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587A - 스폿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용융아연도금강판 - Google Patents

스폿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용융아연도금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587A
KR20060047587A KR1020050035540A KR20050035540A KR20060047587A KR 20060047587 A KR20060047587 A KR 20060047587A KR 1020050035540 A KR1020050035540 A KR 1020050035540A KR 20050035540 A KR20050035540 A KR 20050035540A KR 20060047587 A KR20060047587 A KR 2006004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dip galvanized
galvanized steel
less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905B1 (ko
Inventor
유키히로 우쓰미
가쓰히로 야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6004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780~1180MPa의 고강도역에서, 스폿용접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제조 조건 특히 강판을 아닐링한 후의 냉각 프로세스가 변화해도 인장강도, 총 연신율, 항복강도 등의 재질특성에 불균일성이 적어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한다.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는 복합조직으로 되고, 강중 성분은
C : 0.05 ~ 0.12 %
Si : 0.05 % 이하
Mn : 2.7 ~ 3.5 %
Cr : 0.2 ~ 0.5 %
Mo : 0.2 ~ 0.5 %
를 함유하고,
Al : 0.10 % 이하
P : 0.03 % 이하
S : 0.03 % 이하
로 억제되어 있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Description

스폿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spot weldability and stability of material properties}
본 발명은 스폿 용접성(spot weldability)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장강도(TS)가 780~1180 MPa에 이르는 고강도역에서, 스폿 용접성이 우수하고 강판을 아닐링(균열)한 후의 냉각 프로세스 조건에 관계 없이 인장강도(TS), 연신율(총 연신율 EL) 및 항복강도(YP)에 편차가 거의 없는,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등의 충돌안전성 향상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충돌시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안전성장비의 장착에 따르는 차량중량의 증가를 경감하므로써 연비(燃費)를 향상시키기 위해 차체의 골격부 등에는 고강도 강판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측면의 충돌에 대하여 차량의 절곡캐빈(cabin)의 골격부에의 침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인장강도가 약 780~1180 MPa 라는 매우 높은 고장력강판이 채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페라이트(ferrite)와 마르텐사이트 (martensite)를 주체로 하는 복합조직(Dual Phase : "DP"라 약칭)강판은 강도와 연성 쌍방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범용화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용 강판에는 우수한 방식력도 요구되고 있으므로, 이들 양 특성을 겸비한 강판으로서 복합조직을 가진 용융아연도금강판, 나아가 해당 용융아연도금강판을 합금화 처리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이 개발되고 있다.(예컨데 특허문헌 일본특허출원 제 1989-198459호, 일본특허 출원번호 1993-105960호, 동 1999-193419호 등)
이들 특허문헌은 어느 것이나 성분조성이 제어된 강을 이용하여, 연속식 용융아연도금 라인에서의 제조조건을 적정화시키므로써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한다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예컨데 오오미야 요시노부 외 1인이 2002년 12월 발표한 R&D KOBE STEEL ENGINEERING REPORTS (고베 세이코쇼 엔지니어링 리포트) 제 52권 3번 보고서의 "590MPa급 저 YP형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의 특성"에는 인장강도가 780~1180 MPa 레벨정도는 못되나 590MPa 레벨정도의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해, 미량의 Cr과 Mo의 복합첨가에 따라 베이나이트를 포함한 3상조직으로부터 완전한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복합조직화를 도모하고, 성형성과 스폿 용접성 등을 높인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는 복합조직강판 또는 2상강판은 재질의 물성, 예컨데 강판의 기계적 성질, 특히 그중에서도 인장강도(TS), 총연신율(total elongation), 항복강도(YP) 등을 크게 변화시키는데, 이들 재질변화는 강판을 아닐링(균열)한 후의 냉각프로세스 조건(냉각속도와 냉각유지온도)에 따라, 재질(강판의 기계적 특성을 의미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인장강도, 총 연신율(total elongation) 및 항복강도를 의미한다)이 크게 변화되는 일이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강판 또는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은 열연강판을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으로 한 후, 연속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 용융아연도금(또한 나아가 합금화 처리)하여 제조되고, 이 연속용융아연도금라인에는, 연속소둔로에서의 아닐링(균일)처리와; 아닐링 후 용융아연도금하는 온도까지 냉각하는 냉각처리와; 도금처리가 행해진다. 