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745A -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745A
KR20060046745A KR1020050067324A KR20050067324A KR20060046745A KR 20060046745 A KR20060046745 A KR 20060046745A KR 1020050067324 A KR1020050067324 A KR 1020050067324A KR 20050067324 A KR20050067324 A KR 20050067324A KR 20060046745 A KR20060046745 A KR 2006004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ushion
shaft
torque
disk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376B1 (ko
Inventor
토시푸미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목시(目視)할 수 있도록 구성한 틸트힌지 및 그 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고, 판스프링 수용부를 지니는 홀더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다른 일방에 취부되고,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 또는 샤프트가 회동하는 때,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상기 홀더에 회전이 구속된 것과, 상기 샤프트에 회전이 구속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홀더와 샤프트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때에 그 홀더에 고정된 프리쿠션 토크부재와 샤프트에 고정된 프리쿠션 토크부재사이에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전부 또는 일부의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절결부를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틸트힌지, 판스프링 수용부, 프리쿠션 토크, 목시, 절결부

Description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tilt hing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tilt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틸트힌지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틸트힌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배면도이며, 도 3c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중 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틸트힌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카버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홀더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일부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2: 기기본체
3: 키보드 4: 디스플레이장치
5: 틸트힌지 10: 홀더
11: 취부부 15: 판스프링 수용부
17: 제2수용부 20: 샤프트
21: 변형부 30: 프리쿠션 토크부재
31: 제1프리쿠션 디스크 32: 제2프리쿠션 디스크
35: 가압수단 36: 접시스프링
37: 누름용 와셔 40: 토크부재 수용부
41: 절결부 42: 결합부
50: 카버 51: 걸려멈춤부
60: 취부부재
본발명은,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를 모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기, 카-네비게이션장치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는, 기기본체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개폐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 디스플레이장치의 취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개폐를 다소의 토크를 가지고 느리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기기본체에 대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틸트힌지(이하, 틸트기구라고 함)가 채용되고 있다.
근년, 소형의 전자기기, 특히 노트형 퍼스널컴퓨터는, 소형화 또한 박형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틸트힌지도 이러한 소형화,박형화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요망을 만족하는 틸트힌지로서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개2004-138129호 공보에서 프리쿠션 디스크프리쿠션 디스크와 접시스프링을 구비한 틸트힌지를 제안한 바 있다. 그 틸트힌지는, 기기본체에 취부된 홀더와 그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에 취부된 샤프트와, 상기 홀더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통형상의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된 다수의 프리쿠션 디스크 및 접시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프리쿠션 토크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었다. 또, 샤프트의 단부에는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압접시키는 가압용 와셔가 취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접시스프링이나 프리쿠션 디스크가 압접되며, 프리쿠션 디스크의 접촉면에 슬라이드 방향의 마찰력이 발생한다. 그 마찰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 프리쿠션 토크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기기본체에 대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공지의 틸트힌지는, 축방향의 길이를 다소 길게 하더라고, 직경방향의 길이를 작게 하여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의 전자기기, 특히 박형화가 요구되는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예를 들면 10매이상의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이용하여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10매이상의 프리쿠션 토크부재가 원통상의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그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프리쿠션 토크부재 를 목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는 예를 들어 10매이상과 같이 많게 그 프리쿠션 토크부재가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목시할 수 없기 때문에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상태가 잘못되기 쉽고, 조립후에도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상태가 잘못되었다고 해도 그 수정이 간단하게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부품의 채용비율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그 부품의 채용비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조립중에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1매씩 확인하면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목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틸트힌지 및 그 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고, 판스프링 수용부를 지니는 홀더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다른 일방에 취부되고,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 또는 샤프트가 회동하는 때,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상기 홀더에 회전이 구속된 것과, 상기 샤프트에 회전이 구속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홀더와 샤프트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때에 그 홀 더에 고정된 프리쿠션 토크부재와 샤프트에 고정된 프리쿠션 토크부재사이에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전부 또는 일부의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절결부를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 수용부에 절결부를 설치함으로써 전 매수 또는 그 일부의 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가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되게 되므로,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목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조립중에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할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확인하면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상태를 잘못됨이 