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845B1 -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845B1
KR100480845B1 KR10-2003-7007059A KR20037007059A KR100480845B1 KR 100480845 B1 KR100480845 B1 KR 100480845B1 KR 20037007059 A KR20037007059 A KR 20037007059A KR 100480845 B1 KR100480845 B1 KR 10048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ction
suction port
pip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024A (ko
Inventor
후카마치아쯔시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6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는, 직물이 감기는 직물 감김 영역을 갖춘 흡인관을 포함한다. 상기 흡인관은 직물에 접하는 1 이상의 흡인구와, 흡인관의 바깥둘레면보다도 움푹 들어가는 1 이상의 오목부 및 상기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1 이상의 볼록부 중 최소한 하나가 직물 감김 영역 내에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갖추어져 있다.

Description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Dewatering Device for Woven Cloth in Water Injection Weaving Machine}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위사 삽입용 압력수에 의해 젖은 직물의 탈수 즉 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물제거 장치의 하나로서,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의 흡인구를 갖춘 석션(suction) 튜브 즉 흡인관을 이용하고, 직물을, 흡인관의 바깥둘레면에 흡인구를 포함하는 직물 감김 영역에 걸쳐 감고, 직물의 윗면을 덮는 커버를 흡인관의 흡인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흡인관 내의 공기를 흡인장치에 의해 흡인하여 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있다(실개평5-66084호 공보).
상기 물제거 장치에 있어서, 직물 중의 수분은, 흡인장치에 의한 흡인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의해, 슬릿상의 흡인구를 지나는 공기류와 함께 흡인구로부터 흡인관 내로 흡인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은 물제거 장치에 의하면, 흡인구를 지나 흡인장치에 흡인되는 공기류의 대부분이 직물의 실 사이 또는 실의 섬유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공기류의 증대에 따라 제거되는 물의 양도 많아지고, 따라서 높은 물제거 효과를 얻게된다.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기 물제거 장치에서는, 고밀도의 직물이나 두꺼운 직물의 경우, 통기성이 나쁘기 때문에, 공기류가 직물의 실 사이 또는 실의 섬유 사이를 통과할 수 없고, 그 결과 흡인 공기량이 감소하고, 물제거 능력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제거 장치는, 직물이 감기는 직물 감김 영역을 갖춘 흡인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관은 상기 직물에 그 폭방향으로 접하는 1 이상의 흡인구와, 상기 흡인관의 바깥둘레면보다도 움푹 들어가는 1 이상의 오목부(凹部) 및 상기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1 이상의 볼록부(凸部) 중 최소한 하나가 상기 직물 감김 영역 내에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갖추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흡인관이 그 바깥둘레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고 있으면, 흡인관과 직물에 의해 구분되고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1 이상의 공간이 흡인관 바깥둘레면의 직물 감김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흡인관의 흡인구로부터의 흡인공기는 흡인구에 마주보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 또는 실을 형성하고 있는 섬유 사이를 통과한 공기 및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 또는 실의 섬유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공간에 들어가고, 게다가 그 공간으로부터 흡인관의 바깥둘레면에 접하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나 섬유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더해져, 흡인구로부터의 흡인 공기량이 증대하여 물제거 능력이 증대한다.
또한, 상기 공간은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직물은 균일하게 물이 제거된다.
상기 흡인구는 상기 직물 감김 영역의 직물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쪽 및 하류쪽의 어느 한 쪽에 갖추어져 있고,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흡인구보다도 최소한 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인관은 상기 직물 감김 영역의 직물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쪽에 위치하는 상기 오목부를 포함한 복수의 오목부를 상기 바깥둘레면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갖추고 있고, 상기 흡인구는 최상류쪽에 위치하는 상기 오목부에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흡인관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를 갖춘 파이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는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파이프부재를 그 두께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파이프부재의 두께를 유지한 채,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릿상의 흡인구에 의해 강성이 저하되어 있는 흡인관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줄기로서 작용하여, 흡인관의 강성이 증가한다.
상기 흡인관은 상기 흡인구를 갖춘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바깥둘레면에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접합되어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봉형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슬릿상의 흡인구에 의해 강성이 저하되어 있는 흡인관에, 봉형상 부재가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줄기로서 작용하여, 흡인관의 강성이 증가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제거 장치의 한 실시예를 물 분사식 직기의 중요부와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물제거 장치에서 이용하는 흡인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3은 흡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4는 흡인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의 형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물제거 장치(10)는 위사를 압력수에 의해 경사(12)의 개구(14)에 위사 삽입하고, 위사 삽입된 위사를 바디(16)에 의해 짜기 전에 바디치기하여 직물(18)을 형성하는 물 분사식 직기에 이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직물(18)은 물제거 장치(10)의 석션 파이프로서 작용하는 중공의 흡인관(20) 및 위사밀도 조정장치(22)를 순서대로 거쳐, 직물 권취롤(24)에 감긴다.
