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210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210A
KR20060046210A KR1020050044853A KR20050044853A KR20060046210A KR 20060046210 A KR20060046210 A KR 20060046210A KR 1020050044853 A KR1020050044853 A KR 1020050044853A KR 20050044853 A KR20050044853 A KR 20050044853A KR 20060046210 A KR20060046210 A KR 2006004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pring
block
pair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후미 치다
케이 치바
타츠미 이데
시게루 카사이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도낀 이와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도낀 이와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소형이고, 통상 개구 컨택트의 2개의 회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충격 및 진동에 대한 내성이 뛰어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한다. 가동 커택터는 활-형상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을 통해, 카드 블록에서 내열 수지로 이루어진 카드를 매개로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ㄷ-형 지지 프레임에 각각 보지된다. 가동 컨택트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두꺼운 판 형상 가동 컨택트는 전자석 블록의 전기자의 동작과 동기하여, 베이스 블록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고정 컨택트와 분리된다. 전류 수송력과 차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 회로 각각에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간격이 두배인 2개의 통상 개구 컨택트가 마련된다.
전자 계전기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 계전기의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의 분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블록의 분해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 실시예에 따른 카드 블록의 분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블록의 분해 투시도.
도 6은 전자 계전기의 동 실시예에 따른 회로 및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A 및 B는 전자 계전기의 동 실시예에 따른 카드 블록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의 A는 카드 블록의 투시도이고, 도 7의 B는 전기자에 의해 카드의 가압점 및 릴리즈 스프링의 지지점을 나타내는 개략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탑재 3-상 브러시리스 모터의 제어에 적합한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 출원 2004-158951(2004.05.28)의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 자동차 연료 소비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의 조작 방법이 유압식에서 전동식으로 변경되고 있다. 현재 DC(Direct Current) 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스티어링법은 대부분의 경우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사용된다. 그러나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고 배기량의 자동차에의 적용화에 수반하여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3-상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3-상중 2상만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3-상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전자 계전기는 별형 접속의 중심점(접속점)에서 3-상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또는 2-상만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게 된다. 전자 계전기에 의한 전기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에 대한 선행 조건은 모터에 대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보다 큰 통전 용량(예를 들어 100A의 전류가 흐르도록 허용) 및 차단 성능(예를 들어 14V 100A의 전압 및 전류를 차단)이다. 또한, 자동차의 구성 소자가 전기 및 전자 부품으로 이루어지 것에 대응하여, 전자 계전기는 소형화가 요구된다.
종래의 전자 계전기로는, 더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전자 계전기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2-329447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기 파워 스티어링에 대한 하나의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전자 계전기에 대해 충분히 큰 통전 용량(100A의 전류가 흐르도록 허용) 및 차단 성능(14V 100A의 전압 및 전류를 차단)을 갖는 단일 전자 계전기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현재,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전자 계전기는 하나의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하나의 회로만을 포함하는 형태(1 FORM A-type"이라 칭함)이다.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3개의 회로 중 적어도 2개의 회로에 하나의 전자 계전기가 사용되거나, 또는,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전자 계전기가, 전자 계전기의 성능에 의해, 하나의 회로 내에 전류를 분할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 자동차에서, 소형화, 고밀도 장착, 및 다양한 전자 부품들의 비용 감소로 인해, 전기 및 전자 부품들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현 상태는 자동차상에 장착되는 전자 계전기에 대한 부품의 소형화, 부품 조립의 정밀도 향상, 및 부품의 생산성 및 부품 비용 감소를 더욱 요구하고 있다.