없이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목시하면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틸트힌지는 조립후에도 판스프링 수용부에 절결부를 설치함으로써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시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틸트힌지를 예를 들어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에 조립한 때에도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실히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틸트힌지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는 상기 절결부를 덮는 카버를 착탈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틸트힌지에 있어서, 상기 프리쿠션 토크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와, 그 제1프리쿠션 디스크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그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프리쿠션 디스크와, 상기 제1프리쿠션 디스크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의 적어도 일방을 대향하는 제2프리쿠션 디스크 및/또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틸트힌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 수용부에 절결부를 설치함으로써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시인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틸트힌지를 예를 들어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에 취부하는 때에도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틸트힌지에 의하면, 판스프링 수용부에 절결부가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목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상태를 틀림없이 행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틸트힌지를 구비한 것이므로, 그 틸트힌지를 예를 들어 노트형 퍼스널컴퓨터에 취부하는 때에도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 수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확실하게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틸트힌지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틸트힌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틸트힌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틸트힌지는,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기, 카-네비게이션장치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취부되는 것이다. 이하의 예는, 본 발명의 틸트힌지를,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형 퍼스널컴퓨터(1)에 취부한 경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노트형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키보드(3), 마더보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지니는 기기본체(2)에, 액정패널을 지니는 디스플레이장치(4)가 개폐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 디스플레이장치(4)의 기기본체(2)에의 취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4)의 개폐를 다소의 토크로 느리게 또는 헐겁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4)가 기기본체(2)에 대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틸트힌지(5)(틸트기구라고도 함)가 채용되고 있다. 틸트힌지(5)의 개수는 전자기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지만, 도시한 예의 노트형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2개이다.
본 발명의 틸트힌지(5)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이다. 그 틸트힌지(5)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인 기기본체(2)에 취부되고 판스프링 수용부(15)를 지니는 홀더(10)와, 제2부재인 디 스플레이장치(4)가 취부되고 판스프링 수용부(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20)와, 판스프링 수용부(15)내에 수용되고 홀더(10) 또는 샤프트(20)가 회동하는 때에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구비하며, 판스프링 수용부(15)에 수용된 전 매수 또는 그 일부의 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게 하는 절결부(41)가 판스프링 수용부(1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그 홀더(10)가 기기본체(2)에 취부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4)가 샤프트(20)에 취부되지만, 기기본체(2)에 샤프트(20)가 취부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4)를 홀더(10)에 취부하도록 하여도 좋다.
홀더(10)는, 기기본체(2)에 나사, 볼트 등의 취부부재(13)에 의해 취부되는 취부부(11)와, 그 취부부(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판스프링 수용부(15)를 구비한다. 그 취부부(11)는, 아연다이캐스트제로 예를 들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취부부(11)에는, 나사, 볼트 등의 취부부재(13)를 삽입관통시키기 위한 취부공(12)이 1개 또는 2개 이상(도시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취부공(12)은, 미리 취부부(11)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 취부부재(13)를 삽입관통시키는 때에 설치하여도 좋다.
판스프링 수용부(15)는 샤프트(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수용하는 것이다. 판스프링 수용부(15)는 예를 들어 취부부(11)의 일측부 근방에 일체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 수용부(15)에는, 샤프트(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형단면의 축받침공(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판스프링 수용부(15)에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수용하는 토크부재 수 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토크부재 수용부(40)는, 예를 들어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구성하는 프리쿠션 디스크나 접시스프링이 2매 이상 예를 들어 합계 18매 수용할 수 있는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토크부재 수용부(40)는, 축받침공(16)보다 직경이 큰 원형부(40a)와, 그 원형부(40a)의 취부부(11) 측으로 설치된 대략 받침대 형상의 받침대형상부(40b)를 구비한다.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원형부(40a)에서 취부부(11)와는 반대측에는,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된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일부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게 하는 절결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41)가 본 발명의 특징으로 되는 부분이다. 즉, 절결부(41)가 설치되는 토크부재 수용부(40)는, 대략 요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1)는,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되는 전 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일부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좋으며, 또,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된 일부의 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일부를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절결부(41)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토크부재 수용부(40)가 프리쿠션 디스크나 접시스프링이 합계 18매 수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18매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 중 16매분이 설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절결부(41)의 형상은,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디스크나 접시스프링 등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가 외부에서 목시될 수 있으며,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어 원호형상, 반원형상 등이라도 좋고, 도시의 예에서는 반원형형상이다.