이 중 냉각공정에서는 통상 가스냉각, 미스트냉각(mist cooling) 강판을 냉각된 로울스키드(cooled roll skid)와 접촉시키는 로울냉각(roll cooling) 등의 강제냉각 수단으로, 오스테나이트(austenite)로부터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와 베이나이트(bainite) 등의 경질조직으로 변태시켜서 소망하는 복합조직강판을 얻고, 여기에 특히 냉각속도와 냉각종료 온도를 엄격히 제어하지 않으면 안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조현장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항상 일정하게 콘트롤해가며 일정 조건하에 냉각한다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어렵다. 이 때문에, 얻어진 제품에는 재질의 편차가 매우 많고, 프레스 성형시 칫수정밀도가 고르지 못해 크랙 등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약 780~1180 MPa의 강도를 가진 역에서의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에서는, 본래의 특성인 스폿용접성이 우수한 것임은 물론, 제조조건(특히, 강판을 아닐링한 후의 냉각 프로세스)에 관계없이, 재질의 편차가 적어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강판의 제공이 강력히 요청되어 왔다.
그러나, 전술한 일본특허출원 1989-198459, 1993-105960, 1999-193419호 등의 특허문헌들은 그 어느것이나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재질안정성이라는 점에서 불충분하고, 또한 전술한 비특허문헌 또한 본 발명이 달성하는 약 780~1180 MPa와 같은 높은 강도역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망하는 특성을 얻는데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분설계에 대한 기본적 사고가 서로 다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 진 것으로, 그 목적은 780~1180 MPa를 가진 고강도역에서, 스폿용접성이 우수한 것임은 물론, 제조 조건(특히, 강판을 아닐링 한 후의 냉각프로세스)이 변화하더라도, 인장강도, 총연신율 및 항복강도 등의 재질특성의 편차가 적은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장강도가 780~1180 MPa의 강도역에서의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용융아연도금강판은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가 총 조직면적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복합조직으로 되고, 강중 성분은 질량%로(이하 화학성분에 대해서도 동일함)
C : 0.05 ~ 0.12 %
Si : 0.05 % 이하
Mn : 2.7 ~ 3.5 %
Cr : 0.2 ~ 0.5 %
Mo : 0.2 ~ 0.5 %
를 함유하고,
Al : 0.10 % 이하
P : 0.03 % 이하
S : 0.03 % 이하
로 억제하고 또한, 인장강도가 780~1180 MPa 강도역과 또한, 연성비(ductility ratio) 0.40 이상을 가지고, 이 연성비는 전단인장강도(shear tensile strength)에 대한 횡단인장강도(cross tensile strength)의 비율로 되는 스폿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약 780~1180 MPa의 고강도역에서, 스폿용접성이 우수함은 물론 제조조건, 특히 강판을 아닐링한 후의 냉각 프로세스 등의 제조조건에 관계 없이, 인장강도, 총연신율 및 항복강도라고 하는 재질의 불균일성이 적은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되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자등은 약 780~1180 MPa의 고강도역에서, 재질안정성과 스폿용접성의 두가지가 모두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강중성분을 중심으로 예의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소망하는 특성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특히, C, Si, Mn 등의 기본 성분 외에도 이들 기본성분에 Cr, Mo을 필수 성분으로 첨가하고, 또한 그 함유량을 소정범위로 억제하는 일이 극히 중요함을 깨달아 연구 시험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들 각 성분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다음과 같다.
· C은 강내의 그 함유량을 저감(0.12% 이하)하고, 스폿용접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 Si 량은 가급적 저감(0.05% 이하)하므로써, 도금공정에서의 불도금(도금의 밀착력이 저하하므로 강판과 도금이 밀착하지 않는 현상 발생) 등의 폐해를 방지한다.
