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808A -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808A
KR20060047808A KR1020050039676A KR20050039676A KR20060047808A KR 20060047808 A KR20060047808 A KR 20060047808A KR 1020050039676 A KR1020050039676 A KR 1020050039676A KR 20050039676 A KR20050039676 A KR 20050039676A KR 20060047808 A KR20060047808 A KR 2006004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nding
bobbin
high voltag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고노
Original Assignee
가즈오 고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고노 filed Critical 가즈오 고노
Publication of KR2006004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6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specifically adapted for discharge lamp balla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권선형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양단의 단자간의 절연성을 높이고, 권선형 트랜스를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코어가 삽입된 보빈(102, 104)에는 1차 권선(110)과 2차 권선(M1, M2)이 장착되어 있다. 보빈(102, 104)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단자대(B1)를 설치하고, 2차 권선(M1, M2)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S1, S2, S3, S4)가 고압 단자 배치측의 단자대(B1)에 부착된다. 보빈(102, 104)에 장착한 2차 권선(M1, M2)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A, B)가, 보빈(102, 104)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남겨 둔, 후방의 저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된다. 제2단자(A, B)는 접지 단자로서 사용된다. 상기 권선형 트랜스의 2차측의 고압 출력으로써 냉음극형 형광 램프 등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장치를 구성하고, 1차 권선(110)을 교류 신호 출력 회로에 접속하고, 제2단자(A, B)를 접지하고, 제1단자(S1, S2, S3, S4)를 냉음극형 형광 램프 등의 램프에 접속한다.

Description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WINDING TYPE TRANSFORMER AND POWER SOURCE UTILIZING WINDING TYPE TRANSFORMER}
도 1은, 본 발명의 권선형 트랜스의 일부를 생략한 설명도.
도 2는, 도 1의 도면의 분해 외관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권선형 트랜스의 보빈의 외관 설명도.
도 6은, 권선형 트랜스의 코어의 설명도.
도 7은, 권선형 트랜스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권선형 트랜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권선형 트랜스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회로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회로 설명도.
도 18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2 : 코어 184 : 1차용 보빈
186 : 단자대 188, 189 : 1차 입력 단자
192 : 1차 권선 190, 194 : 2차용 보빈
196 : 파티션 198, 200 : 2차 권선
202, 204 : 2차용 보빈의 단자대 206, 208, 210, 212 : 2차 고압 단자
214, 216, 218, 220 : 접지 단자 128 : 커넥터
52, 54, 56, 58 : FET 스위칭 소자
60, 62, 64, 66 : 전류(轉流) 다이오드
68, 70, 72, 74 : 게이트 제어회로 76 : PWM 제어회로
78 : 로직 회로 46 : 램프
80 : 관전류(管電流) 검출회로
44 : 1 입력 8 출력형의 권선형 트랜스
51 : 위상 검출회로 84 : 조광(調光) 제어회로
86 : 과전류 검출회로 88 : 기동(起動) 보상회로
100 : 트랜스 102, 104 : 보빈
B1, B2 : 단자대 M1, M2 : 2차 권선
108 : 코어 S1, S2, S3, S4 : 단자
110 : 1차 권선
본 발명은, 냉음극형 형광 램프 등을 구동하는 인버터 등에 사용되는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출력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전형 램프 등의 구동 회로에 사용되는 권선형 트랜스는, 일반적으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C)에 보빈(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1차 권선(P)과 2차 권선(S)이 장착되고, 트랜스의 입력측의 단자대에, 1차 권선(P)에 접속되는 1차 입력 단자(Tl, T2), 출력측의 단자대에, 2차 권선(S)의 양단에 접속되는 2차 출력 단자(T3, T4)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상에 권선형 트랜스를 설치하고, 이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하여 냉음극형 형광 램프 등의 방전형 램프를 구동하는 경우, 권선형 트랜스는 그 2차 출력 단자가 최단 거리로 프린트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에 대향하도록 프린트 기판상에 부착되고, 커넥터를 통하여 2차 출력측이 램프에 접속된다. 권선형 트랜스의 출력측이 커넥터에 대향 배치되면, 2차 권선의 양단에 접속하는 2차 출력 단자간의 전위차가 크므로, 양자간에 충분한 절연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2차 권선의 일단(一端)에 접속되는 고압측의 2차 출력 단자 및 이것에 접속되는 리드(lead) 선과, 2차 권선의 타단(他端)에 접속되는 2차 출력 단자 및 이것에 접속되 는 리드 선과의 사이의 절연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하여, 프린트 기판에 절연용의 홈을 형성하고, 2차 출력 단자간에 에어 갭을 형성하는 것 등이 실행되고 있지만, 2차 출력 단자간에 방전이 일어나거나, 양자간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고, 프린트 기판상을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어서, 반드시 안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선형 트랜스는, 코어가 삽입된 보빈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장착되어 있다.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단자대를 설치하고,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1단자가 고압 단자 배치측의 단자대에 부착된다. 보빈에 장착한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2단자가,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남겨 둔, 후방의 저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된다. 제2단자는 접지 단자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권선형 트랜스를 고압 단자 배치측과 저압 단자 배치측으로 분할할 수 있고, 권선형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양단의 단자간의 절연성을 높이고, 권선형 트랜스를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선형 트랜스의 2차측의 고압 출력으로써 냉음극형 형광 램프 등의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1차 권선을 교류 신호 출력 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하고, 상기 제1단자를 램프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82는 코어이고, [ 형상과 ] 형상의 2개의 코어가 접합되어 4각형의 프레임 형상의 코어를 구성하고 있다. 코어(182)의 평행 부분의 한 쪽에는, 1차용 보빈(184)이 삽입 배치되어 있다. 1차용 보빈(184)의 중앙에는, 단자대(186)가 고정되고, 그 단자대(186)에 1차 입력 단자(188, 18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빈(184)에는, 1차 권선(192)이 장착되고, 그 1차 권선(192)의 양단은 리드 선을 통해서 1차 입력 단자(188, 18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1차용 보빈(184)의 외측에는, 단자대(186)의 양측에 위치하여, 1쌍의 2차용 보빈(190, 194)이 삽입 배치되어 있다. 2차용 보빈(190, 194)의 각각의 일단의 파티션(partition)(196)이, 단자대(186)의 양 측면에 맞닿아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2차용 보빈(190, 194)의 파티션(196)은,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2차용 보빈(190, 194)에는, 2중으로 한 2개의 선(a, b)에 의해서, 2차 권선(198, 200)이 감겨져 있다. 2중선으로 된 2차 권선(198, 200)의 권선 시단(始端)은, 리드 선을 통하여, 2차용 보빈(190, 194)의 각각의 단자대(202, 204)에 설치된 2차 고압 단자(206, 208, 210, 212)에 접속되고, 권선 종단(終端)은, 리드 선을 통하여, 접지 단자(214, 216, 218, 220)에 접속되어 있다.