하나의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하나의 회로만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계전기 각각이 3-상 브러시리스 모터의 제어를 위해 사용될 때, 전기 및 전자 부품을 사용하는 장치 내의 공간을 차지하는 전자 계전기의 비율이 더 증가되고, 복수의 전자 계전기를 사용하는 것은 전기 및 전자 부품으로 이루어진 장치에 대해 가능한 많이 공간을 절약하는 구조가 제공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일 전자 계전기가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2개 이상의 회로를 갖고, 전기 및 전자 부품을 사용하는 장치내에 공간을 차지하는 단일 전자 계전기의 비율이 하나의 통산 개구 컨택트를 구비하는 하나의 회로를 각각 갖고 전기 및 전 자 부품을 사용하는 장치 내에 공간을 차지하는 복수의 전지 계전기의 비율보다 작아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자 계전기에서는, 2개의 회로 사이의 통상 개구 컨택트가 절연 상태를 유지하고, '카드'라고 불리는 절연재를 두 회로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100A의 전류를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자간 저항값이 1mΩ이하가 되도록 가능한 낮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전자 계전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전류 경로의 길이를 가능한 짧게 하고 전류 경로의 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컨덕터의 저항을 낮춰야 한다. 또한, 컨택트가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접촉력이 가능한 커지고 컨택트 사이의 접촉 저항이 낮아지고 안정화되어야 한다. 또한 전자 계전기가 자동차의 충격 및 진동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전자 계전기는 비정상 상태에서 회로 접속을 끊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전자 계전기는 14V DC(Direct Current) 100A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성능이 요구된다.
상기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하나의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각각 갖는 2개의 회로를 제어할 수 있고, 통전 용량 및 차단 성능이 뛰어나며 충격 및 진동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따르면, 전자 계전기는,
코일이 감긴 철심, 상기 철심의 한 단에 부착된 요크, 철심의 다른 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철심을 여자함으로써 자력을 갖는 전기자를 포함하는 전자석 블록;
절연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에 접합된 한 쌍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 가동 컨택터 스프링 각각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컨택트를 갖는 한 쌍의 가동 컨택터, 및 작동 상태에서 릴리즈 상태로 가동 컨택터를 전환하는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드 블록; 및
베이스로서 절연재를 사용하는 2개의 코일 단자와 고정 컨택트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고정 단자를 지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카드 블록의 적어도 2개의 가동 컨택트는 대략 한 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고정 컨택트 각각은 베이스 블록 상의 적어도 2개의 가동 컨택트 중 대응 하는 하나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가동 컨택트와 적어도 2개의 고정 컨택트는 전기자의 진동 또는 스윙에 동기하여 동시에 개폐된다.
상기에서, 양호한 양상은, 코일이 감긴 철심, 철심의 한 단에 부착된 L-형 요크, 철심의 다른 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철심을 여자함으로써 자력을 갖는 대략 <- 형상의 전기자, 및 전기자가 진동 또는 스윙할 수 있도록 전기자를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석 블록;
절연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ㄷ-형 지지 프레임, ㄷ-형 지지 프레임에 접합된 한 쌍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 가동 컨택터 스프링 각각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컨택트를 갖는 한 쌍의 가동 컨택터, 및 작동 상태에서 릴리즈 상태로 가동 컨택터를 전환하는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드 블록; 및
베이스용 절연재를 사용하는 2개의 코일 단자와 고정 컨택트를 각각 갖는 적 어도 2개의 고정 단자를 지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카드 블록의 4개의 가동 컨택트는 대략 한 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4개의 고정 컨택트 각각은 베이스 블록 상의 4개의 가동 컨택트 중 대응하는 하나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4개의 가동 컨택트와 4개의 고정 컨택트는 전기자의 진동 또는 스윙에 동기하여 동시에 개폐된다.
또한, 가동 컨택터 스프링이 활-형상인 것이 양호하다.
또한, 가동 컨택터가 두꺼운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양호하다.
또한, 가동 컨택터 스프링이 가동 컨택터의 중앙에 부착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ㄷ-형 지지 프레임이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서 ㄷ-형부를 포함하는 면에 수직으로 추가부(added portion)를 배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 각각이, 제 1의 판형 스프링과 제 2의 판형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 1의 판형 스프링은 ㄷ-형 지지 프레임 각각의 하나의 암부에 고정 형태로 부착되고, 제 2의 판형 스프링은 ㄷ-형 지지 부재 각각의 다른 암부에 고정 형태로 부착되며, 제 1의 판형 스프링과 제 2의 판형 스프링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제 1의 판형 스프링의 한 단이 베이스용 절연재 상에 고정식으로 지지되고, 제 2의 판형 스프링의 한 단은 베이스용 절연재의 표면상을 활주하는 가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제 1의 판형 스프링의 폭이 제 2의 판형 스프링의 폭보다 큰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제 1의 판형 스프링의 길이가 제 2의 판형 스프링의 길이보다 긴 것이 양호하다.
