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400A - 전자 차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400A
KR20060045400A KR1020050027294A KR20050027294A KR20060045400A KR 20060045400 A KR20060045400 A KR 20060045400A KR 1020050027294 A KR1020050027294 A KR 1020050027294A KR 20050027294 A KR20050027294 A KR 20050027294A KR 20060045400 A KR20060045400 A KR 2006004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ed
key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유야마
다카오 쓰다
가즈시 다케다
마사오 곤도
시게루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4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B42F21/065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for suspension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1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tools for inserting sheets, e.g. labels into pocket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하는 병명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의사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처리를 재촉할 수 있는 전자 차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2)에 전자 차트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1)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표시된 전자 차트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차트를 기억 장치(3)에 기억시키는 제어 장치(4)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4)는 입력 장치(1)에서 병명 입력을 행하는 경우, 상기 병명에 관한 입력 데이터가 일정기간 내에 전기(轉記) 입력될 필요가 있는 중요 관리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 예정일을 설정하고, 상기 종료 예정일을 경과하게 되면 경고 출력을 행하게 한다.
진료, 기록 카드, 병명, 종료 예정일, 경고 출력, 의사, 관리 데이터, 환자

Description

전자 차트 장치 {ELECTRONIC CHART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차트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텐키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진찰을 개시하려고 하는 환자의 전자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S」키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입력란(키패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입력란에서, 1 「주 호소」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키보드 입력 화면이다.
도 5는 도 3의 입력란에서, 2 「문진」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문진 화면이다.
도 6은 도 3의 입력란에서, 2 「문진」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입력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1 「발열」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입력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텐키 영역에서, 「O」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입력란에서, 「화상 진단」키를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다.
도 8(c)는 화상 진단이 2이상인 경우에 표시되는 「검사 실시일 선택」화면이다.
도 8(d)는 도 8(a)의 입력란에서, 「소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e)는 도 8(d)의 입력란에서, 「개별적 소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도 8(d)의 입력란에서, 「전신적 소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바이탈 사인」화면이다.
도 9(b)는 도 8(e)의 입력란에서, 「경부」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경부」화면이다.
도 10은 텐키 영역에서, 「A」키를 조작하여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텐키 영역에서, 「A」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병명 관리」화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입력란에서, 1 「병명」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2의 입력란에서, 1 「빈번용 검색」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키워드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3의 입력란에서, 텐키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낸 입력란으로부터의 병명의 입력이 완료됨으로써 변경되는 텐키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최종결정 화면이다.
도 14(c)는 도 14(a)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2 「분류 검색」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d)는 도 14(c)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e)는 도 14(c)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9 「순환기계」를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f)는 도 14(e)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g)는 도 14(e)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2 「만성 류머티즘성심질환」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소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h)는 도 14(g)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소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i)는 도 14(g)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1 「류머티즘성증모 밸브 질환」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병명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j)는 도 14(i)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병명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k)는 도 12에 나타낸 화면에서, 4 「급성 질환」이 선택됨으로써 전자 차트에 자동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l)은 도 14(k)에 나타낸 화면에서, 종료 예정일이 입력된 병명에 대하여, 종료 예정일이 경과함으로써 표시되는 경고 다이얼로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m)은 도 14(a)에 나타낸 화면에서, 3 「병명」이 선택됨으로써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입력란에서, 「수식어」키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입력란에서, 1 「50음」을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입력란에서, 1 「접두어」를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입력란에서, 「아행」을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입력란에서, 1 「아」를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0의 「전환 복귀」키를 선택하여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텐키 영역에서, 「P」키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입력란에서, 「내복」, 「조제」, 「외용」, 「주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의약품 선택」화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입력란에서, 약효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입력란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약품명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입력란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복용 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2의 「의약품 선택」화면에서, 「DO」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DO 리스트」화면이다.
도 27(a)는 도 22의 「의약품 선택」화면에서, 「약속」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약속 처방 세트」화면이다.
도 27(b)는 약속 처방을 등록하는 화면이다.
도 27(c)는 약속 처방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 28은 초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진찰 리스트」화면이다.
도 29는 전자 차트의 일자 입력시에 표시되는 캘린더 화면이다.
도 30은 도 28의 화면에서, 「환자 검색」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환자 검색」화면이다.
도 31은 표시 장치에 전자 차트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진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2는 도 21의 화면에서, 「처치」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처치 전표」화면이다.
도 33은 도 21의 화면에서, 「수술」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수술 전표」화면이다.
도 34는 도 21의 입력란에서, 「화상」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이다.
도 35는 화상 진단 세트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6은 화상 진단 세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7은 도 35의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 작성」, 「수정」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변경된 텐키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의 화면에서, 「부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도 37의 화면에서, 「방향」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도 37의 화면에서, 「필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도 37의 화면에서, 「약제」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도 37의 화면에서, 「재료」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지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는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1~ 8중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영양 지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지도분의 일람표이다.
도 46은 텐키 영역의 「O」키를 조작하여 표시된 입력란에서, 「도식」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도식」화면이다.
도 47은 치료에서, 환자에게 투약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48은 검사 결과 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49는 검사 결과를 시계열로 일람표로서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0은 그래프 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51은 도 50에 나타낸 그래프 표시 처리에 의해 얻어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2는 처방 체크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53(a)는 상호작용과 적응증에 대하여 문제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53(b)는 의약품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는 도 21에 나타낸 화면에서, 8 「검사」키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다.
도 55는 도 54에 나타낸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된 검사 항목 표시 화면이다.
도 56은 도 21에 나타낸 화면에서, 9 「화상」키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다.
도 57은 도 56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된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이다.
도 58은 전자 차트와는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되는 바인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9는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에서, 「환자 검색」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환자 검색 화면이다.
도 60은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에서, 「차트 전송」버튼을 조작함으로 써 표시되는 전송처 선택 화면이다.
도 61은 인쇄 지시 및 인쇄 다이얼로그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텐키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는 도 61의 화면에서, 숫자 키의 의료 문서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된 「인쇄 범위」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인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3은 도 61의 화면에서, 「인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4는 도 63의 화면에서 의료 문서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되는 위저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5는 도 64의 화면에서, 「차트」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차트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부호의 설명
1: 입력 장치
2: 표시 장치
3: 기억 장치
4: 제어 장치
5: 이력란
6: 환자란
7: 입력란
8: 입력 확인란
9: 입력 확정란(확정 표시부)
10: 텐키 영역
11: 메뉴 영역
본 발명은 전자 차트 장치, 특히, 병명의 입력 처리에 특징을 가지는 전자 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의 병명을 기억하여 진료가 있던 달의 병명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병명에 대하여 심증이 가는[이하, 혐의(嫌疑)라고 한다] 정보를 또한 기억하고, 그 혐의의 정보는 개시 시기와 종료 시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진료가 있던 달이 개시 시기로부터 종료 시기의 기간에 포함되는 경우 그 병명을 혐의의 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 구성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154190호 공보 참조).
이 장치에 의하면, 지난 달까지 혐의 상태이었던 병명에 대하여 당월 그 혐의를 해제한 경우에도, 지난달 이전의 병명에 대하여는 혐의 상태인 채로 틀림없이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혐의 상태이었던 병명(혐의 병명)에 대하여, 후일, 그 후 환자가 내원하지 않아, 의사가 그 혐의를 해제하는 것을 잊어버렸던 경우에는 대처하기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의료비 청구서에서의 청구 에 반영하는 것을 잊게 된다. 또, 혐의 병명 이외에도, 급성(急性) 질환 등과 같이, 진찰로부터 일정기간 경과하면, 그 후의 병명 판단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하는 병명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의사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처리를 촉진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시 수단에 전자 차트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표시된 전자 차트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차트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하여, 병명 입력을 행하는 경우, 상기 병명에 관한 입력 데이터가 일정기간 내에 전기(轉記) 입력될 필요가 있는 중요 관리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 예정일을 설정하고, 상기 종료 예정일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표시 수단에 경고 출력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병명 입력을 행하는 경우, 그 데이터가 중요 관리 데이터이면, 자동적으로 종료 예정일을 설정하고, 그 날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경고 출력할 수 있고, 의료비 청구서의 청구 잊어버림 등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중요 관리 데이터는, 급성병명, 혐의병명, 또는, 주병명 및 부병명 이 외의 병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수단(입력키)은, 급성병명 키와 만성병명 키를 구비하고, 각 키를 조작함으로써, 입력키의 표시 내용이 빈번하게 나타나는(이하, "빈번용"이라 함) 병명 순으로 차례로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면, 증세 병명의 선택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전자 차트 시스템은 입력 장치(1), 표시 장치(2), 기억 장치(3), 및 제어 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1)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입력 작업은 모두 후술하는 입력란(7)만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고,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키보드, 마우스 등은 특히 필요한 것이 아니고, 터치 패널에 표시한 키패드에 조작을 집약할 수 있다.
