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465A -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465A
KR20060045465A KR1020050027926A KR20050027926A KR20060045465A KR 20060045465 A KR20060045465 A KR 20060045465A KR 1020050027926 A KR1020050027926 A KR 1020050027926A KR 20050027926 A KR20050027926 A KR 20050027926A KR 20060045465 A KR20060045465 A KR 2006004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ving image
processing
unit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187B1 (ko
Inventor
아키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예를 들면 카메라부착휴대전화장치 등으로 대표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장치(1)는 제어부(21), 표시부(12), 스피커(13), 마이크(14), 카메라(15), 기억부(22), 전원부(23), 통신부(24)와, 힌지(17)의 내부에 있는 스위치에 의해 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제어부(21)에 출력하는 개폐검출부(25), 제 1 케이스(18)에 대하여 제 2 케이스(19)가 열려진 것이 개시된 것이나, 완전하게 연 상태, 또는 역으로 제 1 케이스(18)에 대하여 제 2 케이스(19)가 겹쳐진(닫혀진)것이 개시된 것이나, 완전하게 겹쳐진(닫혀진)상태의 가속도를 검출하고, 제어부(21)에 출력하는 가속도센서(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전화장치, 카메라, 개폐검출부, 가속도센서, 제어부, 통신부

Description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MOVING IMAGE CAPTURE DEVICE,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METHOD, AND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PROGRAM}
도 1a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장치(1)의 연 상태의 정면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휴대전화장치(1)의 배면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휴대전화장치(1)의 측면사시도 1.
도 1d는 닫힌 상태인 휴대전화장치(1)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장치(1, 100, 200, 300, 400, 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이드인가공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이드아웃가공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a는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단말(1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슬라이드시켜서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b는 슬라이드시켜서 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a는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2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c는 연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15)를 표시부(120)측을 향한 상태의 사시도.
도 7d는 카메라(15)를 표시부(121)측을 향한 상태의 사시도.
도 8a는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2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c는 연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15)를 표시부(120)측을 향한 상태의 측면도.
도 8d는 카메라(15)를 표시부(121)측을 향한 상태의 측면도.
도 9a는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3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c는 연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존한 경우의 측면도.
도 10a는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30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b는 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a는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400)의 조작부(11)를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b는 제 1 케이스(18)를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a는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400)의 조작부(11)를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b는 제 1 케이스(18)를 슬라이드시키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측 면도.
도 12c는 제 1 케이스(18)를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a는 제 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500)의 조작부(11)를 수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b는 제 1 케이스(184)를 힌지(17)를 회전축으로 열고, 회전부(112)에서 회전시켜서 다시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c는 도 13b의 상태보다 제 1 케이스(184)를 열고, 회전축(112)를 통하여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장치(1, 100, 200, 300, 400, 5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이드인가공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페이드아웃가공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전화장치 11: 조작부
12: 표시부 13: 스피커
14: 마이크 15: 카메라
16: 안테나 17: 힌지
21: 제어부 22: 기억부
23: 전원부 24: 통신부
25: 개폐검출부 26: 표시드라이버
27: 전원회로 32: 가속도센서
본 발명은 두개의 케이스를 구비하는 예를 들면 카메라부착휴대전화장치 등으로 대표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근래 카메라기능을 구비한 다기능인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는 정지화상촬영기능뿐만 아니라 동화상촬영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또 근래에는 동화상파일의 편집의 수법으로서 동화상파일의 선두프레임이나 최종프레임에 있어서, 각 프레임에 페이드인/페이드아웃이나 와이프인/와이프아웃 등의 연출효과를 넣는 수법이 알려져 있고, 디지털무비카메라 등의 동화상촬영장치에 있어서 촬영된 동화상을 영상편집기기나 영상편집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들의 연출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또 일본특허공개 특개평 11-98411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촬영장치에 상기 동화상편집이 가능한 페이더기능을 구비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카메라기능을 구비한 다기능인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동화상촬영을 실시하는 경우, 조작이 번거롭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동화상촬영장치로 촬영한 동화상파일을 상기와 같은 영상편집기기 등에 전송하고, 다시 편집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많은 시간이 드는 일이었다.
또 동화상촬영장치에 페이더기능을 구비하고, 편집을 실시하는 경우 소정의 버튼조작 등에 의해 실시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번거롭고, 조작의 간이성을 손상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하게 동화상의 촬영개시 또는 종료, 페이더기능을 실시할 수 있는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동화상촬영장치는 촬상수단, 이 촬상수단을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화상파일을 취득하는 동화상취득수단, 제 1 케이스,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 이 제 1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수단에 의한 동화상파일취득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하는 취득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의 동화상촬영제어방법은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촬상부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화상파일을 취득하는 동화상취득스텝,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검출스텝, 이 제 1 검출스텝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 취득스텝에 의한 동화상파일취득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하는 취득제어스텝을 포함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게 위해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의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은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동화상촬영장치가 갖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으로써, 촬상부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화상파일을 취득하는 동화상취득스텝,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검출스텝, 이 제 1 검출스텝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 의한 동화상파일취득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하는 취득제어스텝을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접이식 카메라부착휴대전화이고, 완전하게 연 상태인 휴대전화장치(1)의 정면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1)는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19)가 힌지(17)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힌지(17)를 축으로 하여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19)가 마주보도록 접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8)에는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인 표시부(12)(메인표시부(120), 서브표시부(121))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3)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19)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지시를 접수하고, 사용자의 결정지시조작을 검출하는 센터 키(110), 사이드스위치(111)를 포함하는 조작부(11) 및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4)를 구비하며, 힌지(17)의 내부에는 완전하게 연 상태를 검지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1b는 완전하게 연 상태인 휴대전화장치(1)의 배면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8)에는 접었을 시에도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인 메인표시부(120), 피사체의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5)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19)에는 안테나(16)를 구비한다.