2차 권선(198과 2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있고, 권수(卷數)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단자(206, 208, 210, 212)는, 프린트 기판(도시 생략)상에 권선형 트랜스를 설치했을 때, 프린트 기판에 설치된, 냉음극형 형광 램프 등의 램프에 접속하는 커넥터(128)와, 최단 거리로 대면하는 측( 고압 단자 배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2차 권선의 접지 단자(214, 216, 218, 220)는, 상기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남겨 둔 후방의 저압 단자 배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2차 단자의 배치에 의해서, 권선형 트랜스는, 라인 G를 기준으로 하여, 도 1에서, 상측이 고압 영역 E, 하측이 저압 영역 F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2차 단자(206, 208)와, 2차 단자(210, 212)는, 서로 역상(逆相)으로 되어 있어서, 한 쪽이 플러스일 때 다른 쪽은 마이너스의 관계에 있다. 물론, 2차 단자(206, 208)와, 2차 단자(210, 212)는, 서로 동상(同相)이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1차 권선(192)과 2차 권선(198, 200)과의 관계는, 보빈의 2층 구조에 있어서, 1차 권선의 양측에 2차 권선(198, 200)이 배치되게 되어서, 단순한 구조로써 다출력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차 권선을 구성하는 2중의 평행선에는 고압이 걸리지만, 이 고압은 서로 동일한 전위이므로, 평행 2차 권선간에 단락이나 전류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코어(182)의 다른 쪽의 평행 부분(182a)도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코어(182)를 도 1에서, 상하 대칭의 구조로 한 경우에는, 1차측을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하고, 8개의 출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2차 권선의, 권선의 개수를 3개 또는 4개 등으로 함으로써, 추가로 다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형태의 다출력형 권선 트랜스(44)는, 도 3에 나타내는 자려(自勵) 발진 회로에 의해서 구동된다. 병렬 권선으로써, 다출력 구조의 권선 트랜스를 구성하는 경우, 보빈의 2층 구조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구조의 보빈에 2차 권선을 병렬 권선으로 하여 다출력형 권선 트랜스를 구성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풀 브리지(full bridge)형 자려 발진 회로로써 1 입력 8 출력형 권선 트랜스를 구동하는 전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52, 54, 56, 58은 FET로 구성된 스위칭 소자이고, 각각의 스위칭 소자의 소스, 드레인간에는 전류(轉流) 다이오드(60, 62, 64, 66)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52, 54, 56, 58)의 각각의 게이트에는 게이트 제어회로(68, 70, 72, 74)가 접속되고, 이것들 중, 게이트 제어회로(68, 72)는 PWM 제어회로(76)에 접속되고, 게이트 제어회로(70, 74)는 로직 회로(78)에 접속되어 있다. PWM 제어회로(76)는, 램프(46)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관전류(管電流) 검출회로(8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의 레벨이 라인(82)으로부터 부여되는 설정치로 되도록, 스위칭 소자(52, 56)의 도통각(導通角)을 제어한다.
44는 기판(도시 생략)에 부착된 1 입력 8 출력형의 권선형 트랜스이고, 트랜스(44)의 출력측에는, 2개의 냉음극형 형광 램프(46)를 직렬로 접속한 램프의 쌍(L1, L2, L3, L4)이 4쌍, 배치되어 있다. 램프의 쌍(L1, L2, L3, L4)의 각각의 일단은, 권선형 트랜스(44)의 대응하는 1쌍의 2차측 권선의 고압 단자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2차측 권선(S1, S3, S5, S7)의 각각의 일단은, 각각 전류 검출 저항(RS)을 통해서 접지되고, 2차측 권선(S2, S4, S6, S8)은 리드 선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다. 각각의 저항(RS)의 일단은, 콘덴서(C)와 정류용 다이오드(D1)를 통해서 관전류 검출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위상 검출회로(51)는, 리드 선(27)을 통하여, LC 직렬 공진회로의 중점(中 点)(P)에 접속되어 있다. 로직 회로(78)는, 리드 선(27)에 접속된 위상 검출회로(51)로부터의 1차측 공진 위상 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PWM 제어회로(76)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회로(68, 72)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보내는 동시에, 게이트 제어회로(70, 74)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상 검출회로(51)는, LC 직렬 공진회로의 중점(P)의 위상 전압 신호로부터 90도 지연된 보정 위상 신호를 로직 회로(78)에 공급한다. 이 신호는, 1차측 LC 직렬 공진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위상으로 된다. 1차측 직렬 공진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콘덴서(CT)의 충전 전압이 직류 전원 전압에 도달해도, 트랜스(44)의 1차측 단자의 전압은 전기적으로 90도의 위상 시간이 경과한 후에 0 V를 초과하여 다시 저하하고, 다시 90도의 위상 시간이 경과하여 마이너스의 최대치가 된다.
