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783B1 -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783B1
KR100655783B1 KR1020050007830A KR20050007830A KR100655783B1 KR 100655783 B1 KR100655783 B1 KR 100655783B1 KR 1020050007830 A KR1020050007830 A KR 1020050007830A KR 20050007830 A KR20050007830 A KR 20050007830A KR 100655783 B1 KR100655783 B1 KR 10065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ings
driving
display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488A (ko
Inventor
안도무네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19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101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19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10103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6Passive matrix structure, i.e. with direct application of both column and row voltages to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ther than LCD or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09G2310/021Double addressing, i.e. scanning two or more lines, e.g. lines 2 and 3; 4 and 5, at a time in a first field, followed by scanning two or more lines in another combination, e.g. lines 1 and 2; 3 and 4, in a second fie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는, 1개의 선택가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구동모드에서 산출되고 휘도의 불균일을 보정하는 보정표시신호를 이용하고,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구동모드에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와는 다른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전자방출소자의 특성도
도 3는 단순매트릭스구동의 개념도
도 4는 종래 주사의 타이밍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중복주사의 타이밍도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상보정회로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실제의 보정연산부
도 9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실제의 보정연산부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11은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시패널 2: 주사구동부
3: 변조구동부 4: 동기분리부
5: AD컨버터 6: 제어회로부
7: 화상처리부 8: 승산기
11: 보정메모리 12: 보정메모리
13: 셀렉터스위치 14: 보정연산부
22: 셀렉터스위치 23: 선택전위발생부
24: 비선택전위발생부 31: 시프트레지스터
33: 펄스폭변조회로 34: 구동증폭기
100: 화상표시장치 101: 구동회로
104: I/F부 105: 수신회로
S11: 보정표시신호 S12: 절환신호
S15: 보정신호 S16: 보정신호
S18: 표시보정신호 S19: 보정표시신호
본 발명은 평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정화소구조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각 화소의 발광효율 등의 불균일에 의해 휘도의 균일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234690호 및 동 특개평9-2512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에 대한 구동량을 보정함으로써 휘도의 균일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1)은 표면전도형 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한 표시패널을 나타낸다. 행방향의 주사배선(Dx1)~(Dxm)와 열방향의 변조배선(Dy1)~(Dyn)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각 교차점에는 전자방출소자(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표시패널(1)에는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m행 및 n열의 전자방출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이 소자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가 방출되고, 상기 소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선형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소자에 16V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가 방출되지만, 8V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에는 전자는 거의 방출되지 않는다. 또, 방출된 전자는 가속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속되고 형광체면(도시하지 않음)에 충돌해서 발광한다. 즉, 상기 소자는 16V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발광하지만, 그 반인 8V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발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단순 매트릭스구동이 가능하다.
도 1에 있어서의 (2)는 주사구동부를 나타낸다. 주사구동부(2)는 셀렉터스위치(22), 선택전위발생부(23) 및 비선택전위발생부(24)로 구성되어 있다.
(3)은 변조구동부를 나타낸다. 변조구동부(3)은 또 시프트레지스터(31), 래치(32), 펄스폭 변조회로(33) 및 구동증폭기(34)로 구성되어 있다.
(4)는 동기분리부이고, (5)는 AD컨버터이다. 상기 동기분리부(4)와 AD변화기(5)는 필요한 경우에 설치된다. (6)은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부, (7)은 해상도를 변화하는 화상처리부, (8)은 보정데이터에 의해 표시데이터를 보정하는 승산기, (11)은 보정데이터를 격납하는 보정메모리이다.
(S1)는 장치에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S2)는 아날로그 영상신호(S1)로부터 분리된 동기신호, (S3)는 아날로그 영상신호(S1)를 AD컨버터(5)로 샘플링해서 얻은 디지털영상신호, (S4)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화상처리를 행해서 얻은 표시신호, (S5)는 AD컨버터(5)에 공급되는 변환타이밍신호, (S6)는 화상처리부(7)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상처리 제어신호, (S7)는 시프트레지스터(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상클록신호, (S8)는 변조구동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변조제어신호, (S9)는 펄스폭 변조회로의 동작기준이 되는 PWM클록, (S10)는 주사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사제어신호, (S11)는 보정이 행해진 보정표시신호, (S13)는 보정메모리(11)로부터의 데이터출력타이밍을 제어하는 보정메모리 제어신호, (S15)는 보정메모리(11)로부터 판독된 보정신호이다.
