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217A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217A
KR20060042217A KR1020050015751A KR20050015751A KR20060042217A KR 20060042217 A KR20060042217 A KR 20060042217A KR 1020050015751 A KR1020050015751 A KR 1020050015751A KR 20050015751 A KR20050015751 A KR 20050015751A KR 20060042217 A KR20060042217 A KR 2006004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luminance
image
signal
evalu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168B1 (ko
Inventor
타쓰로 야마자키
나오토 아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09G2310/021Double addressing, i.e. scanning two or more lines, e.g. lines 2 and 3; 4 and 5, at a time in a first field, followed by scanning two or more lines in another combination, e.g. lines 1 and 2; 3 and 4, in a second fie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Scrolling of light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over the display in combination with the scann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modulation of the duration of a single pulse during which the logic level remains consta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화상표시장치에서 양호한 화상 표시를 달성하기 위하여,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는 화상 처리부(102)에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의 총 합을 얻고, 모든 휘도 데이터가 최대값을 나타낼 경우, 상기 총 합과, 1 프레임의 누계값과의 비율(표시면적 비율)인 휘도 평가값을 계산한다. 상기 휘도 평가값이 0.3 이하의 표시면적 비율인 것으로 결정되면, 주사모드 결정부(108)는 제1주사모드에서 주사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휘도 평가값이 0.3 이상의 표시면적 비율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주사모드 결정부(108)는 제2주사모드에서 주사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제1주사모드 및 제2주사모드는 동시에 선택되며, 즉, 하나의 행에서 두 개의 선택기간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주사배선의 수는 제1주사모드와 제2주사모드간에 상이하다.
화상표시장치, 주사모드, 휘도 평가값, 표시면적 비율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표시면적 비율에 의해 개선되는 휘도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의 행 주사모드에 의한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의 행 주사모드에 의한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서 표시면적 비율에 의한 휘도저하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의 행 주사모드에 의한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표시면적 비율에 의해 개선되는 휘도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표시면적 비율에 의해 개선되는 휘도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행 주사모드 전환을 실현하기 위한 주사 타이밍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화상신호 입력부 102 : 화상신호 처리부
103 : 휘도 평가값 검출부 104 : 휘도 제어부
105 : 열 배선 구동부 106 : 행 배선 구동부
107 : 표시 패널부 108 : 주사모드 결정부
1001 : 튜너 1002 : 디멀티플렉서
1003 : 속성정보 처리부 1004 : EPG 처리부
1005 : 인터페이스부 1071 : 표면 도전형 소자
1072 : 발광영역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표시장치의 예는 일본 특개평6-342636호(USP 제5,659,329호), 일본 특개평8-21294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6-342636호에 개시된 화상표시장치는 표면 도전형 전자방출소자를 행 배선 및 열 배선과 매트릭스 형상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하나의 행 배선에 선택전위가 인가될 때, 열 배선에 구동전위가 인가된다. 상기 선택전위와 구동전위간의 전위차(이하, 상기 전위차를 "구동전압"이라고 함)에 의해 전자방출소자를 구동함으로써, 각 1 라인의 표시가 수행된다. 또한, 선택된 행 배선을 소정의 주사 주파수로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수직방향 주사가 수행됨으로써, 1 프레임의 화상표시를 실현한다.
일본 특개평8-212944호는, 매트릭스 배선을 수직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영역 각각에 열 배선 구동부와 행 배선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각 필드기간에서 2개의 행을 선택하여 표시를 수행하는 구동기술도 알려져 있다. 매트릭스 패널을 이용하여 TV신호를 표시하는 등의 동작에 의해 비월 구동(interlace driving)이 수행될 경우, 상기 방법에 의하여, 2개의 행이 각 필드기간에서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술은 "의사 비월 구동(pseudo-interlace driving)"이라고 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0-267624호는, 상관 검출회로와 화이트 피크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예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화이트 피크 검출회로가 표시 패널에 공급되는 데이터간의 행 방향 상관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의 휘도 레벨을 검출한다. 상기 휘도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이고, 데이터 사이에 상관(correlation)이 있으면, 상기 상관을 갖는 것으로 판정되는 행에 대해 주사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화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3이상의 정수인 n개의 주사라인과, 각 천이 선택기간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질 주사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주사회로와, 상기 복수의 주사라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 각각의 화소에 의해 구성된 화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출력하는 평가회로와,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 중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되는 시간의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상기 평가값에 따라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시간은 주사라인의 각각이 선택되는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서 사용되고, 비교 결과는 일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기 시작한 이후의 1초가 상기 단위시간으로서 설정될 수 있지만, 상기 단위시간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화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평가값은 각종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소의 평균 휘도값이 상기 평가값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평가회로는 상기 평가값에 대한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화소의 평균 휘도 값을 평가값으로서 계산한다.