도 1c는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열려 있는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 또는 역으로 이행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전화장치(1)는 힌지(17)의 내부에 스프링 등에 의한 완전하게 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락(lock)하는 기구를 구비하고(도시하지 않음), 사용자가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19)를 보존하여 소정의 힘을 가함으로써 락을 해제하며, 도 1c의 상태를 거쳐서 개폐한다.
도 1d는 완전하게 연 상태인 휴대전화장치(1)의 측면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전화장치(1)는 힌지(17)의 내부에 완전하게 닫힌 상태를 검지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닫힘으로써 소정 부위의 전원을 떨어뜨린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1)는 제어부(21), 기억부(22), 전원부(23), 통신부(24), 개폐검출부(25), 표시드라이버(26), 전원회로(27), 조작부(11), 스피커(13), 마이크(14), 가속도센서(32) 및 카메라(15)를 구비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어부(21)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내부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하고, CPU에 있어서 내부RAM의 소정 영역을 작업영역으로서 ROM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에 따르고, 상기 각부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휴대전화장치(1)의 동작 전반을 총괄제어한다.
표시부(12)는 표시드라이버(26), 메인표시부(120) 및 서브표시부(121)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표시드라이버(26)에서 변환하여 화상출력신호로서 메인표시부(120) 또는 서브표시부(121)에 출력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13)는 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출력데이터에 의거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마이크(14)는 음성을 음성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조작부(11)에 출력한다.
카메라(15)는 렌즈(31), 촬상소자(30) 등에 의해서 구성하고, 제어부(21)의 지시에 의해 렌즈(31)로부터 입광하여 촬상소자(30)상에 결상하는 화상을 화상신호로서 제어부(21)에 출력한다.
기억부(22)는 휘발메모리인 RAM, 전기적·광학적 기록매체와 그 판독수단, 불휘발성메모리 등이고(어떤 것도 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OS(Operating System)나 각종 동작프로그램 등, 휴대전화장치(1)의 시스템 또는 동작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이나 동화상·음성 등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한다.
전원부(23)는 전원회로(27)와 그것에 접속하는 AC어댑터(28), 충전지(29)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1)로부터의 전원컨트롤러의 지시에 의해 AC어댑터(28) 또는 충전지(29)로부터 전원회로(27)에 공급되는 전원을 소정의 전압 등으로 변환한 후, 각부에 공급한다.
통신부(24)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무선부, 상기 무선신호의 복호화 또는 무선신호로의 변환 등을 실시하는 통신처리부 등으로 이루어지고(어떤 것도 도시하지 않음), 각종 휴대전화나 무선모뎀의 규격이나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업자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다른 단말과의 음성통신이나 데이터송수신 등을 실시한다.
개폐검출부(25)는 힌지(17)의 내부에 있는 스위치에 의해 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제어부(21)에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는 예를 들면 각도를 검출하는 스위치로 좋고, 검출된 각도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좋다.
또 상기 신호에 의해 제어부(21)에서는 개·폐의 상태 또는 상태가 이행한 시간을 산출한다.
가속도센서(32)는 정전용량형 또는 압전형의 가속도센서이고, 제 1 케이스(18)에 대하여 제 2 케이스(19)가 열려진 것이 개시된 것이나, 완전하게 연 상태, 또는 역으로 제 1 케이스(18)에 대하여 제 2 케이스(19)가 겹쳐진(닫혀진)것이 개시된 것이나, 완전하게 겹쳐진(닫혀진)상태의 가속도를 검출하고, 제어부(21)에 출 력한다.
또 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싸여져 있는데, LED(151)는 어두운 곳에 있어서의 동화상촬영 시에 발광하는 것이고, 드라이버(153)는 제어부(21)에 의해 이 LED(151)의 구동제어되는 회로이다. 이 LED(151), 드라이버(153)는 제 2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 및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장된다. 집음(集音)마이크(152)는 동화상촬영 시에 피사체방향의 음성정보를 녹음하기 위한 것이고,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장된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페이드인하는 가공처리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 처리는 휴대전화장치(1)의 제어부(21)가 실시하는 스텝S11∼S16으로 이루어진다.
접어진 상태인 휴대전화장치(1)는 위치상태천이검출수단으로서의 스텝S11에 의해 여는 동작을 검지하고, 제어수단으로서의 스텝S12에 의해 완전하게 연 상태로 되는 것을 검지하여 스텝S13에서 촬영을 개시한다.
또한 스텝S13에 있어서의 촬영의 개시는 일시적으로 정지된 동화상의 촬영을 재개하는 것이어도 좋다.
여기에 있어서 스텝S11과 스텝S12는 예를 들면 소정의 가속도상태(A)를 검출하는 스텝S11과, 소정의 가속도상태(B)를 검출하는 스텝S12이고, 상기 가속도상태(A 및 B)를 검출함으로써 스텝S13에서 촬영을 개시하는 동작구성으로 좋다.
또 상기 가속도상태를 검출하는 경우는 복수의 케이스로부터 위치상태의 천이를 검출하는 것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본 발명의 형태에 나타낸 휴대전화장 치(1)의 접이식의 레이아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S1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여는 동작의 개시로부터 완전하게 연 상태까지의 시간의 검출, 또는 힌지(17)의 각도의 변화이력을 검출하여 여는 동작이력으로써 기록하는 구성으로 좋다.
그리고 스텝S13의 후, 소정의 지시에 의해 스텝S14에서 촬영이 종료되고, 가공수단으로서의 스텝S15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에 페이드인가공처리가 실시되며, 기록수단으로서의 스텝S16에 의해 상기 동화상이 보존되어 종료한다.