장치에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S1)로부터 동기분리부(4)에 의해 추출된 동기신호(S2)는 제어회로부(6)에 입력된다.
제어회로부(6)은 동기신호(S2)로부터 각종 구동제어신호(S5) 및 (S13)를 생성한다.
AD컨버터(5)는 변환타이밍신호(S5)에 따라 아날로그 영상신호(S1)를 입력하고 샘플링해서 디지털 영상신호(S3)를 출력한다.
화상처리부(7)은 다지털 영상신호(S3)를 입력하고, 화상조정이나 해상도 변환 등의 화상처리를 행해서 표시신호(S4)를 출력한다.
보정메모리(11)은 보정메모리 제어신호(S13)에 따라 보정신호(S15)를 출력한 다. 승산기(8)은 표시신호(S4) 및 보정신호(S15)를 입력하고, 양 신호를 곱해서 보정표시신호(S11)를 출력한다.
주사구동부(2) 및 변조구동부(3)이 표시패널(1)을 구동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 때의 타이밍을 도 3에 나타낸다.
변조구동부(3)은 영상클록신호(S7)에 동기해서 보정표시신호(S11)를 시프트레지스터(31)에 순서대로 입력하고, 변조제어신호(S8)의 LOAD신호에 따라 래치(32)에 표시데이터를 유지한다. 다음에, 변조제어신호(S8)의 START신호에 의해 PWM클록(S9)를 기준으로 해서 래치(32)에, 유지된 데이터에 따른 길이의 펄스신호를 펄스폭 변조회로(33)로 생성하고, 구동증폭기(34)에 의해 그 전압을 (Vm)으로 증폭해서 표시패널(1)의 변조배선을 구동한다.
보정메모리(11)에는 표시패널(1)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보정데이터가 격납되고 있다.
표시패널(1)의 각 화소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신호(S4)를 D(x, y)[여기서, 1≤x≤n, 1≤y≤m이고, 이하 동일함], 1프레임중에 각각의 발광소자에 표시신호(S4) 혹은 보정표시신호(S11)에 의거해서 인가된 전력의 전체 합계를 구동량 V(x, y), 각 소자의 발광량을 P(x, y), 그리고 각 소자의 상대발광효율(전체소자의 발광효율의 평균으로 정규화한 개개의 발광효율, 평균적인 소자는 1이고, 효율이 나쁜, 즉 어두운 소자는 1이하가 된다)를 K(x, y)로 한다.
표시소자의 발광량은 표시소자에 인가된 구동량에 비례하므로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P(x, y) ∝ V(x, y) ‥‥ [식 1]
보정을 않는 경우에는, 표시하려고 하는 화상에 대해서 소자의 발광효율의 불균일이 영향을 주고, 따라서 표시패널(1)에는,
P(x, y) ∝ D(x, y) × K(x, y) ‥‥[식 2]
로 되는 화상이 형성되고, 이것이 화상을 거칠고 얼룩져 보이게 한다.
여기서, 각 소자의 발광효율 K(x, y)의 역수를 보정계수 Q(x, y)로 해서 보정메모리(11)에 격납해 둔다. 보정계수Q(x, y)는 각 소자의 휘도불균일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이며, 각 소자에 대해서 구한다. 승산기(8)에 의해 표시신호(S4)의 D(x, y)에 보정치의 보정신호(S15)의 Q(x, y)를 곱하고, 보정표시신호(S11)인 D(x, y) × Q(x, y)에 의해 표시패널(1)을 구동하면, 소자의 발광효율이 영향을 주어, 표시패널(1)에는,
P(x, y) ∝ D(x, y) × Q(x, y) × K(x, y) ‥‥[식 3]
으로 되는 화상이 형성된다. Q(x, y)는 K(x, y)의 역수이기 때문에, 각 소자의 발광효율의 불균일이 없어진 P(x, y) ∝ D(x, y)에 의한 화상이 형성된다. 즉 균일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 특히 민생용 기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밝은 화면이 선호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민생용 기기에서는, 동시에 코스트에 대한 요구도 항상 엄격하고, 따라서 코스트 다운은 해결이 항상 요구되는 과제이다. 한편으로, 화상표시장치의 성능의 지표로서 표시화상의 화질, 특히 화소의 휘도 균일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밝은 화면 및 고화질의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고 휘도의 불균일을 보정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주사모드에서의 제 1보정계수와는 다른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제 2구동모드에서 야기된 휘도의 에러를 보상하도록 제 1구동모드에서의 제 1보정계수와 표시신호에 따라 매회 새로 계산된 보정표시신호에 근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 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사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표시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과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 는 제2 구동모드를 가지고, 제 1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 및 제 2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2보정계수를 미리 메모리에 격납하고, 각 구동모드에 따른 제 1보정계수 또는 제 2보정계수 중 하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씩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미리 메모리에 격납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휘도의 에러를 보상하도록 표시신호와 제 1보정계수에 따라 매회 새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가지고, 이 공정에 의해,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며,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메모리에 미리 격납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에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 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이 공정에 의해,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가 구동하며,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에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로 구성된 제 2보정계수를 