상기 평균 휘도값을 나타내는 휘도 평가값은 실제로 평균값일 수 있지만, 간접적으로 평균값을 나타내기만 하면, 어떠한 값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휘도의 총 합은 평균값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값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휘도의 총 합 또는 평균값이 계산되고, 콘트라스트 제어신호 등의 다른 정보가 상기 계산 결과에 부가될 수도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상기 계산 결과와 소정의 값간의 관계, 상기 콘트라스트 제어신호 등의 다른 조건은 별도로 평가되고, 그 결과의 논리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소의 휘도를 소정의 수만큼 곱하여 상기 합 또는 평균값이 얻어진다. 상기 합 또는 평균값은 휘도의 합 또는 평균 휘도값을 나타내는 휘도 평가값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휘도 평가회로는,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복수의 화소에 대한 휘도의 전체 합 또는 평균값이 계산될 때, 가중된 휘도의 전체 합 또는 평균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휘도 평가회로는,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복수의 화소에 대한 휘도의 전체 합 또는 평균값이 계산될 때,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 또는 화면을 구성하는 일부 화소의 전체 합 또는 평균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평가값은 화상을 표시하는 결과로서 얻어지는 값일 수도 있다.
화상을 표시하는 결과로서 얻어지는 평가값은 표시된 화상의 밝기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소자가, 전압이 인가될 때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방출소자와, 상기 전자방출소자로부터 전자빔이 방출될 때 발광하는 발광재 료와, 상기 전자방출소자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상기 발광재료에 안내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애노드 전극에 흐르는 애노드 전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결과로서 얻어진 평가값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평가값과 상기 소정의 값간의 관계는 주사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의 하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값과 상기 소정의 값간의 관계는, 상기 평가값이 상기 소정의 값보다 더 큰지, 또는 더 작은지, 또는 상기 소정의 값과 동일한지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주사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 상기 평가값과 상기 소정의 값간의 관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만 하면, 상기 조건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평가값이 상기 소정의 값보다 더 크다고 검출하면, 단위시간에 대한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선택기간 동안에는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된다.
다른 방안으로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평가값이 상기 소정의 값보다 더 작다고 검출하면, 단위시간에 대한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기간 동안에는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회로는, 복수의 소정의 값과 비교한 결과, 상기 평가값이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에 따라, 단위시간에 대한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하도록,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선택기간 동안에는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회로는, 동시에 선택되는 주사라인의 수와, 하나의 행에서 2개의 선택기간에 선택되는 주사라인의 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단위시간에 대한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이 변경될 때에 발생하는 휘도차를 감소하도록 동작하는 휘도 제어회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3이상의 정수인 n개의 주사라인과, 각 천이 선택기간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질 주사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주사회로와, 상기 복수의 주사라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표시소자와,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되는 선택기간의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입력 화상신호와 관련된 보조신호에 따라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될 화상이 정지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될 화상이 동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에 비해, 상기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주사조건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될 화상이 영화의 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될 화상이 스포츠 프로그램의 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에 비해, 상기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 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주사조건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표시소자는, 전압이 인가될 때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방출소자와, 상기 전자방출소자로부터 전자빔이 방출될 때 발광하는 발광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방출소자는 표면 도전형 전자방출소자일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필요하다면, 고휘도를 갖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우수한 화상 표시를 수행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에 의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은 TV신호와, 컴퓨터의 화상 출력신호 등의 화상신호(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용으로 적당하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표면 도전형 전자방출소자를 각각 갖는 화상표시장치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FE소자 및 MIM소자 등의 냉 음극관 전자방출소자, EL소자와, 액정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표시 패널부(107)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 및 접속된 표면 도전형 소자(1071)를 갖는 멀티 전자빔 공급원과, 상기 멀티 전자빔 공급원으로부터 전자빔을 수신하여 발광하는 형광면을 포함한다. 전자빔을 가속하기 위한 고압 바이어스는 상기 형광면에 인가된다. 상기 형광면은 각각의 표면 도전형 전자방출소자에 대응 하는 발광영역(107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소자는 표면 도전형 소자(1071)와, 상기 각각의 표면 도전형 소자(1071)에 대응하는 발광영역(1072)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 도전형 소자(1071)가 장착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발광영역(1072)이 장착되어 있는 기판은, 상기 표면 도전형 소자(1071)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상기 방출된 전자에 대응하는 발광영역(1072)에 입사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판이 서로 옮겨져 있다. 