스텝S15에 있어서의 페이드인가공은 상기 여는 동작이력에 따른 예를 들면 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페이드인시간을 길게 조정하거나 각도의 대소에 따라서 페이드인에 있어서의 명암의 정도를 조정하는 등의 가공의 정도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드인가공으로 했는데, 와이프인가공, 또는 가공하지 않은 경우로 좋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페이드아웃가공처리에 대하여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 처리는 휴대전화장치(1)의 제어부(21)가 실시하는 스텝S21∼스텝S26으로 이루어진다.
휴대전화장치(1)는 스텝S21에서 열려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지시에 의해 동화상의 촬영을 개시한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의 스텝S21은 상기 페이드인가공처리에서 설명한 촬영의 개시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스텝S21의 후, 스텝S22에서 닫히는 동작이 검지됨으로써 스텝S23에서 촬영의 녹화가 종료되고, 스텝S24에서 완전하게 닫힌 상태가 검지되어 스텝S25에서 촬영된 동화상의 페이드아웃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의 스텝S22와 스텝S24는 예를 들면 소정의 가속도상태(A)를 검출하는 스텝S22와, 소정의 가속도상태(B)를 검출하는 스텝S24이고, 상기 가속도상태(A)를 검출함으로써 스텝S23에서 촬영을 종료하는 동작구성으로 좋다.
또 스텝S24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닫히는 동작의 개시로부터 완전하게 닫힌 상태까지의 시간의 검출 또는 힌지(17)의 각도의 변화이력을 검출하여 닫히는 동작이력으로써 기록하는 구성으로 좋다.
스텝S25에 있어서의 페이드아웃가공은 상기 닫히는 동작이력에 따른 예를 들면 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페이드아웃시간을 길게 조정하거나, 각도의 대소에 따라서 페이드아웃에 있어서의 명암의 정도를 조정하는 등의 가공의 정도를 조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드아웃가공으로 했는데, 와이프아웃가공 또는 가공하지 않은 경우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텝S25의 후, 스텝S26에서 상기 페이드아웃처리된 동화상이 보존되고, 본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장치(1)는 접은상태에서 열음으로써 촬영을 개시하고, 닫히는 것으로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케이스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촬영의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개폐동작에 따른 페이드인/페이드아웃 등의 동화상편집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를 나타낸 도 5a∼5b, 도 6a∼6b에 있어서, 휴대전화장치(100)는 제 2 케이스(19), 제 1 케이스(180), 제 3 케이스(181) 및 그들을 접속하는 제 1 힌지(170), 제 2 힌지(171)로 이루어진다.
제 2 케이스(19)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면(도시에서는 윗면)측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지시를 접수하는 조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5a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위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제 1 케이스(180) 및 제 3 케이스(181)가 겹쳐진다.
제 1 케이스(180)는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로부터 일단측을 덮는 크기이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표면(도시에서는 윗면)에 서브표시부(121)를 구비한다.
제 3 케이스(181)는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로부터 일단측을 덮는 크기이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위에 겹친 상태로 표면에 카메라(15)를 구비한다. 이 제 3 케이스(182)는 일단부에서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와 반대측 단부에 대하여 제 1 힌지(170)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 되는 동시에, 타단부에서 제 1 케이스(180)의 일단부에 대하여 제 2 힌지(171)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스(19)와 제 1 케이스(180)의 양측부에는 제 3 케이스(181)와 반대측 단부에서 서로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드가이드홈(40)과 슬라이드가이드핀(41)이 구비되어 있고, 슬라이드가이드핀(41)을 슬라이드가이드홈(40)에 삽입하여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춘다.
그리고 휴대전화장치(100)는 도 5a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닫힌 상태와, 도 5b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1, R2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슬라이드 걸어맞춰서 여는 상태의 상태가 있고, 제 1 힌지(170) 및 제 2 힌지(171)의 내부에 있는 개폐검출부(25)에 의해 각 상태를 검지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00)에 따르면 회전운동·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동화상촬영의 개시·종료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동화상촬영 후에 편집모드를 기동시켜, 페이드인/페이드아웃 등의 특수 가공처리를 사용자가 실시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가공처리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200)는 도 7a∼7d 및 도 8a∼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15)는 제 1 케이스(18)측의 제 1 힌지(170)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제 1 힌지(170)로부터 굴곡하여 연장되며, 제 2 케이스(19)에 제 2 힌지(171)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유닛(150)에 설치되어 있어 카메라(15)의 이웃에는 어두운 곳에서의 동화상촬영시에 발광하는 LED(발광부재)(15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18)에는 카메라유닛(150)의 위절반부분(1500)을 수납 가능 또는 통과 가능하게 하는 노치부(180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a 및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를 겹친 접이상태에 있어서 카메라유닛(150)의 위절반부분(1500)과 그 선단면의 카메라(15) 및 LED(150)가 제 1 케이스(18)의 노치부(1800) 내에 수납상태로 되어서 카메라(15) 및 LED(15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접이상태로부터 제 1 케이스(18)를 카메라유닛(150)과 함께 제 2 힌지(171)에서 R3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제 2 케이스(19)에 대하여 열고, 도 7b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연장상에 제 1 케이스(18) 및 카메라유닛(150)을 위치시킨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제 1 케이스(18)를 자기앞쪽으로 끌어당기도록 카메라유닛(150)의 제 1 힌지(170)에서 R3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동시에, 카메라유닛(150)을 제 2 케이스(19)에 대하여 제 2 힌지(171)에서 R4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도 7c 및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연장상의 자기앞측에 제 1 케이스(18)가 위치한 상태로 되는 동시에, 카메라유닛(150)의 위절반부분(1500)이 자기앞측을 향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쪽으로 메인표시부(120), 카메라(15) 및 LED(151)가 향한 상태로 되고, 개폐검출부(25)가 동화상촬영모드를 검출하여 동화상의 촬영을 개시한다.
