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669A -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lan 통신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lan 통신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669A
KR20060041669A KR1020050010209A KR20050010209A KR20060041669A KR 20060041669 A KR20060041669 A KR 20060041669A KR 1020050010209 A KR1020050010209 A KR 1020050010209A KR 20050010209 A KR20050010209 A KR 20050010209A KR 20060041669 A KR20060041669 A KR 2006004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lan
communication
lan relay
relay device
registr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172B1 (ko
Inventor
타카시 이시도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버팔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버팔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버팔로
Publication of KR2006004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LAN 단말과 무선 LAN 중계장치와 등록설정이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에 관한 무선 LAN 통신시스템(1)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20)이 통신 프로파일 등록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필요하면 무선 LAN 중계장치(10)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등록작업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단, 무선 LAN 중계장치(10)를 등록요구 접수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등록처리실행의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클라이언드 단말(20)과의 사이에서 등록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등록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보안이 좋은 무선 LAN 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LAN COMMUNICATION PROGRAM}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무선 LAN 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LAN 중계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3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4는 프로파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통신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LAN 통신시스템 10 … 무선 LAN 중계장치
11 … 등록 접수 스위치 12 … 라우터부
13 … 무선부 14,25 … CPU
15,24 … ROM 16,23 … RAM
17 … EEPROM 17a,26d … 프로파일 리스트
18 … 타이머 20,30 … 클라이언트 단말
20a … 버스 21 … 무선 LAN 카드
22 … 버스 인터페이스 26 … 하드디스크
26a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L)
26b … 오퍼레이팅 시스템(OS)
26c … 통신 드라이버 60 … 인터넷
본 발명은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무선 LAN 통신시스템은, 무선 LAN 단말에 있어서 신규의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무선 LAN 단말에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을 등록해야만 한다. 통신 프로파일의 등록에 있어서는, 무선 LAN 중계장치의 식별자(예컨대, ESSID: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나 보안 레벨이나 주파수 정보 등이라는 복수의 설정항목에 대해서 입력해야만 하고, 초심자에게는 어렵고 번잡하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무선 LAN 단말 및 무선 LAN 중계장치 양쪽에 등록개시 스위치를 설치하고, 그 스위치가 양쪽 모두 유효하게 될 때에 무선 LAN 중계장치와 무선 LAN 단말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무선 LAN 단말 및 무선 LAN 중계장치 양쪽에 등록개시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좋아, 누구나 간단하게 등록을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3-408011호 공보
그러나, 상기 무선 LAN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 LAN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설정항목에 대한 입력을 하지 않아도 좋지만, 전과 다름없이 무선 LAN 단말과 무선 LAN 중계장치 양쪽의 등록개시 스위치를 눌러야만 한다는 번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무선 LAN 단말과 무선 LAN 중계장치 양쪽에 있어서의 등록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1에 관한 발명은, 소정의 전파에 데이터를 반송시킴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한 무선 LAN 중계장치와 무선 LAN 단말을 구비하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 단말은, 복수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을 기억할 수 있는 프로파일 리스트와,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 고유의 고유신호를 수신하는 고유신호 접수수단과, 상기 고유신호 접수수단에 의해 접수된 상기 고유신호가 상기 통신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일 때 등록요구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해서 응답 발신하는 등록요구수단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의해 상기 등록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상기 통신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갱신시키는 등록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LAN 중계장치는,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의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고유신호 발신수단과,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유신호에 응답되는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등록요구 접수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무선 LAN 통신시스템은 적어도 무선 LAN 중계장치와 무선 LAN 단말을 구비하고, 양자는 데이터를 소정의 전파에 반송시킴으로써 상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LAN 단말은, 복수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이 기억되는 프로파일 리스트를 구비하고있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억된 상기 통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 통신을 실행시킨다.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는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 고유의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무선 LAN 단말의 고유신호 접수수단은 이것을 접수한다.