일본 미심사 특허공보 제6-342636호는 표시 패널부(107)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개시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것에 대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일본 미심사 특허공보 제6-34263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표면 도전형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발광 휘도 및 계조를 제어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들 중의 하나를 실시하는 제1실시예에서는, 열 배선 구동부(105)가 각 화소의 발광량을 특정하는 입력 휘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갖는 전압 펄스를 열 배선에 인가하고, 행 배선 구동부(106)는 발광을 일으키는 라인에 선택 전압 펄스를 인가하며 비선택 라인에는 비선택 전압을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위 펄스폭변조/라인 순차 구동법에 따라 선택된 행을 순차적으로 주사함으로써 화상 표시가 수행된다. 단순한 펄스폭변조의 경우, 발광하고 있는 소자에 의해 표시되는 휘도는 상기 소자의 발광기간 중에 일정하다. 그러나, 긴 시간(보다 구체적으로는 1 수평주사기간)에 걸친 휘도의 적분값은 변조된다. 따라서, 펄스폭이 작을 때에 검출된 휘도의 적분값은, 펄스폭이 클 때에 검출된 휘도의 적분값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펄스폭이 변조되더라도, 사용자의 눈에는 휘도가 변조된 것처럼 보인다. 본 발명에서는, 펄스폭이 변조되더라도 휘도가 변조된 것으로 간주된다. 여기서, 변조배선으로서의 열 배선에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열 배선 구동부(105)는 변조회로에 해당하며, 주사배선으로서의 행 배선에 선택신호를 공급하는 행 배선 구동부(106)는 주사회로에 해당한다. 주사배선에 대해 기록 주사가 수행되고, 기록 주사동작에 의해 선택된 주사배선에 접속된 소자에 대해 변조신호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 주사동작을 위해 선택된 주사배선에 접속되어 있는 소자는 기록과 거의 동시에 발광을 시작하고, 기록을 위한 선택이 종료될 때, 발광을 정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기록 주사가 수행될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주사라인은 발광이 이루어질 주사라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록 주사를 행하는 행 배선 구동부(106)는 발광될 주사라인을 선택하는 주사회로로도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는, 열 배선 구동부(105)의 출력 전압 펄스의 전위를 결정하기 위한 전원과, 행 배선 구동부(106)의 출력 선택 전압 펄스의 전위를 결정하기 위한 전원도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전원 출력값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행 배선 구동부(106)는 패널 행 배선의 수와 동일한 수의 SW부와, "선택/비선택"을 나타내는 주사신호를 상기 SW부에 공급하는 주사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행 배선 구동부(106)는 주사 전압 펄스를 상기 표시 패널부(107)의 행 배선에 공급한다.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행 배선 구동부(106)는 비선택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표시 패널부(107)의 행 배선에 공급한다.
화상신호 입력부(101)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이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한된 전송 대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신호가 원래의 신호로부터 압축되는 경우, 상기 화상신호 입력부(101)는 상기 압축된 신호를 신장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호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한다.
화상신호 입력부(101)에 입력된 영상신호는 화상신호 처리부(102)에 전송된다.
화상신호 처리부(102)에서는, 화상신호 입력부(101)로부터 전송된 화상신호가 표시 패널부(107)의 소자수 및 화소구성에 적합하도록 샘플링되고, 표시 패널부(107)의 각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 요구값 데이터에 해당하는 휘도 데이터가 입력 화상신호로부터 생성된다.
수직 라인의 수에 관하여, 입력 영상신호를 위한 유효표시 주사라인의 수가 표시 패널부(107)의 표시 행 라인의 수와 상이할 경우, 주사라인 보간 등의 확대 및 축소 조작이 수행되어, 표시 패널부(107)의 표시 행 라인의 수에 맞는 구동 휘도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생성된 휘도 데이터는, 1 행의 휘도 데이터 스트림이 1 라인 주사기간 내에 전송되도록 열 배선 구동부(105)에 전송되어, 표시할 행 배선의 선택 주사에 동기하여 상기 휘도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CRT를 갖는 표시장치가 사용되므로, CRT의
Figure 112005010085834-PAT00001
특성을 고려하여 각 화상신호에 대해
Figure 112005010085834-PAT00002
보정이 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전자빔 방출 요구값 데이터에 대략 비례하는 발광 휘도를 갖는 표시 패널이 동작될 경우, 소위 역
Figure 112005010085834-PAT00003
보정이 미리 시행된
Figure 112005010085834-PAT00004
보정을 취소하기 위하여 화상신호 처리부(102) 내에서 수행되기도 한다.
화상신호 처리부(102)는 입력 화상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화상신호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의거하여, 각부의 동작에 필요한 클록신호 및 타이밍신호를 생성 및 공급한다.
휘도 평가회로 및 제어회로로서 기능하는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는, 표시 패널부(107)의 각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 요구값 데이터에 해당하는 휘도 데이터를 화상신호 처리부(102)로부터 받아서, 표시 패널부(107)의 발광 휘도 상태의 추정값을 표시하는 휘도 평가값을 계산한다. 상기 휘도 평가값의 계산은 RGB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해하기 이전에 얻어진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RGB에 대응하는 신호로 분해한 후에 얻어진 신호가 휘도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신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휘도 평가값은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되고, 그 결과에 따라 주사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주사모드 결정부(108) 및 휘도 제어부(104)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계산된 휘도 평가값과의 상관을 신호는 휘도 제어부(104)에 출력된다. 상기 휘도 평가값은 사용자의 눈에 대한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에 의해 수행되는 평가값 계산을 준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1 프레임 기간 동안에 화상신호 처리부(102)로부터 얻어진 모든 휘도 데이터가 가산되어 총 합이 얻어진다. 여기서, 모든 휘도 데이터가 최대값을 나타낼 경우에 얻어지는 1 프레임 누적 전체 값에 대한 상기 총합의 비율(표시면적 비율)은 휘도 평가값으로서 설정된다.
휘도 제어부(104)는,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에 의해 계산된 휘도 평가값과 의 상관을 갖는 신호에 따라, 표시 패널부(107)의 각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 요구값 데이터에 해당하는 휘도 데이터를 변경한다. 상기 휘도 데이터는 화상신호 처리부(102)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휘도 제어부(104)는 휘도 제어회로에 해당한다.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제어회로로서 기능하는 주사모드 결정부(108)는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서, 표시 패널부(107)의 행 배선 주사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행 배선 구동부(106)에 출력한다.