· Cr과 Mo의 양쪽 성분을 미량 첨가하고(어느것이나 각각 0.2 ~ 0.5%), 또한 Mn 량을 될수 있으면 많이 첨가한다(2.7 ~ 3.5%). 이렇게 하는 것은 냉각 과정에서 경질상(硬質相)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여 저항복비 및 고강도를 얻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성분에 따른 개개의 작용은 공지이고, 전술한 일본 특허출원 1989-198459호, 1993-105960호, 1999-193419호에 있어서도, 그와 같은 작용을 활용한 성분설계가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은 본 발명과 같이, 특히 재질안정이라는 관점에서 어프로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특허문헌의 실시예에 개시된 조성에서는, 소망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임을 본 발명자등의 검토결과로 명확히 알게 되었다. 즉, 상기 특허 제 1989-198459호에서는 Mn량이 적고, 또한 Cr과 Mo의 한쪽밖에 첨가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특허출원 제 1993-105960호에서는 Mo만 첨가하고 Cr은 첨가하지 않으며; 특허출원 제 1999-193419호에서는 실질적으로 약 490~780 MPa급의 강도를 가진 역에서의 성형성등을 개선하고저 하기 때문에, C 량이 많고 Mn 량이 적으며, 또한 Cr/Mo의 어느것이든 한쪽밖에 첨가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성분조성을 가진 강판은 특히 재질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후술함 실시예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비특허문헌상의 "590MPa급 저YP형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는 강도역이 다르므로 성분설계에 의한 기본적인 사고방식이 상위하고, 스폿용접성의 관점에서 Mn 량을 저감하고 있으므로, 소망하는 재질특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을 후술할 실시예로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 780~1180 MPa의 고강도역에서, 재질특성과 스폿용접성의 쌍방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공하고저, C, Si, Mn, Cr 및 Mo 성분을 필수성분으로 하고, 다음 그 첨가량을 극히 치밀하게 제어한 데 이어 어떤 원소이든 그 첨가량이 본 발명범위를 벗어나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을 가장 특징지우는 강중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화학성분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다.
C : 0.05~0.12%
탄소(C)원소는, 강판의 강화에 불가결한 원소로서, 소망하는 강도를 얻기위해 0.05% 이상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이다. 단, 0.12%를 초과하면 스폿용접성이 저하되므로, 그 상한치를 0.12%로 한다. 그 중에서도 C의 바람직한 첨가량은 가급적 0.10% 이하이다.
Si : 0.05% 이하 (0% 함유하지 않음)
Si은 과잉으로 첨가하면 도금층의 형성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불도금 등 폐해를 일으키므로, 될 수 있으면 적은 쪽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치를 0.05%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급적 0.03%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좋다.
Mn : 2.7~3.5%, Cr : 0.2~0.5%, Mo : 0.2~0.5%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원소는 어느 것이나, 재질의 안정성 향상에 유용한 원소들로서, 본 발명에서는 극히 중요한 원소이다. 각 원소에 있어, 첨가량의 하한치를 밑돌게 되면 재질의 균일성이 많아지고, 한편 첨가량의 상한치를 넘게되면 가공성이 저하한다.
이중 Mn은, C와 같이 다량으로 첨가하면 스폿용접성이 저해되는 일이 알려져 있고, 이 때문에 상기 비특허문헌상의 "590MPa급 저YP형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경우에는 Mn 량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Mn의 저감화가 아니고 그 대신 C의 저감화에 의해 스폿용접성을 향상시키고저 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C 함량을 줄이지 않으면 우수한 스폿용접성과 재료안정성이 얻어지지 않음을 확인하게 됨에 따라 C의 저감화를 도모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처음으로 스폿용접성과 재질안정성 양쪽 모두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이 얻어질 수 있었음을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Mn 함유량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급적 2.9% 이상, 3.2% 이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r과 Mo의 양쪽을 필수성분으로 첨가한다. 이들 원소는 모두, 칭성질(hardenability)을 높여주는 등의 효과를 가진 원소로 인식되어 있다. 종래의 용융아연도금강판에는 Cr/Mo의 어느쪽이든 한쪽을 첨가하고 있는 일이 많아졌으나(예컨데 전술한 일본특허 1989-198459, 1993-105960, 1999-193419호 등), 재질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들 원소의 양쪽 모두를 상기 범위로 미량첨가해야 하고, 이들 중 어느쪽이든 한쪽만을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량의 범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Cr과 Mo을 복합첨가하면 재질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후술하는 실시예로 확인되고 있다.
