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132A - 고속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동회로 및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 - Google Patents

고속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동회로 및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132A
KR20060046132A KR1020050042873A KR20050042873A KR20060046132A KR 20060046132 A KR20060046132 A KR 20060046132A KR 1020050042873 A KR1020050042873 A KR 1020050042873A KR 20050042873 A KR20050042873 A KR 20050042873A KR 20060046132 A KR20060046132 A KR 20060046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ircuit
signal
image data
data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053B1 (ko
Inventor
이사오 노지리
히로유키 무라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4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selection purposes, e.g. logical AND for partial upd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33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linear amplifier or follower
    • G09G2300/083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linear amplifier or follower with level sh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부가 수평 방향을 따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는, 24개씩 마다 소스 선을 갖는 블록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다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의 데이터 버스(DB)가 배치된다. 각 데이터 버스(DB)는, 데이터 단자(DQ)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다. 데이터 버스(DB) 끼리는 각각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고, 각 블록이 하나의 데이터 버스(DB)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받는다.
데이터 버스, 데이터 단자, 액정표시부, 화상 표시장치

Description

고속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동회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DRIVING CIRCUIT ACHIEVING FAST PROCESS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IMAG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PORTABLE DEVICE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평주사 회로를 설명하는 개략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 1래치회로군 및 제 2래치회로군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래치회로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버스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의 입력 형식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1 및 제 2래치회로군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제 1 및 제 2래치회로군의 일부 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래치회로의 구성도,
도 10a, 도 10b는 화상 표시장치를 탑재하는 전기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가 구동 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기기 이외의 통신 기기나 오디오, 비주얼 기기 등에 있어서도 그 신호처리형태는 아날로그 신호처리에서 디지탈 신호처리로 변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기기는 소형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되는 경향에 있다. 특히 휴대 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저소비 전력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액정 표시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화상 표시부와, 화소에 대응하여 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소스 선에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표시 전압을 공급하는 수평주사 회로와, 화소에 대응하여 행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게이트 선을 활성화하는 수직주사 회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직주사 회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게이트 선이 활성화되고, 주사 대상행에 접속되는 화소에 표시 데이터에 대응하여 표시 전압이 수평주사 회로에 의해 주사선을 통해 공급 됨으로써, 각 화소에 포함되는 액정 셀이 표시 전압에 대응한 표시 휘도에서 발광하고, 화상 표시부 전체에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최근, 표시장치의 해상도의 상승에 따라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은 방대해져 고속한 데이터 처리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저소비 전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기 위해 장치의 구동 전압을 낮게 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고속한 데이터 처리와 구동 전압의 저전압화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다.
이 점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내부회로의 동작 시간과 데이터의 전달 속도에서는 데이터의 전달 속도 쪽이 고속이며, 데이터를 래치하는 다수의 래치 수단 예를 들면 제 1의 래치회로와 제 2래치회로 등을 배치하고, 데이터를 유지하여 내부회로의 동작 기간을 확보함으로써 고속한 처리와 함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0-356975호 공보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래치를 배치함과 동시에, 또한 데이터 공급 선과 데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 선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 생기는 부유 용량도 저감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부유 용량은 신호 선 끼리의 교차 영역의 포인트의 다소에 따라 그 부유 용량의 부하가 다르며, 그 부하의 차이로부터 예를 들면 데이터 공급 선의 전달 속도가 벗어나게 되어 정상적으로 화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중(重)부하인 경우에는 데이터 공급 선을 구동하는 회로의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는 문제도 있으며, 상기 공보를 따르는 구성에 의해 고속한 처리 및 소비 전력을 더욱 저감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공급 선과 제어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 선의 교차 영역에서 생기는 부유 용량을 감소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제어신호 선 뿐만아니라 데이터 공급 선 끼리에 있어서도 그 교차 영역에 있어서 부유 용량이 생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해상도의 상승에 따라 방대한 데이터량을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데이터 공급 선(이하, 데이터 버스 라고도 칭함)의 전송 주파수도 상승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 간의 교차 영역에 생기는 부유 용량인 버스 용량의 증대를 위해 소비 전력의 증대를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달 속도가 벗어남에 따라, 정상적으로 화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버스 용량을 저감함으로써, 고속한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구동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동회로는,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상 표시 소자를 갖고, 다수의 화상 표시 소자가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에 있어서, 다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어, 각각이, 화상 표시부로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비트 데이터의 공급을 받는 다수의 화상 데이터 공급 선과, 각 화상 데이터 공급 선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 1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공급 선에 전달되는 화상 데이터를 래치하는 제 1래치회로부와, 각 제 1래치회로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 2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제 1래치회로부의 래치된 화상 데이터를 래치하는 제 2래치회로부와, 제 1 및 제 2지시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지시신호 선을 구비한다. 다수의 화상 데이터 공급 선은, 각각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화상표시장치는 화상표시부와, 상기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특히 휴대 기기는 상기한 화상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5)(화상 표시부)와, 수직주사 회로(2)와, 수평주사 회로(3)를 구비한다. 또, 화상 표시장치(1)는, 프레임 메모리(20)에서의 화상 데이터DTA를 구성하는 다수 비트의 디지탈 신호의 입력을 받는 것으로 한다.