도 3 및 도 4는 제1실시예에서의 제1 및 제2 행 주사모드의 표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화상의 부분을 구성하는 화소를 형성하는 표시소자가 8열 및 6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8 ×6 매트릭스 또는 작은 패널로서 각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1 주사기간에 1 행의 행 배선이 선택되고, 다음 주사기간에는 인접하는 다음 행의 행 배선이 선택되는 제1주사모드에 의한 주사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주사동작 중에 표시면적이 증가하는 휘도저하 특성은 도 2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곡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 휘도의 저하는, 각 화소를 형성하는 표면 도전형 소자의 구동전류가 각 행 배선으로부터 선택된 행 배선으로 흐른 다음, 행 배선 구동부로 흘러 들어올 때 발생된다. 이 때, 행 배선의 전기 저항과 선택 전류로 인해 주사배선 상에 전위 기울기가 발생하게 되어, 전자방출소자에 인가되는 구동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휘도저하는 행 배선 상에서 흐르는 전류 또는 피사체 표시 화상에 따 라 변동한다. 따라서, 표시소자의 작은 면적부분만 발광할 경우에는, 행 배선 상에 발생되는 전위가 작기 때문에, 휘도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각 표시소자의 발광면적(또는 행 배선 방향의 발광부의 길이)이 커질수록, 휘도 저하도 커진다.
도 4는 1 주사기간에 2 행의 행 배선이 동시에 선택되고, 다음 주사기간에는 2행 중의 하나의 행 배선이 다시 선택되는 제2주사모드에서의 주사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동 주사모드에 의한 표시 면적에서의 휘도저하 특성은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곡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4에 도시된 제2주사모드에서는,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공급되는 전체 시간은 2배로 되고,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제1주사모드에 의해 얻어지는 휘도의 2배의 휘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0.3의 표시면적 비율에서 표시 패널부(107)의 행 배선 주사모드가 전환되도록 제어동작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가, 표시 패널부(107)의 발광 휘도 상태의 추정값을 나타내는 휘도 평가값이 0.3 이하의 표시면적 비율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주사모드 결정부(108)는 도 3에 도시된 제1주사모드에 의해 주사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가, 상기 휘도 평가값이 0.3 이상의 표시면적 비율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주사모드 결정부(108)는 도 4에 도시된 제2주사모드에 의해 주사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는 평가회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 2의 어두운 영역은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의 발광 영역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특성에 비해, 큰 면적부분에서 휘도 특성이 대폭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회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구동회로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도 휘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의 어두운 영역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0.3의 표시면적 비율 임계값에서 주사모드가 전환될 경우, 임계값 0.3의 전후에서 휘도 차이가 존재한다. 상기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실시예는 휘도 제어부(104)를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는 주사모드 전환신호 및 계산된 휘도 평가값과의 상관을 갖는 신호를 휘도 제어부(104)에 출력함으로써, 화상신호 처리부(102)로부터의 표시 패널부(107)의 각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 요구값 데이터에 해당하는 휘도 데이터가 조정되어, 주사모드 전환 전후에서 휘도 제어부(104)의 휘도 차이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조정은, 표시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휘도저하 특성이 도 2의 실선 곡선에 의해 표시되는 특성과 동일해지도록 수행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휘도 데이터가 변동되지만, 주사모드 전환 전후에서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는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표시 휘도를 변경할 수 있는 어떠한 제어동작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본 미심사 특허공보 제6-342636호는, 전자방출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및 구동전류, 또는 방출되는 전자빔을 가속하는 고압 전압에 의해 표시휘도를 변동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휘도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주사모드가 전환될 때에 발생하는 수직 해상도 특성의 변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방향 윤곽 강조회로가 사용되어, 주사모드가 전환될 때의 윤곽 강조량을 변동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휘도 평가값이 0.3의 표시면적 비율보다 클 경우, 1 주사기간 동안 2행의 행 배선이 동시에 선택되고, 다음 주사기간에는 1 행의 행 배선이 다시 선택되도록 주사동작이 수행된다. 이 때, 2행의 동시 선택과 1행의 반복 선택으로 인해 수직 해상도 특성이 열화된다. 그러므로, 수직방향의 윤곽 강조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윤곽 강조회로의 동작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회로에서의 윤곽 강조량은 휘도 평가값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주사모드 전환 전후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주사모드는 위에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주사모드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1 프레임 기간(예를 들어, 1/60 sec)이 2개의 서브 프레임 기간(1/120 sec)으로 분할된다. 제1서브 프레임 기간에는, 각 주사기간에 인접하는 짝수(2N) 행과 함께, 홀수(2N+1, N=0, 1,ㆍㆍㆍ) 행이 선택되어, 각 홀수 행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한편, 제2서브 프레임 기간에는, 각 주사기간에 인접하는 홀수(2N-1) 행과 함께, 짝수(2N) 행이 선택되어, 각 짝수 행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 기술은 비월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주사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의 예로서, 각 행의 주사신호 생성이 행 배선 구동부(106) 내에서 아래와 같이 수행되어야 한다.