미리 메모리에 격납하고,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보정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메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고 휘도의 불균일을 보정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의 제 1보정계수와는 다른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 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있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의 제 1보정계수와 표시신호에 따라 보정연산부에 의해 매회 새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해서 제 2구동모드에서 야기되는 휘도의 에러를 보상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메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1 보정게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메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와, 제 2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2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각 구동모드에 따른 제 1보정계수 또는 제 2보정계수 중 어느하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메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구동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함으로써 야기되는 휘도의 에러를 보상하도록 표시신호 및 제 1보정계수에 따라 매회 새로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는 보정연산부와;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구동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는 보정연산부와;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구동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 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로 구성된 제 2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보정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양상중 어느 한 양상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와, 텔레비젼신호를 수신해서 화상표시장치에 화상데이터를 공급하는 수신회로를 구비한 텔레비젼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의 표시패널의 휘도불균일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고, 화면이 밝고 휘도가 아주 균일한 화상표시장치를 저가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만 한정된다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종래 기술로 설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각 주사배선(Dxm)을, 2개의 연속한 수평주사기간 사이에서 액티브하게 되도록, 그리고 각 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 인접한 주사배선의 2개의 라인이 동시에 선택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표시패널(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를 거의 2배로 할 수 있다. 이 구동 방법을 "중복주사모드"로 칭한다. 또, 중복주사모드를 개념적으로 넓게 표현하면,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이 동시에 선택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이 선택되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또, 각 수평주사기간에 있어서 주사배선의 1라인이 선택되도록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통상의 구동방법을 "통상의 주사모드"로 칭한다.
이러한 중복주사모드는 통상의 화상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고, 따라서 화상표시장치의 휘도를 저 코스트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는, 주사배선의 2개의 라인이 동시에 구동되어서, 본 발명의 종래기술란에 기재된 통상의 주사모드에 있어서의 보정계수 Q(x, y)에 의해 2개의 발광소자의 휘도불균일을 보정할 수 없다. 보정계수 Q(x, y)는 각 소자의 휘도불균일을 보정하도록 되어있고, 각 소자에 대해서 구한다. 이 이유로, 하나의 소자에 대한 보정계수 Q(x, y)를 다른 소자에 이용해도, 휘도불균일을 보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발광하는 2개의 소자의 휘도불균일을 보정하는 보정계수 q(x, y), q′(x, y)를 중복주사기간모드에 이용해서 발광효율의 불균일을 감소시킨다. 즉, 보정계수 q(x, y), q′(x, y)는 동시에 발광하는 2개의 소자의 휘도불균일을 함께 보정하도록 되어 있고, 각 소자에 대해서 구하지 않는다.
보정계수 q(x, y), q′(x, y)는, 표시신호에 의거해서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 동시에 발광하는 2개의 소자의 실제의 휘도가 소망의 휘도로 되도록 에러를 보상한다.
통상의 주사모드와 중복주사모드 사이의 절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입력영상신호가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과 같은 고휘도를 필요로 하지않는 종류의 신호이면, 해상도에 보다 높은 우선권이 부여되고, 따라서 통상의 주사모드가 선택되는 반면에, 입력영상신호가 NTSC신호와 같은 높은 휘도가 요구되는 종류의 신호이면, 휘도에 보다 높은 우선권이 부여되며, 따라서 중복주사모드가 선택된다.
또, 사용자가 밝기를 조정할 것을 요구할 때에는, 영화, 그래픽영상과 같은, 표시되는 내용의 종류에 따라서, 통상의 주사모드와 중복주사모드사이에서 모드를 절환할 수 있다.