이 때, 이 전압으로부터 90도 지연된 신호는 0 V가 되므로, 이 타이밍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온-오프한다. 로직 회로(78)는 이렇게 하여 번갈아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로직 회로(78)는, 조광(調光) 신호가 입력되는 조광 제어회로(84)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조광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광 제어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 온-오프의 버스트(burst) 제어와 PWM 제어회로(76)의 스위치 온 펄스 폭을 제어하여, 램프(46, 46)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과, 조광 신호에 따라서, 휘도 제로로부터 100%까지 임의의 값에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직 회로(78)에는 과전류 검출회로(86)가 접속되어서, 램프(46)에 과전류가 흘렀을 때, 로직 회로(78)는, 이것을 검출하여, 과전류를 저지하는 신호를 PWM 제 어회로(76)에 보내어 과전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동(起動) 보상회로(88)는, 램프(46)의 통전회로의 분류(分流) 저항(RS)에 각각 접속되어서, 각각의 램프의 쌍의 전류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동 보상회로(88)는, 전원 온-오프시, 자려 발진 회로가 확실하게 기동하도록, 기동 보상 신호를 위상 검출회로(51)에 입력한다. 위상 검출회로(51)는, 이 기동 보상 신호를 수신하여, 로직 회로(78)에 자려 발진을 위한 기동 신호를 출력한다. 기동 보상회로(88)는, 위상 검출회로(51)로부터 위상 보정된 신호가 로직 회로(78)에 입력되어서 트랜스 1차측에 전류가 로직에 의해서 결정된 방향으로 흘러도, 램프(46)가 방전을 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기동 보상회로(88)는, 이러한 경우의 기동 보상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확실하게 램프(46)를 점등시키기 위해서, 기동 보상회로(88)는, 램프(46)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램프(46)가 점등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점등되지 않았을 때는, 점등될 때까지 기동 보상 신호를 위상 검출회로(51)에 송출한다.
위상 검출회로(51)는 이 기동 보상 신호를 수신하여 램프(46)가 점등될 때까지 기동 신호를 로직 회로(78)에 출력한다. 조광 제어회로(84)에서는, 조광 신호 입력 전압이, 이 회로(84)에 내장된 삼각파 발진 회로의 출력 전압과 비교되어서, 소정의 주기의 버스트 조광 신호를 생성한다. 이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따라서, 전체의 로직 신호를 온-오프시켜서 결과적으로 밝기를 제어하고 있다. 이 방법은, 소등으로부터 완전 점등까지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지만, 램프(46)는 이 조광 신호의 주기로 온-오프되고 있으므로, 그 주기마다 기동 확인과 확실한 기동이 필요하 게 된다. 그 때문에, 기동 보상회로(88)는, 상기와 같이, 확실한 점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처음에 기동 보상 신호를 위상 검출회로(51)에 송출한다. 기동 보상의 동작을 설명하면, 처음으로 전원을 넣을 때나, 램프가 점등되어 있지 않을 때, 예로서, 전류가 I1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스위칭 소자(52와 58)를, 결정된 펄스 폭으로 온(ON)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콘덴서(CT)와 트랜스(44)의 1차 권선에 전류가 흘러서, 위상 검출회로(51)에 리드 선(27)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고, I2, I1, I2, I1으로 번갈아서 전류가 흘러서, 자려 발진 회로는, 검출한 공진 주파수로 발진을 개시한다. 기동 보상회로(88)는, 로직 회로(78)의 초기 재설정(기동시)도 실행한다. 만일 램프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는, 다시 재설정하고, 처음의 기동 신호를 위상 검출회로(51)를 통하여 로직 회로(78)에 대하여 송출한다. 램프 오픈 검출회로(90)는, 권선형 트랜스(44)의 2차측의 각각의 분류 저항(RS)에 접속되어서, 2차측의 관전류를 검출한다. 램프(46)가 끊어져서, 관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 즉 램프 오픈 상태일 때, 위상 검출회로(51)를 통하여 로직 회로(78)에 신호를 보내고, 로직 회로(78), PWM 제어회로(76) 및 게이트 제어회로(68, 70, 72, 74)로 구성되는 제어회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과전류 검출회로(86)는, PWM 제어회로(76)가 불량이거나, 또는, 램프(46)의 배선이 단락되었을 때 등에, 로직 회로(78)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회로를 차단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게이트 제어회로(68, 74 또는 72, 70)의 어느 하나에 PWM 제어회로(76) 및 로직 회로(78)로부터 온 신호가 순간적으로 공급되면, 직류 전원이 스위칭 소자(52, 58)를 통하여, I1의 방향으로, 또는, 스위칭 소자(56, 54)를 통하여, I2의 방향으로, 권선형 트랜스(44)의 1차측 권선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에 따라서, 자려 발진 회로가 기동하여, 권선형 트랜스(44)가 공진 전압을 발생한다. 권선형 트랜스(44)의 1차측의 공진 전압의 주파수는, 리드 선(27)에 의해서, 위상 검출회로(51)에 공급된다. 로직 회로(78)와 PWM 제어회로(76)는, 위상 검출회로(51)로부터의 위상 신호에 따라서, 게이트 제어회로(68, 70, 72, 74)를 구동하여, 스위칭 소자(52, 54, 56, 58)를 온-오프 제어한다.
스위칭 소자(52, 54, 56, 58)의 온-오프에 따라서, 전류는 I1과 I2의 방향으로 번갈아서 흐르고, 자려 발진 회로는, 권선형 트랜스(44)의 1차측 공진 주파수로 자려 발진한다. 각각의 램프의 쌍(L1, L2, L3, L4)의 각각의 양단 전극에는, 트랜스의 2차측 권선의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밝기에 있어서 불균일이 생기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이, 권선형 트랜스의 1차측에 입력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공진 전압이 취득되므로, 권선형 트랜스의 2차측의 권선수를 적게 할 수 있고, 2차측에 권선용의 스페이스의 여유가 생긴다. 이 스페이스의 증대에 의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병렬 권선이 가능하게 되어서, 다출력이 실현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권선형 트랜스는, 보통의 1 입력 1 출력형의 권선형 트랜스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1 입력 다출력형의 권선형 트랜스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트랜스(100)는, 1쌍의 서로 평행으로 결합된 보빈(102, 104) 을 구비하고, 각각의 보빈(102, 104)의 단자대(B1, B2) 사이에, 2중으로 된 2개의 선(a, b)에 의해서 2차 권선(M1, M2)이 서로 동일한 권수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1쌍의 보빈(102, 104)의 구멍(106)에는 공통의 코어(108)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코어(10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102, 104)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I형 코어(108b, 108c)와, 이것들에 접속하여, 폐자로(閉磁路)를 형성하는 결합 코어(108a)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대(B1)의 단자(S1, S2, S3, S4)에는, 2차 권선(M1, M2)의 각각의 권선 시단측(고압측)이 접속되고, 보빈(102)의 단자대(B2)의 단자 A와, 보빈(104)의 단자대(B2)의 단자 B에는, 2차 권선(M1, M2)의 각각의 권선 종단측(저압측)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보빈(102, 104)의 단자대(B2, B3) 사이에는, 1차 권선(110)이 감겨져 있다. 1차 권선(110)은, 보빈(102, 104)의 각각의 단자대(B2, B3) 사이에 감겨져서,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접속된 구성이나, 또는 보빈(102, 104)에 걸쳐서 감겨진 단일 구성 등,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차 권선(110)은, 도 3에 나타내는, 풀 브리지형 자려 발진 회로등의 인버터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된다.
