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787A -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787A
KR20060047787A KR1020050039586A KR20050039586A KR20060047787A KR 20060047787 A KR20060047787 A KR 20060047787A KR 1020050039586 A KR1020050039586 A KR 1020050039586A KR 20050039586 A KR20050039586 A KR 20050039586A KR 20060047787 A KR20060047787 A KR 20060047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uchi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steoporos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469B1 (ko
Inventor
린항칭
딩취오유야
장웬리앙
차오쉬언리안
후앙췬웬
린친리앙
Original Assignee
신파 파마세우티컬 코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파 파마세우티컬 코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신파 파마세우티컬 코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4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에서 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있어서 바쿠치올(bakuchiol)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도의 일실시예는 바쿠치올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고, 이러한 조성물은 국소, 경구, 주사 또는 서방형 방출 투여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성에서 유방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있어서 바쿠치올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쿠치올, 유방암, 골다공증

Description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akuchiol for Treating Woman Osteoporosi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바쿠치올의 근위 경골(proximal tibia(trabecular bone dominant))의 골부피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여기서, 바(Bar)들은 평균을 나타내며, 에러바(error bar)들은 평균+/-1.0 표준편차(SD)를 나타낸다.
도 2는 바쿠치올의 경골의 겉보기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여기서, 바(Bar)들은 평균을 나타내며, 에러바(error bar)들은 평균+/-1.0 표준편차(SD)를 나타낸다.
도 3은 바쿠치올의 근위 경골의 침식(erosion) 표면에 미치는 영향(ES/BS, %)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여기서, 바(Bar)들은 평균을 나타내며, 에러바(error bar)들은 평균+/-1.0 표준편차(SD)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바쿠치올(bakuchiol)을 포함하고 여성에서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 또는 유방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성에서 골다공증 또는 유방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보골지(Psoraleae fructus)는 개암풀(Psoralea corylifolia)의 여문 열매로서 한방에서 전통적으로 강장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보골지는 문헌에서 약제학적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많은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보골지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화학성분은 지질 이외에 프소랄렌, 이소프소랄렌 및 바쿠치올(bakuchiol)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 중 페놀 테르펜 구조를 갖는 바쿠치올은 과거에 많은 관심을 받았다. 바쿠치올과 관련된 수 많은 논문에 따르면, 바쿠치올은 다음과 같은 약제학적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돌연변이 활성, 간보호기능, 항산화기능, 경미한 에스트로겐 유사 효과, 세포독성 효과, DNA 폴리머라제 저해기능, 항염증 효과 및 혈당강하 효과.
일본특허 공고번호 제 11-71231호는 바쿠치올이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저해할 수 있어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일본특허 공고번호 제 2000-327581호 및 2001-233707호는 바쿠치올의 정균효과(bacteriostatic effect), 및 바쿠치올의 구강 살균제, 항-레지오넬라균 제제 및 항-MRSA 제제로서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일본특허 공고 번호 제 3-20218호는 바쿠치올의 세포독성 및 이의 항-옥수수(anti-corn) 제제로서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 7-109225호에는 보골지의 지질성분이 골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고 기술되어 있다. 현재까지의 데이타에 의하면, 에스트로겐을 폐경기 이후의 에스트로겐-결핍성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 에스트로겐을 투여받은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유방암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폐경기 이후의 에스트로겐-결핍성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물론, 폐경기 이후의 에스트로겐-결핍성 골다공증 뿐 만 아니라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바쿠치올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바쿠치올 화합물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바쿠치올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포함하고, 국소(topical), 경구(oral administration), 주사(injection) 또는 서방형 방출(sustained release) 투여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바쿠치올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고,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경구, 주사 또는 서방형 방출 투여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외(in vitro) 세포배양실험에서 바쿠치올은 낮은 농도에서도 유방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바쿠치올은 어떤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인 저해효과를 가지며, 유방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제제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바쿠치올의 이러한 효과는 한국인 학자가 보고한 이전의 발견과는 다른 것이다. 한국인 학자는 바쿠치올이 다섯 개의 다른 인간 암세포(폐암세포(A549), 난소암세포(SK-OV-3), 피부암세포(SK-MEL-2), 중추신경계 암세포(XF498) 및 대장암세포(HCT))에 대해 독성을 가지며 10-15 ㎍/cc의 평균 저해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Arch. Pharm. Res. 15, 356-359 (1992)). 바쿠치올이 이러한 다섯 개 암세포에 대해 상기와 같은 좁은 범위의 평균 저해농도를 가진다는 것은 이의 세포독성이 이러한 다섯 개의 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종래의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세포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실험을 포함한다. 암컷 랫트로부터 난소를 적출하여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을 유발하였다. 