액정 표시부(5)는,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후술하는 다수의 액정 셀을 포함한다. 각 액정 셀에는, R(빨강), G(초록) 및 B(파랑)의 삼원색 중 어느 한 칼라 필터가 설정되고 있으며, 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액정 셀(R), 액정 셀(G) 및 액정 셀(B)에서 하나의 표시 단위 즉 화소를 구성한다. 또한 액정 셀의 행에 대응하여 다수의 게이트 선이 배치되고, 액정 셀의 열에 대응하여 다수의 소스 선이 배치된다.
수직주사 회로(2)는, 스타트 신호GST, 클록 신호GCLK를 받아 행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게이트 선을 이들의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주사 회로(2)는, 스타트 신호GST의 활성화를 원인으로 하여, 클록 신호GCLK에 동기하여 다수의 게이트 선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한다.
수평주사 회로(3)는, 디멀티플렉서군(4)과, 아날로그 앰프군(6)과, D/A변환 회로군(8)과, 제 2래치회로군(10)과, 제 1래치회로군(12)과, 시프트 레지스터(14)와, 다수의 데이터 버스DB를 포함한다.
프레임 메모리(2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DTA가 데이터 버스(DB)를 통해 제 1래치회로군(12)에 입력된다. 제 1래치회로군(12)은, 시프트 레지스터(1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래치하고, 제 2래치회로군(10)은, 시프트 레지스터(14)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또한 데이터를 래치하여 D/A변환 회로군(8)에 출력한다.
시프트 레지스터(14)는, 스타트 신호SST의 활성화를 원인으로 하여, 클록 신호SCLK에 동기하여 데이터 버스(DB)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제 1래치회로군(12) 및 제 2래치회로군(10)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래치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D/A변환 회로군(8)은, 제 2래치회로군(10)에 있어서 래치된 데이터인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앰프군(6)에 있어서 증폭하고, 디멀티플렉서군(4)에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군(4)은,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 즉 표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 전압을 받아서 선택된 게이트 선의 각 표시 단위에 대하여 액정 셀(R), 액정 셀(G) 및 액정 셀(B)에 대응하는 표시 전압을 대응하는 각 소스 선에 그 받은 표시 전압을 시분할하여 출력한다.
도 2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부(5)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2에서는 도시한 관계 상 액정 표시부(5)의 일부만이 도시되고 있다.
도 2을 참조하여, 액정 표시부(5)는, 다수의 액정 셀PX과, 다수의 게이트 선GL과, 다수의 소스 선SL을 포함한다. 다수의 액정 셀PX의 각각은, N채널 박막 트랜지스터(102)와, 커패시터(104)와, 액정 표시소자(106)로 이루어진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TFT(Thin Film Transistor)」라고도 칭한다.