위사밀도 조정장치(22)는 흡인관(20)에서 연장하는 직물영역을 먼저 표면 롤(26)에 감고, 이어서 상하 프레스 롤(28, 30)에 의해 표면 롤(26)에 누르고, 그 후 프레스 롤(28, 30)에 감고 있다.
상기 위사밀도 조정장치(22)는 표면 롤(26)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켜 프레스롤(28, 30)을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 직물(18)을 끌어당겨 내보낸다. 직물(18)에 있어서 위사의 밀도는, 표면 롤(26)의 회전을 제어하고, 직물(18)의 전달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된다.
석션 파이프 즉 흡인관(20)은 원통상의 형상을 갖는 파이프부재(32)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직물(18)의 폭방향(도1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회전 불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흡인관(20)은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슬릿상의 흡인구(34)를 직물(18)이 감긴 직물 감김 영역에 갖추고 있음과 동시에, 흡인관(20)의 축선 주위에 등각도 간격을 두고 직물의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도랑형상의 복수의 오목부(36)를 직물 감김 영역에 갖추고 있다. 복수의 오목부 중, 직물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최상류쪽에 위치하는 1번째의 오목부(36a)는 직물 감김 영역의 상류쪽 근처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직물 감김 영역의 중간부보다도 상류쪽에 위치되어 있다.
흡인구(34)는 흡인관(20)을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롯이고, 흡인관(20)의 안쪽과 직물(18)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최상류쪽에 위치하는 1번째의 오목부(36a)에 개방되어 있다. 흡인관(20)의 내부공간은 흡인구(34) 부분을 제외하고 밀폐되어 있다. 각 오목부(36)는 흡인관(20)의 바깥둘레면보다도 움푹 들어가 있다.
물제거 장치(10)는 흡인관(20) 외에, 흡인관(20)에 연결되어 통하는 기수(氣水) 분리장치와, 기수 분리장치를 통하여 흡인관(20) 내의 공기를 배기 즉 흡인하는 흡인장치(모두 도시되지 않음)를 갖추고 있다. 기수 분리장치는, 이것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물을 증기에서 분리하는 기존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흡인장치는 전기 블로어나 공기 펌프와 같이 공기를 흡인하는 기존의 흡인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직하는 동안, 직물(18)은 흡인관(20)의 직물 감김 영역에 접촉하면서 이동되어, 직물 권취롤(24)에 감긴다. 그러나, 흡인관(20)에 있어서는, 오목부(36)가 파이프부재(32)의 바깥둘레면에 각을 형성하지 않고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36)로 인하여 직물(18)의 접촉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직물(18)이 이동되는 동안, 흡인관(20) 내의 공기가 흡인장치에 의해 배기된다. 이에 의해, 1번째의 오목부(36a)에 대응하는 직물영역에서 1번째의 오목부(36a) 및 흡인구(34)를 거쳐 흡인관(20) 내에 흡인되는 공기류가 생긴다. 그 결과, 직물(18)에 포함되어 있는 물은 흡인구(34)에 흡인되는 공기와 함께 흡인관(20) 내로 흡인되어 직물(18)로부터 제거된다.
물제거 장치에 있어서, 흡인관(20) 바깥둘레면의 오목부(36)는 흡인관(20) 및 직물(18)과 함께, 흡인관(20) 및 직물(18) 사이의 복수의 공간(38)을 흡인관(20) 바깥둘레면의 직물 감김 영역에 형성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에 의해, 흡인구(34)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량은, 1번째의 오목부(36a)에 의해 형성되는 1번째의 공간(38a)과 마주보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 또는 섬유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량과, 최상류쪽에서 2번째의 오목부(36b)에 의해 형성되는 2번째의 공간(38b)과 마주보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 또는 섬유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2번째 공간(38b)에 들어가고, 게다가 2번째 공간(38b)에서 흡인관(20)의 바깥둘레면에 접하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 또는 섬유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량과, 직물(18)이 직물 감김 영역의 상류 끝에 접함으로써 직물(18)과 흡인관(20)의 바깥둘레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흡인관(20)의 바깥둘레면에 접하는 직물영역의 실 사이 또는 섬유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량과의 합이 된다.