바쿠치올은 낮은 투여량(5 mg/kg)에서 골흡수를 저해함으로서 골다공증에 대해 치료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일본인 학자가 보고한 이전의 발견과는 다른 것이다. 일본인 학자는 보골지의 지질성분은 단지 골석회화를 증진시킬 뿐 골밀도를 증가시키지는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다(일본특허 공고번호 제 7-109225호 및 Planta med. 62, 150-153 (1996)). 의약품이 골형성을 촉진하고(하거나) 골흡수를 저해할 때 골다공증을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바쿠치올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데, 골흡수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기능은 분명히 보골지의 지질성분의 골석회화 기능보다는 우월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폐경기 이후의 골다공증을 치료하고자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는 경우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는 위험이 있다. 바쿠치올은 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며, 유방암세포에 대한 독성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바쿠치올은 여성에서 유방암/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의약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개암풀(Psoralea corylifolia) 추출물은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지질과 바쿠치올로 분리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은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막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해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지질은 UV 조사 하에서 보이지 않으나 요오드 기체로 검출되고, 바쿠치올은 UV 조사 하에서 쉽게 검출된다. 그러므로, 하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용출제를 사용하여 지질 및/또는 바쿠치올을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것을 포함하고,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여성환자에서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I)을 가지는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의 용도.
Figure 112005024832693-PAT00001
... (I)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이 국소, 주사, 경구 또는 서방형 방출 투여형태를 통해서 투여되는 용도.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용도.
4. 활성성분으로서 여성 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있어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하기 구조식(I)을 가지는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 및 상기 유효성분과 조합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 준으로 5%-95%의 바쿠치올(I)을 포함하는 여성환자에서 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5. 상기 4에 있어서, 1-300 mg의 바쿠치올(I)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경구, 주사 또는 서방형 방출 투여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I)의 바쿠치올은 상기 구조식(I)의 바쿠치올은 개암풀(Psoralea corylifolia)로부터 제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I)의 바쿠치올은 하기의 단계에 따라서 제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i) 보골지를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ii)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용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iii) 바쿠치올(I)을 포함하고 프소랄렌 및 이소프소랄렌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해서 단계 ii)에서 수득한 농축된 용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투여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상기 4에 있어서, 프소랄렌 및 이소프소랄렌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여성환자에서 인간 유방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n-헥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쇄에 의해서 분말형태로 보골지(Psoraleae fructus)를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용액을 농축하고, 지질(1)을 함유하는 용출액 및 바쿠치올(2)을 함유하는 용출액을 순차적으로 수득하기 위해서 또는 지질(1) 및 바쿠치올(2)을 모두 함유하는 용출액을 수집하기 위해서 n-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용액(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9:1)을 용출제로 이용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상기 농축된 용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용출액은 농축된 후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액 또는 지질(1) 및 바쿠치올(2)을 모두 함유하는 추출액일 수 있다.
단계 (b)에서 획득한 용출액은 박막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분석된다. 이때, n-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용액(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9:1)을 용출액을 전개시키기 위한 이동상으로 이용하고, UV 램프 또는 요오드 기체를 지질과 바쿠치올을 구별하는 데 사용한다. 지질을 함유하는 용출액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값(Rf)은 0.29 이상(Rf〉0.29)이고,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용출액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값은 0.29 (Rf = 0.29)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300 g의 보골지 분말을 2.4 L의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고체상과 액체상으로 분리하였다. 추출 및 고체/액체상 분리는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여과액을 모으고 용매를 기화시켜 제거하여 72.11 g의 오일상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오일상 추출액 22 g을 300 g의 실리카겔(Merck Co., Silica gel 60, mesh 70~230)로 충진된 실리카겔 컬럼(9.6×25 cm)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상기 컬럼을 용출하기 위한 용출용매로서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 혼합물, 아세톤 및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 혼합용매로 컬럼을 용출하고 용출액을 25개의 병에 수집하였다. 이어서, 컬럼으로부터 용출된 아세톤 용출액을 10개의 병(병 번호 26-35)에 수집한 후, 컬럼으로부터 용출된 메탄올 용출액을 10개의 병(병 번호 36-45)에 수집하였다. 한 개의 병에 300 ml의 용출액을 수집하였다. 용출액을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박막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UV 램프 또는 요오드 기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LC 분석을 통해서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용출액을 모았다.