그리고, 등록요구수단은, 상기 접수된 상기 고유신호가 상기 통신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일 때 등록요구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해서 응답 발신시킨다.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의 등록요구 접수수단은 상기 무선 LAN 단말로부터 응답 발신된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LAN 단말의 등록처리수단은,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서 상기 등록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상기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갱신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미등록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 상기 무선 LAN 단말 사이에 등록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고, 이후는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 상기 무선 LAN 단말로 무선 LAN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미등록이 이미 등록된 것인지를 상기 무선 LAN 단말이 판정하고, 미등록인 경우에 한해 상기 무선 LAN 단말이 상기 등록요구를 발신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무선 LAN 단말에 대한 등록의 필요성을 판정하고, 등록을 요구하는 조작을 상기 무선 LAN 단말에서 행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무선 LAN 단말로부터의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미등록의 상기 무선 LAN 단말에 대한 등록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상기 무선 LAN 단말에 대해서 제멋대로 등록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에 관한 발명은, 상기 등록요구 접수수단은,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무선 LAN 단말로부터의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의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상기 무선 LAN 단말에 대해서 등록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3에 관한 발명은, 상기 등록요구 접수수단은,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가장 먼저 수신된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록요구 접수수단이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가장 먼저 접수된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상기 무선 LAN 단말에 대해서 등록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등록인 것을 무선 LAN 단말이 판정하여 등록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은 반드시 실체가 있는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방법의 발명으로서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이 실현되는 대상은 소프프웨어이거나 하드웨어이거나 하는 것 등, 적당하게 변경가능하다. 그 일례로서,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으로서 발명을 특정하고 있다. 발명의 사상의 구현화예로서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로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기록매체 상에 있어서도 당연히 존재하고, 이용된다. 물론, 그 기록매체로서는, 자기기록매체이어도 좋고 광자기기록매체이어도 좋고, 금후 개발되는 어떠한 기록매체에 있어서도 모두 마찬가지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1차 복제품, 2차 복제품 등의 복제단계에 대해서는 전혀 물을 여지도 없이 동등하다. 상기 매체와는 다르지만, 공급방법으로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이면 통신회선이 전송매체로 되어 본 발명이 이용되게 된다. 또한, 이들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2~청구항3에 대응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하기의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무선 LAN 통신시스템의 하드웨어구성:
(2) 무선 LAN 통신시스템의 동작:
(3) 요약
(1) 무선 LAN 통신시스템의 하드웨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무선 LAN 통신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케이블(유선)접속에 의해 인터넷(WAN)(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무선통신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0,30) 등과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0,30)은 무선 LAN 중계장치(10)를 통해서 인터넷(WAN)(60)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클라이언트 단말(20,30)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개략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환가능한 등록 접수 스위치(11), 및, 외부의 인터넷에 대해서 광케이블 등의 유선환경에서 접속하는 라우터부(12)와 무선매체를 통해서 외부의 무선단말과 네트워크 접속가능한 무선부(13)라는 3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CPU(14)가 ROM(15)이나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EEPROM(17)에 기록된 펌웨어나 데이터를 읽으면서 적당 RAM(16)에 액세스하여 데이터의 일시 기억을 행하고, 동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네트워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의 매개를 행하고 있다.
이들 인터페이스에 관해서는, 범용적인 기술을 적용한 각종 회로에서 실현가능하다. 또한, 무선부(13)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안테나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회로(BBP)나 무선회로(RF) 등이 구비되고, 전자데이터를 전파에 반송시켜 송신하는 처리나, 수신된 전파로부터 전자데이터를 복원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IEEE802.11b 규격을 적용하고 있고, 2.4㎓대역의 전파에 패킷 분할한 전자데이터 등을 반송시키고 있다.
도 3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 블록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무선 LAN 카드를 탑재한 노트형 퍼스널컴퓨터(PC)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노트형 PC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스크탑형 PC이어도 좋고 PDA나 휴대전화 등이어도 좋다. 또한,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정보가전기기이어도 좋다.
도 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0)은 버스(20a)를 구비하고 있고, 그 버스(20a)에 CPU(25)와 ROM(24)과 RAM(23)과 버스 인터페이스(I/F)(22)와 하드디스크(HDD)(26)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디스플레이 I/F나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입력 I/F 등도 접속되어 있다. 하드디스크(26)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L)(26a)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OS)(26b)이나 통신 드라이버(26c)나 프로파일 리스트(26d) 등이 기억되어 있다. 버스 I/F(22)에는 외부접속기기로서 무선 LAN 카드(21)가 접속되어 있고, 그 무선 LAN 카드(21)에도 안테나나 BBP나 무선회로 RF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프로파일 리스트(26d)를 표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각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부여되는 각 프로파일 ID에 대해서 소정의 설정항목이 등록되어 있다. 설정항목으로서는, 통신 상대가 되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명칭이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10) 고유의 식별자(ESSID)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적용하는 암호화방식이나, 암호키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무선 채널 등이 설정되어 있다. ESSID는 무선 LAN 중계장치 고유의 식별자이고, 상기 ESSID에 의해 통신 상대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혼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무선 LAN 중계장치(10) 고유의 식별자이면 좋고, MAC 어드레스 등도 이용할 수도 있다.