역상의 단자(S1과 S4)와의 사이에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CCFL(냉음극형 형광 램프)로 된 2개의 램프(L1, L4)가 배치되어서, 한 쪽의 램프(L1)의 한 쪽의 전극은, 안정 콘덴서(ballast condenser)(C1)를 통하여, 단자(S1)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램프(L4)의 한 쪽의 전극은, 안정 콘덴서(C4)를 통하여, 단자(S4)에 접속되어 있다. 서로 역상의 단자(S2과 S3) 사이도 마찬가지로, 서로 직렬로 접속된 CCFL로 된 2개의 램프(L2, L3)가 배치되어서, 한 쪽의 램프(L2)의 한 쪽의 전극은, 안정 콘덴서(C2)를 통하여, 단자(S2)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램프(L3)의 한 쪽의 전극은, 안정 콘덴서(C4)를 통하여, 단자(S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단자 A는, 저항(RS)을 통하여, 접지되고, 단자 B도 마찬가지로, 저항(RS)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회로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한 것이다. 트랜스(100)의 1차측 권선(110)에 자려 발진 회로로부터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트랜스(100)의 2차측에 고전압이 발생한다. 단자(S1, S2)의 고출력 +HV와 단자(S3, S4)의 고출력 -HV는 서로 역상의 관계에 있어서, 램프(L1, L4 및 L2, L3)에 트랜스의 2차측에 의해서 고압이 인가된다. 램프(L1)와 램프(L4)의 접속점(01) 및 램프(L2)와 램프(L3)의 접속점(02)의 피상 전압은 제로 볼트가 된다.
트랜스(100)가 구동되면, 한 쪽의 보빈(102)의 단자(A)로부터, 한 쪽의 보빈(102)의 2차 권선(M1)을 통하고, 단자(S1), 안정 콘덴서(C1), 램프(L1), 램프(L4), 콘덴서(C4), 단자(S4), 다른 보빈(104)의 2차 권선(M1), 단자(B) 그리고 접지를 통하여, 단자(A)에 이르는 루프를 전류가 흐른다. 마찬가지로, 한 쪽의 보빈(102)의 단자(A)로부터, 한 쪽의 보빈(102)의 2차 권선(M2)을 통하고, 단자(S2), 안정 콘덴서(C2), 램프(L2), 램프(L3), 콘덴서(C3), 단자(S3), 다른 보빈(104)의 2차 권선(M2), 단자(B) 그리고 접지를 통하여, 단자(A)에 이르는 루프를 전류가 흐른다.
상기 루프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램프(L1, L2, L3, L4)의 관전류의 크기는 균일하게 된다. 보빈(102)의 2차 권선(M1과 M2), 및 보빈(104)의 2차 권선(M1과 M2)은, 동일 코어(108)상에 감겨 있으므로, 보빈(102)의 2차 권선(M1과 M2)을 흐르는 전류는 동일하게 되어 분류 동작 즉 전류 밸런스 동작이 작용한다. 보빈(104)의 2차 권선(M1과 M2)에서도 동일한 분류 동작(전류 밸런스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서, 최종적으로는, 4개의 램프(L1∼L4)를 흐르는 각각의 전류는 동일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트랜스(100)는, 프린트 기판상에 설치되어서, 램프(L1∼L4)에 접속하는 커넥터(도시 생략)와 최단 거리로 대면하는 측의 단자대(B1)가 고압 단자 배치측에 배치되고,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방에, 단자대(B2)가 배치되고, 라인 G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이 고압 영역 E, 좌측이 저압 영역 F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는 1쌍의 냉음극형 형광 램프는, 예로서, 도 4에서, 램프(L1)와 램프(L4), 램프(L2)와 램프(L3)는, 각각 U형의 구부러진 긴 1개의 냉음극형 형광 램프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S1, S2)에 대하여 단자(S3, S4)가 역상(逆相)인 실시형태에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동상이라도 좋다.
도 9는, 단자 A, B간에 분류 트랜스(전류 평형기)(112)를 배치하고, 단자 A를 분류 트랜스(112)의 한 쪽의 권선(114)의 일단에 접속하고, 권선(114)의 타단을 접지하고, 단자 B를 분류 트랜스(112)의 다른 쪽의 권선(116)의 타단에 접속하고, 그 권선(116)의 일단을 접지하고 있다. 도 9의 기타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내는 회로와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해서, 램프(L1, L2, L3, L4)의 관전류를 더욱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단자 A, B를 분류 트랜스(118)의 각각의 권선(120, 122)의 일단에 접속하고, 분류 트랜스(118)의 각각의 권선(120, 122)의 타단을 공통으로 하여, 접지에 접속하고 있다. 이 접속으로써도, 도 9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관전류의 검출도, 트랜스(100)의 권선의 분류 저항으로부터 최종의 강하 전 압을 검출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2차 권선의 평행 권선의 선(와이어)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를 다수 개, 평행 권선으로 해도 좋고, 또한, 램프의 직렬 접속도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을 직렬로 접속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빈을 2개 사용하여, 도 4와 같이, 2차 권선(M1, M2)이 4개, 1차 권선(P)이 2개로써 램프 4개의 구성으로 했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1개를 사용하여, 2차 권선이 2개, 1차 권선이 1개로써 램프 2개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1에 있어서, 트랜스(100)의 구성은, 도 4의 트랜스(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트랜스(100)를 보빈(102, 104)마다 별개로 한 2개의 트랜스로 해도 좋다. 각각의 트랜스는, 보빈(102, 104)마다 1차 권선(110)이 장착되고, 각각의 1차 권선(110)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다. 2개의 램프(L1, L2)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한 쪽의 램프(L1)의 한 쪽의 전극은, 안정 콘덴서(C1)를 통하여 단자(S1)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램프(L2)의 한 쪽의 전극은 안정 콘덴서(C2)를 통하여, 단자(S2)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램프(L1, L2)의 다른 쪽의 전극은,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램프(L3, L4)의 접속도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으로써도,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트랜스(100)의 2차 권선의 그룹마다 램프의 휘도에 다소의 편차가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램프(L1과 L2)는 휘도가 동일하게 되고, 램프(L3과 L4)는 휘도가 동일하게 된다. 상기 램프 그룹마다의 휘도의 편차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류 트랜스(120)를 추가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분류 트랜스(120)의 권선(122, 124)의 각각의 일단은, 각각, 램프(L1, L2)의 공통 접속점(126)과, 램프(L3, L4)의 전극의 공통 접속점(128)에 접속되고, 권선(122, 124)의 각각의 타단은,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램프(L1, L2)의 전극은, 각각, 안정 콘덴서(C1, C2)를 통하여, 트랜스(100)의 단자(S1, S2)에 접속되고, 램프(L3, L4)의 전극은, 각각 안정 콘덴서(C3, C4)를 통하여, 트랜스(100)의 단자(S3, S4)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다. 분류 트랜스(전류 평형기)(120)의 권선(122, 124)은 서로 역상으로 감겨져 있고, 권선(122, 124)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도록 동작하여, 이 트랜스의 분류 동작(전류 밸런스 동작)에 의해서, 램프(L1, L2, L3, L4)를 흐르는 관전류가 균일하게 된다.