1-7번 병에 수집된 용출액은 TLC 플레이트상에서 UV 흡수 스팟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이 용출액은 지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7번 병에 있는 용출액을 모은 후 농축하여 6.116 g의 오일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8-20번 병에 있는 용출액은 TLC 플레이트상에서 단지 한개의 UV 흡수 스팟(Rf = 0.29)을 나타냈다. 8-20번 병에 있는 용출액을 모은 후 농축하여 4.543 g의 오일상 바쿠치올을 수득하였다. 바쿠치올을 포함하지 않는 21-45번 병에 있는 용출액을 모은 후 농축하여 11.04 g의 기타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데이타를 종 합하면, 보골지(Psoraleae fructus) kg당 총 240.36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이는 24.04%의 추출효율에 해당한다. 240.36 g의 추출물은 66.82 g의 지질(보골지 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68%), 49.64 g의 바쿠치올(보골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96%), 및 123.9 g의 기타 보골지 성분(보골지(Psoraleae fructus))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2.4%의 추출효율)을 함유하였다.
바쿠치올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데이타를 수득하였다.
[α]27D+24 (C 1.0,CHCl3); EI-MS m/z (rel. int. %): 256 ([m]+, 24), 173 (100); UV (EtOH) λmax (log ε): 260 nm (4.26); IR (KBr) υmax 3350, 1650, 1530, 1245, 1010, 980, 922 cm-1; 13C-NMR (δ, CDCl3): C-1 (25.6), C-2 (131.2), C-3 (124.8), C-4 (23.2), C-5 (41.2), C-6 (42.5), C-7 (135.7), C-8 (126.5), C-9 (130.7), C-10 (127.3), C-11 (115.4), C-12 (154.6), C-13 (115.4), C-14 (127.3), C-15 (23.3), C-16 (145.9), C-17 (111.8), C-18 (17.6). 1H-NMR (δmult. (J in Hz), CDCl3): H-1 (1.61,S), H-3 (5.15, t (7.3)), H-4 (1.99, q (7.3)), H-5 (1.53, m), H-7 (6.08,d (16.2)), H-8 (6.28, d (16.2)), H-10 (7.26, d (8.5)), H-11 (6.80, d (8.5)), H-13 (6.80, d (8.5)), H-14 (7.26, d (8.5)), H-15 (1.23, S), H-16 (5.91, dd (10.7, 17.4)), H-17 (5.06, m), H-18 (1.71,S)
Figure 112005024832693-PAT00002
실시예 2: 바쿠치올의 체외 세포독성
실험재료: DMEM(배지), RPMI(배지), L-글루타민,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FBS(우태아 혈청)은 Gibco 사(뉴욕,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플라스틱 배양용기는 Corning 사(매사추세츠,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타모시펜(Tamoxifen)은 Sigma-Aldrich 사 (미주리, 미국)에서 구입하였고, CCK-8(세포수 계산 키트, 새로운 수용성 테트라졸리움염)은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사(머릴랜드,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기타 사용된 화학물질은 모두 시약급으로서 Sigma 또는 E. Merck 사(독일)에서 구입하였다.