(제 1실시예)
표시패널(1)을 구동하는 방법의 하나의 응용으로서 상기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는, 2라인 이상의 주사배선(Dx1)~(Dxm)을 동시에 액티브하게 함으로써 표시패널(1)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중복주사모드가 이용되는 타이밍을 도5에 나타낸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14)는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 보정연산을 실시하는 보정연산부이다. (13)은 통상의 주사모드에 적응한 보정표시신호(S18)와 중복주사모드에 적응한 다중 보정표시신호(S19)사이를 절환하는 셀렉터 스위치이다. 다른 구성은 도1에 도시한 종래의 화상표시장 치와 같다.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 표시신호(S4)로서의 D(x, y)[1≤x≤n, 1≤y≤m]은 대응하는 표시소자(x, y)와 인접하는 바로 아래의 주사선의 표시소자(x, y+1)는 D(x, y)에 의해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표시소자(x, y+1)과 표시소자(x, y+2)는 표시신호D(x, y+1)에 의해 구동된다.
즉, 다음식이 적용되는 것은 명백하다.
V(x, y) = D(x, y-1) + D(x, y) ‥‥ [식 4]
위치(x, y)에서의 소자의 화소발광효율은 K(x, y)이므로, 각 화소는, 다음의 발광량으로 발광한다.
P(x, y)
Figure 112005005129983-pat00001
K(x, y) × (D(x, y-1) + D(x, y)) ‥‥ [식 5]
이것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K(x, y)의 역수인 보정계수Q(x, y)를 이용해서
V(x, y) = (D(x, y-1) + D(x, y)) × Q(x, y) ‥‥ [식 6]
도 7에 나타낸 보정회로에 의한 중복주사모드용의 보정계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해서, 그 보정계수를 q(x, y)로 한다. 보정표시신호(S11)로서의 D(x, y)×q(x, y)에 의해 소자(x, y) 및 소자(x, y+1)가 동시에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D(x, y+1) × q(x, y+1)에 의해 소자(x, y+1) 및 소자(x, y+2)가 구동된다.
즉, 다음의 식이 적용된다.
V(x, y) = D(x, y-1) × q(x, y-1) + D(x, y) × q(x, y) ‥‥ [식 7]
상기 [식 6] 및 [식 7]을 이용해서, 다음의 식:
(D(x, y-1) + D(x, y)) × Q(x, y) =
D(x, y-1) × q(x, y-1) + D(x, y) × q(x, y) ‥‥ [식 8]
을 푸는 것에 의해 중복주사모드용의 보정계수q(x, y)를 구할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여기서, 소자(x, 0)는 표시영역 외의 소자이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고 구동도 되지않는 소자이기 때문에, D(x, 0) = 0으로 하면, 다음의 식이 얻어진다.
q(x, y) = Q(x, y){여기서, y = 1}
q(x, y) = {(D(x, y-1) + D(x, y)) × Q(x, y) - D(x, y-1) × q(x, y-1)} / D(x, y)
{여기서, 2≤y≤m} ‥‥ [식 9]
[식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의 보정신호(보정계수(q(x, y))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주사선의 이전라인의 표시신호 및 보정신호(보정계수q(x, y))가 참조된다. 이것은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보정신호(보정계수q(x, y))의 값이 변화하고, 미리 정해진 고정의 보정치(보정계수)를 테이블에 의해 참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는, 표시내용과 통상주사모드시의 보정신호(보정계수q(x, y))에 따라 그때마다 보정신호(보정계수q(x, y))를 새로 산출할 필요가 있다.
보정신호(보정계수q(x, y))의 산출식을 변경함으로써, 중복보정표시신호(S19)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D(x, y) × q(x, y) = D(x, y) × Q(x, y) {여기서, y =1}
D(x, y) × q(x, y) = (D(x, x-1) + D(x, y)) × Q(x, y) - D(x, y-1) × q (x, y-1)
{여기서, 2≤y≤m} ‥‥ [식 10]
따라서, 실제의 장치에서는, 보정연산부(14)를 도 8에 도시한 구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면중의 [1L-Delay]는 FIFO 등을 이용한 1주사선 분의 딜레이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D(x, y)를 입력하면, D(x, y-1)가 꺼내진다.
(S18)는 도 1A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이다. 절환신호(S12)는 통상의 주사모드 및 중복주사모드에 따라 제어회로 (6)로부터 출력되고, 셀렉터스위치(13)을 제어함으로써, 통상의 주사모드시에는, 통상의 주사모드에 적응한 표시보정신호(S18)를 보정표시신호(S11)로서 출력하고, 중복주사모드시에는, 중복주사모드에 대응하는 표시보정신호(S19)를 보정표시신호(S11)로서 출력한다.