표시 장치(2)는,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부 또는 전부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2)에는, 초기 화면으로서, 우측 하란에 입력란(7)으로서 도 2(a)에 나타낸 키패드 화면[텐키 영역(10)]이 표시되고, 「진찰 리스트」화면(도 28)이 자동 표시된다. 입력란(7)이 우측 아래에 표시되므로, 환자와 대면하면서, 의사가 한 손으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환자 및 의사의 양쪽이 다른 란을 보기 쉽게 되어 있다. 단, 입력란(7)의 표시 위치는, 의사가 좌측 유리한 경우를 상정하여 화면의 좌측 아래에 표시하는 등,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입력란(7)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9까지의 숫자 키, 도트 키 「.」, 「UNDO」키, 캔슬 키 「C」, 스크롤 키 「UP」, 「DOWN」, 「ENTER」키, 기능키(function key)(F1~F4), 「S」키, 「O」키, 「A」키, 「P」키가 포함된다. 초기 화면에서는, 숫자 키의 1 「←」키, 2 「차트 표시」키, 3 「→」, UP 키, DOWN 키만이 조작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키에 대하여는, 텐키 영역(10)에 표시된 조작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고, 버튼에 대하여는, 그 이외의 다이얼로그에서의 조작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입력란(7)에서, 2 「차트 표시」키를 조작하면, 지금부터 진찰을 개시하도록 환자의 전자 차트가 표시된다. 즉, 표시 화면에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란(7) 이외의 영역에, 이력란(5), 환자란(6), 및 입력 확정란(9)이 각각 표시된다. 또, 입력란(7)에서의 입력에 의하여, 입력 확인란(8)이 표시된다. 이력란(5), 환자란(6)은 화면의 좌측, 입력 확인란(8), 입력 확정란(9)은 화면의 우측, 입력란(7)의 윗쪽에 각각 표시된다. 이 때, 5 「진찰」키를 조작하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차트가 입력 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이력란(5)에는, 전회의 진찰에서의 진찰 내용, 검사 결과, 처방약 등이 표시된다. 도 2(b)에서는, 흉부 X레이의 촬영 화상, 진찰 내용, 검사 결과, 처방 내용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의사는 상기 이력란(5)을 참조하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 있다. 또, 이력란(5)의 하부에는, 커서 키(「←」, 「→」)가 표시되고, 이력란을 좌우로 페이지 넘기도록 하여 표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실제로 페이지를 넘기는 표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페이지 넘김 기능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스크롤 바를 이용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환자란(6)에는, 환자에 관한 정보, 즉,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주소, 병력 등이 표시된다.
입력란(7)은, 텐키 영역(10)과 메뉴 영역(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영역(11)에는, 텐키 영역(10)에서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텐키 영역(10)에서, 「S」키가 조작되면, 진찰시에 환자로부터 들어야 할 진찰 내용이 복수개의 항목에 분할되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표시되는 항목은, 미리 후술하는 각 마스터(master)에 기억시킨 내용을, 소정 순서에 따라서 관련 그룹마다 차례로 변경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숫자 키의 1 「주 호소」키, 2 「문진」키, 「UNDO」키, 캔슬 키 「C」, 기능키(F1: 문진표), 「S」키, 「O」키, 「A」키, 「P」키 만이 조작 가능하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입력란(7)의 숫자 키에서, 1「주 호소」를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 화면이 별개의 윈도우에서 표시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등(주 호소)을 키보드로 직접 입력 가능해진다. 이미, 진찰전에 환자가 기입한 문진표의 내용이 접수되어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진표」키를 조작함으로써, 문진표의 내용을 호출하여 카피할 수 있다. 또, 키보드로 입력한 데이터는, 「등록」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되고, 「호출」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된 내용을 호출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입력란(7)의 숫자 키로, 2 「문진」을 조작하면, 도 5에 나타낸 「문진」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또, 입력란(7)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숫자 키에, 증상에 관한 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할 수 없는 키에 대하여는, 엷은색으로 표시된다(도면에는 그물형으로 표시). 여기서, 예를 들면, 1 「발열」을 조작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숫자 키에서의 표시 내용이, 선택한 증상이 언제부터인가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화된다. 또, 「SKIP」키가 표시되고, 필요 없다고 판단한 항목은 입력을 생략할 수 있다. 이 때, 「문진」화면에는, 「발열」을 선택한 경우에 필요한 문진 내용, 즉, 「언제부터」, 「어느 정도」, 「오한의 유무」와 같이 각 항목이 표시되고, 현재 입력 중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따라서, 무엇을 입력하면 되는 것인지가 한눈에 알수 있고, 또, 불필요한 항목을 즉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입력이 종료될 때마다 「ENTER」키를 조작하고, 입력 확정란(9)에 표시된다. 입력을 미스한 경우, 「UNDO」키를 조작함으로써, 입력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키를 조작하여 주 호소를 입력하는 경우, 「UNDO」키를 조작하면, 순차적으로, 어느 입력 단계로도 복귀 가능하다. 또, 주 호소의 입력을 완료하고, 「ENTER」키를 조작한 후, 「O」키를 조작한 경우라도, 「UNDO」키를 조작하면, 주 호소 입력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단, 「O」키의 조작 후, 입력이 개시되면, 「UNDO」키를 조작해도, 소견 입력으로의 복귀가 가능할 뿐이며, 주 호소 입력으로 복귀되지는 않는다.
텐키 영역(10)에서, 「O」키를 조작하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변경된다.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있는 경우, 「화상」키가 유효 키로서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된다.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1개이면, 도 8(b)에 나타낸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또,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2개이상 있으면, 도 8(c)에 나타낸 「검사 실시일 선택」화면이 표시되고,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마찬가지로, 도 8(b)에 나타낸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에서, 「화상 취입」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취입」화면이 표시되고, 화상의 파일이 판독된다(단, 필름 스캐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읽어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화상 취입」화면을 닫으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에 읽어들인 화상이 표시된다. 의사는, 표시된 화상을 보고, 소견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에는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1 「소견」키를 조작하여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항목을 전환하고, 「프리 워드」키를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되고, 키보드에 의한 문자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과거와 마찬가지의 소견(환자의 구별은 묻지 않는다)이 입력되어 있으면, 학습란의 「호출」키를 조작하여 호출 것이 가능하다. 또, 키보드로 입력한 데이터는, 「등록」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하여 두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8(d)에 나타낸 입력란(7)에 표시된 「전신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도 9(a)에 나타낸 「바이탈 사인」화면이 표시되고, 전신에 관한 소견 입력용의 각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각 입력항목에는, 체크 박스가 형성되고, 펜이나 마우스 등에 의해 해당하는 부분을 체크하는 것만으로 입력이 완료된다.
또, 도 8(d)에 나타낸 입력란(7)에 표시된 「개별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는 항목이 신체의 각 부위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이 화면에서, 예를 들면, 「경부」키를 조작하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부」화면이 표시되므로, 표시된 각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된다.
그리고, 입력 방식 패턴으로는, 상기 체크 박스 외에, 수치 입력 등을 들 수 있다. 또, 체크 박스의 선택 항목의 명칭 및 개수에 대하여는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텐키 영역(10)에서, 「A」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의 표시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병명 관리」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입력란(7)에서, 1 「병명」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고, 병명을 5 종류의 상이한 방법으로 의해 검색 가능해진다. 즉, 숫자 키에는, 1 「빈번용 검색」, 2 「분류 검색」, 3 「키워드」, 4 「급성 질환」, 5 「만성 질환」이 표시되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1 「빈번용 검색」키를 조작하면, 도 13(a)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숫자 키가 빈번용 병명으로 전환되고, 여기서 해당하는 병명을 선택하면, 도 13(a)로부터 선택된 병명이 「병명 관리」화면으로 표시된다. 2「분류 검색」키를 조작하면, ICD1O에서 정해져 있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순서로 병명을 죄어 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어느 계층에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라도, F1에 표시된 ICD1O(병명)을 조작함으로써, ICD1O의 코드 번호와, 대응하는 일본어 표시(문자열)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 「키워드」키를 조작하면, 도 13(b)에 나타낸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이 팝업(pop-up) 표시되므로, 이 화면으로부터 키워드 등을 입력하여 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4 「급성 질환」키를 조작하면, 급성 질환으로서 분류한 병명이 각 숫자 키에 표시되고, 5 「만성 질환」키를 조작하면, 만성 질환으로 분류된 병명이 각 숫자 키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병명이 선택되고, 「병명 관리」화면으로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이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1「재발(再發)」키 또는 2「혐의」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병명 관리」화면의 「재발」란에서는, 초기값이 공백으로, 1「재발」키를 조작함으로써, 재발의 문자가 표시되고, 한번 더 조작함으로써 공백으로 복귀한다.
또, 도 14(a)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수식어」키를 조작하면, 표시되는 항목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1「50음」키 또는 2「키워드」키에 의한 수식어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1「50음」키 또는 2「키워드」키 중, 「50음」키를 선택하면, 입력란(7)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입력하는 수식어 의 삽입 위치(1「접두어」또는 2 「접미어」)를 선택 가능해진다. 이 경우, 수식어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면, 입력란(7)의 표시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그래서, 도 17에서 1「아행」을 선택하고, 도 18에서 1「아」를 선택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식어가 일람표 표시되므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수식어는, 이미 입력된 병명의 전후 어느 하나의 선택된 장소에 삽입된다. 수식어를 잘못해 입력한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낸 「삭제」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수식어를 표시하고, 해당하는 수식어가 표시된 키를 조작하면, 그 수식어를 소거할 수 있다.
