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632A -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632A
KR20060044632A KR1020050024126A KR20050024126A KR20060044632A KR 20060044632 A KR20060044632 A KR 20060044632A KR 1020050024126 A KR1020050024126 A KR 1020050024126A KR 20050024126 A KR20050024126 A KR 20050024126A KR 20060044632 A KR20060044632 A KR 20060044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urface sheet
absorbent article
liquid
layer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114B1 (ko
Inventor
사토시 타나카
히로키 미노와
하루미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85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86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8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451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01H1/14Frequen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표면시트(1)는 상층부직포(2)과 하층부직포(3)와를 가진다. 표면시트(1)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의 액체통과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층부직포는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액체통과구멍(4)사이에 있어서 상하층부직포 모두가 피부측을 향해 돌출하고, 하층부직포의 하측 및 상층부직포와 하층부직포와의 사이에 각각 공간(5a, 5b)이 형성된다. 또한 피부측을 향해서 돌출한 다수의 돌출부(6)가 형성된다. 하층부직포(3)에는 아치(arch)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에 있어서, 다수의 소철부(小凸部;7)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하층부직포(2)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은 하층부직포(3)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보다 작은 소철부(7)로 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표면시트, 생리용 냅킨, 액체통과구멍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의 제1의 실시형태를 경시(傾視)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하층부직포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시트를 사용한 생리용 냅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의 제2의 실시형태를 경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도 1 해당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의 제3의 실시형태를 경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도 1 해당도)이다.
도 7은 도 6의 2의 Ⅶ-Ⅶ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의 제4의 실시형태를 경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도 1 해당도)이다.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혹은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표면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로서 2장의 시트재료를 서로 겹쳐 이들을 관통하는 개공(開孔)을 설치하는 동시에 개공간에 철부를 형성한 것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은 먼저 적어도 2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개공을 가지고, 각 부직포가 개공의 주연부에서 서로 접합된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를 제안하였다(일본국 공개특허 평10-80445호 공보 참조). 이 표면시트에서는 평면부를 가지도록 다수의 융기(ridge)부와 홈(groove)부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홈부에 상기 개공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표면시트에 의하면 건조감이나 소프트감이 향상하고, 또한 흡수된 액체의 은둔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출원인은 2층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철부(凸部) 및 요부(凹部)를 가지는 2층구조의 표면시트를 제안하였다(일본국 공개특허 2002-238947호 공보 참조). 이 표면시트는 피부대향면이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고, 철부의 정상부 혹은 그 근방 또는 요부의 저부에 개공이 형성되어 있다. 2층의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시트는 액체가 잔류하기 어렵고, 2층의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시트는 액체가 잔류하기 어렵고, 달라붙는 느낌이 없는 것이다.
또한 피부측에 위치하는 수액층(水液層)이 액체투과성의 표면시트와 그 이면측에 겹쳐진 액체투과성의 지지시트와를 가지고, 양시트를 관통하는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투과구멍이 선을 따라서 늘어선 구멍배열영역이 설치된 흡 수성 물품의 표면시트가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2002-253610호 공보 참조). 이 표면시트에서는 구멍배열영역으로 둘러싼 서로 독립한 영역으로, 표면시트와 지지시트와가 실질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표면시트는 연질이며 쿠션성(cushioning)을 가지고 피부로의 접촉이 부드럽다고 한다.
나아가 폴리에틸렌필름을 2층으로 하고, 그 중간에 실(seal)부를 설치해 철부를 형성하고, 철부내에 공기나 발포탄성체를 밀봉하고, 나아가 철부간의 인접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한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도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2-17126호 공보 참조). 이 표면시트에 의하면 흡수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액체의 역류(wetback)가 방지된다고 한다.
본 발명은 피부측에 배치되는 상층부직포와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하층부직포와를 가지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층부직포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의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층부직포 및 하층부직포는 액체통과구멍의 주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액체통과구멍사이에서 상층부직포 및 하층부직포는 모두 피부측을 향해서 아치모양으로 돌출하고, 하층부직포의 하측 및 상층부직포와 하층부직포와의 사이에 각각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피부측을 향해 돌출한 다수의 돌출부가 표면시트에 형성된다.
