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496A -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496A
KR20060040496A KR1020040090125A KR20040090125A KR20060040496A KR 20060040496 A KR20060040496 A KR 20060040496A KR 1020040090125 A KR1020040090125 A KR 1020040090125A KR 20040090125 A KR20040090125 A KR 20040090125A KR 20060040496 A KR20060040496 A KR 2006004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ight absorbing
optical system
forming
un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655B1 (ko
Inventor
정병호
진영구
송대성
임종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655B1/ko
Priority to US11/265,192 priority patent/US7504128B2/en
Publication of KR2006004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내부광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르면,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은, 비드(bead) 형태의 광흡수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필름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 소자들이 분산된 투명 필름을 경화시켜, 상기 투명 필름 위에 분산된 광흡수 소자들을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an one-way transparent optical system}
도 1은 눈부심 방지를 위한 종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비드(micro bead)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마이크로 비드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6f는 도 6a 내지 도 6e의 방법으로 제조된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2...투명광학재료 110a......요철구조
112,124...광흡수재료 120.......마이크로 비드
150.......마스크 170.......투명 비드
본 발명은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내부광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t)과 같은 직접 발광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할 경우, 외부광이 디스플레이 소자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눈부심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금속전극에 의해 반사되는 외부광으로 인해 콘트라스트(contrast)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무반사 코팅과 편광판 및 1/4 파장판을 사용하였다. 즉, 무반사 코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소자의 표면에서 외부광(20)이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한다. 그리고, 편광판(12)과 1/4 파장판(11)을 디스플레이 소 자의 표면에 형성하여 내부로 들어온 외부광이 재방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콘트라스트 저하 문제를 해결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2)을 통과한 외부광(20)은 선평광 성분만을 갖는다. 선편광 성분만을 갖는 이 외부광(20)은 1/4 파장판(11)에 의해 원편광으로 편광 상태가 바뀌기 때문에, 반사될 때는 편광판(12)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일단 내부로 들어온 외부광은 재방출이 억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1/4 파장판(11)과 편광판(12)으로 인하여, 외부광 뿐만 아니라 내부광도 방출이 제한되어, 내부광의 약 50% 이하만이 디스플레이 소자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눈부심 및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 및 밝기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내부광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눈부심 및 콘트라스트 저하가 없고, 밝기가 밝은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은, 비드(bead) 형태의 광흡수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필름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분 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 소자들이 분산된 투명 필름을 경화시켜, 상기 투명 필름 위에 분산된 광흡수 소자들을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재료의 둘레에 구형의 투명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흡수재료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흑색 염료(black dye)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외피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투명 필름 위에 분산시키는 단계는: 롤러의 표면에 양각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롤러 마스터를 제작하는 단계; 투명 필름 위에서 상기 롤러 마스터를 회전시켜, 상기 투명 필름의 한 면에 음각의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음각 요철이 형성된 투명 필름의 면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투명 필름 위에 분산시키는 단계는: 몰드의 표면에 양각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마스터 몰드(master mold)를 형성하는 단계; 투명 필름 위에 상기 마스터 몰드를 압착하여, 투명 필름의 한 면에 음각의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음각 요철이 형성된 투명 필름의 면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의 상면에 마스크를 형성하고 패터닝 하여, 상기 투명 기판의 상면에 패턴 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들 내에 광흡수재료들을 형성하고,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및 패턴 내에 광흡수재료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상에, 