또한, 릴리즈 스프링은 가동 컨택터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컨택터의 이동을 카드 블록으로 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가 카드 블록의 중앙부에 대해, 한 쌍의 가동 지지점이 배치된, 제 2의 판형 스프링의 한 단측으로 편향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전자석 블록을 베이스 블록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단자의 한 단이 L-형 요크에 고정되고, 지지 단자의 다른 단이 일정 방법으로 가압에 의해 베이스 블록으로 삽입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접속용 절연재는 높은 내열성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구성을 사용하면, 하나의 전자 계전기 내에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2개의 회로를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통상 개구 컨택트를 포함하는 단 하나의 회로를 갖는 2개의 전자 계전기 각각이 장착된 경우에 비해, 전자 계전기의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전체 생산품의 크기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을 장착한 각 지지 부재가 내열성이 높은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과 같은 절연재를 통해 결합되므로,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각각 갖는 2개의 회로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계전기의 한 회로 내에 2개의 통상 개구 회로가 한 세트로 장착 됨으로써, 컨택트의 보통 간격보다 두배 큰 2개의 컨택트 간격이 연속하고, 따라서 차단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카드 블록에서, 가동 컨택트가 전기자의 동작에 동기하여 고정 컨택트상에 가압될 때, 컨택트에 대해 안정된 접촉 저항을 얻기 위해서는, 한 회로에 장착된 2개의 통상 개구 컨택트에 동일한 접촉력이 작용해야한다. 제작시의 변수로 인해 2개의 컨택트 사이에 높이의 편차가 발생한 불균형 상태에서는, 하나의 컨택트는 높은 접촉력을 갖고 다른 컨택트는 낮은 접촉력을 갖게되어, 컨택트에 대한 접?? 저항의 안정성이 손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활-형상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의 중심부가 판형상의 가동 컨택트의 중심부에 결합됨으로써, 가동 컨택트는 컨택트 사이의 높이 편차를 조정하고 2개의 통상 개구 컨택트 사이에 안정된 접촉력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암부와 중앙부로 이루어진 ㄷ-형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2개의 추가부를 장착하고, 높은 내열성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2개의 중앙부와 한 쌍의 ㄷ-형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착된 컨택트 스프링(가동 컨택트)과 릴리즈 스프링의 복원력을 버틸 수 있는 지지 부재가 구성될 있다.
2개의 릴리즈 스프링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2개의 스프링 중 하나는 고정 방법으로 지지되고 2개의 스프링 중 다른 하나는 가동가능한 방법으로 지지되도록 2개의 릴리즈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내성, 조작 내구력, 필요 스프링 상수가 동시에 만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지지측상에서 스프링에 인가되는 힘이 가동 지지측 상에서 스프링에 인가되는 힘보다 크게 된다. 고정 지지측상에서 스프링판의 폭을 크게 하고 가동 지지측 상의 스프링판의 폭을 작게 하고, 또는, 고정 지지측상의 스프링을 가동 지지측상의 스프링보다 더 길게함으로써, 응력 발란스가 맞는 릴리즈 스프링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는 고정식으로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가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릴리즈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카드 블록에서, 카드 블록의 중앙부가 가압되면, 평형 동작이 수행될 수 없고 고정측상의 가동 컨택트가 먼저 동작하고 동작이 불균형하게 되지만, 그러나, 가동 지지측상에 배치된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카드 블록의 중앙부에 대해, 균형이 잘 이루어진 평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양호한 양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투시도이고, 도 2는 동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본체(101)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블록(103)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에 따른 카드 블록(104)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블록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6은 전자 계전기의 회로 및 단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단자(161 및 166)은 코일에 접속되고, 단자(162 및 165)은 제 1의 통상 개구 컨택트에 접속되고, 단자(163 및 164)은 제 2의 통상 개구 컨택트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본체(전자 계전기 자체)(101) 및 본체(전자 계전기 자체)(101)를 덮는 커버부(102)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계전기는 전자석 블록(103), 카드 블록(104) 및 베이스 블록(105)을 포함한다.
전자석 블록(10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6), 철심(107), 스풀(108), 번들 단자(109)을 갖는 코일 블록(110), 요크(111), 전기자(112), 힌지 스프링(113), 및 지지 단자(114)로 이루어진다.