그리고 하층부직포에는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에 있어서 다수의 소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층부직포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은 하층부직포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보다도 작은 소철부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수체의 피부측에 표면시트가 배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영역이 상기의 표면시트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중앙영역에 대한 각측부 영역에는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보다도 높이가 낮은 제2의 돌출부가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의 존재밀도보다도 높은 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표면시트보다도 쿠션감이나 소프감이 향상하고, 또한 액체의 역류가 일어나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를 경시한 상태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에는 도 1의 Ⅱ-Ⅱ선 단면의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흡수성 물품의 1예인 생리용 냅킨의 표면시트로서 사용되어진 것이다. 표면시트(1)는 상기 표면시트(1)가 냅킨에 집어넣어졌을 때,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상층부직포(2)와 냅킨의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하층부직포(3)와를 가지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진다. 표면시트(1)에는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와를 가지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진다. 표면시트(1)에는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의 쌍방을 관통하는 다수의 액체투과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통과구멍(4)은 표면시트(1)가 피부측(상면측)에서 흡수체측(하면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적층부직포에 의해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액체통과구멍(4)의 개공단(4a)은 도시 하지 않는 흡수체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액체투과구멍(4)의 내벽은 표면시트(1)의 피부측(상면측)의 면에서의 연속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는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 즉 통과구멍(4)의 개공단(4a) 및 그 근방에서 적어도 접합되어 있다.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는 실질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혹은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접합되어 있는 것이라 함은 상하층부직포(2, 3)를 구성하는 섬유가 기계적으로 접합하거나, 열적으로 연화/융합하거나, 바인더 등으로 결합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않다고 함은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가 완전하게 분리해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가 접촉은 하고 있으나, 냅킨 장착 중에 표면시트(1)에 가해지는 정도의 힘으로 용이하게 분리하는 상태도 포함한다.
액체통과구멍(4, 4)사이에 있어서,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는 모두 피부측을 향해서 아치모양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의 사이에 제1의 공간(5a)이, 또한 하층부직포(3)의 하측에 제2의 공간(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표면시트(1) 전체로 봤을 때에 피부측을 향해서 돌출한 다수의 돌출부(6)가 상기 표면시트(1)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는 각각 피부측을 향해서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도 2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층부직포(3)에는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에 있어서 다수의 소철부(7)가 형성되어 있다. 소철부(7)는 하층부직포(3) 가 작게 파도치는 것처럼 변형해 있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철부(7)의 선단(tip)은 상층부직포(2)의 하면측과 접촉하고 있거나 혹은 그곳에서 떨어져 있다. 특히 소철부(7)의 철부선단이 상층부직포(2)의 하면측과 접촉하고 있으면, 상층부직포(2)에서 하층부직포(3)로의 액체의 이행성이 양호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층부직포(2)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소철부(7)에 의해서 지지되어 쉽게 변형하지 않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6)는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의 2층구조로 되어 있고, 양부직포 사이에는 제1의 공간(5a)이 형성되어 있어 착용자의 체압이 표면시트(1)에 가해진 경우, 우선 상층부직포(2)에 의한 아치모양이 변형하고, 그 다음에 하층부직포(3)에 의한 아치모양이 변형하는 2단의 변형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이 뛰어난 것이 된다. 나아가 흡수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일단 흡수된 액체가 표면시트(1)에 역류하지 않는다. 즉 소위 Wetback이 일어나기 힘들다.
또한 표면시트(1)에 착용자의 체압이 가해져도 하층부직포(3)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소철부(7)가 상층부직포(2)의 변형을 저지하는 지지부로서 작용함으로써 아치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돌출부(6) 전체로 보면 그 돌출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시트(1)는 착용자의 피부나 표면시트(1)의 피부측 표면과의 사이의 접촉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위화감을 방지하고, 또한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층부직포(3)에 형성되어 있는 소철부(7)에 의해서 상층부직포(2)의 변형을 저지하는 관점에서 하층부직포(3)는 강성이 높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층부직포(2)도 강성이 높은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상층부직포(2)의 변형을 저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나, 강성을 높이면 부직포의 접촉느낌이 저하하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서는 상층부직포(2)보다도 하층부직포(3)의 강성을 높이고, 하층부직포(3)에 의해서 아치모양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층부직포(2)에 의해서 양호한 밸런스를 발현시키고 있다.