병명에 관한 입력 후, 도 14(a)에 나타낸 「결정」키를 조작하면, 병명의 개시일에는, 진찰일이 자동 입력되고, 텐키 영역(10)의 표시가 도 10에 나타낸 내용으로 변환된다. 전환 복귀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3 「전환 복귀」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로써,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 복귀에 관한 항목에 변환되므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의사의 진찰 입력을, 병명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종적인 전환 복귀까지의 거의 모두를 입력란(7)에서의 입력 처리에 의해 완료할 수 있다.
텐키 영역(10)에서, 「P」키를 조작하면, 표시 항목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투약, 진료 계획, 치료, 지도(환자에의 교육 등)의 향후의 치료 계획에 관한 각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1~3의 투약, 4의 주사에 관한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하면, 도 22에 나타낸 「아행」~「와행」으로 나타내는 50음 선택 키, 「DO」키, 「약속」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약품 선택」화면으로 변경된다. 의약품명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50음 선택 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단, 의약품명이 아니고, 약효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키 조작에 의하여, 의약품을 좁히고, 최종적으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약품명을 표시하고, 해당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의약품 선택 후에, 숫자 키 및 「ENTER」키의 조작에 의해 용량을 입력한다. 이 때, 도 2(b)에 나타낸 입력 확인란(8)에, 미리, 의약품마다의 용량을 표시하므로, 변경되지 않으면, 「ENTER」키만을 조작한다. 그리고, 용량을 입력하고, 도 22에 나타낸 「ENTER 용법」키를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용 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변경된다. 초기 표시에서는, 종래로부터 의사에 의해 차트의 기재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기호가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는, 커서 키의 조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순차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용법을 선택하면, 표시 내용은 또 투여 일수로 변경된다. 투여 일수를 선택함으로써 용법 입력이 완료되고,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도시하지 않은 최종결정 화면(도시하지 않음)으로 변경된다.
입력한 처방에 잘못 등이 없으면, 상기 최종결정 화면에서, 「ENTER」키를 조작함으로써 내용을 확정한다. 수정, 삭제가 필요하면, 「수정」키, 「삭제」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들 키 조작에 의하여, 미리 입력한 약품명이 숫자 키에 표시되므로, 해당하는 약품명을 조작함으로써, 내용의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해진다. 그 리고, 새롭게 의약품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추가」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미, 이력으로서 남아 있는 처방 데이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2에 나타낸 「DO」키를 조작하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하는 데이터(DO 리스트)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데이터는, 신규 입력했을 때, 자동적으로 이력 데이터로서 등록된 것이다.
또, 예를 들면, 유행 중의 감기 등, 미리 결정할 수 있던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처방하는 의약품을 등록하여 두고, 「약속」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약속」키를 조작하면, 도 27(a)에 나타낸 「약속 처방 세트」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약속 처방 세트(여기서는, 고혈압과 감기에 관한 약속 처방이 표시되어 있다.)를 선택함으로써, 미리 작성된 처방을 호출할 수 있다. 처방 세트의 작성은, 도 27(b)에 나타낸 「약속 처방 세트 등록」화면으로부터 행한다. 이 화면에서는, 상부에 「내복(內服)」키, 「조제」키 등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해당하는 처방의 일람이 그 하부에 표시된다.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버튼이나 「수정」버튼 등을 조작하면, 도 2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란(7)과 일체화된 「약속 처방 세트 입력」화면이 표시되므로, 여기서 약속 처방의 신규 입력이나 수정 등을 행한다.
도 2(b)에 나타낸 입력 확인란(8)에는, 입력란(7)에서 입력된 진찰 내용, 처방 내용 등이 표시되고, 일단, 입력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낸 입력 확정란(9)에는, 이번 진찰에서 입력되고, 입력 확인 란(8)에 표시된 진찰 내용이나 처방 내용 중, 확정된 것이 표시되거나, 검사 결과 등이 표시된다.
도 2(a)에 나타낸 초기 화면이 표시되면, 도 28에 나타낸 「진찰 리스트」화면이 자동 표시된다. 「진찰 리스트」화면에는, 「No」, 「접수 시각」, 「대기(대기 시간)」, 「환자 ID」, 「성명」, 「연령」, 「성별」, 「상태」, 「문진」, 「 초/재」, 「지불」의 각 열로 이루어지는 진찰 리스트가 일람 표시된다. 「No」는 접수로부터 정보를 받은 순으로 할당되는 번호를 나타낸다. 「접수 시각」은 환자가 접수를 끝마친 시각이 표시되어 있다. 또, 「대기(대기 시간)」는, 「접수 시각」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의사는, 이 시간을 참고로 하여 대기 시간이 그다지 길게 너무 되지 않게 조심할 수 있다. 「상태」에는 진찰 대기 등, 각 환자의 현상태가 표시된다. 「문진」에는, 진찰전에 각 환자의 문진이 행해지고, 본 시스템로의 입력이 완료되고 있는지 여부가, 「0」(입력 완료) 또는 「x」(미입력)로 표시된다. 「초/재」에는, 각 환자가 초진인지(처음), 이전에 진찰을 받았던 적이 있는지(재)가 표시된다.
또, 「진찰 리스트」화면에는, 「일자」, 「금일」, 「대기 종료 합계」, 「중단」의 각 항목 외에, 「캘린더」버튼, 「환자 검색」버튼, 「차트 표시」버튼, 「진료 종료」버튼, 「로그 오프」버튼, 「환경 설정」버튼, 「바인더」버튼이 표시된다. 「캘린더」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 29에 나타낸 캘린더를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할 수 있다. 캘린더에 원하는 일자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날의 진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캘린더는, 일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이용 가능 하다. 또, 「수신 리스트」화면에 표시한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하는 환자명이 표시된 행을 선택하여 「차트 표시」키를 조작하면 된다. 또, 「환자 검색」버튼을 조작하여 「진찰 리스트」화면을 닫고, 도 30에 나타낸 「환자 검색」화면을 표시시키고, 환자의 성명이나 환자 ID 등의 환자를 특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조작하면, 해당하는 환자의 일람표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 결과의 일람표에 표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환자명이 표시된 행을 선택하여 「차트 표시」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그리고, 차트 표시는, 텐키 영역(10)에서의 조작에 의하여도 행할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낸 1「←」키를 조작하면, 표시되는 차트의 내용은, 현재 표시 중의 차트로부터, 1개 앞의 환자의 것으로 전환된다. 또, 3 「→」키를 조작하면, 현재 표시 중의 차트로부터, 1개 뒤의 환자의 것으로 전환된다. 이로써, 진찰 끝난 환자의 차트 내용을 다시 보거나, X레이 촬영, 점적(点滴)주입 등으로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다음의 환자의 진찰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1「처치」키를 조작하면, 도 32에 나타낸 「처치 전표」화면이 표시되고, 처치에 관한 의료 행위를 일람할 수 있다. 의료 행위의 일람은, 초진으로부터의 처치 내용이 시계열로 표시된다. 또, 이 화면에서, 처치 내용, 처치에서 사용한 의약품 및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7「수술」키를 조작하면, 도 33에 나타낸 「수술 전표」화면이 표시되고, 수술에 관한 의료 행위의 일람을 표시하고, 수 술에서 사용한 의약품, 주사 및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복수개 항목의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실시하는 검사 항목을 등록하여 두고, 「검사」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8「검사」키를 조작하면,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리스트」화면과 같은 「검사 세트 리스트」화면(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된다. 「검사 세트 리스트」화면에서, 해당하는 세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내용을 전자 차트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사 세트 리스트」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은,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등록」화면과 같은 「검사 세트 등록」화면(도시하지 않음)에서,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9「화상」키를 조작하면, 도 34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에서, 해당하는 세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내용이 전자 차트에 반영된다.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은, 도 35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은, 분류 버튼, 일람표, 그 외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버튼은 「X선 단순」버튼, 「X선 조영(造影)」버튼 등, 촬영의 종류에 따른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X선 단순」버튼을 조작하면, X선 단순 촬영에 관해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세트 명칭의 일람이 표시되고, 수정하고 싶은 세트를 선택하여 「수정」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내용의 수정이 가능해진다. 또, 그 외의 버튼은 「신규 작성」버튼, 「수정」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에, 해당 하는 것이 없는 경우, 새롭게 등록하는 경우, 등록된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등에는, 그 외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도 36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입력」화면으로 전환해 소정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 작성」버튼을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진단의 입력 때에 필요한 각 항목으로 변경된다. 1「부위」키를 조작하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의 각 부위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 2「방향」키를 조작하면,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방향을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 3 「필름」키를 조작하면,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사이즈를 나타낸 항목으로 변경되므로, 사이즈를 선택하고, 텐키로 매수를 입력한 후, 분획수를 입력함으로써, 필름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분획수를 입력한 후, 「ENTER」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복수개의 필름에 대하여 연속 입력할 수 있다. 또, 4 「약제」키를 조작하면, 텐키의 표시 내용이,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약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변경된 화면에서 약제를 선택하고, 또한 변경된 화면에서 용량을 입력함으로써, 약제의 종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용량을 입력한 후, 「ENTER」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연속 입력할 수 있는 점은, 상기 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5 「재료」키를 조작하면,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진단에 사용하는 재료(기구)로 이루어지는 내용으로 변경된다. 어느 하나의 재료를 선택하고, 수량을 입력함으로써, 화상 진단에 사용하는 재료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ENTER」 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연속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정 등이 있는 경우에는, 「신규 작성」버튼, 「추가」버튼, 및 「삭제」버튼을 조작하여, 신규 작성,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5 「지도」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도의 분류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지도의 분류는, 예를 들면, 복약(服藥), 영양, 생활, 운동, 공중위생·감염 방지, 재택, 약학적 관리, 기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된 1~8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또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여기서, 「지도문」키를 조작하면, 텐키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텐키를 조작하면, 별개의 윈도우로 지도문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도 45는 「영양 지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지도문의 예를 나타낸다. 이로써, 등록되어 있는 지도문을 텐키로써 선택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21에서, 「진료 계획」키를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화면이 표시되므로, 키보드를 사용하여 진료 계획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기억 장치(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약품 마스터, 병명 마스터, 의료 행위 마스터, 검색 메뉴 마스터 등의 각종 마스터, 진찰록 테이블 등의 각종 테이블에,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의약품 마스터에는, 의약품(약제)에 관한 데이터, 예를 들면, 의약품명, 의약품 코드 번호, 약효 등이 기억되어 있다. 그런데, 병원에 의해 취급되는 의약품이 다르다. 따라서, 의약품 마스터에서는, 취급되는 의약품에 플래그(flag)를 세 워 참조 가능한 의약품을 좁힌다. 이로써, 공통의 의약품 마스터를 사용하여 각 병원마다 의약품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데이터를 좁힘으로써, 검색이나 표시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병명 마스터에는, 증상에 관한 항목(증상 항목)이 기억되어 있다.