특히, 전자석 블록(103)은 코일이 감긴 철심(106), 철심(106)의 한 단에 부착된 L-형 요크(111), 철심의 다른 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철심을 여자함으로써 자력을 갖는 대략 <- 형상의 전기자, 및 전기자가 진동 또는 스윙할 수 있도록 전기자를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한다.
카드 블록(10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물과 같은 절연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ㄷ-형 지지 프레임(115), 2개의 가동 컨택트(117)가 각각 접합된 한 쌍의 가동 컨택터(118), ㄷ-형 지지 프레임(115)에 접합된 한 쌍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119), 가동 컨택터(118)를 작동 상태에서 릴리즈 상태로 전환하는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블록(10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컨택트(121)가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4개의 고정 단자(122)와 내열 수지를 사용하는 2개의 코일 단자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카드 블록(104)의 4개의 가동 컨택트(117)는 대략 한 면에 배치되고, 4개의 고정 컨택트(121) 각각은 베이스 블록(105) 상에 4개의 가동 컨택트(117)중 대응하는 하나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4개의 가동 컨택트(117)와 4개의 고정 컨택트(121)는 전기자(112)의 진동 또는 스윙에 동기하여 동시에 개폐된다.
가동 컨택터 스프링(11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으로 중앙부에 부착된 두꺼운 판형 가동 컨택터(118)와 함께 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활-형상 가동 컨택터 스프링(119)의 중앙부를 가동 컨택터(118)의 중앙부에 고정식으로 부착함으로써, 각 가동 컨택터(118)내에 장착된 2개의 가동 컨택트(117) 사이에 이동이 자유로워지며, 제조 오차를 조정하고 컨택트 사이의 접촉력의 변화를 감소시켜 접촉 저항의 안정성을 얻게 된다. 가동 컨택터(118)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가동 컨택터 스프링(119)은 지지 프레임(115)에 첨부된다. 가동 컨택터 스프링(119)에서, 내열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불로 이루어진 L-형으로 구부러진 지지 프레임(115)의 일부(ㄷ-형(C-형) 면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 추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동작시 발생하는 접촉력에 의해 야기되는 카드(116)의 경사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릴리즈 스프링(120)은 중앙부에서 살짝 구부러진 판형상 직사각형 스프링이고, 지지 프레임(115)에 부착되며, 가동 컨택터 스프링(119)과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2개의 릴리즈 스프링(1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측면에서 볼때 서로 교차되며 전체적으로 한 세트로 이루어진다. 2개의 릴리즈 스프링(120)중 하나는 고정식으로 베이스 블록(1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하나는 가동식으로 베이스 블록(105)상에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릴리즈 스프링(120)의 다른 한 세트는 선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카드(116) 주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식으로 릴리즈 스프링(120)의 한 단을 지지함으로써, 내진동, 및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 단자(122) 사이에 컨택트 저항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122) 각각은 플레이트의 폭 및 두께를 크게 하고, 그 단면적을 가능한 크게 하며 높은 전도성을 갖는 구리 합금이 사용된다. 또한, 하나의 고정 컨택트와 다른 고정 컨택트 사이의 컨택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전도성을 갖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최소 길이 및 최대 단면적을 갖는 가동 컨택터(118)가 사용된다.
카드 블록(104)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및 B는 카드 블록(10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A는 카드 블록(104)의 투시도, 도 7의 B는 전기자에 의해 카드(116)의 가압점(176) 및 릴리즈 스프링(120)의 지지점(171 내지 174)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카드 블록(104)은 베이스 고정 지지점(172 및 173) 및 가동 지지점(171 및 174)을 포함하는 4점에서 지지된다. 한편, 카드 블록(104)은 카드(116)의 중앙부의 그루부에서 가압점(176)을 통해 전기자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 카드 블록(104)의 중앙부로부터 2개의 가동 지지점(171 및 174)을 접속하는 직선의 측면으로 가압점(176)을 옮김으로써, 힘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이유는, 카드 블록(104)이 중앙부(175)에서 가압되면, 슬라이딩에 의해 야기된 마찰 저항으로 인해 가동 지지 점(171 및 174)에서 지지되는 릴리즈 스프링(120)의 복원력이 고정 지지점(172 및 173)에서 지지된 베이스의 복원력보다 작게 되어 카드 블록(104)이 경사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릴리즈 스프링(120)의 형상에 고안품을 더함으로써, 카드 블록(104)은 안정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고정 지지측상의 릴리즈 스프링의 플레이트 폭을 가동 지지측 상의 릴리즈 스프링(120)의 그것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하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지지측 상의 릴리즈 스프링(120)의 길이를 가동 지지측 상의 릴리즈 스프링(120)의 길이보다 길게하는 것도 유효하다.