세포주 및 세포배양: 인간 유방암 세포주 T47D 및 MDA-MB231은 미국균주은행(ATCC)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암세포 중, T47D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이고, MDA-MB231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이다. T47D 세포는 10% 활성탄(charcoal)-덱스트란 처리된 FBS를 함유하는 RPMI 배지에서, MDA-MB231 세포는 10% 활성탄-덱스트란 처리된 FBS를 함유하는 DMEM 배지에서 5% CO2, 37℃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증식은 트립판 블루(trypan blue) 염색을 통하여 생존 세포수를 계산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세포독성실험: 198 ㎕의 세포 현탁액(T47D의 경우 웰당 2만개, MDA-MB231의 경우 웰당 만개)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 CO2, 37℃의 항온항습 배양기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2 ㎕의 타모시펜(Tamoxifen), 바쿠치올 및 DMSO(대조군)을 플레이트의 배양배지에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였고, 동일 농도에 대해 6회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상기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100 ㎕)를 첨가하고 1 시간 더 배양하였다. 플레이트의 각 웰에 CCK-8 용액을 5 ㎕씩 첨가하고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의 다양한 농도에서의 세포독성을 대조군(시험물질로 처리되지 않음, 순 성장율=100%)과 비교하여 세포의 순(net) 성장율(%)로서 표시하였다. 시험물질의 다양한 농도에 따른 반응곡선을 구하고, IC50 값을 세포성장을 50% 저해할 수 있는 시험물질의 농도로서 계산하였다. 바쿠치올에 대한 세포독성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인간 종양세포주에 대한 바쿠치올의 체외 세포독성
시험화합물의 50% 세포성장 저해농도 (IC50, ㎍/cc)
세포주
화합물 T47D MDA-MB231
타모시펜 8.40 2.60
바쿠치올 5.00 0.6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유방암세포주 T47D 및 MDA-MB231에 대한 바쿠치올의 IC50 농도는 각각 5.00 ㎍/cc 및 0.62 ㎍/cc로 나타났다. 인간 유방암세포에서 바쿠치올이 나타낸 IC50 농도와 다섯 개의 다른 인간 암세포(폐암세포 (A549), 난소암세포(SK-OV-3), 피부암세포(SK-MEL-2), 중추신경계 암세포(XF498) 및 대장암세포(HCT))에서 바쿠치올이 나타낸 10-15 ㎍/cc의 평균 저해농도(IC50)(Arch. Pharm. Res. 15, 356-359 (1992))를 비교하였을 경우, 바쿠치올은 인간 유방암세포주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강력하게 저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유방암의 임상적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타모시펜과 비교하였을 경우, 바쿠치올은 인간 유방암세포주의 성장을 더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바쿠치올이 골다공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암컷 랫트로부터 난소를 적출하여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을 유발하였다.
실험동물 처리
16주된 암컷 위스타 랫트(다른 실험적 언급이 없는 한)를 타이페이 소재의 국립과학협회 산하 동물사육센터에서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구입하였다. 랫트의 생리적 반응 변화를 균일하게 각 그룹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비슷한 몸무게를 가지도록 랫트를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랫트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약물이 첨가되지 않은 먹이로 사육한 기본 그룹 (n=8)
약물이 첨가되지 않은 먹이로 사육한 겉보기수술 그룹(Sham, n=10)
약물이 첨가되지 않은 먹이로 사육한 난소적출수술 그룹(OVX, n=8)
약물 A(5 mg/kg)가 첨가된 먹이로 사육한 난소적출수술 그룹(OVX+A, n=9)
약물 B(15 mg/kg)가 첨가된 먹이로 사육한 난소적출수술 그룹(OVX+B, n=9)
난소적출(난소 제거) 수술: 난소적출은 론스키 등이 기술한 방법(Wronski et al, Endocrinology, 123(2), 681-86 (1988))과 비슷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기간 동안, 랫트는 두마리씩 매달려있는 쇠상찰 케이지에 넣고 21℃, 12시간 암주기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먹이(랫트-마우스 먹이 III, 1% 칼슘 및 1.2% 인산 함유, Purina, 미국)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쌍 급식(paired feedding)에 따라서 공급되었다. 쌍-급식(pair-feeding)은 겉보기수술 그룹(Sham)의 평균 먹이 섭취량을 계산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다음 날, 동일한 양의 먹이를 OVX, OVX+A(5 mg/kg) 및 OVX+B(15 mg/kg) 그룹의 실험동물에게 공급하였다. 난소적출 또는 겉보기 수술을 실시한 날에 희생시킨 기본 그룹을 제외한 실험동물에게 두 달 동안 먹이를 공급하였다. OVX+A 및 OVX+B 그룹의 랫트에게 각각 소정의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첨가한 통상의 사료를 공급을 공급하였다. 물은 모든 랫트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약물의 투여
시험약물은 5 mg/kg 및 15 mg/kg의 복용량으로 통상의 사료분말에 첨가하고 10% 전분 페이스트와 혼합하였다. 완전히 혼합한 후, 사료분말을 손으로 덩어리로 만들어서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약물이 첨가된 사료는 단일맹검법에 의해서 랫트에게 공급되었다.