암호화방식은, 송수신되는 패킷이 방해자에게 판독되지 않도록 암호화하기 위한 방식이고, 예컨대 WEP(Wired Equivalent Privacy)방식이나, WPA(Wi-Fi Protected Access)방식이 IEEE802.11b 규격에 있어서 표준화되어 있다. 암호키는, 대상이 되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와의 사이에서 무작위로 결정된 소정 길이의 데이터이고, 상기 암호방식에 준하여 암호화나 복호화를 행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키 데이터이다. 따라서, 공통된 암호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이더라도 미리 암호키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통신을 행할 수 없다. 무선 채널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로 시분할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채널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무선 LAN 중계장치(10)마다 소정의 통신 프로파일을 기억시켜 둠으로써, 통신 드라이버(26c)는 통신가능한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을 판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프로파일 리스트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EEPROM(17)에도 프로파일 리스트(17a)로서 구비되어 있고, 각 클라이 언트 단말(20) 등을 대상으로 하여 마찬가지의 설정항목이 등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클라이언트 단말(20)이 등록된 상대에 대해서 등록 종료의 통신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상호 통신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나 확실성이 높은 데이터 통신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2) 무선 LAN 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5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클라이언트 단말(20)에서 행해지는 통신처리의 흐름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내고 있다.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있어서는, 등록 접수 스위치(11)이 설치되어 있고 스텝Sa1에 있어서는 상기 등록 접수 스위치(11)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a1에서 등록 접수 스위치(11)가 눌려진 경우에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있어서 등록요구 접수모드를 실행시키고, 상기 등록 접수 스위치(11)가 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있어서 통상 모드를 실행시킨다.
(a) 통상 모드의 동작에 대해서:
(a-1) 이미 등록된 경우
등록 접수 스위치(11)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모드로 하여 스텝Sa3에 있어서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고유신호를 의미하는 ESSID를 비컨으로서 발신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스텝Sc1에서 상기 비컨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스텝Sc2에서 상기 접수된 비컨으로부터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식별자인 ESSID를 판독한다. 그리고, 그 판독된 ESSID가 프로파일 리스트(26d)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등록되어 있는 것이면 스텝Sc6에서 통신을 개 시한다.
즉, 상기 비컨을 발신한 상대가 이미 통신 프로파일이 등록되어 있는 무선 LAN 중계장치(10)인 것이 판별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대해서 등록되어 있는 통신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무선 LAN 중계장치(10)도 통신을 개시한 상대의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이 프로파일 리스트(17a)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통신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과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미 양자의 프로파일 리스트(26d,17a)에 통신 프로파일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등록되어 있는 통신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통신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통상 모드이고 무선 LAN 중계장치(10),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서로의 프로파일 리스트(17a,26d)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자는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17a,26d)에 등록된 통신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a-2) 미등록인 경우
한편, 스텝Sc2에 있어서 판독한 ESSID가 프로파일 리스트(26d)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면,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스텝Sc3에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대해서 등록요구를 응답 발신한다. 그러나,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통상 모드인 경우,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그 등록요구를 접수하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무선 LAN 중계장치(10)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전혀 수신되지 않는 다. 따라서, 스텝Sc4에서는 무선 LAN 중계장치(10)로부터의 등록개시통지가 없는 것으로 하여 다시 스텝Sc1로 돌아가서 비컨의 수신을 접수한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에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다른 무선 LAN 중계장치(10)나,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다른 무선 LAN 중계장치(10)이며 등록요구 접수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무선 LAN 중계장치(10)로부터의 비컨 수신이 있기까지, 스텝Sc1~Sc4의 처리가 반복되게 된다.
즉,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통상 모드이고 무선 LAN 중계장치(10),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서로의 프로파일 리스트(17a,26d)에 아직 등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양자간에 통신을 행할 수 없다. 또한,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클라이언트 단말(20) 사이에서 양자의 등록처리를 개시시키지 않는다.