의료 행위 마스터에는, 각 의약품의 복용 방법(복용 시기, 복용수 등)이나, 부위에 관한 항목, 즉 신체의 어디의 증상인지를 나타낸 항목(부위 항목) 등, 의료 행위에 필요한 내용이 기억되어 있다.
검색 메뉴 마스터에는, 50음 선택, 아이우에오 선택 등의 검색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진찰록 테이블에는, 도 2(b)의 입력 확정란(9)에서 확정된 정보가 기억되어 간다.
결과 테이블에는, 검사 위탁처(검사 회사) 등에서의 검사 결과가, 인터넷, FD(플로피 디스크), CD-ROM 등의 전자 매체를 통하여 취입되어 있다.
제어 장치(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키패드 접수 제어부, 입력 키패드 표시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키패드 접수 제어부는, 터치 패널이나 키패드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진행 상황 로그를 남김과 동시에, 표시 장치(2)의 입력 버퍼 화면[가표시부(假表示部)]으로의 표시를 제어한다.
입력 키패드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진행 상황 로그에 따라서 입력란(7)과 메뉴 윈도우 화면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입력란(7)에서는, 진행 상황 로그를 파악 하고, 메뉴 구성 테이블로부터 상황에 맞는 메뉴 내용을 표시한다.
메뉴 구성 테이블은, 입력란(7)으로부터 입력하는 항목이, 용법, 약품명, 부위 등, 여러 갈래에 이르기 때문에, 각종 마스터에 직접 액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이 테이블에 호출하여 표시 처리에 이용한다. 메뉴 구성 테이블로서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마스터 파일(master file)명, 키 사용의 유무, 메뉴의 항목수, 메뉴 영역(11)의 표시의 유무 등이 포함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차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낸 초기 화면에서는, 표시 장치(2)의 우측 하란에 입력란(7)이 표시되므로, 진찰을 행하는 경우에는 5 「진찰」키를 조작함으로써, 진찰이 끝나지 않은 환자 중, 접수 번호(No)가 가장 작은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한다. 지금부터 진찰하려고 하는 환자의 것이 아니면, 커서 키를 조작하여,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하는 전자 차트를 변경한다. 또, 진찰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일람 표시되므로, 이 진찰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표시된 전자 차트에서는, 환자란(6)에 그 환자의 생년월일,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표시되고, 과거의 차트가 있으면, 이력란(5)에 그 내용이 표시되지만, 단, 환자에게 나타낸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항목 등에 대해서는 초기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초기 표시가 바람직하지 않은 항목(암, 감염증, 성병 등)에 대하여는, 별도로, 탭 키를 형성하고, 이 탭 키를 조작한 경우에만 표시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또, 과거의 차트 이외에, 검사 결과가 있는 경우, 그 검사 결과를 자동적으로 팝업 표시하고, 도 48에 나타낸 검사 결과 표시 처리를 행한다.
검사 결과 표시 처리에서는, 먼저, 검사 위탁처(검사 회사)로부터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전송되고, 기억 장치(3)의 결과 테이블에 자동적으로 취입한 검사 결과를 판독한다(스텝 S1OO). 단, 검사 결과는 플로피 디스크(FD), CD-ROM 등의 전자 매체로부터 결과 테이블에 취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 검사 마스터로부터, 상기 검사 결과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에 관한 기준치를 판독한다(스텝 S101). 그리고, 판독한 검사 결과와 기준치(상한치 및 하한값)를 비교한다(스텝 S102). 그리고, 비교한 결과를 화면에 팝업(pop-up) 표시한다(스텝 S103). 이 경우, 검사 결과가 기준치를 벗어나면,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하고, 비정상치만을 강조(예를 들면, 적색) 표시한다. 상한치를 넘는 경우에는, 「↑」, 하한값을 하회하는 경우, 「↓」을 각각 표시한다. 여기서, 차트에 전기하는 항목이 선택되면(스텝 S104), 그 항목에 대하여 검사 결과를 차트에 전기한다(스텝 S105). 차트로의 전기 항목은, 예를 들면, 검사 항목의 각각에 체크 박스를 형성하고, 체크된 항목만을 전기하면 된다. 이 경우, 초기설정을, 예를 들면, 「비정상치만의 체크」, 「모두 체크」, 「체크하지 않음」의 3개로부터 선택 가능하게 해도 된다. 그리고, 정상치라도 전회의 검사 결과로부터의 변화가 큰 것이나, 비정상치라도 그다지 신경쓸 필요가 없는 것도 있으므로, 전기 항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진찰 입력) 진찰하려고 하는 환자의 전자 차트가 표시되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2)를 사이에 두고 의사와 환자가 마주보고, 표시된 전자 차트를 참조하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란(7)은 화면의 우측 아래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환자도 전자 차트의 내용을 보기 쉽고, 표시 내용을 보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 있다.
진찰 내용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의 「S」키를 조작하여 입력란(7)을 도 3에 나타낸 내용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미 문진표의 내용이 등록되어 있으면, 「문진표」키를 조작함으로써 해당하는 문진 내용을 전자 차트에 카피한다. 문진 내용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1 「주 호소」키를 조작하고,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키보드에 의해 주 호소(환자의 호소)의 입력을 행한다.
주 호소의 입력이 종료되면, 「OK」키를 조작하여 「키보드 입력」화면을 닫는다. 이어서, 2 「문진」키를 조작하여 입력 확인란(8)인 「문진」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입력란(7)의 숫자 키의 표시가 도 6에 나타낸 증상 입력을 위한 내용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입력란(7)에 표시된 각 증상으로부터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해당하는 것이 없으면, 커서 키로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
증상이 입력되면, 「문진」화면에는, 그 내용이 표시되는 동시에, 입력된 증상에 대하여 필요한 문진 내용이 모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증상에 「발열」이 선택된 경우에는, 「문진」화면에는, 「발열」, 「언제부터」, 「어느 정도」, 「오한의 유무」가 표시되고, 「발열」의 입력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입력을 필요로 하는 「언제부터」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따라서, 무엇을 입력하면 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또, 입력란(7)의 표시 내용이 증상으로부터 시기에 관 한 것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그 항목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으면, 「SKIP」키를 조작하여 다음의 항목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때, 강조 표시되는 항목이 변경된다. 그 후,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입력란(7)의 표시 내용에 따라 입력된다. 따라서, 진찰에서 필요한 항목을 빠짐없이 모두 입력할 수 있다.
진찰 결과의 전체 입력이 완료되면, 「문진」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정정을 행한다. 그리고, 정정 및 확인이 종료되면, 「ENTER」키를 조작한다. 이로써, 「문진」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이 소거되어 입력 확정란(9)에 표시되고, 입력 내용이 차트에 반영된다.
(소견 입력) 진찰 내용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O」키를 조작함으로써, 소견, 즉 의사가 인정하는 증상의 입력을 행한다. 「O」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소견 입력용으로 전환되고, 도 8(a)에 나타낸 입력란(7)에는, 1 「소견」, 2 「검사」, 3 「화상」, 4 「도식」, 5 「검사이력」의 각 키가 표시된다.
1 「소견」키를 선택하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신적 소견」키 및 「개별적 소견」키로 변경된다.