체내 골 표지과정 및 골 조직형태계측적(histomorphometry) 분석
이러한 표지 및 골 조직형태계측적 분석은 골연구에서 표준화된 과정(Lin et al, Calcif. Tissue Int., 67, 373-377 (2000))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시료를 빌라누바(Villanueva) 골 염색시약으로 염색한 후, 탈석회화를 거쳐 런던 수지(London resin)에 포매(embedding)하였다. 7 ㎛ 두께의 미탈회 골단편을 Jung-K 마이크로톰(Leica 사, 미국)을 이용하여 절단하고,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면서 빌라누바 염색시약으로 처리하였다. 7 ㎛ 두께의 미염색된 골단편은 형광현미경적 분석을 위해서 준비하고 Osteomeasure 프로그램(3.0 버전, 아틀란타, 미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골부피(표 2) 및 침식된 표면 매개변수(표 4)는 린 등이 기술한 방법(Lin et al, Calcif. Tissue Int., 67, 373-377 (2000))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실험은 타이페이 소재의 Animal Center 및 IAACU(National Defense Medical Center, National Defense University, 타이페이, 대만)에서 특정 프로젝트 허가를 받아서 실시하였다.
겉보기 골밀도 측정
랫트를 희생시킨 후, 전체 경골 및 대퇴골에서 부착되어 있는 근육과 인대를 제거하였다. 겉보기 골밀도(apparent bone density) 측정은 밀도계측기(densitometry frame)가 설치된 전자균형세트(eletronic balance set) 상에서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의 부력 원리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Danielsen et al., Calcif. Tissue Int., 52, 26-33 (1993)). 공기 중에서 측정된 골무게는 W-air로 나타내었다. 물에서 측정된 동일한 골의 무게는 W-water로 나타내었다. 겉보기 골밀도는 [W-air/(W-air minus W-water)](gm/cm3)로 계산하였다(표 3, 경골의 겉보기 골밀도).
데이타 분석
실험결과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고, 데이타를 좀더 프로세싱하기 위해 통계 패키지 SPSS 8.0(SPSS 사, 시카고, 미국)으로 전송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Bonferonni 유의적 차이 방법을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에서 사후검정(다중비교)에 이용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VX 그룹(약물이 첨가되지 않은 사료를 먹음)과 비교하였을 경우, OVX+A 및 OVX+B 그룹(바쿠치올이 첨가된 사료를 먹음)의 골부피 및 겉보기 골밀도는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각각 p〈0.001, p〈0.005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바쿠치올은 폐경기 이후의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서 유발되는 골다공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골다공증 치료와 관련한 바쿠치올의 가능한 기작은 침식된 표면 매개변수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OVX 그룹(약물이 첨가되지 않은 사료를 먹음)과 비교하였을 경우, OVX+A 및 OVX+B 그룹(바쿠치올이 첨가된 사료를 먹음)의 랫트에서 파골세포에 의한 골침식(골흡수)이 유의적으로(p〈0.001) 저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형 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바쿠치올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바쿠치올 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용도에 의하면, 유방암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폐경기 이후의 에스트로겐-결핍성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폐경기 이후의 에스트로겐-결핍성 골다공증 뿐만 아니라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다.

Claims (10)

  1. 여성환자에서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I)을 가지는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의 용도.
    Figure 112005024832693-PAT00003
    ...(I)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이 국소, 주사, 경구 또는 서방형 방출 투여형태를 통해서 투여되는 용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용도.