또, 절결부(4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버(50)가 취부되어 있어도 좋다. 카버(50)는,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절결부(41)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카버(50)는,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원형부(40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칫수의 외경으로, 또한, 그 원형부(40a)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칫수의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카버(50)를 절결부(41)에 취부함과 동시에 카버(50)와 절결부(41)에 의해 원통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되게 된다. 카버(5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지만, 합성수지이외의 금속 등의 재료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카버(50)는 절결부(41)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버(50)의 절결부(41)에의 취부는, 착탈가능하면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41)에 접하는 카버(50)의 양 접촉면(50a)에 그 접촉면(50a)으로부터 접촉면(50a)에 대해 직교방향(대략 직교방향을 포함한다)으로 연장하여 선단부가 내표면방향으로 휘어진 갈고리형상의 걸려멈춤부(51)를 설치함과 동시에 절결부(41)를 설치한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양 측부(41a)에 걸려멈춤부(51)와 결합하는 결합부(42)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들 걸려멈춤부(51) 및 결합부(42)는, 예를 들어 카버(50)의 길이방향의 전체 및 양 측부(41a)의 길이방향의 전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걸려멈춤부(51)는, 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버(50)를 가요성을 지니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결부(41)에의 카버(50)의 취부는, 카버(50)의 걸려멈춤부(51)를 절결부(41)의 결합부(42)에 슬라이드시켜 결합시 키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슬라이드방식에 의해 행함)도 좋으며, 또, 카버(50)의 접촉면(50a)과 절결부(41)의 양 측부(41a)를 돌출결합시키고 걸려멈춤부(51)를 휘게 하여 행하는 것(가압식에 의해 행함)도 좋다. 또, 카버(50)를 휠 수 있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걸려멈춤부(51) 및 결합부(42)는, 카버(50)의 일부 및 절결부(41)의 일부의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걸려멈춤부(51) 대신에 결합돌기를 카버(50)에 설치함과 동시에 양 측부(41a)에 그 결합돌기에 결합하는 결합요홈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샤프트(20)는, 판스프링 수용부(15)의 축받침공(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4)가 취부되어 있는 것이며, SUS 등의 환봉을 절삭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샤프트(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쿠션 토크부재(30)가 장착되는 부분 및 상기 축받침공(16)이 설치되는 부분은 변형부(21)로서 형성되어 있다. 변형부(21)는 원형상의 대향하는 2개소를 절삭한 대략 타원단면형상(큰 북을 측면에서 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샤프트(20)의 변형부(21) 이외의 양단부는, 예를 들어 원형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샤프트(2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 샤프트(20)의 제1단부(샤프트(20)를 축받침공(16)에 지지시킨 때 축받침공(16)을 기준으로 하여 토크부재 수용부(40)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4)가 취부되는 취부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그 취부부재(60)는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예를 들어 대략 반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취부부재(60)에는 디스플레이장치(4)가 취부되도록 취부공(61)이 설치됨과 동시에 플랜지부(62) 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쿠션 토크부재(30)는, 홀더(10) 또는 샤프트(20)가 회동 또는 회전하는 때,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프리쿠션 토크부재(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샤프트(20)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그 샤프트(20)와 함께 회동하지 아니하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와, 그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그 샤프트(20)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와, 상기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의 적어도 일방을 대향하는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및/또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에 가압하는 가압수단(35)을 구비한다.