다수의 액정 셀PX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되어, 그 행에 따라 다수의 게이트 선GL이 배치되고, 열에 따라 다수의 소스 선SL이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액정 셀PX의 각각은, 대응하는 소스 선SL 및 게이트 선GL에 접속된다. 또한 다수의 액정 셀PX의 각각은, 대향 전극전압VCOM을 공통으로 받는다.
일 예로서 i행 j열째의 액정 셀PX(i, j) (i, j ; 2이상의 정수)에 있어서의 N채널TFT(1O2)은, 소스 선SL(j)과 노드(108) 사이에 접속되고, 수직주사 회로에 접속되는 게이트 선GL(i)에 게이트가 접속된다. 액정 표시소자(106)는, 노드(108)에 접속되는 액정 셀 전극과, 대향 전극전압VCOM이 인가되는 대향전극을 갖고 있다. 커패시터(104)는, 한 쪽이 노드(108)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대향 전극전압VCOM에 고정된다.
액정 셀PX(i.j)에 있어서는, 액정 셀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액정 표시소자(106)에 있어서의 액정의 배향성이 변화함으로써 액정 표시소자(106)의 휘도(반사율)가 변화된다. 이것에 의해, 소스 선SL(j) 및 N채널TFT(1O2)을 통해 인가되는 표시 전압에 따른 휘도(반사율)를 액정 표시소자(106)에 표시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주사 회로(2)에 의해 게이트 선GL(i)이 활성화되어 소스 선SL(j)에서 액정 표시소자(106)에 표시 전압이 인가된 후, 게이트 선GL(i)은 비활성화되고, N채널TFT(1O2)은 오프하지만, N채널TFT(1O2)의 오프 기간에 있어서도 커패시터(104)가 액정 셀 전극의 전위를 유지 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소자(106)는, 인가된 표시 전압에 따른 휘도(반사율)를 유지 할 수 있다. 또, 그 밖의 액정 셀PX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평주사 회로(3)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평주사 회로(3)는, 다수의 1:8디멀티플렉서DM로 구성되는 디멀티플렉서군(4)과, 다수의 아날로그 앰프AM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앰프군(6)과, 다수의 D/A변환 회로DAC로 구성되는 D/A변환 회로군(8)과, 다수의 제 1래치회로로 구성되는 제 1래치회로군(12), 다수의 제 2래치회로로 구성되는 제 2래치회로군(10)과, 데이터 버스 DB1∼DB22과, 데이터 단자DQ1∼DQ22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시프트 레지스터(14)로부터 출력된 제 1래치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LATA1∼LATA18를 전달하는 신호 선 및 제 2래치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LATB를 전달하는 신호선이 배치되고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화소수가 수평 방향으로 176화소 설정되는 액정 표시부(5)에 대해 설명한다. 즉, 수평 방향으로 176 ×3=528개의 액정 셀이 배치된 구성이다. 또한, 액정 표시부(5)가 수평 방향을 따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에 있어서는, 열에 대응하여 S001∼S528의 528개의 소스 선이 배치되어 있으며, 24개씩 마다 소스 선을 갖는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여 다수의 데이터 버스DB가 배치된다. 소스 선S001∼SOO24을 갖는 블록에 대응하여 데이터 버스DB1가 배치된다. 또한 소스 선SO25∼SO48을 갖는 블록에 대응하여 데이터 버스DB2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S505∼S528을 갖는 블록에 대응하여 데이터 버스DB22가 배치된다. 각 데이터 버스DB는, 데이터 단자DQ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다. 즉, 본 구성에 있어서는, 각 블록이 하나의 데이터 버스DB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받는 구성이며, 데이터 버스DB 서로는 각각 서로 교차하지 않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LATA1∼LATA18 및 LATB에 대해서도 데이터 버스DB와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 1래치회로군(12) 및 제 2래치회로군(10)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버스DBk 및 DBk+1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래치회로가 도시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18개의 제 1래치회로LA는, 제어신호LATA1∼LATA18의 각각의 입력에 응답하여 데이터 버스DBk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데이터를 래치한다. 그리고, 제 2래치회로LB는, 제어신호LATB의 입력에 응답하여 18개의 래치회로LA로 래치된 화상 데이터를 래치한다. 데이터 버스DBk+1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래치회로LA는, 트랜스퍼 게이트(201)(204)와, 인버터(202)(203)(205)(206)를 포함한다.