상기 광흡수재료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하여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패턴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상에 투명광학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투명광학재료를 패터닝하여 다수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돌출구조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터닝된 돌출구조들의 하부 중심에 각각 상기 광흡수재료가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광학재료는 에멀전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된 메틸메사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인 것으로,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상에 투명광학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투명광학재료를 패터닝하여, 상기 광흡수재료들 사이에 다수의 투명 기둥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둥들 사이에 구형의 투명 비드(bead)들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비드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 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투명 기둥들 사이의 중심에 상기 광흡수재료들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투명 비드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의 상면에 마스크를 형성하고 패터닝 하여, 상기 마스크에 다수의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마스크 상의 홈들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용융시켜 상기 마스크에 형성된 홈들의 내부로 광흡수 소자들을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다시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 및 투명 기판에 형성된 홈의 폭은 상기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의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은 상기 광흡수재료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하여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기본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과 같은 투명광학재료(110) 내에 광흡수재료(112)가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광학재료(110)의 상면에 는 돌출구조(1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구조(110a)는 실질적으로 볼록 렌즈의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돌출구조(110a)는 반구형, 스페로이드형(spheroid), 다각형 또는 다른 모양들을 가질 수 있다. 광흡수재료(112)는, 예컨대, 카본 블랙(carbon black)이나 흑색 염료(black dye)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흡수재료(112)는 상기 돌출구조(110a)의 초점 영역 부근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40)은 볼렌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110a)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돌출구조(110a)의 초점 영역 부근에 배치된 광흡수재료(112)를 향하게 된다. 그런후, 외부광(40)은 상기 광흡수재료(112)에서 흡수된다. 이때, 돌출구조(110a)는 넓은 입사각 범위를 가지는 외부광(40)들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작은 초점 영역을 향해 굴절시킬 수 있도록, 예컨대, 반구형 모양인 것이 좋다.
한편, 투명광학재료(110) 하부의 광방출층(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한 내부광(30)은 상기 외부광(40)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한다. 상기 내부광(30)은, 예컨대, 영상 광일 수 있으며, 광방출층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층,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전계발광층(electroluminescent layer; EL)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소자의 다른 발광층이거나 형광층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흡수재료(112)는 작은 수평 단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광방출층에 의해 발생한 대부분의 내부광(30)은 광흡수재료(112)에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투명광학재료(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단지 일부분의 내부광(30)만이 광흡수재료(112)에 부딪쳐서 흡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출구조(110a)는 약 0.1~100㎛, 바람직하게는, 1~10㎛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 구조(110a)는 약 3~10㎛ 범위의 직경을 가진다. 광흡수재료(112)의 직경은 상기 돌출구조(110a)의 직경의 최대 절반까지 될 수 있다. 이러한 광흡수재료(112)의 직경은, 상기 광흡수재료(112)에 의해 흡수되는 외부광(40)과 광방출층에 의해 방출된 내부광(30) 사이의 균형을 위하여, 상기 돌출구조(110a)의 직경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즉, 광흡수재료(112)의 직경은 외부광(40)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만큼 커야 하는 동시에, 광방출층에 의해 방출된 내부광(30)이 지나치게 차단되지 않도록 작아야 한다. 