그 제1프리쿠션 디스크(31)는, 예를 들면 경질의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재료로 형성된 와셔나 O링 등이다. 제1프리쿠션 디스크(31)는, 판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토크부재 수용부(40)의 공동부를 구분하여 형성하는 형상보다 약간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프리쿠션 디스크(31)는 프리쿠션 발생부인 원형디스크(31a)와 걸려멈춤부인 받침대형상 디스크(31b)를 지니며,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에는, 샤프트(20)가 삽입관통되는 샤프트원형공(31c)가 설치되어 있다. 그 샤프트원형공(31c)는, 샤프트(20)의 변형부(21)의 형형상의 직경과 동일하던가, 약간 튼 칫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의 원형디스크(31a)의 상부 가장자리(받침대형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절삭에 의해 형성된 오일저류부(31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일저류부(31d)를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에 설치하는 위치, 수량, 형태는 실시의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것은 샤프트원형공(31c)의 내주에 설치되는 경우나, 원형디스크(31a)에 소공 또는 요홈부로서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은, 예를 들면, 경질의 내마모성에 우수한 금속재료로 형성된 와셔나 O링 등이다. 제2프리쿠션 디스크(32)는, 판형상으로서 예를 들면,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원형부(40a)보다 작은 칫수의 직경의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프리쿠션 디스크(32)는, 원반형상으로서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원형부(40a)에 헐겁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에는, 샤프트(20)가 삽입관통되는 샤프트변형공(32c)가 설치되어 있다. 그 샤프트변형공(32c)은, 제2프리쿠션 디스크(32)가 샤프트(20)와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샤프트(20)의 변형부(21)와 동일하던가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샤프트변형공(32c)에는 오일저류부(32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35)은,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의 적어도 일방을 대향하는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및/또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31)로 가압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가압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가압수단(35)은, 예를 들면, 탄성부재와 샤프트(20)의 제2단부에 취부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탄성부재도 특히 한정됨이 없으며, 예를 들면 접시스프링(36)이나 스프링와셔 등이다. 접시스프링(36)은 외주부가 만곡하여 접시형상으로서, 토크부재 수용부 (40)의 원형부(40a)보다 직경이 작은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접시스프링(36)에는, 샤프트(20)가 삽입관통되는 원형상의 샤프트공이 설치된다. 그 접시스프링(36), 제1 및 제2 프리쿠션 디스크(31,32)의 샤프트(20)에로의 장착 매수나 배치는, 직경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축받침공(16)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2매의 접시스프링(36),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2매의 접시스프링(36),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가 수용되고, 또한,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외측에 5매의 접시스프링(36)이 배치되게 하여도 좋다.
체결부재는, 접시스프링(36)이나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를 압접하여 접시스프링(36)의 탄성력 등에 의해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와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등을 밀착시키고, 샤프트(20)가 회동 또는 회전한 때에 샤프트(20)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는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와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와의 사이에 스라스트방향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체결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샤프트(20)의 제2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나 샤프트(20)의 제2단부에 추가 체결되어 취부되는, 도시의 예에서와 같은 누름용 와셔(37) 등을 들 수 있다. 누름용 와셔(37)는, SUS 등의 강판으로, 제1프리쿠션 디 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보다 두껍게 원반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용 와셔(37)에는 샤프트(20)가 삽입관통할 수 있는 샤프트공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틸트힌지(5)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샤프트(20)의 플랜지부(62)측에 제2프리쿠션 디스크(32)를 압입하고, 홀더(10)의 요홈부(17)에 제1프리쿠션 디스크(31)를 삽입하며, 샤프트(20)를 홀더(10)의 축받침공(16)으로 관통한 후,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되는 위치의 샤프트(20)의 변형부(21)의 외주에 순차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2매의 접시스프링(36),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2매의 접시스프링(36),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제2프리쿠션 디스크(32)를 중첩되게 배치한다. 이 경우,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은, 샤프트원형공(31c)을 삽입관통하여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을 샤프트(20)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동일하게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은, 그 샤프트변형공(32c)에 샤프트(20)를 삽입관통하여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을 샤프트(20)에 대해 압입시킴으로써 위치결정이 행하여지고, 접시스프링(36)은, 그 샤프트공에 샤프트(20)를 삽입관통하여 접시스프링(36)을 샤프트(20)에 대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샤프트(20)의 변형부(21)의 외주에 합계 18매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가 배치된다.
다음에 상기 18매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지니는 샤프트(20)를 홀더(10) 에 장착한다. 홀더(10)에의 장착은, 샤프트(20)의 제1단부를 토크부재 수용부(40) 측으로부터 축받침공(16)에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샤프트(20)의 외수에 위치하는 18매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슬라이드시켜서 수용시킨다. 이때,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절결부(41)를 설치함으로써 전 매수 또는 그 일부의 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는, 그 일부가 외부로부터 시인가능한 상태로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되므로, 토크부재 수용부(4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목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조립중 토크부재 수용부(40)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확인하면서,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토크부재 수용부(40) 내로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토크부재 수용부(40) 내에 수용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매수나 조립상태를 틀림없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절결부(41)가 설치되므로,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드시킬 때,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주변부가 토크부재 수용부(40)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또, 카버(50)를 토크부재 수용부(40)의 절결부(41)에 슬라이드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카버(50)의 조립은, 샤프트(20)에 홀더(10)를 장착한 후에 행하여도 좋다. 또, 카버(50)의 절결부(41)에의 조립이 슬라이드식이 아니라 압입식인 경우에는, 카버(50)의 조립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샤프트(20)의 제2단부로부터 예를 들어 5매의 접시스프링(36)을 장착하고, 이들 접시스프링(36)을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수용되어 있는 제일 외측의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에 중첩시킨다. 접시스프링(36)의 장착후, 샤프트(20)의 제 2단부에 예를 들어 누름용 와셔(37)를 추가로 체결하여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틸트힌지(5)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틸트힌지(5)는, 직경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예를 들면 18매의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수용시켜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소형의 전자기기, 특히 노트형 퍼스널컴퓨터(1)에 적합한 것이다.