Al : 0.10% 이하
Al은 탈산제로서 유용하므로, 이때문에 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다량첨가하면 탈산제로서의 작용이 포화되어 경제적으로 효용이 없는 외에도 도금불량을 유발하므로, 그 상한치를 0.10%로 억제한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범위는 0.06% 이하이다.
P : 0.03% 이하
P는 재료의 강도확보에 유용한 원소이며, 그러나 다량으로 첨가하면 가공성이 저하할 뿐 아니라 용접성도 저하하므로 그 상한치를 0.03%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로 한다.
S : 0.03% 이하
S는 Mn, S 등의 유화물계 개재물을 형성하고, 크랙 등의 발생원인이 되므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Mn을 다량첨가하고 있으므로 S량은 더욱 적은 것이 좋아, 그 상한치를 0.03%로 하며, 가급적 0.01% 이하로 한다.
본 발명상의 강판은 상기 성분을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철(Fe) 및 불가피불순물이며, 원료, 자재, 제조설비 등의 상황에 따라, 따라들어가는 원소로서 질소(N)와 0.01% 이하의 산소(O) 등 불가피불순물의 혼입도 허용된다. 단, N가 과잉으로 존재하면, 질화물이 다량으로 석출하고, 연성의 열화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N량은 0.0060%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0% 이하이다. 강판중 N량은 적을수록 좋으나, 조업상 저감가능성을 고려하면 N량의 하한치는 0.0010% 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작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음 원소를 추가로 첨가할 수가 있다. 즉, 예컨데, Ti과 Nb를 선택성분으로 하여, 석출강화와 고용강화 등의 목적으로 각각 0.1% 이하의 범위내에서 함유시켜도 좋다. B을 0.005% 이하의 범위 내에서 첨가한 것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성분조성으로 된 본 발명 강판은,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주체의 복합조직(DP)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체"라 함은 강판을 광학현미경(배율 1000배)으로 관찰했을 때, 전조직에 대한 면적율(이하 조직의 경우에는 %는 모두, 면적%를 의미)로서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와의 합계가 95% 이상(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와의 합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한, 제조 공정에서 불가피적으로 잔존하는 다른 조직(예컨데 베이나이트, 퍼얼라이트 등)의 혼입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본 발명의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강판은 일반적인 용융아연도금강판과 같이, 열연강판을 산세하고,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으로 한 후 연속 용융아연도금라인에서 용융아연도금하여 제조한다.
이 중 열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열간압연조건, 산세조건, 냉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냉간압연조건, 용융아연도금에 실시되는 도금조건 등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열간압연을 함에 있어서는 가열온도를 1100~1250℃, 마무리온도를 840℃ 이상, 권취온도를 500℃ 이상으로 하는것 등을 들 수 있다. 냉간압연에서의 냉간압연율 등에 있어서도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하여 얻어진 냉연강판을 연속용융아연도금라인에 아닐링
(균열)처리하고; 아닐링(annealing) 후 용융아연도금하기까지 냉각함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제어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하, 용융도금라인의 히트사이클 패턴을 나타낸 도 1을 참조하여, 상기공정을 상술한다.
우선, 균열처리는 820~900℃에서 15~180초 동안으로 한다. 이 균열처리는 고강도의 확보에 유용한 경질상(마르텐사이트,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을 생성하는데 중요하고, 균열온도가 820℃ 미만이 되면 강도가 상승하여 가공성이 열화한다(후술하는 도 2). 한편, 균열온도가 900℃를 초과하면 결정입자가 조대화되어 가공성이 열화한다. 균열시간을 15초 미만으로 하면 균질한 조직이 얻어지지 않아 제반 물리적 특성이 열화한다. 한편, 균열시간이 180초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하고 연료비 등의 코스트가 많이 들 뿐이다. 바람직하게는 균열시간을 30초 이상, 120초 이하로 한다.