(b) 등록요구 접수모드의 동작에 대해서:
(b-1) 이미 등록된 경우
등록요구 접수모드에 있어서, 우선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스텝Sa2에서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식별자인 ESSID를 비컨으로서 발신한다. 이것과 동시에, 타이머(18)도 작동을 개시시킨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비컨이 접수되고, 스텝Sc2에서 ESSID의 조합이 행해진다. 그리고, 수신된 ESSID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이면 스텝Sc6에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통신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통신을 개시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20)로부터 등록요구는 발신되지 않기 때문에,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있어서는 스텝Sa4에 있어서 제한시간 내에 등록요구가 접수 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한시간은 스텝Sa2에서 비컨을 발신하고 나서의 시간에 대한 제한시간이고, 미리 소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한시간의 일례로서 1분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스텝Sa2에서 비컨을 발신함과 아울러 타이머(18)를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비컨을 발신하고 나서의 경과시간을 취득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비컨을 발신하고 나서 1분 경과하기 전에 등록요구가 접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스텝Sa6에서 통상 모드로 이행하고, 스텝a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0)과의 통신을 실행시킨다. 즉, 무선 LAN 중계장치(10), 클라이언트 단말(20) 모두 이미 등록된 통신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통신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양자간에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등록요구 접수모드이고 무선 LAN 중계장치(10),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서로의 프로파일 리스트(17a,26d)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제한시간을 경과한 후에 통상 모드로 이행하여 양자간에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b-2) 미등록인 경우
한편, 스텝Sc2에 있어서 판독한 ESSID가 프로파일 리스트(26d)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면,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스텝Sc3에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대해서 등록요구를 응답 발신한다. 그러면, 등록요구 접수모드의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이 등록요구를 접수하여 스텝Sa5에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이 시점에서 제한시간인 1분이 경과되어 있지 않아도 강제적으로 스텝Sa5에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가장 먼저의 등록요구가 접수되면, 제한시간에 상관없이 그 이후의 등록요구는 접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스텝Sa5에 있어서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행하는 등록처리에서는, 우선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 등록처리의 개시 통지를 발신한다. 그리고, 스텝Sc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상기 개시 통지를 수취하면,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클라이언트 단말(20)과 협동하여 등록처리를 실행시킨다. 상기 등록처리에 있어서는, 통신에 필요한 ESSID나 암호화방식이나 암호키나 무선 채널 등의 통신 프로파일의 체결이나, 통신에 필요한 드라이버 파일의 전송, 인스톨 등이 행해진다. 그리고,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클라이언트 단말(20) 양쪽의 프로파일 리스트(17a,26d)에 양자간에 체결한 통신 프로파일을 갱신시킴으로써, 이후는 상기 통신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프로파일 리스트(26d)에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대한 각 설정항목을 추가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클라이언트 단말(20) 양쪽의 등록처리가 완료되면, 무선 LAN 중계장치(10)는 스텝Sa7에서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20)은 스텝Sc6에 있어서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무선 LAN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등록요구 접수모드시의 스텝Sa2에서 발생하는 비컨의 내용을, 통상 모드시에 있어서 발신하는 비컨과는 다른 내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20)은 비컨을 식별함으로써,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 한 무선 LAN 중계장치(1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등록요구 접수모드이고 무선 LAN 중계장치(10),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서로의 프로파일 리스트(17a,26d)에 아직 등록되어 있는 않은 경우에는, 양자간에 등록처리를 실행하고, 동 등록후에 통상 모드로 이행하여 양자간에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3) 요약
이상 설명한 LAN 통신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하고, 또한, 보안상에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통신 프로파일의 등록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미등록의 클라이언트 단말(20)이 무선 LAN 중계장치(10)와 통신가능권 내로 이동한 경우이어도,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통상 모드이면 (a-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록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것에 대해서, 미등록의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b-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등록요구 접수모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 등록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정한 클라이언트 단말(20)로부터의 네트워크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등록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무선 LAN 중계장치(10)를 등록요구 접수모드로 할 필요가 있고, 등록 접수 스위치(11)를 ON으로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이 등록 접수 스위치(11)를 ON으로 할 때에 시스템 관리자 패스워드를 요구하도록 하면, 침입자가 등록요구 접수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가 의도하지 않은 부정한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 등록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접수 스위치(11)는 기계적인 스위치이어도 좋고, 소프트웨어 상에서 실현되는 스위치이어도 좋다.