입력 데이터DTA는, 트랜스퍼 게이트(201)를 통해 노드NO에 전달된다. 노드NO에 전달된 데이터DTA는, 인버터(205)를 통해 반전되어 출력 노드N1에 전달된다. 출력 노드N1에 전달된 신호는, 인버터(206) 및 트랜스퍼 게이트(204)를 통해 노드NO에 전달된다. 이 인버터(205) 및 (206)에 의해 래치가 형성된다. 트랜스퍼 게이트(201)는, 인버터(202)를 사이에 두는 제어신호LATA의 반전 신호의 입력과 인버터(202) 및 (203)를 사이에 두는 제어신호LATA의 입력을 받아 입력 데이터DTA를 노 드NO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퍼 게이트(201)는, 제어신호LATA (「H」레벨)의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DTA를 노드NO에 전달한다. 제어신호LATA (「L」레벨)의 경우에는 오프 상태이다. 트랜스퍼 게이트(204)는, 인버터(202)를 사이에 두는 제어신호LATA의 반전 신호의 입력과 인버터(202) 및 (203)를 사이에 두는 제어신호LATA의 입력을 받아서 노드N1에 전달된 신호를 노드NO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퍼 게이트(204)은, 제어신호LATA (「L」레벨)의 입력에 응답하여 노드N1에 전달된 신호를 노드NO에 전달한다. 제어신호LATA(「H」레벨)의 경우에는 오프 상태다. 본원 구성의 래치회로LA는, 제어신호LATA의 논리 레벨 및 그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래치부를 구성하는 트랜스퍼 게이트(201)(204) 및 인버터(205)(206)로 입력 데이터DTA를 래치한다. 또, 본 구성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제어신호LATA는 단일이고, 내부의 인버터(202)(203)를 이용하여 그 반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신호LATA를 전달하는 신호 선의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래치회로LB의 구성은, 입력되는 제어신호LATB만이 다르고, 상기한 래치회로LA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버스에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DTA1∼DTA22의 입력 형식을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제 1스캔에 있어서, 각 데이터 단자DQ에 화상 데이터DTA1∼DTA22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직렬로 화상 데이터가 각 데이터 단자DQ에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단자DQ1∼DQ22에 데이터DTA1∼ DTA22가 각각 부여되고, 일 예로서 데이터 단자DQ1에 착안하면, 최초의 시각t1에 있어서, 소스 선S1에 대응하는 S001(1)의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 시각t1에 제어신호LATA1 (「H」레벨)이 입력되고, 화상 비트 데이터S001(1)가 제 1래치회로LA에 래치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시각t2‥·에 있어서, S001(2), S001(3)‥·S001(6)의 6비트의 화상 비트 데이터가 직렬로 입력되고, 제어신호LATA2∼LATA6 (「H」레벨)가 입력되며, 제 1래치회로LA에 순차적으로 래치된다. 여기에서 기호(Ⅹ)는, 소스 선S001에 대응하는 출력 전압을 규정하기 위한 비트 데이터를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1)은 일 예로서 1비트째, (6)은, 6비트째를 지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 6비트의 화상 비트 데이터에 의해 하나의 화소 셀의 화상 데이터가 구성된다. 같은 방법으로 하여, 그 후 소스 선SOO9의 6비트의 화상 데이터, SO17의 6비트의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제어신호LATA7∼LATA18의 입력에 응답하여 래치된다. 이 18비트의 화상 데이터의 입력 기간 후, 제어신호LATB (「H」레벨)이 입력되고, 18개의 래치회로LA에 래치된 화상 비트 데이터가 제 2래치회로에 있어서 래치된다. 이 일련의 처리가 제 1스캔에 상당한다.
제 2래치회로에 래치된 화상 비트 데이터는, D/A변환 회로DAC 및 아날로그 앰프AM 및 1:8디멀티플렉서DM에 의해 대응하는 소스 선에 대해 소정의 전압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선S001, SOO9, SO17에 대하여 6비트 씩의 화상 비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 전압을 구동한다.