하층부직포(3)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그 평량을 높게 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그 경우에는 표면시트(1) 전체적인 느낌이 저하하기 쉽다. 또한 제조경비의 점에서 유리하다고 말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층부직포(3)로서 엔보싱 가공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층부직포(2)에 관해서는 느낌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엔보싱 가공되어 있지 않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층부직포(2)로서는 예를 들면, 느낌이 양호한 부직포인 통기성부직포(Air-through nonwoven fabric; 엠보싱 가공되지 않은 것)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기성부직포의 평량은 10~40g/m2, 특히 20~35g/m2정도인 것이 상층부직포(2)에 의한 아치모양의 형성성이나 감촉, 제고경비의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하층부직포로서는 예를 들면, 엠보싱 가공된 통기성부직포, 장섬유부직포(spunbonded nonwoven fabric), 장섬유/멜트브로운/장섬유복합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부직포나 장섬유/멜트브로운/장섬유 복합부 직포에 있어서는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엔보싱 가공이 시행된 것이 일반적이다. 하층부직포(3)의 평량은 10~50g/m2, 특히 15~45/m2정도인 것이 표면시트(1) 전체로서의 감촉을 유지하면서 하층부직포(3)의 강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시트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 모두가 친수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층부직포(2, 3)로 사용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및 나이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 레이온(rayon) 및 구리암모늄레이온(cuprammonium)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섬유 및 면(cotton)과 같은 천연섬유를 들 수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융점이 높은 천연섬유를 심(core)으로 하고, 나아가 융점이 낮은 섬유를 초(sheath)로 하는 심초형섬유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분활형 섬유 등의 복합섬유 등도 호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섬유는 1종 또는 2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섬유에는 필요에 따라서 산화티탄 등의 안료를 소정량 배합시켜 표면시트(1)의 은둔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돌출부(6)는 개별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독립한 섬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돌출부(6)는 표면시트(1)의 기계방향(MD)로 줄을 서듯 다열(多列)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시트(1)의 폭방향(CD)에도 줄을 서듯이 배치되어 있다. 기계방향(MD)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돌출부(6)의 간격(돌출 부 6의 정점간의 간격)은 1~10mm, 특히 2~5mm인 것이 돌출부(6)를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점 및 돌출부(6)에 의한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폭방향(CD)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돌출부(6)의 간격(돌출부 6의 정점간의 간격)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각 돌출부(6)의 중심을 지나는 기계방향 배열선(LMD) 및 폭방향 배열선(LCD)은 서로 직교하고, 이들의 배열선은 격자상을 이룬다. 그리고 기계방향 배열선(LMD) 및 폭방향 배열선(LMD)에 의해서 화성(畵成)되는 사각형 내에 액체투과구멍(4)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돌출부(6)의 경사면을 따라 그 전후 및 좌우방향의 어느 방향이라도 흘러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돌출부(6)의 표면에서 액체가 신속하게 제거된다. 흘려내려간 액체는 돌출부(6)사이에 위치하는 액체투과구멍(4)을 통해서 흡수체로 신속하게 투과한다. 그 결과, 표면시트의 피부측 표면에서의 액체잔재가 일어나기 어렵다. 이 관점에서 각 액체투과구멍(4)은 그 개공단(4a)에 있어서의 면적이 0.2~20mm2, 특히 0.5~10mm2정도인 것이 바람직ㅎ다. 또한 액체투과구멍(4)의 개공율은 5%이상, 특히 7%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계방향(MD)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액체투과구멍(4)의 간격은 1~10mm, 특히 2~5mm인 것이 액체투과구멍(4)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점 및 액체의 충분한 투과성을 확보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폭방향(CD)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액체투과구멍(4)의 간격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액체의 투과성을 보다 높이고, 표면시트의 피부측 표면에서의 액체잔재를 한 층 더 일어나지 않게 하는 관점에서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의 사이에 모관력(毛管力) 구배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층부직포(2)보다도 하층부직포(3) 쪽이 구성섬유의 섬유크기(섬유도)가 작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층부직포 간에 있어서의 섬유크기(섬유도)의 차이는 액체의 투과성의 향상 및 액체잔재의 방지나 액체역류의 방지의 점에서 1~4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2~3dtex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층부직포(2)의 섬유는 0.8~5dtex, 특히 1.5~3.3dtex의 섬유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층부직포(3)의 섬유는 0.1~3.5dtex, 특히 0.5~2.5dtex의 섬유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층부직포에서 동일한 섬유크기의 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의 사이는 모관력 구배를 존재시키기 위해서 상층부직포(2)의 섬유밀도보다도 하층부직포(3)의 섬유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상하층 부직의 섬유는 0.8~5dtex, 특히 1.5~3.3dtex의 섬유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의 사이에 친수성 구배가 존재하는 것이여도 액체의 투과성이 높아지고, 표면시트(1)의 피부측 표면에서의 액체잔재가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층부직포(2)보다도 하층부직포(3) 쪽이 친수성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는 0.5g/cm2하중하에서의 두께가 0.6~2mm, 특히 0.6~1.5mm인 것이 우수하고, 소트트감이 향상한 표면시트(1)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0.5g/cm2하중하에서의 높이라 함은 표면시트에 가볍게 접촉했을 시의 표 면시트의 두께에 거의 상당한다. 