그 외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중복주사모드에서 양호한 휘도보정을 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실현 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간략화한 보정방법을 이용해서 중복주사모드에서 보정을 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저코스트로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정연산부(14)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이 구성의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중복주사에서 동시에 발광하는 표시소자의 발광효율의 역수의 평균치, 즉,
q'(x, y) = (Q(x, y) + Q(x, y+1)) / 2 ‥‥ [식 11]
를 보정신호(S15)로서 사용한다.
그 외의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 타이밍은 도 6에 도시한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이 방식에 있어서는, 중복주사에 기인하는 필터링 효과에 의해 보정신호의 수직분해능이 약간 저하하지만, 화면 전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에 여전히 우수한 보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보정의 효과보다 장치의 코스트가 더 중요한 경우나, 인접한 소자의 특성의 불균일이 작고, 화면 전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을 중점적으로 보정하는 경우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제 2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간략화한 구성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는, q'(x, y)에 상당하는 보정신호를 미리 테이블에 격납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도 10에 도시한다. (11')은 통상주사모드시의 보정계수Q(x, y)를 격납하는 보정메모리(A), (12)는 중복주사모드시의 보정계수q'(x, y)를 격납하는 보정메모리(B), (13)은 주사모드에 응해서 보정신호를 절환하는 셀렉터스위치이다.
통상의 주사모드에 있어서는, 셀렉터스위치(13)은 보정신호(S15)로서 통상주사모드용의 보정치의 보정신호(S16)인 보정계수Q(x, y)를 선택한다.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는, 절환스위치(13)은 보정신호(S15)로서 중복주사모드용의 보정치의 보 정신호(S17)인 보정계수q'(x, y)를 선택한다.
이 장치의 다른 구성이나 동작타이밍은 도 6에 도시한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장치와 거의 같다.
본 실시예도 제 2실시예와 같이, 보정의 효과보다 장치의 코스트가 더 중요해지는 경우나, 인접한 소자의 특성의 불균일이 작고, 화면전체에 있어서의 휘도불균일을 중점적으로 보정하는 경우 역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 4실시예)
제 1실시예에서 도시한 구성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의 주사모드에서 구동되지 않고, 중복주사모드에서만 구동되는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도 11에 도시한다.
(14)는 중복주사모드시에 보정연산을 하는 보정연산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산기(8)는 설치되지 않는다.
표시패널은 중복주사모드시에만 구동되기 때문에, 보정연산부(14)에 의해 중복주사모드에 적응한 표시보정신호(S19)가 산출되어 출력된다.
이 장치의 다른 구성 및 동작타이밍은 도 6에 도시한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장치와 거의 같다.
본 실시예는 중복주사모드시에만 화상표시장치가 구동되는 것이 명백하고, 종래의 화상표시장치가 적용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가 중복주사모드에서만 구동되는 변형예이지만, 마찬가지로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를 중복주사모드 에서만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다.
(텔레비젼장치의 실시예)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장치의 블록도이다. 수신회로(105)는 튜너, 디코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성방송 및 지상파방송의 텔레비젼신호, 네트워크를 개재한 데이터 방송 등을 수신해서 해독된 화상데이터를 I/F부(104)에 출력한다. I/F부는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장치(100)의 표시포맷으로 변환해서 화상표시장치(100)에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 구동회로(101) 및 제어회로(6)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회로(6)는 입력영상데이터에 보정처리 등의, 표시패널(1)에 적합한 화상처리를 하고, 화상데이터와 각종 제어신호를 구동회로(101)에 출력한다.
구동회로(101)는 주사구동부(2), 변조구동부(3)를 포함하며, 입력화상데이터에 응해서 표시패널(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텔레비젼 화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수신회로(105) 및 I/F부(104)는 화상표시장치(100)이외의 박스인 셋톱박스(STB)(103)에 격납해도 되고, 또는 화상표시장치(100)와 동일한 박스에 격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복주사모드에 있어서의 표시패널의 휘도불균일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고, 화면이 밝고 휘도가 아주 균일한 화상표시장치를 저가로 공급할 수 있다.