예컨대, 광흡수재료(112)의 직경은 돌출구조(110a)의 직경의 1/100 내지 1/2 사이,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이용하여, 반사 및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한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및 눈부심 방지층은 도 2의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2차원적으로 배열한 구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광은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110a)에 의해 굴절되어 광흡수재료(112)에서 흡수되지만, 내부광은 거의 대부분 광흡수재료(112) 사이로 지나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매우 간단한 구성만으로 외부광은 거의 흡수하고 내부광은 거의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할 경우, 종래에 비해 디스플레이 소자의 밝기를 거의 2배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사광에 의해 눈부심 효과는 거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구조(110a)들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수준(예컨대, 0.1~100㎛)으로 작게 형성하면, 상기 돌출구조(110a)들은, 외부광(40)을 굴절시켜 광흡수 재료(112)를 향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광(40)의 일부를 산란시킨다. 따라서, 돌출구조(110a)들의 표면에서 외부광(40)이 반사되면서 발생되는 눈부심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반사광들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무늬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구조(110a)들의 간격과 크기를 균일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투명 광학계는, 투명광학재료(110)의 상면에 볼록 렌즈 형태의 다수의 돌출구조(1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구조(110a)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초점 영역 부근에 각각 광흡수재료(112)들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출구조(110a) 상에는 광투과층(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투과층(130)의 표면에는 반사방지 코팅(1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층(130)은, 돌출구조(110a)가 광흡수재료(112)들을 향해 입사광을 굴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돌출구조(110a)들에 사용된 투명재료의 굴절률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져야 한다. 이 경우, 반사방지 코팅(140)으로 인해 광투과층(130) 표면에서의 반사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 광투과층(130)의 표면에서 거의 반사 없이 그대로 광투과층(130)을 통과한 외부 입사광은 거의 대부분 돌출구조(110a)에 의해 굴절된 다음, 광흡수재료(112)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상기 돌출구조(110a)들의 배열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5a는 중심에 광흡수재료(124)가 매립된 비드(bead)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를 도시하며, 도 5b는 상기 광흡수 소자(120)를 이용한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광흡수재료(124)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이나 흑색 염료(black dye)와 같은 재료에 메틸메사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와 같은 투명 재료를 에멀전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흡수재료(124)는, 예컨대, 약 1㎛ 직경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본 블랙이나 흑색 염료의 부피는 전체 부피의 약 15% 정도를 차지할 수 있다. 그런 후, 약 2㎛의 두께를 갖는 외피(shell)(122)가, 상기 MMA와 같은 투명 재료 또는 그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광흡수재료(124) 표면 둘레에 마찬가지로 에멀전 중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많은 수의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들로 형성된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도시한다. 상기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들은 투명 필름과 같은 투명광학재료(110) 위에 분산되어 있다. 투명 필름(110)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을 분산시킨 후,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을 투명 필름(110) 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MMA와 같은 코팅 재료(미도시)의 중합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MMA와 같은 코팅 재료는 상기 광흡수조자(120)와 투명 필름(110) 사이에 개재된다. 에멀전 중합을 수행하는 경우, 광흡수 소자(120)가 코팅 재료 내로 분산될 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5 wt%의 가교제(crosslinking agent)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b에서, 광흡수 소자의 외피(122), 투명 필름(110) 및 코팅 재료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광흡수 소자(120)와 투명 필름(110) 사이의 계면에서 광 굴절은 발생하지 않으며, 오로지 반구형의 상부 표면(110a)만이 광을 굴절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양각으로 요철(210)이 형성된 롤러 마스터(200)를 제작한다. 그런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연성의 광경화성 고분자 필름 또는 단위체 필름과 같은 투명 필름(110) 위에서 상기 롤러 마스터(roller master)(200)를 회전시킨다. 예컨대, 상기 투명 필름(110)은 열 또는 UV 방사에 의해 중합되어 경화되는 MMA 코팅일 수 있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필름(110)의 한 면에 음각의 요철(115)이 형성된다. 그런 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110) 위에 미리 준비된 광흡수 소자(120)들을 뿌린다. 그러면,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은 투명 필름(110) 위에 형성된 음각의 요철(115) 위로 분산된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 소자(12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이다. 이렇게 투명 필름(110) 상의 음각의 요철(115) 위에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들이 분산되었으면, 마지막으로 열 및 UV 방사를 통해 상기 투명 필름(110)을 경화시켜, 광흡수 소자(120)들을 상기 투명 필름(110) 위에 고정시킨다.