상기에 있어서 D/A변환 회로DAC 및 아날로그 앰프AM 및 1:8디멀티플렉서DM에 의해 대응하는 소스 선을 구동하고 있는 기간 중에 제 2스캔을 개시한다. 구체적 으로는, 소스 선SOO2, SO10, SO18의 소스 선에 대응하는 화상 비트 데이터가 직렬로 입력된다.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각 데이터 단자DQ2∼DQ22에 대해서도 같은 처리가 병렬로 실행된다. 또, 1:8디멀티플렉서DM는 8상이며, 제 8스캔의 처리에 의해 모든 화상 데이터가 액정 표시부(5)에 있어서 표시된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도 3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각 블록 마다 데이터 버스DB를 배치함과 동시에, 데이터 버스(DB)사이 끼리가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 간의 교차 영역에 생기는 부유 용량을 감소하고, 고속한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래치회로 및 제 2래치회로에 입력되는 제어신호LATA1∼LATA18 및 LATB에 대해서도 데이터 버스(DB)와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버스(DB)와 제어신호LATA 및 LATB를 전달하는 신호선이 교차하는 부유 용량도 감소 할 수 있으며, 고속한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에 있어서는, 일 예로서 176화소 즉 528개의 소스 선SOO1∼S528을 갖는 액정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구동회로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데이터 단자DQ의 수를 22개, 각 단자DQ에 대응하는 제 1, 제 2래치회로의 개수를 24개, 디멀티플렉서수를 6상으로 한 구성이나, 데이터 단자DQ의 수를 33개, 제 1, 제 2래치회로의 개수를 12개, 디멀티플렉서수를 8상으로 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 1 및 제 2래치회로군의 일 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단자DQk 및 DQk+1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래치회로가 도시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 1래치회로군(12)을 제 1래치회로군(12#)으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제 1래치회로군(12#)은, 데이터 버스(DB)에 대응하여 레벨 시프터LSF를 배치한 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화소를 구성하는 TFT의 동작 전압은 TFT의 한계값이 높기 때문에 5V(볼트)이상의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데이터 버스(DB)의 구동 전압 레벨로서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레벨 시프트한 상태 즉 5V이상의 구동 전압에서 화상 비트 데이터가 부여되고 있었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데이터 버스(DB)로부터 제 1래치회로LA에 데이터가 입력되기 직전에 레벨 시프터LSF를 배치한 구성이다.
즉, 본 구성에 의해, 데이터 버스(DB)를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를 예를 들면 3V정도의 구동 전압에서 구동하고, 레벨 시프터LSF에 의해 5V정도의 진폭 레벨로 증폭함으로써, 데이터 버스(DB)의 데이터 신호의 진폭 레벨을 낮게 할 수 있으며, 데이터 버스에 있어서 소비되는 소비 전력을 더욱 억제 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변형예)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제 1 및 제 2래치회로군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구성은, 제 1래치회 로군(12#)을 제 1래치회로군(12#a)으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그 외의 점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제 1래치회로군(12#a)은, 래치회로LA를 래치회로LA#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래치회로LA#는, 도 5에서 설명한 래치회로LA와 비교하여, 레벨 시프터(210)를 배치한 점이 다르다.
레벨 시프터(210)는, 버퍼 기능을 갖는 인버터(207)(208)와 레벨 시프터 유닛(209)을 포함한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데이터 버스(DB)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예를 들면 전술한 0∼3볼트로 한다. 즉, 제 1래치회로LA#에는 0∼3V의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다.
데이터 버스(DB)의 충 방전에 의한 소비 전력은, 전술한 버스 배선 간의 교차 용량 이외에 대향전극과의 기생 용량에 의한 소비 전력도 존재한다. 데이터 버스 배선 길이는 패널 단자로부터 소스 드라이버까지 인회하므로 수 십 밀리미터정도로 길고, 대향전극과의 기생 용량도 큰 값이 된다. 이 때문에, 데이터 신호를 레벨 시프트 시키지 않고 제 1래치회로LA#에 입력시키는 것은 저소비 전력화에 유효한 방식이다.