한편, (b-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등록의 클라이언트 단말(20)이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등록되는 것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사용자에게 조작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스스로 미등록인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미등록이면 등록이 행해지도록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등록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일은 없다. 물론, (a-1) 및 (b-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20)이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이미 등록된 경우에도, 그것을 판정하여 이미 등록된 통신 프로파일을 사용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무것도 조작하는 일없이 무선 LAN 중계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LAN 중계장치(10)가 등록요구를 접수함에 있어서는, 소정의 제한시간 내에 수신되고, 또한, 가장 먼저 수신된 등록요구만을 접수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어떠한 제한방법에 의해서도 무선 LAN 중계장치(10)에 있어서 등록 접수 스위치(11)를 ON으로 한 직후에 통신가능권 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만 등록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시스템 관리자는 등록하고 싶은 클라이언트 단말(20)이 통신가능권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여 등록 접수 스위치(11)을 누르도록 하면, 등록하고 싶은 클라이언트 단말(20)에 대해서만 등록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클라이언트 단말(20)이 제멋대로 등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무선 LAN 통신시스템(1)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20)이 통신 프로파일 등록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필요하면 무선 LAN 중계장치(10)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등록작업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단, 무선 LAN 중계장치(10)를 등록요구 접수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등록처리실행의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클라이언트 단말(20)과의 사이에서 등록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등록작업이 간이하고, 또한, 보안이 좋은 무선 LAN 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1, 청구항4 및 청구항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무선 LAN 단말과 무선 LAN 중계장치 양쪽에 있어서의 등록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2 및 청구항3에 관한 발명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무선 LAN 단말에 대해서 등록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의 전파에 데이터를 반송시킴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한 무선 LAN 중계장치와 무선 LAN 단말을 구비하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 단말은,
    복수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을 기억할 수 있는 프로파일 리스트;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 고유의 고유신호를 수신하는 고유신호 접수수단;
    상기 고유신호 접수수단에 의해 접수된 상기 고유신호가 상기 통신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일 때 등록요구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해서 응답 발신하는 등록요구수단; 및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서 상기 등록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상기 통신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갱신시키는 등록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LAN 중계장치는,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의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고유신호 발신수단; 및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유신호에 응답되는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등 록요구 접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요구 접수수단은,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무선 LAN 단말로부터의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요구 접수수단은,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가장 먼저 수신된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LAN 통신시스템.
  4. 소정의 전파에 데이터를 반송시킴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한 무선 LAN 중계장치와 무선 LAN 단말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 LAN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 단말에서,
    복수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억하는 기억공정;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공정;
    불특정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 고유의 고유신호를 수신하는 고유신호 접수공정;
    상기 고유신호 접수공정에서 접수된 상기 고유신호가 상기 통신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일 때 등록요구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해서 응답 발신하는 등록요구공정; 및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서 상기 등록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상기 통신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갱신시키는 등록처리공정을 행하고,
    상기 LAN 중계장치에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의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고유신호 발신공정; 및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유신호에 응답되는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등록요구 접수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LAN 통신방법.
  5. 소정의 전파에 데이터를 반송시킴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한 무선 LAN 중계장치와 무선 LAN 단말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 단말에서,
    복수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통신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억하는 기억기능;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기능;
    불특정의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 고유의 고유신호를 수신하는 고유신호 접수기능;
    상기 고유신호 접수기능에 의해 접수된 상기 고유신호가 상기 통신 프로파일 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일 때 등록요구를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해서 응답 발신하는 등록요구기능; 및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서 상기 등록요구가 접수되면,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와의 사이에서 등록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에 대한 상기 통신 프로파일을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에 갱신시키는 등록처리기능을 실행시키고,
    상기 LAN 중계장치에서,
    상기 무선 LAN 중계장치의 상기 고유신호를 발신하는 고유신호 발신기능; 및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유신호에 응답되는 상기 등록요구를 접수하는 등록요구 접수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
KR1020050010209A 2004-02-06 2005-02-03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653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1228A JP4480412B2 (ja) 2004-02-06 2004-02-06 無線lan通信システム、無線lan通信方法および無線lan通信プログラム
JPJP-P-2004-00031228 2004-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669A true KR20060041669A (ko) 2006-05-12
KR100653172B1 KR100653172B1 (ko) 2006-12-05

Family