다음으로, 용융아연도금처리온도까지 냉각한다. 냉각패턴은 냉각중에 오스테나이트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퍼얼라이트로 변태하는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퍼얼라이트 변태영역을 벗어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금온도까지 같은속도로 냉각하여도 좋고, 혹은 냉각 도중에 냉각속도를 여러번 변경하는 다단냉각법을 채용해도 좋다. 본 발명과 같이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는 복합조직강판의 경우는, 페라이트를 안정시켜 도입한다는 관점에서, 다단냉각법의 사용이 권장된다.
상기 다단냉각법으로서는, 650~500℃ 까지를 20℃/sec 이하의 평균냉각속도로 냉각한(1차 냉각) 후, 550~450℃ 까지를 40℃/sec 이하의 평균냉각속도로 냉각하는(2차 냉각)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공정에서의 평균냉각속도의 하한을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데 약 1℃/sec의 평균냉각속도로 냉각하여도, 재질의 편차가 없는 강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고(후술하는 도 3 ~ 도 4를 참조), 이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강판은 퍼얼라이트변태영역을 벗어날 목적으로, 아닐링 후 용융아연도금까지의 냉각처리를 약 10℃/sec 이상의 평균냉각속도로 급냉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하여 가스냉각, 미스트냉각, 냉각한 롤스릿프를 접촉시킨 롤냉각 등의 냉각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예컨데, 상기 다단냉각법의 일례로서, 서냉대에서 평균냉각속도를 변화시켜 냉각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고, 각 공정에서는 냉각속도나 냉각완료온도가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상술한 냉각수단을 이용한다고해도 설정치대로 평균냉각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극히 어렵고, 실제로 냉각속도나 냉각완료온도가 여러가지로 변경되므로 그 결과, 재질의 편차가 커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냉각패턴의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된 재질을 확보할 수 있는 강중성분을 설정한 다음, 이것에 의해 아닐링으로부터 도금까지의 평균냉각속도를 변동시킨다 하여도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얻는 것을 최초로 성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닐링에서 도금까지의 평균냉각속도의 하한에 대하여는 특히 제한하지 않지만, 재질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상기 1차냉각공정 및 2차냉각공정의 평균냉각속도의 상한을 각각 20℃/sec, 40℃/sec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하여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한 후, 다시 합금화하여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여도 좋고, 이러한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상기 합금화처리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실시되는 온도(약 400~700℃)에서 합금화하면 좋다. 합금화처리 후 냉각하는데, 그 평균냉각속도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데 5℃/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래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한 범위에서 적당히 변화를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난 화학성분을 가지는 강종 A ~ O를 전로에 용제하여 230㎜ 두께의 슬라브로 한 후, 가열온도:1200℃, 마무리온도:850~900℃, 권취온도:510~600℃의 조건에서 열간압연을 행하고, 2.8㎜의 열연강판을 얻었다. 다음으로, 산세에 의해 표면스케일을 제거하고 2.0㎜의 냉연강판을 얻은 후, 표 2에 나타나있듯이 아닐링(균열)조건 및 용융도금처리조건[냉각 및 도금]에서 편면이 도금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얻었다(편면:45g/㎡).
이렇게 하여 얻은 강판의 강도(TS), 항복강도(YP), 연신율(EL)에 대하여, JIS 5호 시험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이하의 요령에 의해 스폿용접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상기 각각의 용융아연도금강판을 하기의 스폿용접조건에서 용접하고, 용접금속(나겟트) 직경이 7㎜로 되는 전류조건에 있어서 전단인장시험편 및 십자인장시험편(十字引張試驗片)을 각각 제작하였다.