「전신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도 9(a)에 나타낸 「바이탈 사인 다이얼로그(vital sign dialogue)」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되므로, 순차적으로, 각 항목의 체크 박스의 어느 하나를 펜이나 마우스에 의해 체크하면 된다.
또, 「개별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숫자 키는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되므로, 해당하는 부위를 조작하고, 「소견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시된 각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된다. 예를 들면, 「경부」를 조작하면, 「소견 입력」화면으로서 도 9(b)에 나타낸 「경부」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경부」화면에서는, 경부 시진란(視診欄)과 경부 촉진란(觸診欄)이 있고, 각각 갑상선 비대, 경부 임파종 비대, 이하선 비대(「유」,「무」의 체크 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의 각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는 각 항목의 체크 박스의 어느 하나를 펜이나 마우스에 의해 체크하면 된다.
2 「검사」키를 선택하면, 실시필의 검사 결과가 일람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검사 결과는, 수동 입력 또는 자동 입력에 의하여, 전자 차트의 해당 부분(입력 확정란)에 반영된다.
3 「화상 진단」키를 조작하면, X레이 등으로 촬영한 화상이 있으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의사는 표시된 화상에 따라 증상의 판단을 행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다음의 도식 화면을 표시하여 환자를 위한 설명용으로서 이용한다.
4 「도식」키를 조작하면, 도 46에 나타낸 「도식」화면이 표시된다. 「도식」화면에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체 부위 화상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환자의 질환 부위의 화상을 선택하면, 화상이 편집란에 확대 표시된다. 펜,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화상에 부위, 증상 등을 기입하고, 「차트에 첨부」버튼을 조작하면, 화상이 전자 차트에 축소된 사이즈로 표시된다. 또, 「화상」키를 조작하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의 「화상 취입」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취입」화면이 표시되고, 화상 파일이 판독된다. 단, 화상 데이터는 필름 스캐너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취입」화면을 닫으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에 취입된 화상이 표시되고, 이 화상을 참조하면서 화상 진단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화상 진단 결과의 입력 후,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의 「닫음」버턴을 조작하면, 입력 내용이 전자 차트에 표시된다. 또, 전자 차트에 표시된 화상을 더블 클릭하면, 「도식」화면의 편집란에 해당 화상이 확대 표시된다. 이에 따라, 펜,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화상을 지시하고, 질환 부위를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5 「검사이력」키를 조작하면, 전회의 검사 결과가 일람 표시된다. 이 경우, 표시된 일람표로부터 검사 항목을 선택하고(여기서는, 최대 5항목까지 선택 가능), 검사 결과를 시계열 표시 또는 그래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표시를 희망하는 검사 결과를 선택하고, 숫자 키에 표시되는 「시계열 표시」또는 「그래프 표시」를 조작하면, 다음의 같이 형식을 변경하여 표시될 수 있다.
「시계열 표시」를 조작하면,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한 각 검사 항목에 대하여, 일자로 이루어지는 일람표에 검사 결과의 수치가 표시된다. 「그래프 표시」를 조작하면, 도 5O에 나타낸 그래프 표시 처리가 개시된다.
그래프 표시 처리에서는, 먼저, 검사 마스터로부터 해당하는 검사 항목의 기준치를 판독하고(스텝 S110), 눈금 표시치를 산출한다(스텝 S111). 그리고, 산출한 눈금 표시치에 따라서 그래프 상에 눈금을 표시한다(스텝 S112). 이 경우, 검사 기준치의 상한치 및 하한값의 표시 위치를, 검사 항목의 차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로 한다. 그리고, 검사 항목이 복수개이면, 각 검사 항목의 검사 기준치의 상한치 및 하한값을 병렬로 표시한다. 이것에 따라, 복수개의 검사 항목의 정상 범위의 폭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검사 결과를 그래프 상에 표시한다(스텝 S113).
도 51에 검사 결과를 그래프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는, 검사 항목(A, B)이 좌측 란 2열로 표시되고, 각 검사 항목의 검사 기준치의 상한치 및 하한치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4회에 이르는 검사 결과가 꺾인 선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검사 항목과 꺾인 선 그래프는 각 검사 항목마다 분류되어 있고, 어느 결과가 어느 검사에 의한 것인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검사 항목이 복수개로 되어도, 정상 범위의 폭이 정렬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또한 검사 결과가 꺾인 선 그래프 등으로 표시되므로, 각 검사 결과의 변화 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검사치가 정상 범위 인지 여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환자에게 설명하면, 시각적으로 알기 쉽기 때문에, 인폼드·콘센트(informed consent)에 유효한 도구로 된다.
또, 각 꺾인 선 그래프에 대응한 검사 항목의 명칭이 표시된 부분에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그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진찰 기준 등이 팝업 표시된다. 예를 들면, 헤모글로빈 HbAlc상에서 좌측 클릭하면, 혈당이 정상화되어 있어도 HbAlc가 정상치로 되기까지의 시간적인 어긋남이 있으므로, 그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의사는, 필요에 따라 각 검사 항목의 진찰 기준 등, 검사 결과의 판단 등에서 주의해야만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부러 서적으로 조사하거나, 잘못된 어드바이스를 하지 않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어세스먼트 입력) 소견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A」키를 조작함으로써, 어세스먼트(assessment) 입력, 즉 증상에 대한 진단 내용의 입력을 행한다.
어세스먼트 입력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병명」키, 2 「의견·진단」키, 3 「전기」키, 4 「수정」키, 5 「삭제」키가 표시되므로,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여 조작한다.
「병명」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는, 1 「빈번용 검색」, 2 「분류 검색」, 3 「키워드」, 4 「급성 질환」, 5 「만성 질환」, 6 「후보 병명」의 각 표시로 변경된다. 검색 방법이 선택되면, 선택한 방법에 따라 검색된다.
1 「빈번용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 숫자 키의 표시가 빈번용으로 되고 있는 병명(빈번용 병명)으로 변경된다. 즉, 1 「감기」, 2 「2형 당뇨병」···등과 같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빈번용 병명은, 과거에 의사가 결정된 병명을 카운트하고, 그 빈도가 높은 순으로 차례로 변경된 것이 숫자 키의 1으로부터 순서적으로 표시된다.
2 「분류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 숫자 키의 표시 항목이, 도 14(c)에 나타낸 ICD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또는 도 14(d)에 나타낸 ICDl0 코드 번호]로 변경된다. 해당하는 대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여기서는, 일본어에 의해 표현된 대분류에 대응하는 단어)이 표시된 숫자 키(9 「순환기계」)가 조작되면,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도 1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대분류에 속하는 중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또는 도 14(f)에 나타낸 ICD10 코드 번호]로 변경된다. 또, 표시된 문자열로부터 해당하는 숫자 키(2 「만성 류머티즘성심질환」)를 선택하면,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도 1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중분류에 속하는 소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또는 도 14(h)에 나타낸 ICD10 코드 번호]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병명을 좁힐 수 있고, 최종적으로, 도 14(i)[또는 도 14(j)에 나타낸 ICDl0 코드 번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명을 선택 가능한 표시로 전환하여 병명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의사는 대개의 짐작을 하면서 용이하게 병명을 특정할 수 있다. 또, F1키에 ICD1O(분류)로 표시되고, 이 키를 조작함으로써,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을, 문자열 또는 코드 번호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키의 조작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라도 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표기로 변경할 수 있다. 코드 번호의 경우, 표시 문자수가 적기 때문에, 숫자 키라도, 충분히 시인하기 쉬운 사이즈로 전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계층까지는 코드 번호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 코드 번호에 따라서 병명의 좁힘을 진행시키고, 그 이후는 문자열로 전환해 병명을 특정해 갈 수가 있는 등, 매우 효율이 좋은 입력이 가능해진다.
3 「키워드」키를 조작한 경우, 도 13(b)에 나타낸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 키워드 또는 ICD1O 코드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키워드 또는 ICDlO 코드를 포함하는 병명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즉, 키워드만, ICDlO 코드만, 또는, 키워드와 ICD10 코드의 양쪽을 포함하는 병명을 검색할 수 있다. 도 13(b)에는, 키워드로서 고혈압증만을 입력하여 검색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4 「급성 질환」키를 조작한 경우, 숫자 키에 표시되는 항목은 급성 질환에 관한 병명이 되고, 5 「만성 질환」키를 조작한 경우, 만성 질환에 관한 병명으로 된다. 또, 표시되는 병명은, 상기 「빈번용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빈번용 병명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숫자 키의 1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급성 질환과 만성 질환으로 구분했으므로, 의사로서 판단하기 쉬운 병명으로 일괄할 수 있고, 표시 가능한 병명의 수를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숫자 키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되므로, 병명의 특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6 「후보 병명」키는, 처방된 약품에 대한 적응증 병명의 일람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처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처방된 약품에 적응증 병명이 없는 경우에는, 회색 표시되어 조작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키를 조작하여 병명이 특정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재발」, 「재연」, 「혐의」로 변경된다.
병이 재발, 재연(再燃) 또는 혐의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면, 「재발」, 「재연」또는 「혐의」를 조작함으로써, 차트 내용에 반영시킨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식어의 입력을 행한다. 동일한 병명이라도, 급성이나 만성 등의 차이가 있고, 치료방법이 상위하기 때문이다.