또한 표면시트(1)의 평량은 가공성 및 감촉 등의 점에서 25~100g/m2인 것이 바람직하고, 35~90g/m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예를 들면, 다음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서 적합하게 제조된다. 가열된 금속제의 핀롤(pin roll)과 플랫롤(flat roll)과의 사이에 섬유웹(web)을 삽통시켜 상기 섬유웹을 부직포화해 하층부직포(3)를 얻는 동시에 하층부직포(3)에 다수의 소철부를 형성한다. 이 방법 대신에, 통기성부직포를 가열된 금속제의 볼록(凸)롤과 면롤이나 고무롤과 같은 백업롤(back-up roll)과의 사이에 삽통시켜 요철형상이 부여된 하층부직포(3)를 얻어도 좋다. 혹은 통기성 부직포를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서로 감합하고 있는 금속제의 한조의 롤 사이에 삽통시켜서 스틸매치 엔보싱 가공을 시공하고, 요철형상이 부여된 하층부직포(3)를 얻어도 좋다. 이들의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하층부직포(3)의 예를 도 3(a) 및 (b)에 각각 나타낸다. 이들의 도에 나타내는 하층부직포는 본 발명의 표면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고, 여기에 예시하는 이외의 하층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은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에 나타내는 하층부직포(3)는 파도가 치는 듯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융기부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소철부(7)가 한방향을 향하게끔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b)에 나타내는 하층부직포(3)에는 각자 독립한 다수의 소철부(7)가 섬모양으로 분포하게끔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소철부(7)과 그 주변영역과의 섬유밀도를 비교하면, 소철부(7)를 어떤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소철부(7) 쪽이 섬유밀도가 높아지는 경우와, 반대로 주변영역 쪽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소철부(7)에 의한 쿠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소철부(7)의 섬유밀도 쪽이 주변영역의 섬유밀도보다도 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하층부직포(3)의 상면측에 핫멜트(hot-melt) 점착제를 코팅한다. 코팅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spiral)코팅, 커텐(curtain)코팅, 다열비드(multi-row bead)코팅 등이 있다. 다음으로 이 하층부직포(3)를 상층부직포(2)와 서로 붙여서 적층부직포를 얻는다.
다음으로 천공핀이 다수 식설(植設)된 롤과, 상기 천공핀과 서로 끼워맞추는 소켓이 부착된 롤과의 사이에 적층부직포를 삽통시켜 액체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하층부직포를 돌출시켜 돌출부(6)를 형성한다. 또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는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에서 서로 접합된다. 또한 먼저의 공정에 있어서 핫멜트 점착제에 의해서 상하부직포가 서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층부직포는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접합되어 있다. 상기 롤을 구비한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소62-12506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이것을 냅킨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피부측 전면에 배치할 수 있다. 혹은 흡수체의 피부측에 있어서의 일부분에만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냅킨(10)과 같이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영역(11)만을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영역(11)에 대한 각 측부영역(12)에는 중앙영역(11)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보다도 높이가 낮은 제2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중앙 영역(11)과 측부영역(12)에서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에 차이가 생기고, 중앙영역(11)에 있어서의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이 한층 현저한 것이 된다. 특히 측부영역(12)에 형성된 제2의 돌출부가 중앙영역(11)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의 존재밀도보다 높은 밀도로 형성되어 있으면,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이 한층 더 현저한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측부영역(12)은 중앙영역(11)을 형성하는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가 측방으로 연출한 연출부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도 좋고, 혹은 중앙영역(11)을 형성하는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과는 별개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조의 용이함이나 점착에 의한 이음눈이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측부영역(12)은 중앙영역(11)을 형성하는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의 연장부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부영역(12)은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의 쌍방으로부터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상하층부직포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측부영역(12)에 있어서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측부영역(12)은 중앙영역(11)을 구성하는 표면시트(1)에 있어서의 상층부직포(2)만이 측방으로 연장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영역(11)을 구성하는 표면시트(1)에 있어서의 상층부직포(2)만이 측방으로 연장해서 측부영역(12)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표면시트(1)의 각종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층부직포(2)의 폭을 하층부직포(3)의 폭보다도 크게 하고, 양부직포가 겹쳐지는 부분에 대해서 표면시트(1)를 형성하고, 또한 상층부직포(2)의 연장부분을 측방영역(12)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측부영역(12)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의 돌출부는 2장으로 겹쳐진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한장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의 돌출부가 2장으로 겹쳐진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제2의 돌출부는 표면시트(1)에 있어서의 돌출부(6)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그것과 상이해도 좋다.