한편, 롤러 마스터(200)를 사용하는 대신 마스터 몰드(master mold)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의 표면에 양각으로 요철(315)을 형성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마스터 몰드(master mold)(300)를 형성한 후, 투명 필 름(110) 위에 상기 마스터 몰드(300)를 압착한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 필름(110)의 한 면에 음각의 요철(115)이 형성된다. 그 이후의 공정은, 앞서 설명한 도 6d 및 도 6e와 같다. 이러한 롤러 마스터(200) 또는 마스터 몰드(300)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할 경우, 대면적의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기판(110)과 광흡수 소자(120)의 외피(122)는 모두 에멀전 중합된 MMA(즉, PMMA)일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기판(110)과 광흡수 소자(120)의 굴절률이 동일하기 때문에, 투명 기판(110)과 광흡수 소자(120) 사이의 계면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는다. 도 6e는 이렇게 제조된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표면을 촬영한 확대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제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7a와 같이, 투명 기판(110) 위에, 예컨대, 약 1㎛ 내지 2㎛의 두께로 감광성 마스크(150)를 도포한다. 상기 투명 기판(110)은, 예컨대, 에멀전 중합된 MMA(즉, PMMA)일 수 있다. 그런 후, 예컨대,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150) 위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다음, 에칭을 통해 상기 투명 기판(110)의 상면에까지 상기 패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식각한다. 도 7b는 이렇게 패터닝된 마스크(150) 및 투명 기판(110)을 도시한다. 각 패턴들의 폭은, 예컨대, 약 1~3㎛ 정도인 것이 좋으며, 투명 기판(110) 상의 패턴의 깊이는 약 1~2㎛ 정도가 좋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마스크(150) 및 투명 기판(110)의 패턴 내에 금속(155)을 얇은 두께로 코팅한다. 상기 금속 코팅(155)은 투명 기판(110) 아래의 발광층(미도시)에서 발생하여 올라오는 내부광을 반사시켜, 내부광이 이후 설명될 광흡수재료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금속 코팅(155)에 의해 반사된 내부광은 투명 기판(110)의 하면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진행하므로, 발광층에서 발생된 내부광이 손실 없이 거의 100%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코팅(155)은 약 0.1㎛ 정도의 두께이면 충분하다. 또한, 금속 대신 광반사 특성을 가진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155)을 코팅한 후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코팅(155) 위에 광흡수재료(112)의 층을, 예컨대, 약 1~2㎛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광흡수재료(112)는, 예컨대, 카본블랙 또는 흑색 염료일 수 있다. 이렇게, 광흡수재료(112)가 형성된 다음에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을 통해 마스크(150)를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마스크(150) 위에 형성된 광흡수재료(112)도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광흡수재료(112)는 투명 기판(110)에 형성된 패턴 내에만 남아 있게 된다.
그런 후,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흡수재료(112)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110) 상에 투명광학재료(160)를, 예컨대, 약 2~3㎛의 두께로 적층한다. 여기서, 투명광학재료(160)는, 예컨대, 투명 기판(110)과 동일한 PMMA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PMMA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기판(110)과 실질적으로 같은 굴절률을 갖는 다른 투명재료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런 다음, 상기 투명광학재료(160)를 패터닝하여 다수의 직육면체 형상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한다. 도 7g는 이렇게 투명 기판(110) 상에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돌출구조들의 폭은, 예컨대, 약 5㎛ 정도인 것이 좋다. 여기서,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육면체 형태의 돌출구조들의 하면 중심에는 대응하는 광흡수재료(112)들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이미 공지된 베이크 & 리플로우(bake & reflow)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패터닝된 직육면체 형상의 돌출구조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110a)로 형성한다. 예컨대, 핫플레이트(hot plate)나 할로겐 램프, 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면 직육면체 형상의 돌출구조가 용융되면서, 예컨대, 점차 반구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때, 가열 온도는 사용한 재료의 종류 및 두께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돌출구조가 반구형 볼록 렌즈 형태를 갖는 돌출구조(110a)로 완전히 용융 및 변형되면, 이를 냉각하여 경화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볼록 렌즈 형태를 갖는 상기 돌출구조(110a)는 상기 광흡수재료(112)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광흡수재료를 향하여 입사광을 굴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b의 패터닝 과정에서, 상기 투명 기판(110)의 상면에 형성된 패턴들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지 않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형성된 렌즈형의 돌출구조(110a)들의 간격과 크기를 균일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구조(110a)들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들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무늬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제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e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투명 기판(110)의 상면에 마스크(150)를 형성하고 패터닝 하는 단계(도 8a 및 도 8b), 상기 패턴들 내에 금속 코팅(155) 및 광흡수재료(112)의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도 8c 및 도 8d), 상기 마스크(150)를 제거하는 단계(도 8e) 및 마스크(150)가 제거된 투명 기판(110) 위에 투명광학재료(160)를 적층하는 단계(도 8f)까지는 앞서 설명한 도 7a 내지 도 7f의 공정과 동일하다. 