수식어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에서, 「50음」키 또는 「키워드」키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50음」키가 조작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1 「접두어」, 2 「접미어」로 비뀐다. 어느 하나 한쪽을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50음의 각 자음의 행(아행, 카행…)으로 변경된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각 모음의 단(아, 이, 우, 에, 오)으로 변경된다. 또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두의 문자가 특정되고, 특정된 문자로 시작되는 수식어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표시된 수식어 중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일람표로서, 여기서는 1~9의 숫자 키에 대응하는 9개의 수식어를 표시할 수만 있으므로, 9를 넘는 수의 수식어가 있는 경우에는, 「UP」키 또는 「DOWN」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전환하고, 선택할 수 있다.
「50음」키의 조작에서는, 숫자 키에 일람표시되는 수가 9개로 제한되고, 또한 표시하는 스페이스(표시 필드)는, 전자 차트의 내용 부분을 크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워드」키가 조작되면, 키워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므로, 키보드에 의해 문자 등을 입력하고, 「검색」키 또는 「ENTER」키를 조작하면, 해당하는 수식어가 표시되(키워드를 도중까지 입력한 경우, 해당하는 수식어가 일람표로서 표시되는)므로, 희망하는 수식어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입력란에서, 「영숫자」키를 조작하면, 숫자나 알파벳에 의한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50음」키를 조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숫자 키에 숫자 및 알파벳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입력 방법에 따르면, 숫자 키의 조작을 중심으로 하여 빈번용으로 되고 있는 병명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분류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 대(大), 중(中), 소(小)분류의 순으로 좁혀, 병명을 선택할 수 있다. 각 분류는, 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해 정해진 「질병 및 관계 보건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제10회 수정」(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on: ICD-10)의 각 분류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재발 혐의의 입력, 수식어의 입력 등, 상기와 마찬가지의 입력을 행한다.
도 14(i)에서, 병명의 입력(선택)이 완료되면, 도 14(b)에 나타낸 최종결정 화면으로 전환되므로, 여기서 입력한 병명이, 1 「주병명」, 2 「부병명」, 3 「병명」의 어디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선택한다. 여기에, 1 「주병명」이란, 주로 환자의 치료 또는 검사에 대한 필요성에 근거하는 보험 케어의 에피소드의 최후에 진단된 병 상태를 말하고, 입원의 계기로 된 병명, 의료 자원을 가장 투입한 병명, 퇴원 서머리의 주병이 해당한다. 또, 2 「부병명」이란, 입원시의 동시 발생 증상이나 입원 후의 후속 발생 증상이 해당한다. 또, 3 「병명」이란, 주병명, 부병명의 어디에도 들어맞지 않는 것이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병명 등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입력된 병명에 대하여 치료의 개시일이 자동 입력된다. 자동 입력된 일자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개시일 수정」키를 조작하고, 개시일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4(a)에 나타낸 화면에서, 1 「혐의」키가 선택되거나, 도 14(b)에 나타낸 화면에서, 3 「병명」이 선택되거나, 또는, 도 12에 나타낸 화면에서, 4 「급성 질환」이 선택되면, 전자 차트에는, 도 14(k)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종료 예정일과 전기가 입력된다. 종료 예정일을 자동 입력하는 것은, 혐의의 경우, 그 후의 진찰에서 병명이 특정되고, 혐의인 채로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 병명의 경우, 주병명, 부병명의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보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또, 급성 질환의 경우, 일정기간을 경과하면, 급성은 아니고 만성의 취급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종료 예정일이 입력된 병명에 대하여는, 그 후, 종료 예정일이 경과해도, 확정되지 않거나, 또는, 전기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4(l)에 나타낸 경고 다이얼로그가 표시된다. 이로써, 전기 기재되지 않고 방치된 채로는 되지 않고, 의사가 확인할 수 있다. 또, 의학 분야 회계 등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병명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14(m)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 전자 차트에는 눈에 띄지 않도록 연하게 표시된다.
이로써, 뒤에 이 전자 차트를 본 경우, 주병명이나 부병명을 구별할 수 있어 주로 무슨 위한 치료였는지를 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환 복귀는, 증상이 변화된 경우에 입력한다. 입력 항목은 입력란(7)의 숫자 키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것을 조작함으로써 차트에 반영된다. 또, 종료일의 입력에서는, 「캘린더」키를 조작함으로써, 캘린더를 표시하여 일자를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
(치료 계획 입력) 어세스먼트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P」키를 조작함으로써, 치료 계획 입력, 즉, 진단 계획, 치료, 환자에로의 교육 등의 향후의 치료 계획에 관한 입력을 행한다. 여기서는, 각 숫자 키에는, 1 「내복」, 2 「조제」, 3 「외용」, 4 「주사」, 5 「자기 주사」, 6 「처치」, 7 「수술」, 8 「검사 」, 9 「화상」이 표시된다.
환자에게 투약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47에 나타낸 플로 차트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먼저, 도 21에 나타낸 화면에서, 해당하는 키(1 「내복」, 2 「조제」, 3 「외용」, 4 「주사」, 5 「자기 주사」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하고(스텝 S1), 선택의 대상을 좁힌다. 이 키 조작에 의하여, 도 22에 나타낸 화면으로 변경되므로, DO처방 또는 약속 처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이력 데이터에 남아 있는 처방전과 동일한 처방을 행하는 경우에는 「DO」키를 조작하고, 유행 중의 감기 등, 결정된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약속」키를 조작한다. 이로써, 처방하는 의약품의 일람이 메뉴 영역(11)으로서 리스트 표시된다(스텝 S12). 따라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해당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면(스텝 S13), 간단하게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투약일수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4), 변경이 있으면 스텝 S9로 이행하고, 변경이 없으면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또, DO처방 또는 약속 처방 중 어느 하나에도 없는 경우에는, 일반 검색을 행한다. 여기서는, 50음 선택 키를 조작하여 해당하는 의약품을 특정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문자 「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 22에서, 「아」를 조작하고, 표시 내용을 「아」~ 「오」로 전환하고, 「이」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50음 선택 키의 조작에 의하여, 최초의 문자를 특정하면, 그 문자로부터 시작되는 의약품명이,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스트 표시되므로(스텝 S4), 표시된 것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스텝 S5). 표시된 리스트의 의약품이 많은 경우에는, 2번째의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리스트 표시되는 수를 좁힐 수 있다.
처방하는 의약품이 특정되면, 용량을 입력한다(스텝 S6). 용량의 입력은 텐키로 수치 입력함으로써 행한다. 또, 용량이 결정되면, 선택하는 의약품의 추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7), 추가가 있으면, 상기 스텝 S1로 복귀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추가가 없으면, 용법을 입력한다(스텝 S8).
용법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의 표시 내용을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종래, 종이 차트에서의 입력에 사용되었던 기호를 이용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숫자 키 1에 나타낸 기호는, 「분3 식후」, 즉, 조식·점심·석식의 매 식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2에 나타낸 기호는, 「분3 식직후」, 즉, 조식·점심·석식 후 매 30분 이내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3에 나타낸 기호는, 「분2 조식·석식], 즉, 조식·석식의 식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4에 나타낸 기호는, 「분1 취침 전」, 즉, 취침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5에 나타낸 기호는, 「분3 식간」, 즉, 조식·주간, 점심·석간, 석식·조간의 각 식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6에 나타낸 기호는, 「분1 아침」, 즉, 기상 후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종래 종이 차트의 입력에 사용하고 있던 기호를 사용하도록 했으므로, 종이 차트로부터 전자 차트로 순조롭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용법이 입력되면, 투여일수를 입력한다(스텝 S9). 투여일수의 입력에서는, 텐키로 수치 입력하는 것 외에 별도로, 캘린더를 표시하고, 표시된 일자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입력할 수도 있다. 캘린더에는, 휴진일 등을 등록하여 두면, 휴진중 등에 의약품이 끊 어진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환자가 내원하는 일정을 확인하기 쉬워진다.
그 후, 선택 내용을 입력 확정란(9)에 표시하고(스텝 S10), 내용을 결정한다(스텝 S11).
[표 1]
Figure 112005017258259-PAT00001
추론 검색의 결과, 의약품이 30 종류 이하로 좁힐 수 있으면, 선택 가능한 수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리스트 표시하여 선택하게 한다. 또, 의약품이 30 종류 이하로 좁힐 수 없는 경우에는, 선택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또한 일반검색을 행하고, 의약품을 좁힌다. 그리고, 좁혀진 의약품의 리스트로부터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또, 상기 일반검색에서는, 상기 50음 선택 외에, 약효별 검색, 성분별 검색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의약품이 결정되면, 결정 내용에 따라 의약품의 오더를 행하지만, 그 때, 약품 금기 등의 처방 체크 처리를 행한다.