측부영역(12)에 있어서는 제2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부가해서 상기 제2의 돌출부간에 제2의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액체의 투과성을 한층 더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제2의 액체투과구멍은 중앙영역(11)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투과구멍(4)의 존재밀도보다도 높은 밀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액체투과구멍은 측방영역(12)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피부측(상면측)에서 흡수체측(하면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개공단은 흡수체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의 액체투과구멍의 내벽은 측방영역(12)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피부측(상면측)의 면에서의 연속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중앙영역(11)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투과구멍(4)과 동일하다.
측방영역(12)에 있어서의 제2의 돌출부 및 제2의 액체투과구멍의 배치는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 있어서의 돌출부(6)의 액체투과구멍(4)의 배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의 돌출부 및 제2의 액체투과구멍의 형성방법도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 있어서의 돌출부(6) 및 액체투과구멍(4)의 그것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2~4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의 본 실시형태의 관해서 특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술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한 도 5~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부기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돌출부(6) 및 액체투과구멍(4)의 배치가 제1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는 평면부를 가지지 않도록 다수의 융기부(8)와 홈부(9)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융기부(8)는 볼록모양으로 완곡하면서 홈부(9)는 오목모양으로 완곡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서는 다수의 돌출부(6)의 정점(頂点)이 거의 직선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융기부(8)를 이루고 있다. 이웃하는 융기부(8, 8)사이는 홈부(9)로 되어 있다. 융기부(8) 및 홈부(9)와 평행한 방향과, 그들의 직각한 방향과에 있어서의 굴곡특성(예를 들면, bulk softness 등)에 이방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면시트(1)의 신체로의 접합성이나 촉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융기부(8)와 홈부(9)와는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홈부(9)는 융기부(8)에서의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융기부(8)사이의 간격은 1~8mm, 특히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웃하는 홈부(9)사이의 간격도 동일하게 1~8mm, 특히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9)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액체투과구멍(4)을 가지고 있다. 홈부(9)를 따르는 액체투과구멍(4, 4)사이의 간격은 0.4~40mm, 특히 1.5~8mm인 것이 액체투과구멍(4)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점 및 액체의 투과성을 충분하게 확보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시트(1)를 평면시했을 시, 액체투과구멍(4)는 격자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이 표면시트(1)에 있어서는 융기부(8) 및 홈부(9)의 연장하는 방향은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가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과 합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융기부(8) 및 홈부(9)는 상하층부직포(2, 3)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기계방향과 합치해 있어도 좋고, 또는 합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서 적합하게 제조된다. 하층부직포(3)의 제조·가공방법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예를 들면, 먼저 설명한 도 3(a) 및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부직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부직포(2)와를 서로 겹쳐서 겹쳐진 2장의 부직포를 제1엠보싱형과 제2엠보싱형과의 사이에 개재시킨다. 제1엠보싱은 부직포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각추(角錐) 또는 원추형상의 다수의 철모양 핀을 열형상으로 가지면서 상기 열이 다열로 병설해 있는 핀롤로 구성되어 있다. 제2엠보싱형은 제1엠보싱에 있어서의 다열의 철모양 핀의 사이에 감입하는 돌조(projection)부를 가지는 돌조롤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엠보싱형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따른 일본국 공개특허 평6-33044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본 제조방법에서는 핀롤은 그 볼록모양 핀이 상하층부직포의 반송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고, 게다가 그 열이 다열로 병설하고 있다. 한편 돌조롤은 그 돌조부가 핀롤의 각 볼록모양 핀의 열과 열 사이에 감입한다. 그 결과 돌조롤의 돌조부에 의해서 돌출부(6)가 늘어선 융기부(8)가 용이하게 형성되며, 게다가 핀롤에 있어서의 볼록(凸)핀의 상하층부직포로의 침이 들어감으로써 액체투과구멍(4)이 형성된다. 이 경우, 핀롤을 60~260도로 가열해 두고, 액체투과구멍(4)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연화 혹은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고, 상하층부직포를 상기 주위에 있어서 서로 접합한다. 아울러 상하층부직포의 접합성 등을 높이기 위해서 서로 겹쳐진 상하층부직포를 상기 롤 사이에 도입하는 전에, 예를 들면, 서로 겹쳐진 상하층부직포에 핫에어(hot air; 예를 들면, 60~260도)을 불어넣거나, 겹쳐진 상하층부직포를 프리히트롤(preheat roll; 예를 들면, 60~260도)에 감는 등, 당업자에게 공지의 예열처리를 처리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제조방법에서는 겹쳐진 2장의 부직포를 제1엠보싱형과 제2엠보싱형과의 사이에 개재시키기에 앞서서, 엠보싱 처리해서 양부직포를 미리 간헐적으로(불연속적으로)접합해도 좋다. 엠보싱 처리에는 가열한 핀롤과 플랫롤로 이루어지는 엠보싱 장치가 사용된다. 이 경우, 핀롤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핀의 간격은 상기한 제1엠보싱형에 있어서의 철상 핀의 폭방향의 간격이 제2엠보싱형에 있어서의 돌조부의 폭방향의 간격보다도 크게끔 해 둔다. 