제 1래치회로LA#에 있어서, 데이터의 래치 부분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진폭과 같은 3볼트 전압에서 구동되고, 래치한 직후에 레벨 시프터(210)를 배치함으로써 0∼5V의 신호로 레벨 시프트 한다. 또, 이 레벨 시프터(210)에 의한 5V로의 레벨 시프트는, 제 2래치회로 직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 1래치회로의 출 력은, 제어신호LATA와의 크로스 용량이나 대향 전극용량에 의해 부하가 크고, 또 3V구동을 위해 충분한 구동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레벨 시프터(210)가 갖는 버퍼 사이즈 즉 인버터(207)를 상당히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레이아웃 면적적으로 효율이 좋지 않고 또 이 버퍼 부분의 소비 전력도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래치회로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 1래치회로LA#에 있어서, 래치 직후에 레벨 시프트를 행함으로써 버퍼를 5V구동하고, 레이아웃 면적의 축소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제 1래치회로LA#를 3V구동에 하는 것에 의한 래치에 요하는 시간의 증대를 이하의 방식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래치회로LA#의 인버터(205)를 구성하는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게이트 길이 (W/L)비에 비해, 인버터(207)를 구성하는 입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게이트 길이가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래치회로LA#에 있어서, 레벨 시프터(210)의 입력 트랜지스터의 W/L비를 작게 함에 의해 래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증대를 억제 할 수 있다.
도 10(a)을 참조하여, 화상 표시장치가 탑재되는 휴대전화(1300)에는, 다수의 조작 버튼(1302)과 함께, 액정 표시부(1005)가 표시된다.
도 10(b)를 참조하여, 휴대전화(1300) 내부의 표시정보 출력원(1000), 표시정보 처리회로(1002), 전원회로(1004), 화상 표시장치(1006) 및 타이밍 제너레이터(200)가 도시된다. 이 중, 표시정보 출력원(1000)은, 전술한 프레임 메모리 등,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 각종 디스크 등의 스토리지 유닛, 화상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 등, 조작 버튼(1302)의 입력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 처리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구비한다. 또한 타이밍 제너레이터(200)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의 클록 신호에 의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데이터 신호 등의 표시 정보를 표시정보 처리회로(1002)에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정보 처리회로(1002)는, 로테이션 회로, 감마 보정회로 등의 주지한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며, 그 화상 데이터DTA를 각종의 클록 신호 예를 들면 전술한GCLK, SSLK이나 스타트 신호GST, SST등의 제어신호와 함께, 화상 표시장치(1006)에 공급한다. 또한 전원회로(1004)는, 각 구성요소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 전자 기기로서는, 특히 휴대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여러가지의 표시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도시했지만 이는 예시를 위한 것뿐으로 한정으로 하지 않으며,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동회로, 화상 표시장치 및 휴대 기기는, 다수의 화상 데이터 공급 선의 각각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공급 선 끼리에 있어서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 생기는 부유 용량을 저감하고, 고속 한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1)

  1.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다수의 화상 표시 소자를 갖고, 상기 다수의 화상 표시 소자가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화상 표시부로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비트 데이터의 공급을 받는 다수의 화상 데이터 공급선과,
    상기 다수의 화상 데이터 공급 선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각이 제 1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공급 선에 전달되는 화상 데이터를 래치하는 다수의 제 1래치회로부와,
    상기 다수의 제 1래치회로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 2지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제 1래치회로부의 래치된 화상 데이터를 래치하는 다수의 제 2래치회로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지시 신호를 각각 전달하는 제 1 및 제 2지시 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상 데이터 공급선은, 각각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래치 회로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각이 대응하는 제 2 래치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수의 화상 표시소자에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지시신호 선은, 상기 화상 데이터 공급 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 및 제 2래치회로부의 적어도 한 쪽은, 단일의 상기 제 1지시신호 선 및 제 2지시신호 선과 접속되고,
    각 상기 제 1 및 제 2래치회로부의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적어도 한 쪽의 지시신호 선에 대응하는 지시 신호를 받아 논리 레벨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반전 회로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제 1래치회로부는, 상기 제 1지시 신호의 논리 레벨 및 상기 제 1지시 신호의 논리 레벨을 반전한 반전 논리 레벨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데이터를 래치하는 제 1래치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 2래치회로부는, 상기 제 2지시 신호의 논리 레벨 및 상기 제2지시 신호의 논리 레벨을 반전한 반전 논리 레벨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응하는 제 1래치회로부의 래치된 비트 데이터를 래치하는 제 2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화상 데이터 공급 선은, 직렬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비트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화상 데이터 공급 선과 대응하는 제 1래치회로부 사이에 배치되고, 비트 데이터의 소 진폭 디지탈 신호를 대 진폭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레벨 시프트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래치회로부에서 래치한 비트 데이터의 소 진폭 디지탈 신호를 대 진폭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제 2래치회로부에 출력하기 위한 레벨 시프트 회 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8. 제 7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래치회로부는, 래치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트랜지스터를 갖고,