행 배선과 동일한 수의 시프트 레지스터가 준비되고, 행 주사 동작을 시작시키는 스타트 트리거신호와, 선택라인을 순차적으로 전환시키는 시프트 클록신호는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공급된다. 상기 스타트 트리거신호와 시프트 클록신호간의 위상 관계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경됨으로써,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주사모드가 실현될 수 있다.
상이한 전체 기간을 위한 주사조건은, 하나의 선택기간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주사배선의 수, 하나의 행에서 두개의 선택기간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주사배선의 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수들은 서로 상이한다.
상기 휘도 평가값은 전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동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주사배선 상에 흐르는 전류의 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강하로 인한 휘도저하가 개선되어야 할 경우, 휘도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 라인 주사기간에는 휘도 데이터의 라인 누계 값이 얻어진다. 이것은, 주사배선 방향으로 긴 피사체가 높은 휘도로 표시되어야 할 때, 전압 강하의 악영향이 현저하기 때문이다. 상기 라인 누계 값에 의거하여, 대응 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가 추정되고, 상기 추정 값에 의해 가중된 라인 누계 값은 유효 주사라인 수에 가산된다. 이에 따라, 1 프레임의 휘도 평가값이 얻어질 수 있다.
표시될 피사체가 주로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화소의 총 합 또는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가중 계수에 의한 승산이 수행된다. 또한, 모든 화소의 총 합 또는 평균 휘도값 대신에, 피사체 화상을 형성하는 일부 화소의 총 합 또는 평균 휘도값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휘도 평가값은 계산 결과, 또는 상기 계산 결과에 콘트라스트 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얻어지는 값일 수도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계산 결과가 소정의 값보다도 큰지에 대해 결정되고, 콘트라스트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다른 조건이 별도로 평가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과의 논리합이 휘도 평가값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휘도 평가값이 0.3보다 클 때에는 높은 휘도가 얻어지도록 하고, 휘도 평가값이 0.3 이하일 때에는 해상도를 강조할 수 있도록 주사모드가 전환된다. 이것은, 높은 휘도 평가값을 갖는 화상은 넓은 고휘도 표시 면적을 갖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향은, 본 발명자에 의해 임의로 샘플링된 TV 동화상신호가 입력 화상신호로서 사용되었을 때에 얻어진 휘도 평가값 및 화상 품질에 대해 행해진 평가 시험의 결과에 의거하여 발견되었다. 낮은 휘도 평가값을 갖는 화상에 비해, 다수의 넓은 고휘도 면적을 포함하는 화상은 상하 방향으로 휘도 변동이 작고, 고해상도신호를 가질 가능성이 적다. 그러므로, 복수 행 동시 주사로 인한 해상도 저하는 상기 동작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표시가 수행되더라도, 수직 해상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0.3의 휘도 평가값은 단지 일례이고, 상기한 것과 상이한 값에 의해 서도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화소 휘도의 평균값이 계산된다. 상기 계산 결과에 의거한 휘도 평가값에 따라서, 단위시간에 n개의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의 전체 시간이 변경되도록, 주사회로에서 사용되는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더욱 양호한 화상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1 프레임 기간의 휘도 데이터의 총 합을 계산하여 휘도 평가값이 얻어진다. 1 프레임 기간의 휘도 평가값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가 수행될 경우, 평가값 계산에는 1 프레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레임 버퍼가 준비되어 1 프레임 지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표시될 프레임은 평가값 계산 프레임과 동기화된다.
그러나, 입력 화상신호는 그 특징상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간에 높은 상관을 갖는 화상신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전 프레임의 평가값을 이용하는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표시소자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버퍼가 제거될 수 있다.
드물지만, 인접한 프레임의 화상신호와 낮은 상관을 갖는 화상신호일 경우, 연속하는 프레임의 프레임신호의 휘도 평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반복적으로 커지고 작아지는 이러한 화상이 입력되면, 표시 품질이 열화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에서는,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한 단위시간이 1 프레임보다 더 길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인간은 자극량 변화에 감응하기 위하여 1초 내지 수초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되므로, 단위시간은 1초로 설정된다. 상기 단위시간은 1초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한다면,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초의 단위시간에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1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의 총 합이 계산되고, 상기 계산 결과는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 내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기억된다. 입력 화상신호의 리프레쉬(refresh) 주파수의 수에 해당하는 프레임 평가값이 평균화되어, 단위시간에서의 휘도 평가값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입력 화상신호가 60Hz의 리프레쉬 속도를 나타낼 경우, 60개의 프레임 평가값이 계산된 다음, 평균이 구해진다.