즉, 오더된 의약품의 처방 데이터에 따라, 처방 체크용 데이터 베이스를 참 조하고, 상호작용(동시에 처방하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병명 금기(병명에 대하여 처방하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연령 제한(어느 연령에서는 처방하여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등, 처방해도 되는지 아닌지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체크한다. 그 결과, 문제가 있는 의약품에 대하여는, 대체 약품의 검색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응증(스텝 S120), 병명 금기(스텝 S121), 상용량(스텝 S122), 연령 제한(스텝 S123), 임산부 수유부(스텝 S124), 상호작용(스텝 S125), 배합 변화(스텝 S126), 용량 용법(스텝 S127), 약제종별(스텝 S128)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체크한다. 체크 결과는, 레벨 0~3으로 분류하여 표시된다. 여기서는, 문제가 없으면 레벨 0, 요주의 즉, 금기이면 레벨 1(적), 주의이면 레벨 2(청), 그 외 즉, 주의할 만큼은 아니지만 문제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레벨 3(자)으로 하고 있다.
적응증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의 효능, 효과와 환자의 병명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병명 금기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는가 체크한다. 처방된 약품이 현병력, 기병력의 병명과 금기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하고, 주의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저혈압증의 환자에 대하여 고혈압증의 약(혈압을 내리는 약)의 투여가 방지된다.
상용량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의 용량이 통상의 복용량인가 체크된다. 즉, 약품의 용량을 보험 상용량으로 판단하고, 보험 상용량의 범위 내가 아니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한, 적응 병명의 일치하는 상용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데이터로도 판단하고, 범위 내가 아니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단, 환자 단위 또는 의사 단위로, 그리고, 상용량 체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용량은, 내복약에서는 1일량으로 판단하고, 조제약, 주사약에서는 1회량으로 판단한다. 단, 외용약에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 없음이라고 표시한다. 또, 처방하는 약품에 체중의 차이에 의한 제한이 있는 경우, 처방량을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판단한다. 소아에 대하여는 성인 상용량으로부터 산출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입력 미스로 10배 투여」등의 사고가 방지된다.
연령 제한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연령 제한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령 제한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 유아(乳兒), 유아(幼兒), 소아 또는 고령자에 대하여 투여 가능한가를 판단하고, 신생아에게는 투여할 수 없는 약이나, 소아 또는 고령자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임산부 수유부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임산부, 수유부에 대하여 투여 가능이 체크된다. 임산부나 수유부에는 투여할 수 없는 약이 체크된다.
상호작용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동시에 복용해도 문제없는지가 체크된다. 이 경우, 과거 차트에 포함되는 현재 복용 중의 약품도 체크 대상으로 된다. 환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품과, 이것에서 처방하려고 하는 약품 사이에 금기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하고, 주의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이것에 따라, 약품 사이에서, 효과가 길항되고, 상반되는 등의 이유로 병용 할 수 없는 조합을 체크할 수 있다.
배합 변화 체크에서는, 처방된 주사 약품이 혼합 가능한지 체크된다. 주사약은 복수의 종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때의 침전, 변색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조합을 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호작용 체크와 마찬가지로, 금기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1, 주의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용량 용법 체크에서는, 내복, 조제약의 용량과 용법, 불균등시에 용량이 합치하는지 체크된다. 내복약이나 조제약으로 용량과 용법이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 내복약에서, 불균등 포장하기 위해 용량이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한, 1일의 분할수를 체크하여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도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이로써, 「정제 1정을 1일 3회 매식후」등의 입력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약제종별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마약, 독약, 향정신약이 아닌지가 체크된다. 마약, 독약, 향정신약이면, 레벨 3으로 투약 표시한다. 또, 상세 표시에는, 마, 독, 극, 향 등의 마크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오더된 의약품에 대하여 각종의 체크를 행하지만, 이들 체크를 행한 결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다른 윈도우로 그 취지를 표시한다. 도 53(a)는 상호작용과 적응증에 대하여 문제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리스모단캡슐과 스파라정 사이에 상호작용(금기)이 있고, 스파라정에서 외상의 2차 감염등의 적응증에 감염성 장염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적 응증에 문제가 있으므로, 그 취지가 팝업 표시되어 있다. 또, 스파라정에 대하여는, 대체 약품이 검색되고, 선택된 후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 도 53(b)에 나타낸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 각 약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는, 선택한 약품의 사진 및 정보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는 전술한 각 체트크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이 표시된다. 각 버튼은 전술한 각 레벨에 따른 색채로 되고, 의사는 한눈에 체크 결과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용량 버튼을 조작한 경우, 선택한 약품에 대한 적응증명·증상, 용법, (처방하는) 최소(양), 최대(양), 단위, 연령 하한, 연령 상한이 일람표로서 표시된다. 적응증명·증상(체크 항목) 단위로, 좌측 2열의 제외란에 체크를 입력함으로써, 체크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제외란에 체크를 입력하면, 그 의사의 경우, 어느 환자에도 그 약품의 체크가 제외된다. 한편, 우측의 제외란에 체크를 입력하면, 그 환자에 대해서만, 그 약품의 체크가 제외된다. 이와 같이, 의사 단위 또는 환자 단위로 체크를 제외할 수 있으므로, 실정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어느 환자이면, 부작용 등이 발생하기 어려답고 판단되면, 본래라면은 처방할 수 없는 약품이라도 처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의사의 체크 제외는, 지문 인증 등으로, 의사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행할 수 있고, 체크를 제외했던 것이 기록되고, 후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의사는 체크 결과에 따라서 약품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의 같게 하여 대체 약품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대체 약품의 검색에서는, 오더된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에 따라, 변경 후보의 선택을 행한다. 변경 후보는, 미리,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의 3항목에 대응시켜 대체 가능한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이 데이터 베이스로서 축적되어 있다. 그리고, 처방 체크 처리에서, 처방할 수 없는 의약품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 명칭뿐만이 아니라, 용량 및 용법도 대응시켜 대체 가능한 의약품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체 약품의 용량이나 용법을 틀리지 않고, 대체전의 의약품에 대응시킨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대체 약품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일람표로서 표시되고,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대체약의 조건으로는, 용법이 동일한 것이고, 상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값이 사용되고 있는 등이면 된다.
그리고, 대체 약품의 선택에서는, 상기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 「대체 약품」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일람표를 표시하고,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대체 약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체 약품」버튼은 조작할 수 없도록 무효로 한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8 「검사」키를 조작하면,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록을 마친 검사 항목의 세트 메뉴, 즉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숫자 키를 조작하여 검사 세트를 선택하면,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 도 55에 나타낸 검사 항목 표시 화면으로 변경된다. 검사 항목 표시 화면에서는, 생화학, 혈액학, 오즘·똥 등의 분류마다 필요한 검사 항목이 각각 일람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검사 세트에 따라 미리 기본으로 되는 검사 항목이 체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체크를 붙이거나 제외함으로써, 검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검사 항목이 확정되면, 「0K」버튼을 조작하여, 실시하는 검사 항목을 차트에 기재한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9 「화상」키를 조작하면,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록을 마친 화상 진단 항목의 세트 메뉴, 즉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숫자 키를 조작하여 화상 진단 세트를 선택하면,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 도 57에 나타낸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으로 전환된다.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에서는 촬영 방법, 촬영 부위, 촬영 방향, 필름 등의 분류마다 필요한 화상 진단 항목이 각각 일람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화상 진단 세트에 따라 미리 기본으로 되는 화상 진단 항목이 체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체크를 붙이거나 제외함으로써, 화상 진단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진단 항목이 확정되면, 「OK」버튼을 조작하여, 실시하는 화상 진단 항목을 차트에 기재한다. 도 57에서는, X선 단순 촬영으로서 흉부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대각(大角) 1매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항목이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에서 선택된 내용으로 오더되고, 촬영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S」~「P」키를 조작함으로써, 차트의 작성에 필요한 전항목을, 빠짐없이 신속히 입력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전자 차트 내에 표시된 「바인더」버튼을 조작하여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을 표시하고, 스캐너에서 판독한 데이터 등의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취입 데이터는, 일단, 차트 데이터 베이스 내의 바인 더 공유 폴더 내에 저장된다.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킴에서는, 먼저, 파인다 화면에서 「환자 검색」키를 조작하고, 도 59에 나타낸 환자 검색 화면을 표시시켜 환자 검색을 행하고, 등록처를 특정한다. 환자 검색 화면에서는, 진찰일, 환자 ID, 성명, 생년월일, 성별로부터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인더 화면의 초기 상태에서는, 현재 열려 있는 전자 차트의 환자가 표시되므로, 이 전자 차트와 관련되어 있으면, 환자 검색은 불필요하다.