양부직포를 엠보싱 처리해서 접합한 후에, 이것을 제1엠보싱형과 제2엠보싱형과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앞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하층부직포를 아치모양으로 돌출시키면서 제1 및 제2의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뿐만 아니라,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상하층부직포가 접합하고 있다. 나아가 하층부직포(3)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소철부(7)의 볼록부 선단이 상층부직포(2)의 하면측과 접촉 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상층부직포(2)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이 하층부직포(3)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보다도 작은 소철부(7)로 되어 있다. 소철부(7)는 상층부직포(2)의 전역에 걸쳐서 분산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독립한 섬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제1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의 구조와 유사한 것이다. 단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제1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의 상층부직포와 하층부직포와를 상하 역전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 특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이웃하는 소철부(7, 7) 사이에 존재하는 계곡부(7b)(도 7에서는 7b로 기재)는 하층부직포(3)의 상면측과 접촉하고 있거나 혹은 그곳에서 분리되어 있다. 특히 계곡부(7b)가 하층부직포(3)의 상면측과 접촉하고 있으면, 상층부직포(2)에서 하층부직포(3)로의 액체 이행성이 양호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철부(7)의 형상이 하층부직포(3)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형상에 의해서 지지되며 변형하기 어려운 이점도 있다.
표면시트(1)는 다수의 소철부(7)의 정상부에 있어서 피부와 접하게 되므로, 체압분산 효과에 의해서 상기한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이 한층 현저한 것이 된다. 나아가 상층부직포(2)의 아치모양(소철부 7)이 하층부직포(3)의 아치모양보다도 작기 때문에 표면시트(1)과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깨끗한 느낌과 매끈한 느낌 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상층부직포(2)의 강성보다도 하층부직포(3)의 강성이 높은 경우에는 표면시트(1)에 착용자의 차압이 가해져도 하층부직포(3)의 아치모양이 돌출부(6)의 변형을 저지하는 지지부로서 작용하므로, 돌출부(6) 전체로서 보면, 그 돌출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시트(1)는 착용자의 피부와 표면시트(1)의 피부측 표면과의 사이의 접촉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위화감을 방지하고, 또한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아치모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층부직포(2)도 강성이 높은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층부직포(2)의 강성을 높게 하면 부직포의 감촉이 저하하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 있어서는 상층부직포(2)보다도 하층부직포(3)의 강성을 높이고, 하층부직포(3)에 의해서 아치모양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층부직포(2)에 의해서 양호한 감촉을 발현시키고 있다.
하층부직포(3)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층부직포(3)로 엠보싱 가공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층부직포(2)에 관해서는 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엠보싱 가공되어 있지 않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여기서 말하는 엠보싱 가공되지 않는 것이라 함은 상층부직포(2)에 소철부(7)가 형성되기 전의 시트가 엠보싱 가공되어 있는 않음을 의미하고, 소철부(7)를 형성할 시에 행해진 엠보싱 가공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적합하게 제조된다. 우선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형태의 하층부직포의 제조방법과 동일 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도 3(a) 및 (b)에 각각 나타내는 형태의 상층부직포(2)를 얻는다. 아울러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상층부직포는 본 발명의 표면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일예에 지나지 않고, 여기서 예시하는 이외의 상층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은 전혀 방해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상층부직포(2)의 하면측에 핫멜트 점착제를 코팅한다. 코팅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코팅, 커텐코팅, 다열비드코팅 등이 있다. 다음으로 이 상층부직포(2)를 하층부직포(3)와 점착시켜 적층부직포를 얻는다. 또한 상층부직포(2)와 하층부직포(3)와의 부착수단은 핫멜트 점착제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적인 교락(交絡), 열적인 연화·용융수단 등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천공(穿孔)핀이 다수 설치된 롤과, 상기 천공핀과 서로 끼워지는 소켓이 부착된 롤과의 사이에 적층부직포를 삽통시켜 액체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하층부직포를 돌출시켜서 돌출부(6)를 형성한다. 또한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는 액체통과구멍(4)의 주위에서 서로 접합된다. 또한 먼저의 공정에 있어서 핫멜트 점착제에 의해서 상하층부직포가 서로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층부직포는 액체통과액구멍(4)의 주위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은 먼저 설명한 제1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에 나타내는 제4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돌출부(6) 및 액체투과구멍(4)의 배치가 제3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는 평면부를 가지지 않도록 다수의 융기부(8)와 홈부(9)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융기 부(8)와 볼록(凸)모양으로 완곡하면서 홈부(9)는 오목(凹)모양으로 완곡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에서는 다수의 돌출부(6)의 정점이 거의 직선적이면서 연속적으로 늘어서 융기부(8)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제2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의 구조와 유사한 것이다. 단,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제2의 실시형태의 표면시트의 상층부직포와 하층부직포와를 상하 역전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 특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서 적절하게 제조된다. 