도 13은, 트랜스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평행 권선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코어(130)가 내장된 보빈(132)에 절연재(134)를 사이에 두고, 제1의 2차 권선(136)을 적층하여 감고, 이 제1의 2차 권선(136) 위에, 절연재(138)를 사이에 두고, 제1의 2차 권선(136)과 동일한 권수로, 제2의 2차 권선(140)을 적층하여 감아서, 도 4의 2개의 권선(a, b)에 상당하는, 제1과 제2의 2차 권선(136, 140)을, 적층 구조로 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의 2차 권선(136)을 2개 이상의 선으로 구성되는 바이파일러(bifilar) 감기로 하고, 마찬가지로 제2의 2차 권선(140)을 2개 이상의 선으로 구성되는 바이파일러 감기로 해도 좋다. 도 13에 있어서, 제1과 제2의 2차 권선(136, 140)을 각각 2개의 와이어(선)로써 구성하면, 1 입력 4 출력의 권선형 트랜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2는 권선형 트랜스(44)의 보빈(절연체)이고, 그 각통부(角筒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4각형의 절연 내압용의 판상의 파티션(4, 6, 8, 10, 12, 14)이 복수 설치되어서, 보빈(절연체)(2)상에, 권선용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보빈(절연체)(2)의 축방향의 양단에는 그 보빈(절연체)(2)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자대(16, 18)가 부착되고, 이것에 단자(20, 22, 24, 26, 28, 3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단자중, 단자(24, 30)는, 라인 G의 우측의, 트랜스(44)의 고압측에 배치되고, 단자(20, 22, 26, 28)는, 라인 G의 좌측의, 저압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빈(절연체)(2)의 일단측의 단자대(16)에는, 그 한 쪽에 2차 고압 단자(24)가 배치되고, 그 다른 쪽에, 1차 입력 단자(22)와 2차 접지 단자(20)가 배치되어 있다. 1차 입력 단자(22)와 접지 단자(20)는, 2차 고압 단자(24)의 고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될 수 있는 한 떨어져서, 단자대(16)의 다른 쪽에 배치되어 있다. 보빈(절연체)(2)의 타단측의 단자대(18)에는, 그 한 쪽에 2차 고압 단자(30)가 배치되고, 이 곳으로부터 될 수 있는 한 떨어진 다른 쪽에 1차 입력 단자(28)와 2차 접지 단자(2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대(16, 18)의 상기 단자(20, 22와 26, 28) 부착측에 형성된 가이드 부착 홈(16a, 18a) 사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절연체로 된 차폐체(34)가 설치되고, 그 차폐체(34)의 오목부가, 대응하는 파티션(4, 6, 8, 10, 12, 14)의 외측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상기 차폐체(34)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보빈(절연체)(2)과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개방된 홈 으로 형성된 리드 선 가이드부(34a)가 설치되어 있다.
보빈(절연체)(2)의 중앙의 파티션(8, 10)으로 둘러싸인 오목부에는, 일단측 A를 권선 시단으로 하여, 1차 권선(32)이 예로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1차 권선(32)의 권선 시단측 A의 리드 선(32a)은, 차폐체(34)에 형성된, 구멍(36)을 통하여, 차폐체(34)의 리드 선 가이드부(34a)내에 배치되고, 이 리드 선 가이드부(34a)를 통하여, 보빈(절연체)(2)의 일단측에 인도되어서, 단자대(16)에 형성된 안내 홈을 통하여 1차측 입력 단자(22)에 접속되어 있다. 1차 권선(32)의 종단측 D의 리드 선(32a)은, 차폐체(34)에 형성된, 구멍(38)을 통하여, 차폐체(34)의 리드 선 가이드부(34a)내에 배치되고, 이 리드 선 가이드부(34a)를 통하여, 보빈(절연체)(2)의 타단측에 인도되어서, 단자대(18)에 형성된 안내 홈을 통하여 1차측 입력 단자(28)에 접속되어 있다. 보빈(절연체)(2)상의 1차 권선(32)의 한 쪽에는, 보빈(절연체)(2)의 일단측 B를 권선 시단으로 하여, 제1의 2차 권선(39)이 시계 방향으로, 단자대(16)와 파티션(4)의 사이, 파티션(4)과 파티션(6)의 사이, 파티션(6)과 파티션(8)의 사이의 각각의 오목부에 순차적으로 권선되어 있다.