환자가 특정되면, 상기 바인더 화면에 환자 ID 및 성명이 표시되므로, 「추가」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데이터 취입 화면을 표시한다. 데이터의 취입은 파일 또는 스캐너의 어느 하나로부터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텍스트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만의 취급으로서 하고 있고, 취입된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내용 참조 화면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데이터가 취입되면, 취입 순서에 따라서 기록일 및 내용의 일람표로서 표시된다. 취입된 데이터는, 해당 행을 클릭하여 반전시킨 상태에서 「참조」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시킬 수 있고, 또, 「삭제」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삭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취입 데이터는, 「차트 전송」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환자의 전자 차트에 하이퍼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차트 전송」버튼을 조작하면, 도 60에 나타낸 전송처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S(진찰 입력), O(소견 입력), A(어세스먼트 입력), P(치료 계획 입력)의 어느 화면으로도 설정할 수 있 다. 이로써, 취입된 데이터가, 전자 차트의 해당 항목 내에 하이퍼 텍스트(hyper text)로서 첨부되고, 이 하이퍼 텍스트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취입된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취입 데이터의 삭제, 차트로의 전송은, 의사만에 권한이 주어진다. 즉, 지문 인증 등으로, 의사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이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 추가에 대하여는, 의사만이 아니라, 다른 직원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취입 데이터 중, 전송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는, 「전송」버튼이 무효, 즉 조작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어느 환자의 X선 촬영 화상 데이터가 잘못해 다른 환자의 전자 차트에 관련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입 데이터로서 파일에 보존하는 데이터는, 그 보존때, 검사 결과 등의 환자 특유의 데이터에 대하여는, 환자 ID와 함께 보존해 두고, 어느 환자의 전자 차트에 전송할 때, 전자 차트의 환자 ID와 전송하려고 하는 취입 데이터의 환자 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면 된다.
또, 빈번하게 사용하는 문장이나 처방 등은, 미리 등록하여 둘 수 있다(학습 기능). 예를 들면, 처방 내용을 학습 버퍼로 하여 기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입력란(7)의 각 숫자 키에 대응하도록 9개로 하면, 입력시에 입력란(7)만의 조작으로 끝마칠 수 있다. 각 키에 등록 내용의 일부를 표시하거나, 학습 버퍼의 내용을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하여 직접 조작 등 하는 것에 의하여 전자 차트에 반영시킬 수도 있다.
또, 숫자 키로 표시되는 항목으로, 유사한 단어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선택 대상으로 하는 명칭을 공통되는 문자로 그룹화하고, 숫자 키에는, 공통되는 문자와 그룹화 한 단어의 수로 이루어지는 1차 선택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해당하는 1차 선택어를 선택함으로써, 그룹화 한 각 단어를 2차 선택어로서 각 숫자 키에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또, 필요에 따라 3차 선택어 등을 형성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의약품에서는, 다음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유사한 것이 다수 있다. 그래서, 1차 선택어로서, 각 숫자 키에, 「콜트(2)」, 「코르드(3)」, 「코르히(4)」로 표시된다. 그리고,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정식명칭을 각 숫자 키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코르드(3)」을 선택한 경우에는, 각 숫자 키에는, 2차 선택어로서, 「코르드닌정」, 「코르드린정」, 「코르드린과립」이 표시되고,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1차 선택어를 형성하고, 유사한 단어를 그룹화하여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유사한 틀리기 쉬운 부분을 큰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할 때, 가장 틀리기 쉬운 부분에 주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2차 선택어에 유사 부분이 있으면, 1차 선택어를 별도 표시하고, 1차 선택어를 제외한 부분(「닌정」, 「린정」, 「린과립」)만을 각 숫자 키에 각각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의약품의 경우, 선두 3 문자로 대부분을 적정수(숫자 키로 표시 가능한 9 이하)로 그룹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숫자 키의 사이즈를 3 문자 정도 표시 하여 시인 용이한 크기로 하면 된다. 따라서, 텐키 영역(10)을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그룹화 한 단어의 합계를 괄호() 내에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다른 유사한 단어가 존재하는 것을 한눈에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그룹화에 의한 표시 방법은, 50음 검색의 경우에 유효하다. 즉, 의약품을 50음 검색하는 경우, 유사한 명칭이 많아 선택하기 어렵지만, 그룹화함으로써, 키보드로 선두 1 문자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숫자 키에 많은 의약품의 명칭을 표시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숫자 키에, 50음의 각 자음의 행(아행, 카행…)을 표시하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음의 행을 특정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의약품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각 모음의 단(아, 이, 우, 에, 오)을 입력하면, 키보드로 선두 1 문자를 입력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숫자 키에서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의약품을 그룹화하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의약품의 선택을 용이하고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진단서나 소개장 등, 문서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도 61에 나타낸 「문서 작성」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문서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즉, 「문서 작성」키의 조작에 의해, 각 숫자 키에는 인쇄 가능한 의료 문서명이 각각 표시된다.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면, 각 숫자 키에, 「인쇄 범위」, 1 「금일분」, 2 「전날분+금일분」이 표시되고, 인쇄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도 62에 나타낸 인쇄 화면이 표시되고, 일자 지정란에서는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된 상태로 된다. 일자 지정의 경우는, 캘린더 버튼을 조작하여 캘린더를 표시시키면서, 개시일 및 종료일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인쇄 범위란에서, 인쇄하는 범위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쇄 범위가 특정되면, 도 61의 화면으로 복귀하여 「인쇄」키를 조작하면, 이번에는 도 63에 나타낸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이하, 위저드(wizard)에 따라서 입력하여 행하면, 원하는 서류를 작성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위저드 화면(도 64 참조)에서, 「차트」버튼을 조작하면,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근처에 해당하는 전자 차트에 기재된 항목이 시계열로 열거된 차트 정보 윈드우(화면)로서 표시된다(도 65에서는, 최신의 차트 정보가 최상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복사기능을 사용하여 작성 문서에 차트 정보를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즉, 차트 정보 화면에서, 카피하고 싶은 행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선택행이 플래시하여 위저드 화면의 해당란에 텍스트 입력된다.
또, 위저드 화면에서 새롭게 작성한 데이터는, 학습란의 「등록」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등록될 수 있다. 등록된 데이터는, 등록할 때 열려 있는 위저드 화면에 관련지어 기억되고, 관련된 위저드 화면에서만 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등록된 데이터는, 학습란의 「호출」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일람 표시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키를 조작한 경우,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했지 만, 이것에 대신하여, 숫자 키에 직접 선택하는 의료 문서명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페이지 전송 등은, 숫자 키의 표시를 변경함으로써 대응한다. 이것에 따르면, 입력 작업을 모두 숫자 키로 행할 수 있고, 조작성이 좋고, 효율적으로 의료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명에 관한 입력 데이터가 중요 관리 데이터인 경우, 자동적으로 종료 예정일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의료비 청구서의 청구 잊어버림 등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표시 수단에 전자 차트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표시된 전자 차트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차트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하여, 병명(病名) 입력을 행하는 경우, 상기 병명에 관한 입력 데이터가 일정기간 내에 전기(轉記) 입력될 필요가 있는 중요 관리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 예정일을 설정하고, 상기 종료 예정일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표시 수단에 경고 출력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차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 관리 데이터는, 급성(急性)병명, 혐의(嫌疑)병명, 또는, 주병명 및 부병명 이외의 병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차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급성병명 키와 만성병명 키를 구비하고, 각 키를 조작함으로써, 입력키의 표시 내용이 빈번용 병명 순서로 차례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차트 장치.
KR1020050027294A 2004-03-31 2005-03-31 전자 차트 장치 KR20060045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4003 2004-03-31
JP2004104003A JP4568006B2 (ja) 2004-03-31 2004-03-31 電子カル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400A true KR20060045400A (ko) 2006-05-17

Family

ID=3532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294A KR20060045400A (ko) 2004-03-31 2005-03-31 전자 차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68006B2 (ko)
KR (1) KR200600454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0747A (ja) * 2007-03-30 2008-10-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電子カルテ装置、カルテ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003135A (ja) * 2008-06-20 2010-01-07 Yokogawa Electric Corp 診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645817B1 (ko) * 2014-11-03 2016-08-05 김두환 셀프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813B2 (ja) * 1987-11-24 1995-08-23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の登録データ管理方式
JPH11154190A (ja) * 1997-11-21 1999-06-08 Sanyo Electric Co Ltd 病名を出力する装置及び病名の記憶方法
JP4373633B2 (ja) * 2001-10-10 2009-11-25 株式会社東芝 医事会計処理方法及び医事会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92974A (ja) 2005-10-20
JP4568006B2 (ja)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383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5279982B2 (ja) 電子カルテ装置
JP3934997B2 (ja) 診療支援システム、診療支援方法およ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US20070055550A1 (en) Personal transportable healthcare data base
JP2005316967A (ja) 電子カルテ装置
JP4786210B2 (ja) 電子カルテ装置
JP2003030323A (ja) 看護支援システム
JP2012203891A (ja) 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6557646A (zh) 记录介质、应用程序激活控制方法和信息处理设备
JP4087873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US10777308B2 (en)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and method
JP2004126894A (ja) 薬品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薬品決定支援プログラム
JP2001350840A (ja) 医療情報供給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60045077A (ko) 의료용 사무 처리 장치
KR20060045400A (ko) 전자 차트 장치
KR20060045039A (ko) 전자 카르테 장치
KR20060045399A (ko) 전자 차트 장치
JP2003016182A (ja) 看護支援システムおよび看護支援プログラム
Ho et al. Integrating patient-centric indications into the prescribing process: experience at a tertiary academic medical center
KR20060045042A (ko) 전자 카르테 장치
JP2021064161A (ja) 服薬指導支援装置、服薬指導支援方法、および服薬指導支援プログラム
KR20060045395A (ko) 전자 카르테 장치
JP2005316970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4610219B2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4601277B2 (ja) 処方チェ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