한편, 제 1 케이스(18)를 제 2 케이스(19)로부터 떼게 하여 카메라유닛(150)을 제 1 힌지(170)에서 R5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도 7d 및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에 대하여 타고넘게 하여 조작부(11)를 갖는 면의 이면측에 제 1 케이스(18) 및 카메라유닛(150)을 위치시킨 상태로 하는 것으로, 카메라유닛(150)의 위절반부분(1500)에 설치한 카메라(15) 및 LED(151)를 서브표시부(121)와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에 따라 개폐검출부(25)가 재차 검출하고, 한번 동화상촬영을 종료시켜서 파일화한 후, 이번은 위아래 역으로 하여 재차 동화상촬영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200)에 따르면 제 1 힌지(170), 제 2 힌지(171)를 구비한 2축구조로 함으로써 어느 쪽인가의 방향으로 카메라(15)를 향하게 해도 동화상촬영의 개시·종료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동화상촬영 후에 편집모드를 기동시키고, 페이드인/페이드아웃 등의 특수가공처리를 사용자가 실시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가공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300)는 도 9a∼9c 및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제 1 케이스(18)가 겹쳐진 다. 그리고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는 그 겹쳐진 상태의 긴쪽방향 일단측에 있어서 카메라유닛(150)을 통하여 서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맞붙여져 있다.
제 1 케이스(18)는 제 2 케이스(19)를 덮는 크기이고, 제 2 케이스(19)에 겹치는 면측에 메인표시부(120)를 구비하며, 그 이면측에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표시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유닛(150)은 일단측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8)의 단부에 대하여 제 1 힌지(170)에 의해 R6의 방향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는 동시에, 제 2 케이스(19)의 단부에 대하여 제 2 힌지(171)에 의해 R6의 방향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 카메라유닛(150)에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힌지(170), 제 2 힌지(171)의 반대측의 선단면에 카메라(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유닛(150)의 윗면에는 동화상촬영 시에 정지화상촬영을 지시하기 위한 셔터버튼(1100)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외관에 의해 본 휴대전화장치(300)의 사용자는 도 9a 및 도 10a에 나타내지는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를 겹친 접이상태로부터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를 카메라유닛(150)에 대하여 제 1 힌지(170), 제 2 힌지(171)에서 위쪽과 아랫쪽으로 각각 회전운동 시켜서 도 9b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를 여는 것으로, 개폐검출부(25)가 이것을 검출하고, 동화상촬영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 동화상촬영 시의 보존상태는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카메라유닛(150)을 한쪽 손의 가운데 손가락의 위에 두어 후측으로부터 엄지손가락을 닿게한 상태로 되고, 사용자는 메인표시부(120)를 파인더(모니터)로 보면서 촬영한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300)에 따르면, 페이드인 등의 가공처리를 촬영 후에 실시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존하기 쉬운 상태로 동화상촬영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 동화상촬영 중이어도 셔터버튼(1100)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그 시점에서 캡쳐된 프레임화상을 정지화상으로서 보존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400)에 대하여 도 11a, 11b, 도 12a∼12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400)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면(도시에서는 윗면)측에 조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위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제 1 케이스(18)가 겹쳐진다.
제 1 케이스(18)는 제 2 케이스(19)를 덮는 크기이고, 도 11a 및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표면(도시에서는 윗면)에 메인표시부(120)와 조작부(1101)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유닛(150)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있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에 카메라(15) 및 LED(151), 집음마이크(152)를 나란히 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 카메라유닛(150)은 카메라(15)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도 12a,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긴쪽방향 일단부에 대하여 제 1 힌지(170)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상에 있어서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에는 제 2 케이스(19)에 대하여 조작부(11)를 갖는 면에 겹치는 제 1 케이스(18)를 긴쪽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자유롭게 맞붙이는 슬라이드기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홈(112)은 제 1 케이스(18)를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의 양측부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키기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이 가이드홈(112)에는 걸어맞추는 도면 생략의 슬라이드핀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상에 겹쳐지는 제 1 케이스(18)를 M1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 2 케이스(19)의 단부에 설치된 카메라유닛(150)이 슬라이드동작하는 제 1 케이스(18)에 걸어맞추어 R7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검출부(25)가 이것을 검출한다. 또 이 검출에 의해 동화상촬영의 개시와 녹음의 개시를 동시에 실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400)에 따르면 페이드인 등의 가공처리를 촬영 후에 실시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존하기 쉬운 상태로 동화상촬영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 집음마이크(152)를 실장시키는 것으로 피사체측의 음성을 가장 적합하게 녹음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500)에 대하여 도 13a∼13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500)는 도 13a∼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제 1 케이스(18)가 겹쳐진다. 이들 제 2 케이스(19) 및 제 1 케이스(18)는 그 겹쳐진 상태의 긴쪽방향 일단측에 있어서 회전부(113) 및 힌지(17)를 통하여 서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맞붙여져 있다.