누름용 와셔(37)의 조립은, 접시스프링(36)과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가 압접되고, 예를 들면 샤프트(20)가 홀더(10)에 대해 회동하는 때, 접시스프링(36)과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의 접촉면에 슬라이드 방향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하게 한다. 누름용 와셔(37)의 추가 체결력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프리쿠션 토크력을 임의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또, 누름용 와셔(37) 대신에 너트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너트의 샤프트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프리쿠션 토크력을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틸트힌지(5)는,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절결부(41)가 설치되기 때문에 판스프링 수용부(15)의 토크부재 수용부(40) 내로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외부에서 목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토크부재 수용부(40) 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매수나 조립을 틀림없이 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부품채용비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카버(50)가 절결부(41)에 취부되어도, 카버(50)를 벗기거나 하는 것에 의해 대략 동일하게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확인할 수 있어 토크부재 수용부(40) 내로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매수나 조립을 틀림없이 행할 수 있게 되고, 조립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틸트힌지(5)의 홀더(10)를 예를 들어 노트형 퍼스널컴퓨터(1)의 기기본체(2)에 취부함과 동시에 샤프트(20)의 취부부재(60)에 디스플레이장치(4)를 취부한다. 그 취부를 행할 때, 판스프링 수용부(15)의 토크부재 수용부(40)에 절결부(41)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토크부재 수용부(40) 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를 시인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기기본체(2)와 디스플레이장치(4)를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틸트힌지(5)의 토크부재 수용부(40) 내에 수용되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매수나 조립을 볼 수 수 있으므로, 만약, 그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매수나 조립이 틀린 경우에는, 프리쿠션 토크부재(30)의 매수나 조립이 틀림없게 된 다른 틸트힌지(5)를 이용하여 기기본체(2)에 디스플레이장치(4)를 취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기기본체(2)와 디스플레이장치(4)를 필요한 프리쿠션 토크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고, 부품의 채용비율도 향상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4)를 개폐시킨 때, 샤프트(20)가 홀더(10)에 대해 회동하고,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의 접촉면에 슬라이드 방향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한다. 즉, 누름용 와셔(37)에 의해 접시스프링(36)이나 제1프리쿠션 디스크(31)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32)가 압접되어 접시스프링(36)의 탄성력 등에 의해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와 제2프리쿠션 디스크(32) 등이 밀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샤프트(20)가 회동한 때, 샤프트(20)의회동과 함께 회동하는 제2프리쿠션 디스크(32)와 제1프리쿠션 디스크(31)사이에 스라스트방향의 마찰력이 발행하여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한다. 또, 디스플레이장치(4)의 개폐를 멈추면 디스플레이장치(4)는 프리쿠션 토크에 의해 그 상태로 유지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4)를 기기본체(2)에 대해 임의의 각도에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목시할 수 있으므로,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에 있어 잘못됨이 없게 하고 부품의 채용율을 좋게 하는, 특히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용 틸트힌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된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외부에서 목시할 수 있게 되어 프리쿠션 토크부재의 매수나 조립에 있어 잘못됨이 없게 하고 부품의 채용율을 좋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고, 판스프링 수용부를 지니는 홀더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다른 일방에 취부되고,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 또는 샤프트가 회동하는 때, 프리쿠션 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쿠션 토크부재를, 상기 홀더에 회전이 구속된 것과, 상기 샤프트에 회전이 구속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홀더와 샤프트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때에 그 홀더에 고정된 프리쿠션 토크부재와 샤프트에 고정된 프리쿠션 토크부재사이에 프리쿠션 토크가 발생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전부 또는 일부의 프리쿠션 토크부재가 외부에서 시인가능하도록 절결부를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수용부에는 상기 절결부를 덮는 카버를 착탈가능하게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쿠션 토크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와, 그 제1프리쿠션 디스크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그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프리쿠션 디스크와, 상기 제1프리쿠션 디스크 및 제2프리쿠션 디스크의 적어도 일방을 대향하는 제2프리쿠션 디스크 및/또는 제1프리쿠션 디스크에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4. 상기 제 1 항의 틸트힌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50067324A 2004-07-30 2005-07-25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0631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4748A JP2006046384A (ja) 2004-07-30 2004-07-30 チルトヒンジ並びにこのチルト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04-00224748 200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45A true KR20060046745A (ko) 2006-05-17