휘도 평가값을 계산하는 상기 기술에 의하여,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화소 휘도의 평균값이 계산된다. 상기 계산 결과에 의거한 휘도 평가값에 따라, 단위시간에 n개의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의 전체 시간이 변경되도록, 주사회로에서 사용되는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더욱 양호한 화상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휘도 평가값이 휘도 데이터로부터 얻어지지만, 평가값을 얻는 다른 방법이 존재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표시 패널부(107) 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표면 도전형 소자를 갖는 복수 전자빔 공급원과, 상기 복수 전자빔 공급원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에 의해 조사될 경우에 발광하는 형광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전원이 별도로 준비되고, 전자빔을 가속하기 위한 고압 전압 바이어스가 상기 형광면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고압 전원으로부터 표시 패널부(107)에 공급되는 전류의 평균값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준비되고, 상기 검출된 값은 피사체 화상을 표시한 결과로서 얻어진 휘도 평가로서 간주된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피사체 화상을 표시한 결과로서 얻어진 평가값에 따라, 단위시간에 n개의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의 전체 시간이 변경되도록, 주사회로에서 사용되는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보다 양호한 화상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각각에서는, 피사체 화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이 검출되어,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된다. 평가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더 크면, 휘도가 높아지도록 주사모드가 전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동작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가값이 임계값보다 더 작을 경우, 휘도가 더 높아지도록 주사모드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전술한 것과 같이 주사모드가 전환될 때에 얻어지는 발광 휘도 특성 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어두운 부분은 본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발광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0.05의 임계값에서 주사모드가 전환된다.
도 7의 어두운 영역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0.05의 임계값에서 주사모드가 전환될 경우, 상기 임계값 주위에 휘도 차이가 존재한다. 상기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는 주사모드 전환신호 및 상기 계산된 휘도 평가값과의 상관을 갖는 신호를 휘도 제어부(104)에 출력함으로써, 주사모드 전환 전후의 휘도차이를 감소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부(107)의 각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 요구값 데이터에 해당하는 휘도 데이터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은, 표시 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휘도저하 특성이 도 7의 실선 곡선에 의해 표시되는 특성과 동일해지도록 수행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휘도 평가값이 작을 때에 높은 휘도가 얻어지도록 주사모드가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전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작은 면적부분의 피크 휘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서는, 화상의 작은 면적부분의 특정 영역만 높은 휘도로 표시되어야 할 경우에도, 우수한 화상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이 총총한 밤 하늘에 대한 화상이 표시되어야 할 때, 별의 반짝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더 높은 휘도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화상이 원하는대로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화소 휘도의 총 합으로부터 얻어진 평가값에 따라, 단위시간에 n개의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의 전체 시간이 변경되도록, 주사회로에서 사용되는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더욱 양호한 화상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광 휘도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어두운 부분은 제5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발광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0.05 및 0.3의 임계값에서 주사모드가 전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휘도 평가값이 0.05보다 작거나 0.3보다 클 때, 더 높은 휘도를 얻도록 주사모드가 전환된다.
위와 같이 주사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작은 면적부분과 큰 면적부분에 대한 고휘도 표시 또는 중간휘도 표시의 경우, 해상도를 중시하여 표시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우수한 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어두운 영역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0.05 및 0.3의 임계값에서 주사모드가 전환될 경우, 상기 각 임계값의 전후에서 휘도 차이가 존재한다. 상기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휘도 평가값 검출부(103)는 주사모드 전환신호 및 계산된 휘도 평가값과의 상관을 갖는 신호를 휘도 제어부(104)에 출력함으로써, 주사모드 전환 전후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시 패널부(107)의 각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 요구값 데이터에 해당하는 휘도 데이터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은, 표시 면적에 따라 변동하는 휘도저하 특성이 도 8의 실선 곡선 에 의해 표시되는 특성과 동일해지도록 수행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화소 휘도의 총 합으로 얻어진 휘도 평가값에 따라, 단위시간에 n개의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의 전체 시간이 변경되도록, 주사회로에서 사용되는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더욱 양호한 화상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제6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피사체 화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값에 의거하여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할 화상과 관련되는 보조신호에 따라 주사조건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에서는,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위한 화상신호가 프로그램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결합된다. 상기 속성 정보는 프로그램의 장르, 프로그램의 출연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주사조건이 제어된다. 도 10은 제6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화상표시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성하고 있고, 방송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튜너(1001)와, 튜너(1001)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신호로부터 화상신호와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디멀티플렉서(1002)와, 상기 속성정보를 처리하는 속성정보 처리부(1003)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전자 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EPG 처리부(1004)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1002)에 의해 추출된 정보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05)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6실시예의 다른 국면은, 화상신호 처리부(102)가 EPG 처리부(1004)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 프로그램표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주사모드 결정부(108)는 속성정보 처리부(1003) 또는 EPG 처리부(1004)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거하여 주사조건을 설정하며, 휘도 제어부(104)는 속성정보 처리부(1003) 또는 EPG 처리부(100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휘도제어를 수행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대응하는 국면과 마찬가지이다.
제6실시예에서는, 표시할 프로그램이 영화라는 점을 속성정보 처리부(1003)가 검출하면, 뉴스나 스포츠 프로그램이 표시될 경우에 비해 더 높은 해상도로 표시가 수행될 수 있도록 주사조건이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밝은 화면을 필요로 하는 뉴스나 스포츠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주사조건이 사용된다. 높은 해상도가 더 중시되는 영화 등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된 주사조건이 사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속성에 따라 표시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텔레비전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보조신호에 의해 반드시 운반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얻어진 전자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표시할 화상이 영화속의 화상인 것을 EPG 처리부(1004)가 상기 전자 프로그램 정보 로부터 검출하며, 그 다음에 적당한 주사조건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프로그램의 장르가 각 프로그램의 속성인 것으로 간주되면서, 주사조건이 제어된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송신자가 프로그램이 밝기나 해상도의 어느 것을 필요로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에 따라 동작 조건이 설정되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신호는 반드시 각 프로그램에 대해 설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장면 또는 프레임에 대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장면 또는 프레임에 대해 주사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할 화상이 정지화상인지 또는 동화상인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지화상일 경우에는, 높은 해상도를 얻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주사조건이 선택된다. 동화상일 경우에는, 최대 밝기를 얻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주사조건이 선택된다.