따라서, 전자 계전기는 폭18㎜ × 길이32㎜ × 높이17㎜로 소형화되고 2개의 회로를 제어하고 100A-120S의 대전류 수송력 및 차단력을 가질 수 있으며, 충격 및 진동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사용하면, 하나의 전자 계전기 내에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2개의 회로를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통상 개구 컨택트를 포함하는 단 하나의 회로를 갖는 2개의 전자 계전기 각각이 장착된 경우에 비해, 전자 계전기의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전체 생산품의 크기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통상 개구 컨택트를 갖는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을 장착한 각 지지 부재가 내열성이 높은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과 같은 절연재를 통해 결합되므로, 통상 개구 컨택트 를 각각 갖는 2개의 회로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Claims (14)

  1.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코일이 감긴 철심, 상기 철심의 한 단에 부착된 요크, 상기 철심의 다른 단에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여자된 철심에 의해 부착된 전기자, 상기 전기자가 진동하거나 스윙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를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석 블록;
    절연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합되는 한 쌍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 상기 가동 컨택터 스프링 각각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컨택트를 고정식으로 갖는 한 쌍의 가동 컨택터, 및 상기 가동 컨택터를 동작 상태에서 릴리즈 상태로 전환하는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드 블록; 및
    베이스용 절연재를 사용하는 2개의 코일 단자와 고정 컨택트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고정 단자를 지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블록의 적어도 2개의 가동 컨택트는 대략 한 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고정 컨택트 각각은 상기 베이스 블록 상의 적어도 2개의 가동 컨택트중 대응하는 하나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가동 컨택트와 적어도 2개의 고정 컨택트는 상기 전기자의 진동 또는 스윙에 동기하여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감긴 상기 철심,상기 철심의 한 단에 부착된 L-형 요크, 상기 철심의 다른 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여자된 상기 철심에 의해 부착된 <-형 전기자, 및 상기 전기자가 진동 또는 스윙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를 지지하는 상기 힌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석 블록;
    상기 절연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ㄷ-형 지지 프레임, 상기 ㄷ-형 지지 프레임에 접합되는 한 쌍의 가동 컨택터 스프링, 상기 가동 컨택터 스프링 각각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컨택트를 고정식으로 갖는 상기 한 쌍의 가동 컨택터, 및 상기 가동 컨택터를 동작 상태에서 릴리즈 상태로 전환하는 상기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드 블록; 및
    베이스용 절연재를 사용하는 2개의 코일 단자와 고정 컨택트를 각각 갖는 4개의 고정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블록의 상기 4개의 가동 컨택트는 대략 한 면에 배치되고, 4개의 고정 컨택트 각각은 상기 베이스 블록상에서 4개의 가동 컨택트중 대응하는 하나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4개의 가동 컨택트와 4개의 고정 컨택트는 상기 전기자의 진동 또는 스윙에 동기하여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컨택터 스프링은 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컨택터는 두꺼운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컨택터 스프링은 상기 가동 컨택터의 중앙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ㄷ-형 지지 프레임이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서 ㄷ-형 부분을 포함하는 면에 대략 직각인 추가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릴리즈 스프링 각각은 제 1의 판상 스프링과 제 2의 판상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판상 스프링은 상기 ㄷ-형 지지 프레임 각각의 하나의 암부에 고정 형태로 부착되고, 상기 제 2의 판상 스프링은 상기 ㄷ-형 지지 프레임 각각의 다른 암부에 고정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판상 스프링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판상 스프링중 한 단은 상기 베이스용 절연재 상에 고정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제 2의 판상 스프링의 한 단은 상기 베이스용 절연재의 표면상에서 활주되는 가동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판상 스프링의 폭은 상기 제 2의 판상 스프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판상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제 2의 판상 스프링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스프링은 상기 가동 컨택터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의 이동을 상기 카드 블록으로 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가, 상기 카드 블록의 중앙부에 대해, 한 쌍의 가동 지지점이 배치된, 제 2의 판형 스프 링의 한 단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에 상기 전자석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단자의 한 단은 L-형 요크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단자의 다른 단은 가압에 의해 고정식으로 상기 베이스 블록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14. 제 2항에 있어서,