KR100631376B1 KR100631376B1 (ko) 2006-10-04

Family

ID=3579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324A KR100631376B1 (ko) 2004-07-30 2005-07-25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32022A1 (ko)
JP (1) JP2006046384A (ko)
KR (1) KR100631376B1 (ko)
CN (1) CN1727704A (ko)
TW (1) TWI2909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433A1 (en) * 2006-01-09 2007-07-12 Shin Zu Shing Co., Ltd. Positioning hinge
JP2007205538A (ja) * 2006-02-06 2007-08-16 Shimonishi Giken Kogyo Kk チルトヒンジ
US7685679B2 (en) * 2007-07-03 2010-03-30 Jamie Horng Pivotal hinge with an oil-retaining collar
TW200914745A (en) * 2007-09-21 2009-04-01 Chen Ching Yau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bination-type male hinge
US20120124775A1 (en) * 2010-11-19 2012-05-24 Ceci Victor A Friction hinge with closed clips
CN103363466B (zh) * 2012-03-26 2016-12-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灯具壳体及变间隙铰链
CN103362947B (zh) * 2012-03-27 2016-09-0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结构及使用该铰链结构的照明装置
TWI498496B (zh) * 2012-11-15 2015-09-01 Kinpo Elect Inc 阻尼器及使用此阻尼器的事務機
US9234375B1 (en) * 2014-10-06 2016-01-12 Chin-Hsing Horng Hinge structure with male shaft position adjustability
JP7490224B2 (ja) * 2020-06-15 2024-05-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支持機構、及びこの支持機構を備えた支持装置
TWI770650B (zh) * 2020-09-01 2022-07-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樞軸結構
US11952128B2 (en) 2022-04-05 2024-04-09 B/E Aerospace, Inc. Aircraft seat arm O-ring fric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452A (en) * 1973-01-08 1974-08-27 Wheatley C Inc Gas sampler
US5940936A (en) * 1998-07-02 1999-08-24 Lu; Sheng-Nan Pivot device for use with a monitor
US6192561B1 (en) * 1998-12-16 2001-02-27 Ronald B. Bennett Cartridge case former and method
US6256838B1 (en) * 2000-01-25 2001-07-10 Lu Sheng-Nan Pivoting assembly for a notebook computer
KR200233484Y1 (ko) * 2001-02-22 2001-09-28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 장치
US6671928B2 (en) * 2001-05-23 2004-01-06 Kuo-Cheng Huang Hinge assembly for monitor
KR100463524B1 (ko) * 2002-05-2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JP2004138129A (ja) * 2002-10-16 2004-05-1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TWM247160U (en) * 2003-12-03 2004-10-2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Shower screen sh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7704A (zh) 2006-02-01
TW200604448A (en) 2006-02-01
KR100631376B1 (ko) 2006-10-04
JP2006046384A (ja) 2006-02-16
TWI290982B (en) 2007-12-11
US20060032022A1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376B1 (ko) 틸트힌지 및 그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US10638620B2 (en) Display device
US6618903B2 (en) Hinge device
US7876551B2 (en) Hinge assembly and computer housing using the same
JP5112925B2 (ja)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US7143476B2 (en) Tilt hinge
KR20040034405A (ko) 틸트 힌지
EP1967748A1 (en) Two-axis hinge device with rotation regulating function
CN107923433B (zh) 合叶
US8020255B2 (en) Hinge
US20140007379A1 (en)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7506608B2 (en) Hinge mechanism
JP2008020033A (ja)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US6076232A (en) Hinge structure for electronic apparatus
JP4141249B2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KR101369111B1 (ko) 틸트힌지 및 이 틸트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EP1619399B1 (en) Hinge
JP2003156029A (ja) チルトヒンジの製造方法、チルトヒンジ、情報処理装置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JP2009180368A (ja) 小型ヒンジ並びにこの小型ヒンジを用いた小型電子機器
JP2004116540A (ja) チルトヒンジ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JP6525257B2 (ja) 蓋体の開閉装置のワンタッチ取付機構並びに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JP4179408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