전극 : 선단직경 8㎜의 돔라디아스형 전극
통전시간 : 26 사이클
홀드시간 : 1 사이클
가압력 : 6450N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각 시험편에서의, 전단인장강도(TSS) 및 십자인장강도(CTS)를 각각 측정하여 연성비(CTS/TSS)를 산출하고, 연성비(延性比)가 0.40 이상되는 것을「스폿용접성이 우수한 강판」(본 발명예)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단인장시험편 뿐만 아니라 십자인장시험편을 제작하여 스폿용접성을 평가한 것은, 고강도역(특히 980MPa 레벨)이 되면 십자인장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상술한「연성비」에 기초한 스폿트용접성 평가법은 이것을 가미한 평가방법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이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이들 강판은 모두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가 합계 95% 이상의 복합조직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
표 3에 의해,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표 1의 강종 A ~ O 중에서, 강종 A ~ B, D, G ~ H, J ~ K 및 M은 모두 본 발명의 성분조성을 만족하는 본 발명예로, 이들은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아닐링조건, 아닐링 후의 냉각패턴 및 도금온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킨다해도, 연성비가 0.40 이상이고 스폿용접성이 우수하며 또한, YP의 편차(각 처리조건에서의 YP의 차)는 18MPa 이내, TS의 편차(각 처리조건에서의 TS의 차)는 13MPa 이내, 그리고 EL의 편차(각 처리조건에서의 EL의 차)는 1.8% 이내로 각각 억제되고 재질안정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하기의 예는 이하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C의 량이 많고 Mn량이 작은 강종 C 및 강종 F를 이용한 경우는, 처리조건의 변동에 따라 YP 및 TS가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연성비도 0.40 미만으로 되어 스폿용접성도 나빠진다.
Mn의 량이 적은 강종 E를 이용한 경우는 처리조건의 변동에 따라 YP 및 TS가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Mn의 량이 많은 강종 O를 이용한 경우에는 연성이 나빠진다.
C의 량이 많은 강종 I를 이용한 경우는 연성비가 0.40 미만으로 되어 스폿용접성이 나빠진다.
Mo가 첨가되지 않은 강종 L이나 Cr의 량이 작은 강종 N을 이용한 경우에는, 처리조건의 변동에 따라 모두 YP 및 TS가 변화하였다.
다음으로, 표 1의 강종 A(본발명예)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열간압연, 산세 및 냉간압연을 한 후, 아닐링 온도를 약 780~880℃의 사이에서 변화시켜서 50초간 아닐링하고(도 2), 아닐링 후의 냉각패턴(1차냉각속도 및 2차냉각속도)을 도 3 ~ 도4와 같이 변화시켰을때의 각종특성(TS, YP 및 EL)을 전술한 방법과 같이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도 2 ~ 도4에 나타내었다.
도 2는 표 1의 강종 A (본발명강)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열간압연, 산세 및 냉간압연한 후, 아닐링온도(균열온도)를 약 780~880℃의 범위에서 변화시켜 50초간 아닐링하여(1차냉각속도는 4.9 ~ 7.5℃/s, 2차냉각속도는 4.0 ~ 7.6℃/s) 얻은 강판에 대한 인장강도(TS), 항복강도(YP) 및 연신율(EL)을 측정하고, 해당특성의 척정결과를 각각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2에 의해, 아닐링(균열)온도를 820℃ 이상으로 제어하면 상기 특성인 인장강도(TS)와 항복강도(YP)가 거의 증감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은, 표 1의 강종 A(본발명강)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열간압연, 산세 및 냉간압연한 후, 아닐링온도를 약 832~864℃에서 15~80초간 아닐링하고, 1차냉각속도를 2.7 ~ 19.3℃/s 사이에서 변화시켜(2차냉각속도는 1.1 ~ 38.6℃/s)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여 상기 특성의 측정결과를 각각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3에 의해, 강중성분이 본 발명범위를 만족하는 강종 A를 이용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아닐링 처리할 때는, 도 3과 같이 1차냉각속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도 상기 특성의 편차가 나타나지 않고, 재질특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표 1의 강종 A(본발명강)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열간압연, 산세 및 냉간압연 한 후, 아닐링온도를 약 832~864℃에서 15~80초간 아닐링하고, 1차냉각속도를 2.7~569℃/sec로 하고, 2차냉각속도를 1.1~38.6℃/sec 에서 변화시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한 때의 상기 특성의 측정결과를 각각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4에 의해, 강중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강종 A를 이용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아닐링처리한 경우에는 2차냉각속도를 도 4와 같이 변화시킨다하여도 상기 특성의 편차는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특히 인장강도(TS)가 780~1180MPa에 이르는 고강도역에서도 스폿용접성이 우수하고, 강판을 아닐링(균열)한 후의 냉각공정 조건이 변하더라도 인장강도(TS), 연신율(EL) 및 항복강도(YP) 상에 큰 변화되는 일이 없고 편차가 거의 없는 재질안정성이 극히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상의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용융도금라인의 히트사이클 패턴(heat cycle pattern)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강종 A를 사용하였을 때의 아닐링(균열) 온도와 각종 재질특성(YP, TS, EL)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강종 A를 사용하였을 때의 아닐링 후의 1차 냉각속도와 각종 재질특성(YP, TS, EL)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강종 A를 사용하였을 때의 아닐링 후의 2차 냉각속도와 각종 재질특성(YP, TS, EL)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8)