여기서, 투명 기판(110)의 재질이나 광흡수재료(112)의 재질 역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광학재료(160)의 재질 역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후,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광학재료(160)를 패터닝하여, 상기 광흡수재료(112)들 사이에 다수의 투명 기둥(162)들을 형성한다. 즉, 도 7g에서와는 달리, 상기 광흡수재료(112)들은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투명 기둥(162)들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투명 기둥(162)들이 형성된 후에는,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기둥(162)들 사이에 구형의 투명 비드(bead)(170)들을 하나씩 삽입하여 정렬한다. 이때, 상기 투명 기둥(162)들 사이의 간격과 상기 투명 비드(170)의 직경이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인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투명 비드(170)의 직경이 상기 투명 기둥(162)들 사이의 간격 보다 약간 크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투명 기둥(162)들 사이의 간격은 약 5㎛ 정도면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베이크 &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투명 비드(170)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 (110a)들을 형성한다. 예컨대, 핫플레이트나 할로겐 램프, 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면 상기 투명 비드(170)들이 점차 용융되면서, 상기 투명 기둥(162) 사이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상기 투명 비드(170)의 하부는 용융되어 광흡수재료(112)와 완전히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투명 비드(170)의 상부는, 예컨대, 점차 반구형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상기 투명 비드(170)의 하부가 광흡수재료(112)와 완전히 접촉하고, 상부가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110a)로 변형되면, 이를 냉각하여 경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투명 기둥(162)이 함께 용융되어 변형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는 투명 비드(170)를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110a)로 변형하여 투명 기판(110) 상에 고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므로, 상기 투명 기둥(162)의 변형은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투명 광학계를 제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9a와 같이, 투명 기판(110) 위에 감광성 마스크(150)를 도포한다. 상기 투명 기판(110)은, 예컨대, 에멀전 중합된 MMA(즉, PMMA)일 수 있다. 그런 후, 예컨대, 포토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150) 위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다음, 에칭을 통해 상기 패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스크(150)를 식각한다. 도 9b는 이렇게 패터닝된 마스크(150) 및 투명 기판(110)을 도시한다. 도 9b에는 상기 투명 기판(110)의 상면에까지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스크(150)에만 패턴이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마스크(150)의 홈 위에 미리 준비된 광흡수 소자(120)들을 분산시킨다. 그러면,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은 마스크(150)에 형성된 패턴 위에 하나 씩 위치하게 된다. 도 9c에서는,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이 상기 패턴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상기 마스크(150)에 형성된 패턴 위에 걸쳐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이 마스크(150)에 형성된 패턴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패턴의 폭은 광흡수 소자(120)들의 직경 보다 다소 작거나 크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광흡수 소자(12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이다.
이렇게 마스크(150)에 형성된 홈 위에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120)들이 분산되었으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베이크 &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을 완전히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마스크(150)에 형성된 패턴들의 내부로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이 완전히 침투하도록 한다. 만약 투명 기판(110)에도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용융된 광흡수 소자(120)들이 상기 투명 기판(110) 위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 기판(110)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가 상기 광흡수 소자(120)의 직경 보다 훨씬 작아야 한다.