상기의 결과, 흡인관(20)을 이용하면, 오목부(36)를 갖추고 있지 않는 흡인관에 비해, 흡인구(34)로부터의 흡인 공기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그 만큼 흡인관(20) 내에 공기와 함께 흡인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고, 물제거 능력 및 물제거 효율이 향상한다.
물제거 장치(10)에 있어서는, 흡인구(34) 및 최상류쪽 오목부(36a)가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물(18)은 직물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물이 제거된다.
각 오목부(36)는 직물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U자상 단면의 줄기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슬릿상의 흡인구(34)에 의해 강성이 저하되어 있던 흡인관(20)이 보강되어 강성이 높아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각 오목부(36)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파이프부재(32)를 제거하는 형으로 누르고 길이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오목부(36)에 대응하는 부분을 두께방향으로 변형시켜, 바깥둘레면보다도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부재(32)의 원래의 두께를 유지한 채, 오목부(36)가 형성된다.
각 오목부(36)의 양끝은 흡인관(20)의 끝쪽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좋고, 폐쇄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되고, 물제거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하류쪽에 위치하는 1 이상의 오목부(36c∼36n)의 양끝이 개방되어 있으면, 그들 오목부(36c∼36n) 내를 공기가 통과하고, 그들 오목부(36c∼36n)의 양끝이 폐쇄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직물(18)이 그들 오목부(36c∼36n)를 흐르는 공기와 접하여 건조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구(34)를 오목부(36a)에 개방시키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흡인관은 오목부(36a)를 갖추고 있지 않아도 좋고, 최소한 오목부(36a)가 흡인구(34)보다 상류쪽이 되도록 흡인구(34)를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36) 사이에 개방시켜도 좋다.
직물 폭방향으로 복수의 흡인구를 흡인관(2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불연속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1 및 도2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구(34)를 2번째 이후의 오목부에 개방시켜도 좋다. 게다가, 흡인관에 그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흡인구 근처를 직물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하나의 요소(凹所)를 흡인구보다 하류쪽 흡인관에 형성해도 좋다.
흡인관과 직물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을 오목부에 의해 형성하는 대신에, 볼록부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도3을 참조하면, 흡인관(50)은 일으킴 부재 즉 봉형상 부재(52)를 파이프부재(32) 바깥둘레면의 흡인구(34)보다도 하류쪽 부분에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봉형상 부재(52)는 반구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어묵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활형상의 볼록부와 대응하는 저면이 파이프부재(32)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흡인관(50)에 있어서, 직물(18)은 흡인구(34)보다 상류쪽 부분에서부터 흡인구(34), 봉형상 부재(52)의 활형상 볼록면, 및 봉형상 부재(52)보다 하류쪽 부분에 걸쳐 감겨져 있다. 이 때문에, 봉형상 부재(52)는 흡인구(34)에 연결하여 통하는 상류쪽 공간(54)과 통하지 않는 하류쪽 공간(56)이 흡인관(50)과 직물(18)에 의해 형성되는 볼록부로서 작용한다.
공간(54 및 56)은 각각 흡인관(20)에 있어서의 오목부(36b 및 36c∼36n)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흡인관(50)에 의하면, 흡인관(20)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목부(36)를 갖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줄기로서 봉형상 부재(52)를 갖고 있기 때문에, 흡인관(50)의 강성이 보다 향상한다.