  1.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가 총 조직면적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복합조직으로 되고, 강중성분은 질량%로 (이하 화학성분에 대한 것은 동일함)
    C : 0.05 ~ 0.12 %
    Si : 0.05 % 이하
    Mn : 2.7 ~ 3.5 %
    Cr : 0.2 ~ 0.5 %
    Mo : 0.2 ~ 0.5 %
    를 함유하고,
    Al : 0.10 % 이하
    P : 0.03 % 이하
    S : 0.03 % 이하
    로 억제하며, 그 인장강도는 780~1180MPa의 강도역(强度域)을 가지고 연성비(ductility ratio) 0.40 이상을 가지고, 이 연성비는 전단인장강도에 대한 횡단인장강도의 비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탄소(C) 성분 함유량은 가급적 0.10 % 이하로 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가급적 0.03 % 이하의 Si을 함유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가급적 2.9 % 이상의 Mn을 함유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전체조직 면적대비 98% 이상을 차지하는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온도범위 820~900℃, 시간범위 15초 이상의 시간으로 균열공정(soaking process)을 거쳐 얻어지도록 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온도범위 820~900℃, 시간범위 30초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균열공정을 거쳐 얻어지도록 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도금강판은 또한 합금화공정(alloying process)을 거치도록 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KR1020050035540A 2004-05-06 2005-04-28 스폿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7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7735 2004-05-06
JP2004137735A JP4325998B2 (ja) 2004-05-06 2004-05-06 スポット溶接性及び材質安定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587A true KR20060047587A (ko) 2006-05-18
KR100697905B1 KR100697905B1 (ko) 2007-03-20

Family

ID=3494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540A KR100697905B1 (ko) 2004-05-06 2005-04-28 스폿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8809B2 (ko)
EP (1) EP1593750B1 (ko)
JP (1) JP4325998B2 (ko)
KR (1) KR100697905B1 (ko)
CN (1) CN10049445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2268B2 (en) * 2004-11-24 2008-10-28 Nucor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cold rolled dual-phase steel sheet
US8337643B2 (en) 2004-11-24 2012-12-25 Nucor Corporation Hot rolled dual phase steel sheet
US7959747B2 (en) * 2004-11-24 2011-06-14 Nuco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cold rolled dual phase steel sheet
JP3889767B2 (ja) * 2005-03-31 2007-03-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融亜鉛めっき用高強度鋼板
JP4804996B2 (ja) * 2006-04-07 2011-11-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加工性、パウダリング性、摺動性の良好な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US7608155B2 (en) * 2006-09-27 2009-10-27 Nucor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dip coat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155902B2 (en) 2006-09-27 2021-10-26 Nucor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dip coat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435363B2 (en) * 2007-10-10 2013-05-07 Nucor Corporation Complex metallographic structured high strength steel and manufacturing same
CN102015155B (zh) * 2008-03-19 2013-11-27 纽科尔公司 使用铸辊定位的带材铸造设备
US20090236068A1 (en) 2008-03-19 2009-09-24 Nucor Corporation Strip casting apparatus for rapid set and change of casting rolls
US20090288798A1 (en) * 2008-05-23 2009-11-26 Nuc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thin cast strip
JP5394709B2 (ja) * 2008-11-28 2014-0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水素脆化特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
JP5632585B2 (ja) * 2009-04-06 2014-1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US9089896B2 (en) 2009-07-29 2015-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hot isostatic pressing
CN102031474A (zh) * 2010-12-07 2011-04-27 重庆万达薄板有限公司 高强度热浸镀锌钢带生产方法
WO2014081774A1 (en) * 2012-11-20 2014-05-30 Thyssenkrupp Steel Usa, Llc Process for making coated cold-rolled dual phase steel sheet
JP2016055337A (ja) * 2014-09-11 2016-04-21 高周波熱錬株式会社 溶接方法及び溶接構造物