  4. 활성성분으로서 여성 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있어서 치료학적 유 효량의 하기 구조식(I)을 가지는 바쿠치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 또는 염 및 상기 유효성분과 조합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95%의 바쿠치올(I)을 포함하는 여성환자에서 골다공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Figure 112005024832693-PAT00004
    ...(I)
  5. 제 4항에 있어서, 1-300 mg의 바쿠치올(I)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 경구, 주사 또는 서방형 방출 투여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I)의 바쿠치올은 개암풀(Psoralea corylifolia)로부터 제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단계에 따라서 제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i) 보골지를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ii)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용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iii) 바쿠치올(I)을 포함하고 프소랄렌 및 이소프소랄렌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해서 단계 ii)에서 수득한 농축된 용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투여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4항에 있어서, 프소랄렌 및 이소프소랄렌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여성환자에서 인간 유방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50039586A 2004-05-14 2005-05-12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조성물 KR100686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3113777A TWI298634B (en) 2004-05-14 2004-05-14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akuchiol for treating woman osteoporosis
TW093113777 200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787A true KR20060047787A (ko) 2006-05-18
KR100686469B1 KR100686469B1 (ko) 2007-02-26

Family

ID=3531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86A KR100686469B1 (ko) 2004-05-14 2005-05-12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4026B2 (ko)
JP (1) JP4286238B2 (ko)
KR (1) KR100686469B1 (ko)
CA (1) CA2507262C (ko)
TW (1) TWI298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2160A2 (en) 2005-05-09 2006-11-16 Unigen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of bakuchio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1088498B (zh) * 2006-06-13 2011-09-07 和泓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补骨脂酚类化合物的应用
US8859021B2 (en) * 2007-05-14 2014-10-14 Sytheon Skin appearance through gene manipulation
US20090137534A1 (en) * 2007-11-26 2009-05-28 Chaudhuri Ratan K Skin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80286217A1 (en) * 2007-05-14 2008-11-20 Chaudhuri Ratan K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9713596B2 (en) 2011-02-02 2017-07-25 Unigen, Inc. Bakuchiol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post 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US20160030498A1 (en) * 2013-04-10 2016-02-04 Rupak Enterprises (P) Limited Herbal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 and skin disorders
US10471035B2 (en) 2014-10-20 2019-11-12 Sunny BioDiscover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esters of meroterpenes and of other resveratrol analogues
US20220193002A1 (en) * 2020-12-18 2022-06-23 K V Natural Ingredients PVT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kuchiol composition substantially free of furanocoumarin impurit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225A (ja) * 1992-09-09 1995-04-25 Maruho Kk 骨強度増強及び骨石灰化作用剤
KR20000007648A (ko) * 1998-07-06 2000-02-07 서경배 !보골지 추출물 및/또는 바쿠치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시클로옥시게나제-2 저해제 및 보골지추출물 및/또는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AUPQ127399A0 (en) * 1999-06-29 1999-07-22 Guangzho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US20040043089A1 (en) * 2002-09-04 2004-03-04 Rabie A-Bakr M Buguzhi agent and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administe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25120A (ja) 2005-11-24
TWI298634B (en) 2008-07-11
JP4286238B2 (ja) 2009-06-24
TW200536518A (en) 2005-11-16
CA2507262A1 (en) 2005-11-14
CA2507262C (en) 2011-08-02
US7714026B2 (en) 2010-05-11
KR100686469B1 (ko) 2007-02-26
US20050256209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469B1 (ko)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골다공증 치료용 약제학적조성물
AU2009255626A1 (en) Anthraquinones and analogs from Rhuem palmatum for treatment of estrogen receptor beta-mediated conditions
CN101647850B (zh) 杜仲提取物在制备用于治疗雌激素分泌不足相关疾病药物中的用途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WO2016043517A1 (ko) 목단피,백지 및 시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86470B1 (ko)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여성 유방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0081264A1 (zh) 一种防治糖尿病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3009599B2 (ja) フラボノイド配糖体を含む骨粗鬆症治療剤および骨粗鬆症治療用の可食性組成物
KR100934022B1 (ko) 에스트로겐 활성이 우수한 보골지 추출물 또는 상기 보골지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7840836A (zh) 淫羊藿素k及其制备方法和在药物上的应用
KR100740184B1 (ko) 텍토리딘 또는 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JP2006515276A (ja) 骨粗鬆症の予防及び治療効果を有するフラン誘導体並びに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EP171464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akuchiol for treating osteoporosis in women
CN100479811C (zh) 包含补骨脂酚的用于治疗妇女乳癌的医药组合物
AU2010222963A1 (en) Estrogenic compounds and their methods of use
KR100348147B1 (ko)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갈근 추출물
EP171464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bakuchiol for treating breast cancer in women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2628485A1 (en) New use of chemical ingredients in cynomorium as phytoestrogen
KR102609296B1 (ko) 백수오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10070840A (ko) 작약씨로부터 분리한 골질환용 레즈베라트롤 및 그유도체의 추출방법
KR20010108719A (ko)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예방 또는 치료방법
WO2024016142A1 (zh) 佛手柑内酯和槲皮素黄酮的组合物在制备治疗癌症药物中的应用
KR100348148B1 (ko)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갈근 추출물
KR20130134666A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화합물을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