2차 권선(39)의 중간을 복수의 파티션(4, 6, 8)으로써 구획한 것은, 2차 권선(39)의 절연 내압을 고려한 것이다. 제1의 2차 권선(39)의 권선 시단측 B의 리드 선(39a)은, 단자대(16)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2차 고압 단자(24)에 인도되어서, 이것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2차 권선(39)의 종단측 C의 리드 선(39b)은, 구멍(36)을 통하여 차폐체(34)의 리드 선 가이드부(34a)내에 배치되고, 리드 선(32a)과 함께 이 리드 선 가이드부(34a)를 통하여, 보빈(절연체)(2)의 일단측에 인도되어 서, 단자대(16)에 형성된 안내 홈을 통하여 2차측 접지 단자(20)에 접속되어 있다. 보빈(절연체)(2)의 중앙의 1차 권선(32)의 다른 쪽에는, 파티션(10)과 접하는 측 D를 권선 시단으로 하여, 제2의 2차 권선(41)이 시계 방향으로, 파티션(10)과 파티션(12)의 사이, 파티션(12)과 파티션(14)의 사이, 파티션(14)과 단자대(18)의 사이의 각각의 오목부에 순차적으로 권선되어 있다.
1차 권선(32)의 좌우에 대칭으로 배치된 제1과 제2의 2차 권선(39, 41)은 동일한 구조이다. 제2의 2차 권선(41)의 종단측 E의 리드 선(41b)은, 단자대(18)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2차 고압 단자(30)에 인도되어서, 이것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2차 권선(41)의 권선 시단측 D의 리드 선(41a)은, 구멍(38)을 통하여 차폐체(34)의 리드 선 가이드부(34a)내에 배치되고, 1차 권선(32)의 리드 선(32a)과 함께 이 리드 선 가이드부(34a)를 통하여, 보빈(절연체)(2)의 타단측에 인도되어서, 단자대(18)에 형성된 안내 홈을 통하여 2차측 접지 단자(26)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권선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파티션(8)과 파티션(10) 사이의 1차측 권선(32)의 양단은 2차 권선(39, 41)의 전압이 낮은 접지측과 접하게 되고, 인접하는, 1차 권선(35)의 전압과 2차 권선(39, 41)의 전압과의 차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1차 권선(32)과 2차 권선(39, 41)과의 사이의 절연 내압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1차 권선(32)과, 2차 권선(39, 41)의 접지측과의 사이는, 전위차가 작으므로, 공통의 리드 선 가이드부(34a)내에, 양자, 즉, 1차 권선과 2차 접지측의 리드 선을 평행으로 배치해도 절연 내압에 문제는 없다. 또한, 차폐체(34)에 복수의 리드 선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리드 선을 1개씩 리드 선 가이드부 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42는 코어로서, 2개의 E형 코어가 접합되어서 구성되고, 외측 가장자리 부분이 보빈(절연체)(2)의 외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코어(42)의 내측 부분(42a)이 보빈(절연체)(2)의 통부(筒部)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권선형 트랜스(44)는, 1 입력 2 출력을 구성하고, 이 트랜스를 이용하여 2개의 냉음극 형광 램프(46, 46)를 밝기에 있어서 명암의 불균일이 없는 상태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램프(46, 46)는, 양단이 2차 권선(39, 41)의 고압측에 접속되므로, 램프의 양단에 밝기의 차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상기한 1 입력 2 출력 권선형 출력 트랜스(44)는, 고압 단자(24과 30)가 서로 역상의 관계에 있고, 이 트랜스의 1차측에 직렬 또는 병렬 공진회로를 구성하여, 트랜스의 1차측에서 공진 전압을 발생시키는 자려 발진 회로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트랜스의 1차측에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이 발생함으로써, 2차측의 권선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종래의 1 입력 1 출력의 권선형 트랜스와 동일한 크기로 2 출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1 입력 2 출력 권선형 트랜스는, 트랜스의 중앙부에 일차 코일과 코어에 의한 발열이 집중되지만, 이 발열은 트랜스의 중앙부에 발생하므로, 2차 권선과의 결합 밸런스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서, 트랜스가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종래의 1 입력 1 출력의 권선형 트랜스와 같이, 발열이 트랜스의 한쪽에 집중되면, 1차 권선과 2차 권선과의 결합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효율화의 방해가 된다.
이어서, 권선형 트랜스(44)의 1차측에 공진 전압을 발생시키는 자려 발진 회로로써 권선형 트랜스(44)를 구동하는 실시형태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 려 발진 회로는, 도 3에 나타내는 회로와 동일하므로, 자려 발진 회로에 대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회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서, 52, 54, 56, 58은 FET로 구성된 스위칭 소자이고, 각각의 스위칭 소자의 소스, 드레인간에는 전류(轉流) 다이오드(60, 62, 64, 66)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52, 54, 56, 58)의 각각의 게이트에는 게이트 제어회로(68, 70, 72, 74)가 접속되고, 이것들 중, 게이트 제어회로(68, 72)는 PWM 제어회로(76)에 접속되고, 게이트 제어회로(70, 74)는 로직 회로(78)에 접속되어 있다. PWM 제어회로(76)는, 램프(46)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관전류 검출회로(8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의 레벨이 설정치로 되도록, 스위칭 소자(52, 56)의 도통각을 제어한다. 트랜스(44)는, 프린트 기판(도시 생략)에 부착되어서, 2개의 냉음극형 형광 램프(46, 46)가 직렬로 접속되고, 형광 램프(46, 46)의 각각의 일단은, 권선형 트랜스(44)의 2차측 코일(39, 41)의 고압 단자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2차측 권선(39, 41)의 각각의 일단은, 각각 저항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한 쪽의 저항(48)은, 전류 검출회로를 구성하고, 리드 선을 통하여, 램프 오픈ㆍ램프 단락 검출회로(90)와 기동 보상회로(88)에 접속되어 있다. 위상 검출회로(51)는, 리드 선(27)을 통하여, LC 직렬 공진회로의 중점(P)에 접속되어 있다. 로직 회로(78)는, 리드 선(27)에 접속된 위상 검출회로(51)로부터의 1차측 공진 위상 신호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PWM 제어회로(76)를 통하여 게이트 제어회로(68, 72)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보내는 동시에, 게이트 제어회로(70, 74)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상 검출 회로(51)는, LC 직렬 공진회로의 중점(P)의 위상 전압 신호로부터 90도 지연된 보정 위상 신호를 로직 회로(78)에 공급한다. 이 신호는, 1차측 LC 직렬 공진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위상으로 된다. 1차측 직렬 공진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콘덴서(CT)의 충전 전압이 직류 전원 전압에 도달해도, 트랜스(44)의 1차측 단자의 전압은 전기적으로 90도의 위상 시간이 경과한 후에 0 V를 초과하여 다시 저하하고, 다시 90도의 위상 시간이 경과하여 마이너스의 최대치가 된다.