RU2727484C2 (ru) * 2014-12-16 2020-07-21 Грир Стил Компани Ста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гильз патрона кольцевого воспламенения
JP6237900B2 (ja) 2015-02-17 2017-11-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162937A1 (en) 2017-03-07 2018-09-13 Arcelormittal Resistance spot welding method for joining zinc coated steel shee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76B2 (ja) 1988-02-04 1994-05-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5105960A (ja) 1991-10-16 1993-04-27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溶融亜鉛メツキ鋼板の製造方法
JPH11193419A (ja) 1997-12-29 1999-07-21 Kobe Steel Ltd 成形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US6312536B1 (en) * 1999-05-28 2001-11-0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thereof
AU776043B2 (en) * 2000-11-28 2004-08-26 Kawasaki Steel Corporation Composite structure type high tensile strength steel plate, plated plate of composite structure type high tensile strength steel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JP4085583B2 (ja) * 2001-02-27 2008-05-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溶融亜鉛メッキ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288322A1 (en) * 2001-08-29 2003-03-05 Sidmar N.V. An ultra high strength steel composition,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an ultra high strength steel product and the product obtained
US6709535B2 (en) * 2002-05-30 2004-03-23 Kobe Steel, Ltd. Superhigh-strength dual-phase steel sheet of excellent fatigue characteristic in a spot welded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8286A (zh) 2006-11-08
KR100697905B1 (ko) 2007-03-20
CN100494456C (zh) 2009-06-03
US7118809B2 (en) 2006-10-10
US20050247383A1 (en) 2005-11-10
JP2005320561A (ja) 2005-11-17
EP1593750A2 (en) 2005-11-09
JP4325998B2 (ja) 2009-09-02
EP1593750A3 (en) 2005-11-23
EP1593750B1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05B1 (ko) 스폿 용접성 및 재질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618090B1 (ko) 연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고강도 코팅된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코팅된 강 시트
US10745775B2 (en)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2731492C (en) Hot roll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544474B2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608155B2 (en) High strength, hot dip coat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939640B2 (en) Method for producing hot-roll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full-har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treated sheet
US11408059B2 (e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692584B2 (en) High tensile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ductility and in strain aging harden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0045568A (ja) 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及び高強度部材の製造方法
JPWO2019106894A1 (ja) 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155902B2 (en) High strength, hot dip coat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80025930A (ko) 초 고강도 다중상 강철 및 그로부터 냉간 압연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45465B1 (ko) 가공성과 스폿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03448A1 (ja) 熱間プレス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間プレス用冷延鋼板
KR20120068990A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63167A (ko) 초고강도 다중 상 강 및 상기 다중 상 강으로부터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
JP3812279B2 (ja) 加工性および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高降伏比型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186339A1 (en) Hot-pressed member, cold-rolled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JP4580403B2 (ja) 深絞り用溶融めっき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7837A (ja) プレス成型性、耐食性および二次加工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7713A (ja) プレス加工用溶融めっき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