상층부직포(2)의 제조·가공방법에 대해서는 제2의 실시형태의 하층부직포의 제조·가공방법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먼저 설명한 도 3(a) 및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부직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상층부직포(2)와, 이것과는 별도로 제조해 둔 하층부직포(3)와를 서로 겹켜서 겹쳐진 2장의 부직포를 제1엠보싱형과 제2엠보싱형과의 사이에 개재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표면시트(2)를 얻을 수 있다. 사용하는 엠보싱형나 상기 엠보싱형을 사용한 제조조건 등은 제2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출부(6)나 액체투과구멍(4)의 배치는 상기 실시형태의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패턴을 채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의 실시형태의 경우, 돌출부(6) 및/또는 액체통과구멍(4)을 각각 격자모양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돌출부(6)사이에 액체통과구멍(4)이 반 드시 배치하도록 돌출부(6) 및 액체통과구멍(4)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및 제4의 실시형태의 경우, 홈부(9)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통과구멍(4)은 평면시하여 격자 배치되어 있으나, 이것 대신에 홈부(9)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그어진 직선과,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어진 직선으로 형성되는 격자의 각 교차점에 액체통과구멍(4)이 배치되게끔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층부직포(2) 및 하층부직포(3)를 동일한 치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 대신에 경제적인 관점에서 하층부직포(3)의 치스를 상층부직포(2)보다도 길이방향에 대하여 작게 하고, 상층부직포(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만 하층부직포(3)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표면시트를 생리용 냅킨에 적용한 예이지만, 본 발명은 그것 이외의 흡수성 물품, 예를 들면, 팬티라이너, 분비물 시트,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표면시트는 각각 아치모양으로 형성된 상층부직포 및 하층부직포와 그들의 사이에 형성된 제1의 공간 및 하층부직포의 아래에 형성된 제2의 공간에 의해서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이 매우 높은 것이 된다. 이 쿠션감이나 소프트감은 상층부직포가 소철부를 가짐으로써 한층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의 각 공간의 존재에 의해서 액체 역류가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체압의 의해서 상층부직포의 아치모양이 변형하여도 그 영향이 하층부직포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하층부직포의 아치모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나아가 상층부직포가 소철부를 가지는 경우에 는 상층부직포의 아치모양이 하층부직포의 아치모양보다도 적으므로 표면시트와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보송보송하고 매끈한 느낌이 뛰어난 것이 된다.

Claims (10)

  1. 피부측에 배치되는 상층부직포와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하층부직포와를 가지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직포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의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층부직포 및 상기 하층부직포는 액체통과구멍의 주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통과구멍 사이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직포 및 상기 하층부직포 모두가 피부측을 향해서 아치모양으로 돌출하고, 상기 하층부직포의 하측 및 상층부직포와 하층부직포와의 사이에 각각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피부측을 향해 돌출한 다수의 돌출부가 표면시트에 형성되며,
    상기 하층부직포에는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에 있어서 다수의 소철부(小凸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2. 피부측에 배치되는 상층부직포와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하층부직포와를 가지는 적층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직포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의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층부직포 및 상기 하층부직포는 액체통과구멍의 주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통과구멍 사이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직포 및 상기 하층부직포 모두 가 피부측을 향해서 아치모양으로 돌출하고, 상기 하층부직포의 하측 및 상층부직포와 하층부직포와의 사이에 각각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피부측을 향해 돌출한 다수의 돌출부가 표면시트에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직포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은 하층부직포에 있어서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보다도 작은 소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직포의 강성(剛性)보다도 하층부직포의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직포가 엠보싱 가공되어 있지 않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층부직포가 엠보싱 가공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는 분산적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독립한 섬모양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부는 그들의 정상부(頂上部)가 연속적으로 늘어선 두둑(ridge)모양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직포의 아치모양으로 돌출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소철부의 볼록부 선단(先端)이 상층부직포의 하면측과 접촉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8. 흡수체의 피부측에 표면시트가 배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영역은 청구항 1 또는 2의 기재의 평면시트로부터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평면시트에 있어서의 중앙영역에 대한 각 측부영역에, 상기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보다도 높이가 낮은 제2의 돌출부가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의 존재밀도보다도 높은 밀도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중앙영역에 대한 각 측부영역에, 상기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통과구멍의 존재밀도보다도 높은 밀도로 제2의 액체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각 측부영역은 상기 중앙영역을 구성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의 표면시트에 있어서의 상층부직포 또는 하층부직포가 측방으로 연장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50024126A 2004-03-23 2005-03-23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KR101138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5561 2004-03-23