(제7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주사가 수행되어야 할 주사배선에 대응하는 주사라인에 대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 액정표시 패널에 적용될 수도 있다. 통상의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장치의 경우, 기록 동작을 위해 각 주사배선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주사배선에 접속된 소자(화소)에 신호가 기록된다. 그 후, 다음 기록 동작까지 발광(백라이트로부터의 빛 투과)이 수행된다. 본 발명이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 액정 패널에 적당하게 적용될 경우, 백라이트는 전면에서 발광되는 것이 아니다. 그 대신, 선 광원이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발광된다. 이러한 경우, 광원이 순서대로 발광하도록 하는 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회로는 본 발명의 주사회로에 해당한다.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에 의해 조사되는 라인은 발광되어야 할 주사라인이다. 따라서, 발광하는 광원은 순차적으로 전환됨으로써, 발광되어야 할 주사라인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동시에 발광하는 광원의 수가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 또는 각 프로그램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변경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발광되어야 할 주사라인의 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의 유기 EL 패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의 유기 EL 패널의 경우, 기록 주사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의 액정표시 패널과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액정표시 패널과 상이하게, 유기 EL 패널은 자체 발광 디스플레이이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지 않으며,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주사배선이 기록 동작용의 주사배선과는 별도로 사용된다.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주사배선에 선택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는 본 발명의 주사회로에 해당한다. 발광을 허용하는 신호(선택신호)가 인가되는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주사배선의 수가 제어되어, 동시에 선택되는 주사라인이 제어된다.
본 발명은 여러 특정 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각종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수치는 단지 예에 불과하며, 필요하면, 상기한 것과 상이한 수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화소 휘도의 평균값이 계산되고, 상기 계산 결과에 의거한 휘도 평가값에 따라서, 단위시간에 n개의 주사배선의 각각에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의 전체 시간이 변경되도록 주사회로에서 사용되는 주사조건이 변경됨으로써, 고휘도의 표시 화상을 얻을 수 있고, 양호한 화상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3이상의 정수인 n개의 주사라인과,
    각 천이 선택기간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질 주사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주사회로와,
    상기 복수의 주사라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 각각의 화소에 의해 구성된 화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출력하는 평가회로와,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 중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되는 시간의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상기 평가값에 따라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회로는, 상기 평가값으로서, 상기 평가회로로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휘도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값을 계산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회로는, 상기 복수의 화소의 휘도 평균값이 계산될 때, 가중된 휘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회로는, 상기 복수의 화소의 휘도 평균값이 증가될 때,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 또는 화면을 구성하는 일부 화소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회로는, 화상을 표시한 결과로서 얻어지는 값으로,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의 밝기에 대응하는 값을 상기 평가값으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평가값이 소정의 값보다 더 크다고 검출할 경우, 단 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더 높아지도록 상기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평가값이 소정의 값보다 더 작다고 검출할 경우,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더 높아지도록 상기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평가값이 복수의 소정의 값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범위 중에서 어느 범위에 속하는지에 따라,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상기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9. 3이상의 정수인 n개의 주사라인과,
    각 천이 선택기간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으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질 주사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주사회로와,
    상기 복수의 주사라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표시소자와,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 중에 상기 n개의 주사라인 각각이 선택되는 시간의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입력 화상신호와 관련된 보조신호에 따라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을 변경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대상 화상이 정지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대상 화상이 동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에 비해,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주사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대상 화상이 영화속의 화상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보조신호가 표시대상 화상이 스포츠 프로그램의 화상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일 경우에 비해,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주사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 치.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동시에 선택되어야 할 주사라인의 수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두개의 선택기간 모두에서 선택되어야 할 주사라인의 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선택기간의 전체 시간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회로에서의 주사조건이 변경될 경우에 발생하는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휘도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n개의 주사라인을 구성하는 n개의 주사배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는 각각 상기 주사배선 및 상기 변조배선과 접속되며, 상기 주사배선에 인가되는 상기 선택신호와,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되는 변조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50015751A 2004-02-27 2005-02-25 화상표시장치 KR10070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5400 2004-02-27
JP2004055400 2004-02-27
JP2005027351A JP4194567B2 (ja) 2004-02-27 2005-02-03 画像表示装置
JPJP-P-2005-00027351 2005-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217A true KR20060042217A (ko) 2006-05-12
KR100702168B1 KR100702168B1 (ko) 2007-03-30

Family

ID=3484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751A KR100702168B1 (ko) 2004-02-27 2005-02-25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08461B2 (ko)
EP (1) EP1577865A3 (ko)
JP (1) JP4194567B2 (ko)
KR (1) KR100702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21711D0 (en) * 2004-09-30 2004-11-03 Cambridge Display Tech Ltd Multi-line addressing methods and apparatus
GB0421712D0 (en) * 2004-09-30 2004-11-03 Cambridge Display Tech Ltd Multi-line addressing methods and apparatus
GB0421710D0 (en) 2004-09-30 2004-11-03 Cambridge Display Tech Ltd Multi-line addressing methods and apparatus