    접속용 상기 절연재는 내열 수지, 세라믹, 유리 또는 이들 부재의 조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050044853A 2004-05-28 2005-05-27 전자 계전기 KR20060046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8951A JP3935895B2 (ja) 2004-05-28 2004-05-28 電磁継電器
JPJP-P-2004-00158951 2004-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210A true KR20060046210A (ko) 2006-05-17

Family

ID=3493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53A KR20060046210A (ko) 2004-05-28 2005-05-27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72350B2 (ko)
EP (1) EP1600992A1 (ko)
JP (1) JP3935895B2 (ko)
KR (1) KR20060046210A (ko)
CN (1) CN100367435C (ko)
CA (1) CA250854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3B1 (ko) * 2006-11-14 2015-03-2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다수의 회로들을 동시에 스위칭하기 위한 전기 스위치엘리먼트, 특히 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9928B2 (ja) 2004-11-02 2007-10-10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4116022B2 (ja) * 2005-07-11 2008-07-09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4943949B2 (ja) 2007-06-08 2012-05-30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239421B2 (ja) * 2008-03-14 2013-07-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1003308A (ja) * 2009-06-16 2011-01-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磁リレー
JP5456454B2 (ja) * 2009-12-10 2014-03-26 株式会社ショーワ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649680B2 (ja) * 2015-02-11 2020-02-1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WO2020016854A1 (en) * 2018-07-20 2020-01-23 Dh Technologies Development Pte. Ltd. An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structure for processing fluid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TWI692793B (zh) * 2019-01-19 2020-05-01 百容電子股份有限公司 電磁繼電器
JP7120057B2 (ja) * 2019-02-05 2022-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石装置
US11705788B2 (en) * 2020-09-02 2023-07-18 Michael Robert Maurice Electromagnetic drive unit with hingeably movable coil around magnet with resilient band holding coil to magn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74543A (fr) * 1960-09-09 1961-10-27 M T I Le Materiel Tech Ind Dispositif de coupure du courant et son application aux relais électromagnétiques
DE68927238T2 (de) * 1988-04-07 1997-05-2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5973011A (en) * 1994-03-30 1999-10-26 Isis Pharma Gmbh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medicamen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ndothelial dysfunction
JPH0973849A (ja) * 1995-06-30 1997-03-18 Copal Electron Co Ltd 電磁継電器
DE19727863C1 (de) * 1997-06-30 1999-01-21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4252739B2 (ja) 2001-04-27 2009-04-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10324747A1 (de) * 2002-06-10 2004-01-08 Tyco Electronics Amp Gmbh Schaltrelais mit verbesserter Laststromführ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3B1 (ko) * 2006-11-14 2015-03-2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다수의 회로들을 동시에 스위칭하기 위한 전기 스위치엘리먼트, 특히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40062A (ja) 2005-12-08
CA2508541C (en) 2012-10-02
JP3935895B2 (ja) 2007-06-27
CN1702796A (zh) 2005-11-30
EP1600992A1 (en) 2005-11-30
US20050264386A1 (en) 2005-12-01
US7372350B2 (en) 2008-05-13
CN100367435C (zh) 2008-02-06
CA2508541A1 (en) 200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6210A (ko) 전자 계전기
US6677840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7385471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6563409B2 (en) Latching magnetic relay assembly
KR100699114B1 (ko) 소형 전자계전기
US6853275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2144421B1 (ko) 전자기 릴레이
JP4586849B2 (ja) 電磁リレー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JPH11510310A (ja) 有極電磁リレー
CN112074924A (zh) 电磁继电器和控制方法
US20060152310A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3557586A (zh) 电磁继电器
CN115910692A (zh) 电磁继电器
CN116097384A (zh) 具有集成驱动轴和轭的接触器
CN115910691A (zh) 电磁继电器
CN111048326A (zh) 组装继电器的至少两个变型的套件和方法及其接触弹簧
JPH01197932A (ja) 電磁継電器
JPH11317141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