Claims (19)

  1.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고 휘도의 불균일을 보정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구동모드에 있어서의 제 1보정계수와는 다른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한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제 2구동모드에서 야기된 휘도의 오차를 보상하도록 제 1구동모드에서의 제 1보정계수와 표시신호에 따라 매회 새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총수 n개의 변조배선중 x번째의 배선과, 총수 m개의 주사배선중 y번째 배선의 교차점(x, y)에 위치하는 표시소자에 대한 표시신호를 D(x, y)라 하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Q(x, y)로 했을 때, 상기 제 2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2보정계수 q(x, y)는,
    q(x, y) = Q(x, y){여기서, y = 1}
    q(x, y) = {(D(x, y-1) + D(x, y)) × Q(x, y) - D(x, y-1) × q(x, y-1)} /
    D(x, y) {여기서, 2≤y≤m}
    으로 표현되고,
    상기 제 2보정계수q(x, y)에 근거해서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의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표시신호에 의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합계 총수 n개의 변조배선중 x번째의 배선과 총수 m개의 주사배선중 y번째의 배선의 교차점(x, y)에 위치하는 표시소자에 대한 표시신호를 D(x, y)라 하고, 상기 제 1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Q(x, y)로 했을 때, 상기 제 2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2보정계수 q(x, y)는,
    q(x, y) = (Q(x, y) + Q(x, y+1)) / 2
    로 표현되고,
    상기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의 보정표시신호는 상기 제 2보정계수q(x, y)에 근거해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1개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1개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를 가지고,
    제 1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와 제 2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2보정계수를 미리 메모리에 격납하고, 각 구동모드에 따른 제 1보정계수 또는 제 2보정계수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표시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이 공정에 의해,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씩 주사배선을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메모리에 미리 격납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휘도 오차를 보상하도록 표시신호와 제 1보정계수에 따라 매회 새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총수 n개의 변조배선중 x번째 배선과, 총수 m개의 주사배선중 y번째 배선의 교차점(x, y)에 위치한 표시소자에 대한 표시신호를 D(x, y)로 하고, 제 1보정계수를 Q(x, y)로 했을 때,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 2보정계수 q(x, y)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q(x, y) = Q(x, y) {여기서, y=1}
    q(x, y) = {(D(x, y-1) + D(x, y)) × Q(x, y) - D(x, y-1) × q(x, y-1)} /
    D(x, y) {여기서, 2≤y≤m}
  9.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 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가지고, 이 공정에 의해,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며,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미리 메모리에 격납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에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산출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총수 n개의 변조배선중 x번째 배선과 총수 m개의 주사배선중 y번째 배선의 교차점(x, y)에 위치한 표시장치에 대한 표시신호를 D(x, y)로 하고, 제 1보정계수를 Q(x, y)로 했을 때,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보정계수 q(x, y)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q(x, y) = (Q(x, y) + Q(x, y+1)) / 2
  11.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을 가지고,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변조배선에 병렬적으로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구동방법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이 공정에 의해,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공정에 있어서 같은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로 구성된 제 2보정계수를 메모리에 미리 격납하고,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보정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고 휘도의 불균일을 보정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제 1구동모드에서의 제 1보정계수와는 다른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
  13.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의 제 1보정계수와 표시신호에 따라 보정연산부에 의해 매회 새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해서 제 2구동모드에서 야기된 휘도의 오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 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있어서는,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고, 제 2구동모드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
  15.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 하나의 주사배선만을 선택하는 제 1구동모드와;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상기 화상표지상치를 구동하는 제 2구동모드와;
    제 1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와 제 2구동모드에 대응하는 제 2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각 구동모드에 따른 제 1보정계수 또는 제 2보정계수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
  16.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도록, 구동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구동되며,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함으로써 야기되는 휘도의 오차를 보상하도록 표시신호 및 제 1보정계수에 따라 매회 새로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는 보정연산부와;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
  17.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구동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 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를 이용해서 보정표시신호를 산출하는 보정연산부와; 상기 산출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표시장치.
  18. 복수의 표시소자와; 상기 복수의 표시소자에 접속되고,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사배선 및 복수의 변조배선과; 상기 주사배선을 순서대로 선택해서 선택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선택신호와 동기해서 표시신호에 근거한 변조신호를 병렬적으로 상기 변조배선에 인가해서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하고, 다음의 선택기간에 있어서는, 이전의 선택기간에서 선택된 복수의 주사배선으로부터 1주사배선만큼 시프트시킨 복수의 주사배선을 선택하도록, 구동되고,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지 않고 주사배선을 하나씩 선택하는 구동방법에 있어서의 각 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복수의 주사배선을 동시에 선택해서 구동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변조신호로 구동되는 표시소자에 대응하는 제 1보정계수의 평균치로 구성된 제 2보정계수를 미리 격납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 2보정계수를 이용해서 보정된 보정표시신호에 의거해서 변조신호를 출력하도록 화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 상표시장치.