그런 후,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을 통해 상기 마스크(150)를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은 상기 투명 기판(110) 위로 기둥의 형태로 돌출하여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베이크 &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광흡수 소자(120)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110a)들을 형성한다. 예컨대, 핫플레이트나 할로겐 램프, 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면 상기 투명 기판(110) 위로 돌출된 광 흡수 소자(120)가 용융되면서, 예컨대, 점차 반구형으로 바뀌게 된다. 광흡수 소자(120)가 반구형 볼록 렌즈 형태를 갖는 돌출구조(110a)로 완전히 용융 및 변형되면, 이를 냉각하여 경화시킨다. 그러면, 이러한 볼록 렌즈 형태를 갖는 상기 돌출구조(110a)는, 광흡수 소자(120) 내에 포함되어 있던 광흡수재료(124)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광흡수재료를 향하여 입사광을 굴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b의 패터닝 과정에서, 상기 투명 기판(110)의 상면에 형성된 패턴들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지 않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형성된 렌즈형의 돌출구조(110a)들의 간격과 크기를 균일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구조(110a)들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들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무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 내부광효율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할 경우, 눈부심 및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편광판을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거의 2배 이상의 밝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원가절감을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기 EL을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발광 소자의 내부 구조와 관계 없이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과 설계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소자 뿐만 아니라, 방향에 따라 빛을 선택적으 로 차단하는 투명막을 필요로 하는 조명, 광학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도 특별한 설계 변경 없이 응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비드(bead) 형태의 광흡수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연성 투명 필름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 소자들이 분산된 연성 투명 필름을 경화시켜, 상기 투명 필름 위에 분산된 광흡수 소자들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재료의 둘레에 구형의 투명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재료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흑색 염료(black dy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재료의 둘레에 투명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는 메틸메사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를 에멀전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함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투명 외피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투명 필름 위에 분산시키는 단계는:
    롤러의 표면에 양각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롤러 마스터를 제작하는 단계;
    투명 필름 위에서 상기 롤러 마스터를 회전시켜, 상기 투명 필름의 한 면에 음각의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음각 요철이 형성된 투명 필름의 면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투명 필름 위에 분산시키는 단계는:
    몰드의 표면에 양각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마스터 몰드(master mold)를 형성하는 단계;
    투명 필름 위에 상기 마스터 몰드를 압착하여, 투명 필름의 한 면에 음각의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음각 요철이 형성된 투명 필름의 면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뿌리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열 또는 UV 방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8. 투명 기판의 상면에 마스크를 형성하고 패터닝 하여, 상기 투명 기판의 상면에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들 내에 광흡수재료들을 도포하고,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및
    패턴 내에 광흡수재료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상에, 상기 광흡수재료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하여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들 내에 광흡수재료들을 도포하기 전에, 내부광을 상기 투명 기판의 하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광반사층을 상기 패턴들 내에 먼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재료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흑색 염료(black dye)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패턴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상에 투명광학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투명광학재료를 패터닝하여 다수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돌출구조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된 돌출구조들의 하부 중심에 각각 상기 광흡수재료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투명광학재료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돌출구조들을 용융 및 냉각하는 과정은 베이크 & 리플로우(bake & reflow)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6.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들이 형성된 투명 기판 상에 투명광학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투명광학재료를 패터닝하여, 상기 광흡수재료들 사이에 다수의 투명 기둥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둥들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구형의 투명 비드(bead)들을 투명 기둥들 사이에 하나 씩 삽입하여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비드들을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투명 기둥들 사이의 중심에 상기 광흡수재료들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비드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투명비드들을 용융 및 냉각하는 과정은 베이크 & 리플로우(bake & reflow)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0. 