JP2004085561A JP3998655B2 (ja) 2004-03-23 2004-03-23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JP-P-2004-00158333 2004-05-27
JP2004158333A JP4204518B2 (ja) 2004-05-27 2004-05-27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32A true KR20060044632A (ko) 2006-05-16
KR101138114B1 KR101138114B1 (ko) 2012-04-24

Family

ID=3504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26A KR101138114B1 (ko) 2004-03-23 2005-03-23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38114B1 (ko)
CN (1) CN100522122C (ko)
TW (1) TWI3489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474A (ko) * 2017-02-28 2019-09-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중공형 돌출부들 및 개구들을 구비한 유체-엉킴된 적층체 웹을 제조하는 공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25542A (en) * 2010-01-25 2011-08-01 zhen-zheng Huang Absorption unit and thin-layer substance forming mold of absorption unit
US9474660B2 (en) 2012-10-31 2016-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JP2014234345A (ja) * 2013-05-30 2014-12-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スキンケア用シートおよびスキンケア製品
JP5960775B2 (ja) * 2013-12-27 2016-08-02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及び立体シートの製造方法
US10285874B2 (en) 2014-03-06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JP6158992B2 (ja) * 2015-08-17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7034796A1 (en) 2015-08-26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JP6170987B2 (ja) * 2015-11-20 2017-07-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748209B (zh) * 2016-03-16 2022-04-26 厦门延江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打孔无纺布及其生产方法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CN106038081B (zh) * 2016-07-07 2022-04-26 厦门延江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开孔立体无纺布
WO2018167883A1 (ja) * 2017-03-15 2018-09-20 花王株式会社 積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及び吸汗シート
CN108095903A (zh) * 2018-01-26 2018-06-01 厦门延江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透气片材及吸收制品
TWI652170B (zh) * 2018-02-22 2019-03-01 黃振正 複合薄層物及其製作方法
CN108784934A (zh) * 2018-04-16 2018-11-13 南京锦琪昶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装置、应用
MX2021005791A (es) * 2018-11-30 2021-06-30 Kimberly Clark Co Materiales no tejidos tridimensionales y metodos de fabricacion de los mismo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3031B2 (ja) 1996-09-09 2003-10-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ES2547459T3 (es) 2000-11-24 2015-10-06 Sca Tissue France Hoja de papel absorbente crepado, rodillo para el estampado en relieve y proceso de fabricación de dicha hoja
JP3727246B2 (ja) 2001-03-02 2005-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098243B2 (ja) 2001-12-03 2008-06-11 トレドガー フィルム プロダクツ コーポレイション 有孔不織布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474A (ko) * 2017-02-28 2019-09-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중공형 돌출부들 및 개구들을 구비한 유체-엉킴된 적층체 웹을 제조하는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2669A (zh) 2005-09-28
TW200605848A (en) 2006-02-16
KR101138114B1 (ko) 2012-04-24
CN100522122C (zh) 2009-08-05
TWI348902B (en)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4632A (ko) 흡수성 물품의 표면시트
JP3727207B2 (ja) 吸収性物品
JP5309022B2 (ja) シート状部材の積層体
JP3748743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61491B2 (ja) 吸収性物品
JP4198978B2 (ja) 縦長の吸収性物品
JP5086035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5086036B2 (ja) 吸収性物品
JP4204518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5189901B2 (ja) 吸収性物品
JP3748763B2 (ja) 吸収性物品
JP4255440B2 (ja) 立体シート
JP4931580B2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3288920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製造方法
CN106659610B (zh) 具吸收功能物品的顶片
JP4972500B2 (ja) 吸収性物品
JP5254570B2 (ja) 吸収性物品
JP4812614B2 (ja) 吸収性物品
JP3989477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JP5924897B2 (ja) 吸収性物品
JP4467405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3096208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3998655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6447176B2 (ja)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
JP3926250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