도4를 참조하면, 흡인관(60)은 복수의 오목부(62)를 파이프부재(32) 바깥둘레면의 흡인구(34)보다도 하류쪽에 직물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흡인관(60)에 같은 크기의 원형을 한 오목부(62)를 드릴 가공에 의해 파이프부재(32)에 미관통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흡인관(60)에 있어서는, 흡인구(34)는 오목부(62)에 개방되지 않고, 흡인관(60)의 바깥둘레면에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직물(18)이 흡인구(34) 및 오목부(62)를 막은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직물 폭방향으로 간격을 둔 오목부(62)가 도1 및 도2에 있어서의 흡인구(34)의 하류쪽 오목부(36b)와 같은 작용을 하고, 그 결과 오목부(36b)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효과와 같이 물제거 능력을 높이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흡인구에 대해서, 직물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쪽 및 하류쪽의 최소한 한쪽에 위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흡인관은 직물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1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추고 있어도 좋고, 게다가 직물 폭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나열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추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릿상인 하나의 흡인구(34)가 흡인관에 형성되어 있지만, 원형 또는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흡인관에 직물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시켜, 그 관통구멍들을 흡인구로 해도 좋고, 그 관통구멍들을 연결하여 통하도록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흡인관의 바깥둘레면에 형성시켜 그 관통구멍들과 홈을 흡인구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직물이 감기는 직물 감김 영역을 갖춘 흡인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관은 상기 직물에 그 폭방향으로 접하는 1 이상의 흡인구와, 상기 흡인관의 바깥둘레면보다도 움푹 들어가는 1 이상의 오목부(凹部) 및 상기 바깥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하는 1 이상의 볼록부(凸部) 중 최소한 하나가 상기 직물 감김 영역 내에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는 상기 직물 감김 영역의 직물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쪽 및 하류쪽의 어느 한쪽에 갖추어져 있고,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흡인구보다도 최소한 다른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관은 상기 직물 감김 영역의 직물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쪽에 위치하는 상기 오목부를 포함한 복수의 오목부를 상기 바깥둘레면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갖추고 있고, 상기 흡인구는 최상류쪽에 위치하는 상기 오목부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관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를 갖춘 파이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는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파이프부재를 그 두께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거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관은 상기 흡인구를 갖춘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의 바깥둘레면에 직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접합되어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봉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제거 장치.
KR10-2003-7007059A 2001-10-03 2002-10-02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KR100480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7086 2001-10-03
JP2001307086A JP2003113560A (ja) 2001-10-03 2001-10-03 水噴射式織機における織布の除水装置
PCT/JP2002/010295 WO2003031706A1 (fr) 2001-10-03 2002-10-02 Dispositif d'egouttage pour etoffe tissee dans machine a tisser a injection d'e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024A KR20040015024A (ko) 2004-02-18
KR100480845B1 true KR100480845B1 (ko) 2005-04-06

Family

ID=1912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59A KR100480845B1 (ko) 2001-10-03 2002-10-02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3113560A (ko)
KR (1) KR100480845B1 (ko)
CN (1) CN1217044C (ko)
TW (1) TW555910B (ko)
WO (1) WO2003031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1120B2 (ja) * 2005-06-10 2012-01-1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除水装置と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ト
JP6007871B2 (ja) * 2013-08-26 2016-10-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脱水装置
CN109402846A (zh) * 2018-11-19 2019-03-01 安徽好莱克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喷水织布机
CN109750410B (zh) * 2019-03-08 2023-10-10 浙江宁巍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引纬系统及其调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543A (ja) * 1982-07-16 1984-01-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水分除去装置
JP2535134Y2 (ja) * 1991-03-18 1997-05-07 日産テクシス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織布水分除去装置
JPH0566084U (ja) * 1992-02-06 1993-08-3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除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13560A (ja) 2003-04-18
KR20040015024A (ko) 2004-02-18
WO2003031706A1 (fr) 2003-04-17
TW555910B (en) 2003-10-01
CN1479818A (zh) 2004-03-03
CN1217044C (zh)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2260B2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fiber web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surface structure
US4202113A (en) Paper machine drying se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I83896B (fi) Icke-vaevd genomslaepplig vaevnad foer en pappersmaskins torkdel och anordning i en pappersmaskins torkdel.
ES2169711T3 (es) Aparato soplador en una maquina de fabricar papel o similar.
US3867766A (en) Dryer fabric for a papermaking machine
JP2010529322A (ja) 抄紙機
US4056433A (en) Ascending twin-wire paper machine without web pick-up
JPH0335436B2 (ko)
US8282782B2 (en) Wet paper web transfer belt
CA2332478A1 (en) For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issue web
KR100480845B1 (ko) 물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직물의 물제거 장치
CN108603338B (zh) 工业纺织品及其用途
CA2332725C (en)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issue web
US3555700A (en) Roll for papermaking machinery
US67255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 offset pocket space in a papermaking machine
US6412192B1 (en)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 offset pocket space in a papermaking machine
KR20060047878A (ko) 물분사식 직기의 기기상에 설치된 탈수장치
CA2332710C (en) Mach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issue web
JPH06240545A (ja) 水噴射式織機上の脱水装置
JP4063987B2 (ja) 製紙面側織物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製紙用2層織物
CN219789522U (zh) 排汗舒适涤纶布
KR20000068401A (ko) 공기중 건조 제지공정에서 진공 압력의 인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진공장치 및 진공 픽업 슈
KR102673694B1 (ko) 섬유 웹 기계의 홈이 있는 천공성 턴 롤
CA2369401C (en)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ng an offset pocket space in a papermaking machine
JP4283403B2 (ja) 製紙用二層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