제 1 케이스(18)는 제 2 케이스(19)를 덮는 크기이고, 도 13b,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면측에 메인표시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의 반대측면에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15) 및 LED(발광부재)(151)가 나란히 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들 카메라(15) 및 LED(151)는 조작부(11)의 일측쪽으로 떨어진 이측(裏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9)의 일측면에는 사이드스위치(1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사이드스위치(111)는 카메라(15) 및 LED(151)에 대하여 타측쪽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부(113)는 제 2 케이스(19)에 대하여 카메라(15)의 광축과 동일축선상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부(11)의 측방위치에서 회전 자유롭게 맞붙여져 있다. 이 회전부(113)에는 터치센서로서의 기능을 갖는 조작부(11)를 중심으로 구비하고, 그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선을 중심으로 하는 힌지(17)에 의해 제 1 케이스(18)가 긴 쪽방향 일단부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 2 케이스(19)에 대하여 제 1 케이스(18)가 회전부(112)를 통하여 그 회전의 중심주위에 조작부(11)를 갖는 면을 따른 방향을 포함하는 360도 방향으로 선회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112)에 대하여 제 1 케이스(18e)가 힌지(17)주위에 180도 방향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19)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측에 제 1 케이스(18)의 메인표시부(120)를 갖는 면과 반대측면을 겹친 접이상태로 하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제 2 케이스(19)의 카메라(15)가 맞은편측을 향하여 제 1 케이스(18)의 메인표시부(120)가 자기앞측을 향한 상태로 된다. 즉 디지털카메라로서 한쪽 손으로 갖는 것과 같은 사용상태로 되어 메인표시부(120)를 파인더(모니터)로서 보면서 카메라(15)에 의한 풍경촬영이나 타인촬영의 사용에 적합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스(19)를 힌지(17)주위에 180도 회전운동시켜서 메인표시부(120)를 카메라(15)와 같은측으로 향하게 하여 한쪽 손으로 가진 사용자쪽에 메인표시부(120) 및 카메라(15)를 향하게 함으로써 본인 촬영의 사용에 적합한 상태로 된다. 또 텔레비전전화로서의 사용에도 적합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어느 쪽의 형태를 취한 경우에도 개폐검출부(25)가 이것을 검출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3a의 상태로부터 한번 도 13b의 상태로 천이시키면 동화상촬영을 개시시키고, 도 13b의 상태로부터 도 13c의 상태로 천이시키는 것으로 동화상촬영을 종료시키면 곧 메일송신 등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4∼16을 참조하여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 100, 200, 300, 400 및 500)에 있어서의 더욱 상세한 동작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하 휴대전화(1)로 서술하는데, 상기 제 2 실시형태 이후의 휴대전화장치(100, 200, 300, 400 및 500)도 마찬가지의 회로구성으로 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장치(1)의 회로구성도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휴대전화장치(1)는 음성처리부(211), 화상처리부(212), 통신처리부(213)를 제어부(21), 동작이력기억부(221), 일시보존메모리(222), 동화상파일메모리(223)를 구비하는 기억부(22), 전원부(23), 통신부(24), 개폐검출부(25), 표시드라이버(26), 전원회로(27), 조작부(11), 스피커(13), 마이크(14), 가속도센서(32) 및 카메라(15)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1)에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코어로 한 복수의 처리칩을 내장한다.
음성처리부(211)는 집음마이크(152), 마이크(14)로부터 A/D변환되어 출력된 동화상촬영시의 음성이나 통화음성을 예를 들면 AAC방식의 데이터로 압축부호화하여 집음마이크(152)로부터 취득한 음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동화상압축부호화 시에 동시에 음성파일로서 보존시키는 외, 마이크(14)로부터 취득한 통화음성에 대해서는 QCELP형식의 데이터로 압축부호화하여 통신처리부(213)에 출력한다. 또 음성처리부(211)는 통신처리부(213)의 제어에 의거하여 안테나(16)로부터 수신된 CDMA 방식의 무선신호로부터 통신부(24)에서 자기앞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그 안에서 얻어진 압축부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음성신호에 복호화처리도 실시한다.
화상처리부(212)는 동화상촬영 시에 소정시간둠(예를 들면 15FPS)에 촬상소자(30)로 결상되어 읽어내지고, DSP(301)로 샘플링이나 디지털화된 이미지데이터에 대하여 스루화상표시의 시는 RGB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드라이버(126)에 송출하며,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나 센터 키(110)의 조작검출에 의거하여 동화상촬영이 개시되면 스루화상을 표시하면서 DSP(301)로 샘플링이나 디지털화된 이미지데이터를 YUV(422)의 휘도색차신호로 변환하고, MPEG형식의 동화상파일을 리얼타임으로 생성한다.
또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나 센터 키(110)의 조작검출에 의거하여 동화상촬영종료의 검출하면 리얼타임으로 생성된 동화상파일을 일단 클로즈처리하여 일시보존메모리(222)에 보존시키고, 촬영종료 후에 취득되는 동작이력기억부(221)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선두프레임으로부터 소정프레임 또는 소정프레임으로부터 최종프레임을 추출하여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의 가공처리를 실시하여 재압축부호화하는 처리도 실시한다.
통신처리부(213)는 사용자가 가입한 통신서비스회사로부터 얻어진 식별코드에 따라서 CDMA방식의 무선신호로부터 자기앞의 신호를 취득하도록 통신부(24)를 제어하거나, 무선통신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패킷데이터인 경우에는 그 통신타이밍을 제어한다.
카메라(15)는 렌즈(31), 촬상소자(30)에 덧붙여서 RAM을 구비하는 DSP(301) 를 구비한다.
기억부(22)는 OS(Operating System)나 각종 동작프로그램 등, 휴대전화장치(1)의 시스템 또는 동작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이나, 동화상·음성 등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외에, 동작이력기억부(221), 일시보존메모리(222) 및 동화상파일메모리(223)를 구비한다.
동작이력기억부(221)는 후술의 동화상촬영처리 시에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입력검출로부터 가속도센서(32)의 검지에 의한 개폐동작종료까지의 시간과, 가속도센서(32)에 의해 입력된 개폐의 속도나 타이밍을 기억한다.
일시보존메모리(222)는 상기 화상처리부(212)에서 리얼타임으로 압축부호화되고, 촬영종료가 검출됨으로써 클로즈되는 동화상파일을 일시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페이드인하는 가공처리에 대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 처리는 휴대전화장치(1)가 실시하는 스텝S31∼S56으로 이루어진다.