투명 기판의 상면에 마스크를 형성하고 패터닝 하여, 상기 마스크에 다수의 홈들을 형성하는 단계;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마스크 상의 홈들 위에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용융시켜 상기 마스크에 형성된 홈들의 내부로 광흡수 소자들을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광흡수 소자들을 다시 용융 및 냉각하여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및 투명 기판에 형성된 홈의 폭은 상기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 자의 직경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 형성된 홈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형태의 광흡수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는, 광흡수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흡수재료의 둘레에 구형의 투명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재료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흑색 염료(black dy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볼록 렌즈 형태의 돌출구조들은 상기 광흡수재료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향하여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재료의 둘레에 형성된 투명 외피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기판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KR1020040090125A 2004-11-06 2004-11-06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KR10058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125A KR100580655B1 (ko) 2004-11-06 2004-11-06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US11/265,192 US7504128B2 (en) 2004-11-06 2005-11-03 Method of fabricating one-way transparent optic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125A KR100580655B1 (ko) 2004-11-06 2004-11-06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496A true KR20060040496A (ko) 2006-05-10
KR100580655B1 KR100580655B1 (ko) 2006-05-16

Family

ID=3631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125A KR100580655B1 (ko) 2004-11-06 2004-11-06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04128B2 (ko)
KR (1) KR100580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1B1 (ko) * 2004-12-15 2007-02-15 제일모직주식회사 휘도가 향상된 표시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13B1 (ko) * 2006-03-28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3964B1 (ko) * 2006-07-07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US9063366B2 (en) 2013-03-14 2015-06-23 The Boeing Company Display device using micropillars and method therefor
US9244356B1 (en) * 2014-04-03 2016-01-26 Rolith, Inc. Transparent metal mesh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5183243A1 (en) 2014-05-27 2015-12-03 Rolith, Inc. Anti-counterfeiting fea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and detection
ES2564877B1 (es) * 2014-09-25 2017-01-18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Aparato doméstico para el tratamiento de prendas de ropa con una ventana de cristal con revestimiento específico de una puerta
KR20220027605A (ko)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7109C (en) * 1992-06-01 2000-01-11 Shozo Kokawa Liquid crystal display
US5620775A (en) * 1995-11-03 1997-04-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w refractive index glass microsphere coated article having a smooth surfa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same
US6144491A (en) * 1996-02-29 2000-11-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flection-type projection screen
JP2000250139A (ja) 1999-03-04 2000-09-14 Hitachi Ltd 背面投写形表示装置、透過形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7636B1 (ko) * 2002-04-04 2004-11-18 황건이 재귀 반사 시트
JP2004004417A (ja) * 2002-04-18 2004-01-08 Nitto Denko Corp 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050227B2 (en) * 2003-12-11 2006-05-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ion for microstructured scre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1B1 (ko) * 2004-12-15 2007-02-15 제일모직주식회사 휘도가 향상된 표시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99333A1 (en) 2006-05-11
US7504128B2 (en) 2009-03-17
KR100580655B1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6845B (en) Transreflectors, transreflector systems and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transreflectors
US9395616B2 (en) Projection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jection screen
US7504128B2 (en) Method of fabricating one-way transparent optical system
US7262912B2 (en) Front-projection screens including reflecting layers and optically absorbing layers having apertures therein,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6880948B2 (en) Illuminant and method
US20150153483A1 (en)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element,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JP2007086784A5 (ko)
JP6737613B2 (ja) 光学体及び発光装置
JP5971331B2 (ja) 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06520017A (ja) 後方投影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38579A (ja) 光学素子、光学系、撮像装置、光学機器、ならびに原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34518B1 (ko) 단방향 투명 광학계
JP631538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JP2010054541A (ja) 光学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6337845A (ja) 明所コントラスト向上部材
KR100682905B1 (ko)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JP2012022292A (ja) 凹凸パターン形成シート、光拡散体製造用工程シート原版及び光拡散体の製造方法
JP2006337846A (ja) 明所コントラスト向上部材
JP2006047784A (ja) 遮光帯を有するレンズ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91179A (ko)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광학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4529B1 (ko) 단방향 투명 광학계의 제조 방법
WO2011162165A1 (ja) 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光拡散フィルム、ならびに当該光拡散フィルム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3337209A (ja) 拡散反射板およびその応用
KR101626810B1 (ko)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광학 시트 성형 몰드의 제조 방법
JP4476188B2 (ja) 光学装置、光吸収方法、光吸収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