제 2 접속관이 합류하기 전의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에, 흡인력 조정부(51, 52)(도 2), 구체적으로는, 흡인력을 조정하기 위한 공기구멍을 형성하거나, 조임밸브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폭이 변경되었을 때, 석션튜브의 씨실입구측과 씨실입구반대측의 흡인력의 배분을 최적인 비율로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폭변경은 씨실입구측을 기준으로 하여, 씨실입구반대측의 직단 위치가 바뀌어, 직폭이 짧아지면 씨실입구반대측의 직단이 씨실입구측으로 이동하고, 직폭이 길어지면 씨실입구반대측의 직단이 씨실입구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흡인구(15) 중, 직포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은 테이프 등으로 막을 수 있지만, 양측의 직폭부분에 대한 흡인구(15)의 각 흡인력에 차이가 생기므로, 공기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구멍을 개폐하는 것으로써, 공기구멍을 형성한 접속관의 압력손실의 조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임밸브를 설치한 경우에는, 흡인기의 흡인능력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제 1 및 제 2 접속관의 압력손실을 조정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직포의 탈수가 전체 폭에 대해 균일하게 행하여져, 수분율의 균등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1)

  1. 직기의 프레임사이에 배치되어, 직포에 접하는 흡인구를 가진 석션튜브와,
    기수분리기와,
    흡인기와,
    석션튜브의 급사반대측 끝단부로부터 공통의 상기 기수분리기에 접속하는 제 1 접속관과,
    석션튜브의 급사측 끝단부로부터 공통의 기수분리기에 접속하는 제 2 접속관과,
    기수분리기와 흡인기를 접속하는 제 3 접속관을 구비하고,
    제 1 접속관의 압력손실이, 제 2 접속관의 압력손실에 대해서 동등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분사식 직기의 탈수장치.
KR1020050040095A 2004-07-22 2005-05-13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 KR20060047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4107A JP2006037243A (ja) 2004-07-22 2004-07-22 水噴射式織機の機上脱水装置
JPJP-P-2004-00214107 2004-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78A true KR20060047878A (ko) 2006-05-18

Family

ID=3590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095A KR20060047878A (ko) 2004-07-22 2005-05-13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37243A (ko)
KR (1) KR20060047878A (ko)
CN (1) CN17247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4808A (zh) * 2011-09-01 2012-01-04 吴江市隆泰喷织厂 喷水织机用吸水装置
JP6007871B2 (ja) * 2013-08-26 2016-10-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脱水装置
CN103966740B (zh) * 2014-05-08 2015-03-04 湖州厉华妤婕联合纺织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的脱水装置
CN108179530B (zh) * 2018-03-26 2019-10-11 青岛海佳机械有限公司 一种带嵌入式打卷装置的喷水织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37243A (ja) 2006-02-09
CN1724736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8733B1 (en) A felt comprising a loop seam for use in the press section of papermaking machin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felts
US7662260B2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fiber web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surface structure
JP2010529322A (ja) 抄紙機
US7615136B2 (e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fiber material web
KR20060047878A (ko)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
WO20091184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fiber web from a support fabric to another
US7980275B2 (en) Papermaker&#39;s press felt with long machine direction floats in base fabric
US6841037B2 (en)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issue web
US7628891B2 (en) Apparatus for dewatering a fibrous web
JP2006045719A (ja) 水噴射式織機の機上脱水装置
US6375800B1 (en) Press section and process
JP4851120B2 (ja) 水噴射式織機の除水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ト
KR100755479B1 (ko) 베이스 직물에서 긴 MD(machinedirection) 플로우트들을 가진 제지기의 프레스펠트
CA2206838A1 (en) Method and device in threading of a paper web
EP086553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eb former for preventing rewetting of a web
US20140027080A1 (en) Pulp dewatering clothing for a pulp dewatering machine
US7008506B2 (en)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issue web
US20050173087A1 (en) Process arrangement in the short circulation of a paper machine
KR100480845B1 (ko)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US6464835B1 (en) Equipment and method in a twin-wire former
WO2001040573A1 (en) Method for supporting web and web support device
AU2018277741A1 (en) Pin seamed press felt and method of making same
WO1998058121A1 (en) Conditioning device for a fabric, such as a wire or equivalent, in a paper/board machine
JPH1046449A (ja) 水噴射式織機の脱水装置
JPH0566084U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除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