접어진상태인 휴대전화장치(1)는 우선 그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스위치(111)의 누름을 검지하여 동화상촬영모드로 이행한다. 우선 스텝S31에서 촬상소자(30)로 결상되는 이미지를 소정 간격(예를 들면 15FPS)마다 1프레임 읽어내고, 스텝S32에서 화상처리부(212)에서 RGB형식으로 변환되어 스텝S33에서 표시드라이버송출, 전개된다.
이 전개된 화상은 소정 간격에서 갱신처리되고, 서브표시부(121)에서 표시되 는데, 이들과 동시에 스텝S35에 있어서, 제 1 케이스(18)가 힌지(17)를 중심으로하여 제 2 케이스(19)로부터 여는 동작이 있는지 없는지를 개폐검출부(25)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 아닌지로 판단한다.
개폐검출부(25)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기까지 스텝S31로부터 스텝S34까지의 처리를 반복하는데, 개폐검출부(25)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텝S36에서 제어신호가 입력된 타이밍으로부터 제어부(21)에서 카운트가 개시되고, 그 시점에서의 가속도센서(32)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하고, 완전하게 제 1 케이스(18)가 제 2 케이스(19)로부터 열려지기(힌지(17)를 회전운동 축으로서 예를 들면 160도 이상 회전운동한다)까지의 시간 및 가속도의 변화의 동작이력기억부(221)에 기록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S37에 있어서 완전하게 열려진 상태를 검지하기까지 상기의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S37에서 완전하게 열렸다고 판단하면 스텝S38에 있어서 동작이력기억부(221)에의 기록을 종료시키고, 서브표시부(121)에서 표시되어 있던 이미지를 메인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스텝S39에서 촬상소자(30)에서 결상되는 이미지를 소정 간격(예를 들면 15FPS)마다 1프레임 읽어내고, 이 프레임의 이미지를 화상처리부(212)에서 표시출력용으로 RGB형식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YUV형식으로 변환한다.
스텝S39에서 YUV형식으로 변환된 프레임이미지는 차례차례 출력되는 그 후의 프레임이미지와 함께, 스텝S40에서 리얼타임으로 압축부호화처리되고, MPEG4형식에 준거한 동화상파일이 작성된다. 작성된 동화상파일은 스텝S41에서 차례차례 일시 보존메모리(222)에 축적되고, 스텝S42의 센터 키(110)의 조작의 검출, 즉 촬영종료를 검지하기까지 스텝S43에 의한 촬영하여 넣기의 계속이 실시된다.
스텝S41에서 센터 키(110)의 조작을 검출하면 촬영종료로 판단하고, 촬상소자(30)의 처리를 일단 정지시키고, 스텝S44에서 그것까지 일시보존메모리(222)에 축적되어 있던 동화상파일의 클로즈처리를 실시한다. 이 클로즈처리라는 것은 상세하게는 파일헤더를 작성하여 동화상파일에 첨부하는 처리나, 프로파일데이터(촬영일시, 촬영시간(개시시간, 종료시간), 촬영장소, 파일용량, 촬영자)를 기입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클로즈처리가 종료되면 스텝S45에서 동작이력기억부(221)로부터 힌지(17)를 통한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19)의 회전운동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과 가속도의 변이를 읽어낸다. 그리고 스텝S46에서 일시보존메모리(222)에 보존된 동화상파일을 전개하고, 스텝S47에서 상기의 회전운동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과 가속도의 변이에 의거하여 동화상파일의 선두프레임으로부터 소정프레임에 페이드인가공처리한다.
이 가공처리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회전운동 개시로부터 회전운동 종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와 긴 경우로,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프레임수에 차(差)를 설치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긴 케이스쪽을 둘러싸는 처리를 실시하는 프레임수가 많아지게 한다. 또 가속도의 변이에 대해서는 단위시간당의 속도변이가 크면 클수록 가공의 정도를 크도록 처리한다.
가공처리가 완료되면 이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에 대해서 스텝S48에서 재생 지시의 검출의 유무를 판단한다. 재생지시를 검출한 경우, 스텝S49에서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을 재생하는데, 재생지시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50에서 이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의 보존지시의 유무를 판단한다. 보존지시가 되면 스텝S51에서 전개되어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에 대해서 압축부호화처리를 실시하고, 스텝S52에서 동화상파일메모리(223)에 보존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S50에 있어서 보존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 스텝S53에서 가공처리하고 있지 않은 오리지널의 동화상파일의 보존지시의 유무를 판단한다. 보존지시가 되면 스텝S54에서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은 파기하고, 스텝S55에서 오리지널의 동화상파일을 동화상파일메모리(223)에 보존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S53에서 보존이 지지되지 않았을 경우, 일시보존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오리지널의 동화상파일도 파기(클리어)한다. 또 이 때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도 파기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페이드아웃하는 가공처리에 대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 처리는 휴대전화장치(1)가 실시하는 스텝S61∼스텝S73으로 이루어진다.
본 처리에 관해서는 동화상촬영처리 중, 즉 도 15에 있어서의 스텝S39∼S41의 처리를 실시하고 있을 때를 본 처리의 스타트시점으로 잡고, 그 후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입력, 즉 제 1 케이스(18)에 제 2 케이스(19)를 씌운(힌지(17)를 회전운동축으로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의 각도를 0도로 했다)것을 검출했는지, 센터 키(110)의 조작을 검출했는지로 촬영처리를 종료시키고 있다.
우선 스텝S61에 있어서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입력의 유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전화장치(1)를 닫는 동작을 실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8)에 제 2 케이스(19)를 씌우는 동작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입력의 유무에 의해 판단한다.