    상기 레벨 시프트 회로는,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신호입력을 받는 입력 트랜지스터를 갖는 버퍼 회로를 가지며,
    상기 버퍼 회로의 입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사이즈 이하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W)/채널 길이(L)는,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W)/채널 길이(L) 이하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회로.
  10. 제 1항에 기재된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로서, 화상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
KR1020050042873A 2004-05-31 2005-05-23 고속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동회로 및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 KR100719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1704 2004-05-31
JP2004161704A JP2005345513A (ja) 2004-05-31 2004-05-31 駆動回路、画像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132A true KR20060046132A (ko) 2006-05-17
KR100719053B1 KR100719053B1 (ko) 2007-05-16

Family

ID=3549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73A KR100719053B1 (ko) 2004-05-31 2005-05-23 고속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동회로 및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345513A (ko)
KR (1) KR100719053B1 (ko)
CN (1) CN100449600C (ko)
TW (1) TWI299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8311B2 (ja) * 2009-07-17 2013-06-2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01964171B (zh) * 2010-09-16 2013-05-22 深圳市明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545A (en) * 1993-02-23 1996-06-25 Unitta Co., Ltd. Toothed belt
JPH08227283A (ja) * 1995-02-21 1996-09-03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H0973062A (ja) * 1995-09-06 1997-03-18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011715B2 (ja) * 1997-03-03 2007-11-21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0356975A (ja) * 1999-06-16 2000-12-26 Seiko Epson Corp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554323B (en) * 2000-05-29 2003-09-21 Toshiba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ata latching circuit
JP5259904B2 (ja) * 2001-10-03 2013-08-07 ゴールドチャームリミテッド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4993A (en) 2006-02-01
KR100719053B1 (ko) 2007-05-16
CN100449600C (zh) 2009-01-07
JP2005345513A (ja) 2005-12-15
CN1705012A (zh) 2005-12-07
TWI299845B (en)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4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36484B1 (ko) 표시장치 및 휴대단말
KR10089464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US7259740B2 (en)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US736912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598741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60193002A1 (en) Drive circuit chip and display device
JP4773928B2 (ja) ソース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044911B2 (en) Source driving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1059380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駆動回路
US20050264518A1 (en) Drive circuit achieving fast process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imag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portable device with the same
US7176871B2 (en) Digital data driver and LCD using the same
US2009027359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3223468B (zh) 显示装置以及源极驱动器
KR100719053B1 (ko) 고속 처리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구동회로 및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와 그것을 구비한 휴대 기기
KR20150073482A (ko)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JP4947092B2 (ja) ソース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363329B1 (ko) 소스 드라이브 아이씨의 개수가 감소된 액정 디스플레이모듈 및 소스 라인들을 구동하는 방법
KR101075250B1 (ko) 지연시간 보정회로, 비디오데이터처리회로 및 평면디스플레이장치
JP2007219091A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238006B1 (ko) 컬럼-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
JP2013109130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4947167B2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20030095424A (ko) 액정패널,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그리고 그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170387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