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400A -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400A
KR20060043400A KR1020050018059A KR20050018059A KR20060043400A KR 20060043400 A KR20060043400 A KR 20060043400A KR 1020050018059 A KR1020050018059 A KR 1020050018059A KR 20050018059 A KR20050018059 A KR 20050018059A KR 20060043400 A KR20060043400 A KR 2006004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rm
lock
connector
leg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누 수주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4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8Corrugated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2Boxes, cartons, ca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의 높이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를 억제하여 낮은 높이로 함과 동시에 록 아암의 다리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록 아암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절연하우징(2)이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사이에 절연하우징(2)의 외면(12)에 개방하는 요홈부(16)를 갖고, 록 아암(20)의 다리부(22)가 요홈부(16)의 저면(18)에서 돌출함과 동시에 다리부(22)가 록 아암(20)의 록부(24a)와 록해제부(20b)의 나란한 방향에 따른 길고 가는 단면을 갖는다.
다리부, 록부, 록해제부, 요홈곡면, 볼록곡면

Description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ARM}
도 1은 본 발명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5-5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기부와 록 아암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커넥터끼리 결합하기 직전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커넥터끼리 완전히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2 : 절연하우징
10 : 캐비티
12 : 상면(외면)
16 : 요부
18 : 저면
20 : 록 아암
[문헌정보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5-171985호(도 2)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대방 커넥터와 상호 계합, 이탈하는 록 아암을 갖는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대방 커넥터와 상호 계합하는 록 아암을 갖는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문헌정보 1의 도 2 참조). 이 문헌정보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의 록장치(록 아암)는 커넥터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부의 외벽에서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취부되어 있다. 이 록 아암은 전기 커넥터의 삽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넓은 다리부와, 상대방 커넥터와 계합하는 록부와, 이 록부를 계합 해제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눌러서 록 아암을 휘게 하는 계합해제부를 갖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다리부가 콘택트 수용부의 외벽 외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록 아암이 다리부의 길이만큼 외벽에서 돌출하여 전기 커넥터 전체의 높이가 증대한다. 따라서,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가 좁은 공간, 예를 들면 PC나 TV 등에 사용되는 액정패널의 배후 공간 내에서는 너무 커서 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록 아암이 휘기 쉬워지도록 또한 휨을 견디기에 필요한 강도를 주기 위해 다리부가 전기 커넥터의 삽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이 넓은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방 커넥터와의 삽발방향과 직교하는 록 아암 전체의 폭방향 치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전기 커넥터의 폭치수를 대형화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넥터 하우징의 높이방향 및 폭방향의 치수를 억제한 낮은 키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록 아암의 다리부에 생기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어 록 아암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는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갖는 절연하우징과, 각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전기 콘택트와, 절연하우징 상에 다리부를 통해 일체로 돌설된 록 아암을 구비하고, 록 아암이 상대방 커넥터와 계합하는 록부 및 록부의 계합을 해제하는 록해제부를 갖는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 서, 절연하우징이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 사이에서 절연하우징의 외면으로 개방하는 요부를 갖고, 록 아암의 다리부가 요홈부의 저면에서 돌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록부와 록해제부의 나란한 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긴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늘고 긴 단면'이란 다리부의 단면부분의 록부와 록해제부의 나란한 방향에 따른 치수가 나란한 방향과 직교하는 폭의 치수보다 긴 형상을 말한다.
또한 다리부는 록부와 록해제부의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부측에 있어서 록부 근방이 요홈곡면으로 형성됨과 함께 요홈곡면에서 저면을 향해 연속적으로 볼록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의 후부에는 록 아암과 절연하우징의 외면 사이에서, 록 아암이 휜 때에 록 아암의 록해제부가 상면에 당접 가능한 쐐기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함)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배면도, 도 5는 도 2의 5-5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도 1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1)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1)는 전방부에서 서로 이격한 2개의 결합부(4, 4)를 돌설시킨 절연하우징(2)을 갖는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결합부(4, 4)측을 전방부, 반대측을 후방부라 한다. 결합부(4, 4)는 상대방 커넥터(100; 도 9)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결합부(4, 4)는 절연하우징(2)의 후방부의 기부(6)에서 서로 평행하게 돌설되어 있고 단면이 거의 사각형이다. 결합부(4, 4)에는 결합부(4) 각각의 전방단부(8)에서 절연하우징(2)의 후방단부(6b)에 관통하는 캐비티(10)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10)에는 후술하는 전기 콘택트(50; 도 9)가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각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결합부(4)의 외측 측벽(4a)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 개구(4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4b)에는 전기 콘택트(50)의 랜스(lance;미도시)가 계합하여 절연하우징(2)에 고정된다. 측벽 내면(4c)에는 사각형 개구(4b)의 후방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얕은 홈(4d: 도 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d)은 전기 콘택트(50)이 캐비티 내에 삽입되는 때에 전기 콘택트(50)의 랜스를 수용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록 아암(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절연하우징(2)의 상면(외면)(12)에는 캐비티(10, 10)사이에 상당하는 영역에 커넥터(1)의 삽발방향(14)에 따른 요홈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홈부(16)는 기부(6)의 전방단부(6a)에서 후방단부 즉, 절연하우징(2)의 후방단부(6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요홈부(16)의 저면(18)에는 록 아암(20)의 다리부(22)가 절연하우징(2)과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저면(18) 중에서 전방부 저 면(18a)은 낮고 후방부 저면(18b)은 전방부 저면(18a)보다 약간 높게 되어있다.