검출한 경우는 촬영종료로 판단하고, 촬상소자(30)의 처리를 일단 정지시키고, 그것까지 일시보존메모리(222)에 축적되어 있던 동화상파일의 클로즈처리를 실시한다.
이 클로즈처리라는 것은 상세하게는 파일헤더를 작성하여 동화상파일에 첨부하는 처리나, 프로파일데이터(촬영일시, 촬영시간(개시시간, 종료시간), 촬영장소, 파일용량, 촬영자)를 기입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스텝S63에서 스텝S62로 제어신호가 입력된 타이밍으로부터 제어부(21)에서 카운트가 개시되고, 그 시점에서의 가속도센서(32)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하며, 완전하게 제 1 케이스(18)가 제 2 케이스(19)에 씌워지기(힌지(17)를 회전운동축으로서 예를 들면 0도로 된다)까지의 시간 및 가속도의 변화의 동작이력기억부(221)에 기록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S64에 있어서, 완전하게 씌워진 상태를 검지하기까지 상기의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S64에서 완전하게 씌워졌다고 판단하면 스텝S65에 있어서 동작이력기억부(221)에의 기록을 종료시키고, 다음으로 스텝S66에서 이 동작이력기억부(221)로부터 힌지(17)를 통한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19)의 회전운동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과, 가속도의 변이를 읽어낸다.
그리고 스텝S67에서 일시보존메모리(222)에 보존된 동화상파일을 전개하고, 스텝S68에서 상기의 회전운동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과, 가속도의 변이에 의거하여 동화상파일의 소정 프레임으로부터 최종프레임에 페이드아웃가공처리를 실시하고, 도 15의 스텝S48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가공처리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회전운동 개시로부터 회전운동 종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경우와 긴 경우로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프레임수에 차를 설치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긴 케이스쪽을 둘러싸는 처리를 실시하는 프레임수가 많아지게 한다. 또 가속도의 변이에 대해서는 단위시간당의 속도변이가 크면 클수록 가공의 정도를 크도록 처리한다.
한편, 스텝S61에서 닫히는 동작을 검출하지 않고, 센터 키(110)의 조작을 검출하면 촬영종료로 판단하고, 스텝S70에서 촬상소자(30)의 처리를 일단정지시키며, 그것까지 일시보존메모리(222)에 축적되어 있던 동화상파일의 클로즈처리를 실시한다. 개폐검출부(25)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입력 및 센터 키(110)의 조작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는 촬영처리를 계속한다.
스텝S70에서 클로즈처리되고, 일시보존메모리(222)에 축적된 동화상파일은 스텝S71에서 보존지시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보존지시가 검출되면 스텝S72에서 이 동화상파일을 동화상파일메모리(223)에 보존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 보존지시가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는 스텝S73에서 일시보존메모리(222)에 기억되어 있는 동화상파일을 파기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검출부(25) 및 가속도센서(3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신호를 촬영종료까지 보존하는 동작이력기억부(22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18)와 제 2 케이스(19)의 회전운동에 관한 동작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동화상파일을 가공할 시에도 이 동작이력기억부(221)의 내용을 참조하여 손쉽게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0)

  1. 촬상수단,
    이 촬상수단을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화상파일을 취득하는 동화상취득수단,
    제 1 케이스,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
    이 제 1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수단에 의한 동화상파일취득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하는 취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가 시작되고나서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
    이 계측수단에 의해서 계측된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동화상에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가공처리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수단은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서 소득된 동화상파일의 선두프레임으로부터 소정 프레임에 대하여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수단은 상기 취득제어수단에 의해서 소득된 동화상파일의 소정 프레임으로부터 최종프레임에 대하여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가 시작되고나서 종료하기까지의 단위시간당의 위치변화의 정도를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 그리고
    상기 가공처리수단은 이 제 2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동화상에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취득수단에 의한 동화상취득의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수단,
    이 지시수단에 의해서 동화상취득을 종료했는지, 상기 제 1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에 의해서 동화상취득을 종료했는지에 따라 상기 가공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표시수단,
    제 2 표시수단,
    상기 촬상수단을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제 2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수단,
    상기 제 1 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촬상수단을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제 1 표시수단을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2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취득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동화상파일을 보존하는 제 1 기억수단,
    상기 가공처리수단에 의해서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을 보존하는 제 2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촬상수단을 구비하는 제 3 케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이 제 3 케이스와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을 구비하는 카메라유닛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이 카메라유닛과 상기 제 1 케이스를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카메라유닛과 상기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제 2 접속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검출수단은 상기 제 1 접속부, 상기 제 2 접속부의 적어도 한쪽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장치.
  11.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동화상촬영장치,
    촬상부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화상파일을 취득하는 동화상취득스텝,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검출스텝,
    이 제 1 검출스텝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 의한 동화 상파일취득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하는 취득제어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가 시작되고나서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스텝,
    이 계측스텝에서 계측된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서 취득된 동화상에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가공처리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스텝은 상기 취득제어스텝에서 소득된 동화상파일의 선두프레임으로부터 소정 프레임에 대하여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스텝은 상기 취득제어스텝에서 소득된 동화상파일의 소정 프레임으로부터 최종프레임에 대하여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가 시작되고나서 종료하기까지의 단위시간당의 위치변화의 정도를 검출하는 제 2 검출스텝, 그리고
    상기 가공처리스텝은 이 제 2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서 취득된 동화상에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 의한 동화상취득의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스텝,
    이 지시스텝에서 동화상취득을 종료했는지, 상기 제 1 검출스텝에 의한 검출에 의해서 동화상취득을 종료했는지에 따라 상기 가공처리스텝을 제어하는 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동화상촬영장치는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스텝,
    상기 제 1 검출스텝에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촬상부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에 따른 이미지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2 표시제어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촬영장치는 제 1 메모리와 제 2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서 취득된 동화상파일을 상기 제 1 메모리에 보존하는 제 1 기억스텝,
    상기 가공처리스텝에서 가공처리된 동화상파일을 보존하는 제 2 기억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방법.