이 때, 이 전압으로부터 90도 지연된 신호는 0 V가 되므로, 이 타이밍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온-오프한다. 로직 회로(78)는 이렇게 하여 번갈아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자려 발진 회로는, 권선형 트랜스(44)의 1차측 공진 주파수로 자려 발진한다. 2개의 형광 램프(46, 46)의 각각의 양단 전극에는, 트랜스의 2차측 권선의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밝기에 있어서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권선형 트랜스(44)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에 올바른 방향으로 고정되면, 보빈(절연체)(2)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자대(16, 18)의 우측에, 보빈(절연체)(2)을 사이에 두고, 2차 고압 단자(24, 30)가 병렬로 배치되고, 좌측에, 접지 단자(20, 26)와, 1차 입력 단자(22, 28)가 보빈(절연체)(2)을 사이에 두고 병렬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권선형 트랜스(44)에, 커넥터(128)를 통하여 램프(46, 46)를 최단 거리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고, 트랜스(44)와 램프(46, 46) 사이의 접속 배선 및 자려 발진 회로와의 접속 배선을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권선형 트랜스의 우측에 고압 단자, 좌측에 저압 단자가 배치되므로, 트랜스의 고압측 E와 저압측 F와의 가장자리 면 거리를 넓힐 수 있고, 트랜스의 안정적 동작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권선형 트랜스(100)는, 도 4에 나타내는 트랜스(100)와 거의 동일하지만, 도 16에 나타내는 트랜스(100)의 단자대(B2)에는, 보빈(102, 104)마다, 2개씩, 단자(Ql, Q2와 Q3, Q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Ql, Q4)에는, 보빈(102, 104)측의 2차 권선(M1)의 종단이 각각 접속되고, 단자(Q2, Q3)에는, 보빈(102, 104)측의 2차 권선(M2)의 종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단자(Q2, Q4)는, 서로 접속되고, 각각 저항(RS)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다. 단자(Ql, Q3)도 마찬가지로 서로 접속되고, 각각 저항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다. 상기 배선에 의해서, 램프 구동 회로는, 단자(S1)를 시점이라고 가정하면, 단자(S1), 램프(L1), 램프(L4), 단자(S4), 단자(Q4), 단자(Q2), 단자(S2), 램프(L2), 램프(L3), 단자(Q3), 단자(Q1)를 거쳐서, 단자(S1)에 되돌아오는 1개의 폐루프 전류로가 형성되어서, 램프(L1∼L4)에는 동일한 전류가 흐르고, 각각의 램프의 휘도가 균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권선형 트랜스를 고압 단자 배치측과 저압 단자 배치측으로 분할할 수 있고, 권선형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양단의 단자간의 절연성을 높이고, 권선형 트랜스를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다.

Claims (11)

  1. 코어가 삽입된 보빈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장착한 트랜스로서, 그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단자대를 설치하고, 상기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를 상기 고압 단자 배치측의 단자대에 부착하고, 보빈에 장착한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를 상기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남겨 둔 후방의 저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 단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형 트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은, 통상(筒狀)으로 감긴 2차 권선의 축방향의 일단측(一端側)이고, 상기 저압 단자 배치측은, 2차 권선의 축방향의 타단(他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형 트랜스.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보빈을 병렬로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그 2개의 보빈에 각각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직렬로 장착하고, 상기 1차 권선에 접속하는 입력 단자를 상기 각각의 보빈의 타단측의 단자대에 부착하고, 각각의 보빈의 각각의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를 상기 각각의 보빈의 일단에 부착한 단자대에 부착하고, 각각의 보빈의 각각의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경계에 설치한 단자대에 부착하고, 상기 보빈의 일단을 고압 단자 배치측으로 하고, 상기 2차 권선과 1차 권선의 경계를 저압 단자 배치측으로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형 트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보빈에 장착된 2차 권선은 권수(卷數)가 동일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감겨서, 상기 고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된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역상(逆相)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형 트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을 복수 평행으로 배치한 와이어로 구성하고, 그 와이어의 각각의 일단에 각각 제1단자를 접속하고, 각각의 와이어의 타단에 각각 제2단자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형 트랜스.
  6. 코어가 삽입된 보빈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장착하고, 그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단자대를 설치하고, 상기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를 상기 고압 단자 배치측의 단자대에 부착하고, 보빈에 장착한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를 상기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남겨 둔 후방의 저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 단자로 한 권선형 트랜스의 2차측의 고압 출력으로써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1차 권선을 교류 신호 출력 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하고, 상기 제1단자를 램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7. 코어가 삽입된 보빈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장착하고, 그 보빈의 고압 단 자 배치측에 단자대를 설치하고, 상기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를 상기 고압 단자 배치측의 단자대에 부착하고, 보빈에 장착한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를 상기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에 대하여 소정 거리를 남겨 둔 후방의 저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 단자로 하고, 상기 보빈의 고압 단자 배치측은, 통상(筒狀)으로 감긴 2차 권선의 축방향의 일단측이고, 상기 저압 단자 배치측은, 2차 권선의 축방향의 타단인 권선형 트랜스의 2차측의 고압 출력으로써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1차 권선을 교류 신호 출력 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하고, 상기 제1단자를 램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8. 코어가 삽입된 2개의 보빈을 병렬로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그 2개의 보빈에 각각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직렬로 장착하고, 상기 1차 권선에 접속하는 입력 단자를 상기 각각의 보빈의 타단측의 단자대에 부착하고, 각각의 보빈의 각각의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를 상기 각각의 보빈의 일단에 부착한 단자대에 부착하고, 각각의 보빈의 각각의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경계에 설치한 단자대에 부착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 단자로 하고, 상기 보빈의 일단을 고압 단자 배치측으로 하고, 상기 2차 권선과 1차 권선의 경계를 저압 단자 배치측으로 한 권선형 트랜스의 2차측의 고압 출력으로써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1차 권선을 교류 신호 출력 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하고, 상기 제1단자를 램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9. 