요홈부(16)에 형성되는 록 아암(20)의 전방부(20a)는 좁은 폭의 평판상이며 전방부(20a)의 하측에는 삽발방향(14)으로 직교하여 이격한 한 쌍의 계합돌기(록부: 24)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돌기(24)의 선단부에는 테이퍼(24a)가 형성되어 있고, 상대방 커넥터(100)와의 결합 시에 계합돌기(24)가 상대방 커넥터(100)의 계지돌기(106)에 올라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록 아암(20)의 후방부(록해제부; 20b)는 전방부(20a)보다 넓은 폭의 판상이며 후방부(20b)의 후방단부에 후방부(20b)의 전폭에 걸쳐 돌설된 리브(26)를 갖는다. 이 리브(26)는 후방부(20b)를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는 때,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전술한 다리부(22)는 전방부(20a)와 후방부(20b)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다리부(22)에 대해 도 7과 합쳐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기부(6)와 록 아암(20)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다리부(22)는 결합부(4)측에 록 아암(20)의 하면(20c)에서 연장하는 요홈곡면(22a)과, 이 요홈곡면(22a)에 연속하여 요홈부(16)의 저면(18)에 이르는 볼록곡면(22b)을 갖는다. 또한, 다리부(22)의 후방부측은 후향의 요홈곡면(22c)이 록 아암(20)과 후방부 저면(18b)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요홈곡면(22c)은 삽발방향(14)에 이어서 연장되는 융기부(28)를 거쳐 록 아암(20)의 하면(20c)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28)는 다리부(22)의 폭, 즉 삽발방향(14)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w; 도 4)와 거의 같은 폭을 가지고 있다. 이 융기부(28)와 후방부 저면(18b)에 의해 쐐기형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쐐기형상은 록 아암(20)의 후방부(20b)를 손가락으로 누른 때에 융기부(28)가 후방부 하면(18b)에 당접하여 록 아암(20)이 필요이상으로 휘지 않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록 아암(20)의 하면(20c)을 절연하우징(2)의 상면(12)에 당접시킴으로써 록 아암(20)의 휨을 제한하여도 좋다.
전술한 요홈곡면(22a)과 볼록곡면(22b)이 연속하여 형성된 복합곡면에 의해 록 아암(20)을 휘게 한 때의 응력이 복합곡면을 따라 하나의 위치에 집중하지 않게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다리부(22)에 과다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록 아암(20)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휘게 한 때에 복합곡면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지만 이 인장응력이 허용 응력을 충분히 하회하도록 복합곡면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다리부(22)의 단면에 있어서 삽발방향에 따른 길이(d)의 치수(도 7)가 전술한 폭(w)의 치수(도 4)보다 길게 성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간극사이, 즉 캐비티 사이에 형성된 폭이 좁은 요홈부(16) 내에 비교적 강도가 큰 하나의 다리부(2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리부(22) 및 록 아암(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연하우징(2)의 상면(12)에서 위로 록 아암(20)이 돌출하는 돌출높이(h)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의 외형치수는 폭 약 7㎜, 삽발방향(14)에 따른 길이 약 10㎜, 록 아암(20)을 포함하는 높이(두께) 약 4㎜로 하여, 록 아암(20)의 돌출높이(h;도 7)를 약 1.4㎜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커넥터(1)를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시키는 때의 형태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커넥터끼리 결합하기 직전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커넥터끼리 완전히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커넥터(1)의 전기 콘택트(50)가 생략되어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1)의 결합부(4)가 상대방 커넥터(100)의 절연하우징(102)에 형성된 결합 요홈부(104)에 삽입된다. 이어서 커넥터(1)를 상대방 커넥터(100)에 밀어 넣으면 록 아암(20)의 계합돌기(24)가 상대방 커넥터(100)의 계지돌기(106)에 올라앉아 도 8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록 아암(20)의 다리부(22)에는 최대의 응력이 발생하지만 전술한 요홈곡면(22a) 및 볼록곡면(22b)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곡면에 의해 다리부(22)의 전방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후방부측의 요홈곡면(22c)도 만곡하고 있으므로 응력의 집중이 회피된다.