ID=3467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209A KR100653172B1 (ko) 2004-02-06 2005-02-03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29219B2 (ko)
EP (1) EP1562329B1 (ko)
JP (1) JP4480412B2 (ko)
KR (1) KR100653172B1 (ko)
CN (2) CN1652521A (ko)
TW (1) TWI2649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154A (ko) * 2009-10-26 201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5125A (ja) * 2005-12-20 2007-08-02 Japan Radio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4840970B2 (ja) * 2006-02-23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9623B2 (en) * 2006-08-08 2013-12-31 Marvell World Trade Ltd. Ad-hoc simple configuration
JP4929040B2 (ja) 2007-05-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7974236B2 (en) * 2007-11-16 2011-07-05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configuring Wi-Fi devices
JP5270937B2 (ja) 2008-03-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27658B2 (ja) * 2008-10-06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437741B2 (en) 2008-12-19 2013-05-07 Tecore Intelligent network access controller and method
US8825011B2 (en) * 2008-12-19 2014-09-02 Tecore, Inc. Intelligent network access control
JP5374172B2 (ja) * 2009-01-29 2013-12-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の接続設定方法
CN102083095B (zh) * 2009-11-27 2014-01-15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微型基站及其通讯方法
JP5565007B2 (ja) * 2010-03-11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5828090B2 (ja) * 2011-04-20 2015-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中継装置
CN103634854B (zh) * 2012-08-28 2017-1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接入方法、系统和终端
JP6160875B2 (ja) * 2012-09-20 2017-07-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のスキャン方法
US10129831B2 (en) 2014-04-25 2018-11-1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Wireless quiet enrolment
JP6744030B2 (ja) * 2018-03-02 2020-08-1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接続端末アクセス管理方法および接続端末アクセス管理プログラム
US10299079B1 (en) * 2018-07-24 2019-05-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inter-ranging network
CN111030897A (zh) * 2019-12-10 2020-04-17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有线配网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9197C (en) * 1994-07-29 1999-11-09 Roger Y.M. Cheu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wireless lan to a wired lan
US5987062A (en) * 1995-12-15 1999-11-16 Netwave Technologies, Inc. Seamless roaming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IL118806A (en) * 1996-07-05 2001-07-24 Marconi Comm Israel Ltd Methods and apparatus pertaining to roaming of stations between access points in wireless and other networks
US6332077B1 (en) * 1999-07-29 2001-12-18 National Datacom Corporation Intelligent roaming in AGV application
US7103661B2 (en) * 2000-07-12 2006-09-05 John Raymond Klein Auto configuration of portable computers for us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3628250B2 (ja) * 2000-11-17 2005-03-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登録・認証方法
JP2002252620A (ja) 2001-02-23 2002-09-06 Toshiba Corp 通信設定方法及び電子機器
JP3702812B2 (ja) 2001-06-25 2005-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方法と認証装置
DE60109157T2 (de) * 2001-09-03 2006-02-16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Handover eines zentralen Kontrollers in einem ad-hoc aufgebauten Netz
FI114276B (fi) * 2002-01-11 2004-09-15 Nokia Corp Verkkovierailun järjestäminen
AU2003264013A1 (en) * 2002-08-09 2004-02-25 Wavelink Corporation Management of mobile unit configuration in wlans
JP4667739B2 (ja) 2003-12-05 2011-04-13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暗号鍵設定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lan端末、および、暗号鍵設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154A (ko) * 2009-10-26 201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2329B1 (en) 2012-11-14
CN1652521A (zh) 2005-08-10
TWI264955B (en) 2006-10-21
JP4480412B2 (ja) 2010-06-16
EP1562329A1 (en) 2005-08-10
TW200539718A (en) 2005-12-01
CN102711221A (zh) 2012-10-03
KR100653172B1 (ko) 2006-12-05
JP2005223745A (ja) 2005-08-18
US7529219B2 (en) 2009-05-05
US20050190733A1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172B1 (ko) 무선 lan 통신시스템, 무선 lan 통신방법 및 무선 lan 통신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3915481B2 (ja) 無線通信装置
US10033580B2 (e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US7424605B2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cli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60083187A1 (en)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necting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081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ellular account subscription among multiple devices
JP200517602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1629634B1 (en) Secure authentication in a wireless home network
EP1535481A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s using service description data
JP2005110112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の認証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及び基地局及び認証装置。
WO2017166951A1 (zh) 移动终端网络重选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JP4482643B2 (ja) 無線端末認証システム,自局無線端末,他局無線端末及び無線端末の認証方法
JPWO2012140891A1 (ja) 無線通信装置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1387679B1 (ko)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장치 및 그 방법
EP2611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at least two devices
JP5104292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075626A1 (ja) 通信端末認証システム、インターネットを使用した電話システム
JP4841669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KR20030083526A (ko) 사용자 정보를 내장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무선랜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영 방법
WO2009087718A1 (ja) 通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KR20190057254A (ko)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10088163A (ko) 듀얼모드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A2558936A1 (en) Controlling visibility of a wirel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