코어가 삽입된 2개의 보빈을 병렬로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그 2개의 보빈에 각각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직렬로 장착하고, 상기 1차 권선에 접속하는 입력 단자를 상기 각각의 보빈의 타단측의 단자대에 부착하고, 각각의 보빈의 각각의 2차 권선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단자를 상기 각각의 보빈의 일단에 부착한 단자대에 부착하고, 각각의 보빈의 각각의 2차 권선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단자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경계에 설치한 단자대에 부착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 단자로 하고, 상기 보빈의 일단을 고압 단자 배치측으로 하고, 상기 2차 권선과 1차 권선의 경계를 저압 단자 배치측으로 하고, 상기 2개의 보빈에 장착된 2차 권선은 권수가 동일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서, 상기 고압 단자 배치측에 부착된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역상이 되도록 한 권선형 트랜스 2차측의 고압 출력으로써 램프를 구동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1차 권선을 교류 신호 출력 회로에 접속하고, 상기 제2단자를 접지하고, 상기 제1단자를 램프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형 트랜스의 2차 권선을 복수 평행으로 배치한 와이어로 구성하고, 그 와이어의 각각의 일단에 각각 제1단자를 접속하고, 각각의 와이어의 타단에 각각 제2단자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형 트랜스 및 이것에 교류 신호를 입력하는 회로를 프린트 기판상에 부착하고, 프린트 기판상에 램프와 접속하는 커넥터를 부착하 고, 상기 권선형 트랜스의 고압 단자 배치측을 상기 커넥터에 대향 배치하고, 상기 제1단자를 상기 커넥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KR1020050039676A 2004-06-21 2005-05-12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 KR20060047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2575 2004-06-21
JPJP-P-2004-00182575 2004-06-21
JPJP-P-2005-00029912 2005-02-07
JP2005029912A JP2006041469A (ja) 2004-06-21 2005-02-07 巻線型トランス及び巻線型トランスを使用した電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08A true KR20060047808A (ko) 2006-05-18

Family

ID=3494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676A KR20060047808A (ko) 2004-06-21 2005-05-12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50280492A1 (ko)
EP (1) EP1610351A2 (ko)
JP (1) JP2006041469A (ko)
KR (1) KR20060047808A (ko)
TW (1) TW2006013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191A (ja) * 2005-07-12 2007-02-01 Minebea Co Ltd トランス
US20070139152A1 (en) * 2005-12-21 2007-06-21 Chun-Kong Chan Balanced transformer having an auxiliary coil
TWI298505B (en) * 2006-01-11 2008-07-0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having auxiliary winding coil for sensing magnetic flux balance and driving circuit using the same
KR20070109223A (ko) * 2006-05-10 2007-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JP4870484B2 (ja) * 2006-06-26 2012-02-0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100843446B1 (ko) * 2007-03-21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집적형 트랜스포머
US8058809B2 (en) * 2007-07-02 2011-11-15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balancing current among multiple loads
KR20090061994A (ko) * 2007-12-12 200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015652B1 (ko) * 2008-03-31 2011-02-22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형 다출력 트랜스포머
JP2010212395A (ja) * 2009-03-10 2010-09-24 Hanshin Electric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TWI401709B (zh) * 2009-04-01 2013-07-11 Delta Electronics Inc 具漏感之變壓器結構
US20110176282A1 (en) * 2010-01-20 2011-07-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common mode filter used therefor
US10262780B2 (en) * 2014-05-12 2019-04-16 Flir Detection, Inc. Analytical instrument indu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CN106252031B (zh) * 2015-06-12 2020-08-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磁性器件及使用该磁性器件的功率变换装置
CN105097235A (zh) * 2015-08-19 2015-11-25 江西省高新超越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可增加安全距离的变压器骨架
ITUB20160930A1 (it) * 2016-02-22 2017-08-22 Sit Spa Struttura di motore elettrico in particolare per ventilatori per aria di combustione, o per miscela aria/gas di combustione, in bruciatori a gas, gruppo statorico per tale struttura di motore elettrico e procedimento di assemblaggio per tale gruppo statorico
CN109671561A (zh) * 2018-07-20 2019-04-23 中山市盈兴电子有限公司 一种变压器骨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9223C (ko) * 1973-10-10
FR2662258B1 (fr) * 1990-05-17 1992-09-11 Valeo Vision Circuit de mesure de la puissance instantanee aux bornes d'une charge non reactive comme une lampe a decharge, et circuit d'eclairage notamment pour vehicules utilisant un circuit de mesure.
US5847518A (en) * 1996-07-08 1998-12-08 Hitachi Ferrite Electronics, Ltd.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econdary coil windings on opposing bobbins
TWI222266B (en) * 2002-02-14 2004-10-11 Kazuo Kohno Self oscillation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1469A (ja) 2006-02-09
EP1610351A2 (en) 2005-12-28
US20070030109A1 (en) 2007-02-08
TW200601359A (en) 2006-01-01
US20050280492A1 (en)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808A (ko) 권선형 트랜스 및 권선형 트랜스를 사용한 전원장치
JP4509544B2 (ja) 巻線型トランス及びこの巻線型トランスを使用した電源装置
EP1397028B1 (en) Ballast for a plurality of discharge lamps
US20020176268A1 (en) Inverter transformer
EP1671521B1 (en) A current sharing scheme and device for multiple ccf lamp operation
US7567039B2 (en) Multiple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20060255900A1 (en) Transformers
KR100867552B1 (ko)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
US5675491A (en) Self-exciting push-pull inverter having reduced dielectric strength requirements
JP2001267156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US7541747B2 (en) Multiple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JP2005039050A (ja) 電源装置及び巻線型トランス
JP2005012176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放電灯点灯装置
KR100661356B1 (ko) 밸런스 코일 및 백 라이트 구동용 인버터
JP2005032940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放電灯点灯装置
JP2006041468A (ja) ランプ駆動用電源装置
US7696702B2 (en) Transformer, backligh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200416467Y1 (ko) 보조코일 권선부가 구비된 2-인-1 트랜스포머
JP2004247280A (ja) ランプ駆動用電源装置
JP2004228229A (ja) 巻線型トランス
JP2006040871A (ja) 照明器具駆動装置
JP2004207342A (ja) 巻線型トランス及びこの巻線型トランスを使用した電源装置
JP2005142458A (ja) 巻線型トランス及びこの巻線型トランスを使用した電源装置
JP3513583B2 (ja) バックライト用放電灯点灯装置
JP2007036191A (ja) 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