  19. 촬상부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동화상파일을 취득하는 동화상취득스텝,
    상기 접속부를 통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검출스텝,
    이 제 1 검출스텝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 의한 동화상파일취득의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하는 취득제어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동화상촬영장치를 갖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위치관계의 변화가 시작되고나서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스텝,
    이 계측스텝에서 계측된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동화상취득스텝에서 취득된 동화상에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가공처리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
KR1020050027926A 2004-04-05 2005-04-04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98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1057 2004-04-05
JP2004111057 2004-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465A true KR20060045465A (ko) 2006-05-17
KR100798187B1 KR100798187B1 (ko) 2008-01-24

Family

ID=3490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926A KR100798187B1 (ko) 2004-04-05 2005-04-04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95700B2 (ko)
EP (1) EP1585316A3 (ko)
KR (1) KR100798187B1 (ko)
CN (1) CN1003755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098B1 (ko) * 2004-02-2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35289B1 (ko) * 2005-06-07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703332B1 (ko) * 2005-06-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TWI265759B (en) * 2005-06-20 2006-11-01 Lite On Technology Corp Electrical apparatus
US7522945B2 (en) * 2005-06-28 2009-04-2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233344B2 (en) * 2005-08-19 2007-06-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Videophone housing assembly having a foldable display support
EP1760998B1 (en) * 2005-09-02 2010-08-04 LG Electronics Inc.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opening at various angles
KR100713411B1 (ko) 2005-10-0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744305B1 (ko) * 2005-10-18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US7969497B2 (en) 2005-11-21 2011-06-28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53397B1 (ko)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76943B1 (ko) * 2006-05-09 201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US7690576B2 (en) 2006-07-19 2010-04-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eable display/cover member
EP1881680B1 (en) 2006-07-19 2016-09-14 BlackBerry Limited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able display/cover member
JP5033532B2 (ja) * 2007-07-30 2012-09-2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US8295895B2 (en) * 2007-09-27 2012-10-23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436423B (zh) * 2007-11-15 2011-0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Dvd播放器及其显示控制方法
US8265308B2 (en) * 2007-12-07 2012-09-11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including two housings and a piezoelectric transducer
US8395587B2 (en) * 2007-12-21 2013-03-12 Motorola Mobility Llc Haptic respons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203426B1 (ko) * 2008-04-23 201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기록재생기기 및 그 페이드 처리방법
JP5350928B2 (ja) * 2009-07-30 2013-11-2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の制御方法
US8606340B2 (en)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EP2493153B1 (en) * 2011-02-25 2013-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lid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US8665594B2 (en) 2011-02-25 2014-03-0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lid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JP5954158B2 (ja) * 2012-07-24 2016-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33031B2 (en) * 2013-05-23 2017-12-05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Safety accessory with situational awareness and data retention
JP6078796B2 (ja) 2014-02-07 2017-0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US9749510B2 (en) 2014-12-25 2017-08-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unit and imaging apparatus
US11838433B1 (en) * 2022-10-17 2023-12-05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automatic transition to peek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9481A (ja) * 1990-09-20 1992-04-30 Sony Corp 特殊効果映像作成方法
US5359712A (en) * 1991-05-06 1994-10-2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between sequences of digital information
JPH1198411A (ja) 1997-09-17 1999-04-09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のフェーダー装置
JPH11331655A (ja) * 1998-05-13 1999-11-30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6104808A (en) * 1998-08-31 2000-08-15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peakerphone operation
JP3546784B2 (ja)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JP3392831B2 (ja) * 2001-04-03 2003-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20030179314A1 (en) * 2002-02-15 2003-09-25 Nikon Corporation Camera
US20050083642A1 (en) 2002-03-08 2005-04-21 Tsuyoshi Senpuku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display-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2004343677A (ja) * 2002-10-02 2004-12-02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オートダイヤルロック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3914855B2 (ja) * 2002-10-15 2007-05-16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JP3948387B2 (ja) 2002-10-24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5504C (zh) 2008-03-12
CN1681295A (zh) 2005-10-12
KR100798187B1 (ko) 2008-01-24
EP1585316A2 (en) 2005-10-12
US20050219372A1 (en) 2005-10-06
US7495700B2 (en) 2009-02-24
EP1585316A3 (en)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187B1 (ko) 동화상촬영장치, 동화상촬영제어방법 및 동화상촬영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4802077B2 (ja) 携帯機器
KR101122963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13454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101128075B1 (ko) 두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제어 방법
CN100568078C (zh) 照相机
KR100314044B1 (ko) 다양한 기능을 갖는 피씨 카메라
CN100496064C (zh) 摄像装置
JP5243691B2 (ja) カメラ
JP4552699B2 (ja) 動画撮影装置、動画撮影制御方法、及び、動画撮影制御プログラム
US7430010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focusing CCD movably inserted in a light splitting path of a half-mirror
JP3929704B2 (ja) 通信機能付き撮像装置
KR20090045117A (ko) 휴대용 장치 및 촬상 장치
JP4258098B2 (ja) 電子カメラ
JP3813892B2 (ja) 携帯電話装置
JP2004282605A (ja) 携帯電子機器システム、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78273B2 (ja) 撮像装置、動画記憶方法および動画記憶プログラム
JP2004120290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画像表示方法
US8810690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453692B2 (ja) 撮像装置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4753101B2 (ja) 電子カメラ
JP4066990B2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08532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24004A (ja) 画像表示装置、携帯電話、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