더욱이 커넥터끼리 접근시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100)에 완전히 결합하고 록 아암(20)은 계합돌기(24)가 계지돌기(106)에 계합하여 체결된다. 또한 커넥터(1)의 전기 콘택트(50)는 상대방 커넥터(100)의 전기 콘택트(108)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 전기 콘택트(50)과 전기 콘택트(108)의 전기적 접촉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종래 알려진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커넥터(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는 2극, 즉 전기 콘택트(50)이 2개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 였으나 3극, 혹은 그 이상이어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는 절연하우징이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 사이에 절연하우징의 외면에 개방하는 요홈부를 갖고 록 아암의 다리부가 요홈부의 저면에서 돌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록부와 록해제부의 줄방향에 따른 가늘고 긴 단면을 가지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다리부가 요홈부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높이방향을 낮게 억제한 낮은 키의 록 아암부착 커넥터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다리부의 길이를 단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분한 탄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다리부가 록부와 록해제부의 줄방향에 따른 가늘고 긴 단면형상이므로 다리부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가 록부와 록해제부사이에 연결되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부측에 있어서 록부 근방이 요홈곡면으로 형성됨과 함께 요홈곡면에서 저면을 향해 연속적으로 볼록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록 아암이 휘는 때에 다리부에 생기는 응력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록 아암이 파손될 우려가 적어져 내구성이 있는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의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를 갖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각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전기콘택트와, 상기 절연하우징 상에서 다리부를 통해 일체로 돌설된 록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록 아암이 상대방 커넥터와 계합하는 록부 및 상기 록부의 계합을 해제하는 록해제부를 갖는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이 상기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캐비티 사이에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면에 개방하는 요홈부를 갖고,
    상기 록 아암의 상기 다리부가 상기 요홈부의 저면에서 돌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록부와 상기 록해제부의 나란한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상기 록부와 상기 록해제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결합부측에 있어서 상기 록부 근방이 요홈곡면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요홈곡면으로부터 상기 저면을 향해 연속적으로 볼록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KR1020050018059A 2004-03-10 2005-03-04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KR20060043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67254 2004-03-10
JP2004067254A JP4338084B2 (ja) 2004-03-10 2004-03-10 ロックアーム付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400A true KR20060043400A (ko) 2006-05-15

Family

ID=3504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059A KR20060043400A (ko) 2004-03-10 2005-03-04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38084B2 (ko)
KR (1) KR20060043400A (ko)
CN (1) CN100521392C (ko)
TW (1) TW2005395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6778B (zh) * 2010-10-20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插座内的插针进行保护的装置
JP6278860B2 (ja) 2014-07-29 2018-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758347B2 (en) 2014-12-02 2017-09-12 ThyssenKrupp Elevator AG; ThyssenKrupp AG Arrangement and method to move at least two elevator cars independently in at least one hoistway
CN109286100B (zh) * 2017-07-21 2021-06-0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21005518A (ja) * 2019-06-27 2021-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30029B2 (ja) * 2019-09-17 2023-08-21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9523A (en) 2005-12-01
CN1674363A (zh) 2005-09-28
JP4338084B2 (ja) 2009-09-30
JP2005259435A (ja) 2005-09-22
CN100521392C (zh)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4691B (zh) Electrical connector
TWI475756B (zh) 電線對基板連接器
US20110306229A1 (en) Connector assembly
US9577371B2 (en) Connector with retaining portion having reinforcing portion
JP2002190351A (ja) ロック付き電気コネクタ
KR20060043400A (ko) 록 아암부착 전기 커넥터
JP2002184502A (ja) 電気コネクタ
JP326902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2013097994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912253B2 (ja) コネクタ
JP6665245B2 (ja) コネクタ
US1193613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3101203B2 (ja) リテーナ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7052327B2 (en)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01052785A (ja) スライダ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
US5468162A (en) Locking connector
JP200105278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US6659804B2 (en) Multi-contact connector
JP2002184537A (ja) 電気コネクタ
JP4262708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426764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2289302A (ja) 電気コネクタ
JP3402435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