  19. 제 12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표시장치와, 텔레비젼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에 화상데이터를 공급하는 수신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텔레비젼장치.
KR1020050007830A 2004-01-28 2005-01-28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655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9679A JP4110102B2 (ja) 2004-01-28 2004-01-28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4019680A JP4110103B2 (ja) 2004-01-28 2004-01-28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JP-P-2004-00019679 2004-01-28
JPJP-P-2004-00019680 200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488A KR20050077488A (ko) 2005-08-02
KR100655783B1 true KR100655783B1 (ko) 2006-12-22

Family

ID=3484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30A KR100655783B1 (ko) 2004-01-28 2005-01-28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375733B2 (ko)
KR (1) KR100655783B1 (ko)
CN (1) CN1004777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5733B2 (en) * 2004-01-28 2008-05-20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JP4194567B2 (ja) * 2004-02-2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127121B2 (ja) * 2004-09-14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PT1889198E (pt) 2005-04-28 2015-03-06 Proteus Digital Health Inc Sistema fármaco-informático
JP4222426B2 (ja) * 2006-09-26 2009-0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995002B2 (en) * 2007-09-19 2011-08-09 Global Oled Technology Llc Tiled pass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JP4865005B2 (ja) * 2009-05-08 2012-02-01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N105913818B (zh) * 2016-06-07 2018-06-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栅极驱动器的扫描补偿方法和扫描补偿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9864A1 (fr) 2001-01-26 2002-08-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sseur de signal
KR20030091154A (ko) * 2002-05-24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의 구동회로
KR20040004843A (ko) * 2002-07-05 2004-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620A (ja) * 1991-07-27 1994-03-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画像表示装置
US6258137B1 (en) * 1992-02-05 2001-07-10 Saint-Gobain Industrial Ceramics, Inc. CMP products
JP3311201B2 (ja) * 1994-06-08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251466B2 (ja) * 1994-06-13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複数の冷陰極素子を備えた電子線発生装置、並びにその駆動方法、並びにそれを応用した画像形成装置
US5874933A (en) * 1994-08-25 1999-02-23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grad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dual display definition modes
JPH08234690A (ja) 1994-12-28 1996-09-13 Canon Inc 電子発生装置と画像表示装置、それら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回路
JPH09251276A (ja) 1996-03-15 1997-09-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電子放出特性の補正方法
DE60023575T2 (de) * 1999-02-26 2006-07-13 Canon K.K. Bildanzeigesteuersystem und -verfahren
JP3686869B2 (ja) * 2002-02-06 2005-08-24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信号補正回路
JP3789108B2 (ja) 2002-10-09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774704B2 (ja) * 2003-03-04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その方法
US7375733B2 (en) * 2004-01-28 2008-05-20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9864A1 (fr) 2001-01-26 2002-08-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sseur de signal
KR20030091154A (ko) * 2002-05-24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의 구동회로
KR20040004843A (ko) * 2002-07-05 2004-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79707A1 (en) 2005-08-18
CN100477763C (zh) 2009-04-08
CN1648987A (zh) 2005-08-03
KR20050077488A (ko) 2005-08-02
US20080218536A1 (en) 2008-09-11
US7375733B2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783B1 (ko) 화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3789108B2 (ja) 画像表示装置
US799508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70273713A1 (en) Driving a matrix display
WO2007052452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100632919B1 (ko) 화상표시장치
JP2004341360A (ja) 表示パネルの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US7277105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trix panel
JP2005043829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ドライバー及び画面表示方法
EP1600918A2 (en) Display module, drive method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02311885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774704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その方法
US7307611B2 (en) Driving method for LCD panel
JP2003134418A (ja) 駆動制御装置、映像表示装置、駆動制御方法及び設計資産
JP4110102B2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110103B2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8154557B2 (en) Flat-panel display device
JP5017885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044220A1 (en) Circuit for driving a display panel
JP2002372943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0008598A (ja) 映像表示装置
JP2008026800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174272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252289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