GB0428191D0 (en) * 2004-12-23 2005-01-26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JP5046355B2 (ja) * 2005-12-26 2012-10-10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映像信号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5041713B2 (ja) 2006-03-13 2012-10-0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エッチング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TW200912848A (en) * 2007-04-26 2009-03-16 Sony Corp Display correction circuit of organic EL panel
KR101388583B1 (ko) * 2007-06-12 2014-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장치,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2009210600A (ja) * 2008-02-29 2009-09-17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とその補正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9210599A (ja) * 2008-02-29 2009-09-17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とその補正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1018012A (ja) * 2009-06-08 2011-01-27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289225B2 (ja) * 2009-07-28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平面型画像表示装置、高圧電源
JP5558766B2 (ja) * 2009-09-24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57564B1 (ko) 2009-12-18 2021-05-3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JP2013054238A (ja) * 2011-09-05 2013-03-21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53531A (ja)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表示装置
US10297191B2 (en) * 2016-01-29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Dynamic net power control for OLED and local dimming LCD displays
JP2017212533A (ja) * 2016-05-24 2017-1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
US10484577B1 (en) * 2017-08-15 2019-11-19 Facebook Technologies, Llc Real-time interleaved multi-scan-out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350B2 (ja) 1998-03-12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S63306495A (ja) 1987-06-08 1988-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トリクス形液晶表示装置
JP3167072B2 (ja) 1992-12-29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A2112431C (en) 1992-12-29 2000-05-09 Masato Yamanobe Electron sour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A2112733C (en) 1993-01-07 1999-03-30 Naoto Nakamura Electron beam-generating apparatus, image-form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s thereof
KR0171913B1 (ko) * 1993-12-28 1999-03-20 사토 후미오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5874933A (en) 1994-08-25 1999-02-23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grad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dual display definition modes
JPH08212944A (ja) 1995-02-01 1996-08-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子ビーム発生源
US5874993A (en) * 1995-04-21 1999-02-23 Eastman Kodak Company Solid state image sensor with selectable resolution
US6020868A (en) 1997-01-09 2000-02-01 Rainbow Displays, Inc. Color-matching data architectures for tiled, flat-panel displays
JP3689519B2 (ja) 1997-02-04 2005-08-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JP2994631B2 (ja) 1997-12-10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dp表示の駆動パルス制御装置
JP3073486B2 (ja) 1998-02-16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線装置及び変調回路及び画像形成装置の駆動方法
KR100317281B1 (ko) * 1998-11-20 2002-01-15 구자홍 자체발광소자의구동방법
JP4096441B2 (ja) 1999-03-18 2008-06-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回路
WO2000060569A1 (fr) 1999-04-05 2000-10-12 Canon Kabushiki Kaisha Source d'electrons et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s
WO2000060568A1 (fr) 1999-04-05 2000-10-12 Canon Kabushiki Kaisha Source d'électrons et dispositif de formation d'images
JP2002123208A (ja) * 2000-10-13 2002-04-26 Nec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6842160B2 (en) 2000-11-21 2005-01-11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minimizing decreases in luminance
JP2002156938A (ja) 2000-11-21 2002-05-31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937906B2 (ja) 2001-05-07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7079161B2 (en) 2001-06-14 2006-07-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US6822628B2 (en) 2001-06-28 2004-11-23 Candescent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mpensating row-to-row brightness variations of a field emission display
JP3893341B2 (ja) 2001-09-28 2007-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調整方法
JP3658362B2 (ja) 2001-11-08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009627B2 (en) * 2001-11-21 2006-03-07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driv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US6952193B2 (en) 2001-12-12 2005-10-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s
JP2004032000A (ja) 2002-05-09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番組表を用いた表示制御装置
AU2003267775A1 (en) 2002-11-08 2004-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for driving a display panel
US7375733B2 (en) * 2004-01-28 2008-05-20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08461B2 (en) 2010-10-05
JP4194567B2 (ja) 2008-12-10
EP1577865A2 (en) 2005-09-21
EP1577865A3 (en) 2006-11-08
JP2005275376A (ja) 2005-10-06
US20050190119A1 (en) 2005-09-01
KR100702168B1 (ko)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168B1 (ko) 화상표시장치
US788916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4540605B2 (ja) 液晶表示装置
US7667720B2 (en) Image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used in same
US799508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81112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isplaying thereof
KR100632919B1 (ko) 화상표시장치
WO2007052452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4341360A (ja) 表示パネルの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KR100655783B1 (ko)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4192140B2 (ja) 液晶表示装置
CN100452135C (zh) 图像显示装置
JP2011013558A (ja) 液晶表示装置
JP461909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2149132A (ja) 液晶表示装置
US74259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and display apparatus
US7545385B2 (en) Increased color depth, dynamic range and temporal response on electronic displays
JP2006017853A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60044220A1 (en) Circuit for driving a display panel
JP2003255882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512220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