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190A -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190A
KR20060040190A KR1020040089427A KR20040089427A KR20060040190A KR 20060040190 A KR20060040190 A KR 20060040190A KR 1020040089427 A KR1020040089427 A KR 1020040089427A KR 20040089427 A KR20040089427 A KR 20040089427A KR 20060040190 A KR20060040190 A KR 2006004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y
compressor
low pressure
compressors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522B1 (ko
Inventor
진동식
김석균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522B1/ko
Priority to JP2005318093A priority patent/JP4195031B2/ja
Priority to CN2005101155000A priority patent/CN1782617B/zh
Priority to US11/267,620 priority patent/US7762091B2/en
Publication of KR2006004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2Compressor control for multi-stag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압축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제1,제2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로에 사방으로 절환되는 사방절환부재와 저압을 균압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제1,제2압축기로 예를 들어서, 100%,60%,40%등과 같이 3단으로 압축능력을 향상시켜 가변 운전이 용이하도록 하여 획기적인 소비전력감소로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압축기의 압력 불균형을 신속하게 치유하므로 제1,제2압축기의 마모를 방지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어떠한 운전조건에서도 압축기 기동시에 발생하는 액백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압축기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다.
압력제어장치 사방절환부재 솔레노이드밸브 저압연결관 분기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mpres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제1,제2압축기를 도입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제1,제2압축기의 용량제어방법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압축기를 도입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압축기를 모두 작동하는 상태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축기만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축기만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동운전 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00% 기동운전 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60% 기동운전 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40% 기동운전 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상운전 제어과정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40%에서 60% 용량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60%에서 100% 용량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40%에서 100% 용량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100%에서 60% 용량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60%에서 40% 용량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100%에서 40% 용량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운전 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운전조건에 의한 능력 및 소비전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인도어장치 B : 아웃도어장치
102 : 증발기 104 : 제1흡입관
106 : 제2흡입관 108 : 제1어큐뮬레이터
110 : 제2어큐뮬레이터 112 : 제1압축기
114 : 제2압축기 116 : 저압연결관
116a : 분기관 118 : 제1토출관
120 : 제2토출관 122 : 사방절환부재
124 : 솔레노이드밸브 126 : 첵크밸브
128 : 응축기 130 : 팽창밸브
140 : 제어부 142 : 신호입력부
본 발명은 2개의 압축기를 채택한 공지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제1,제2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로에 사방으로 절환되는 사방절환부재와 저압을 균압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제1,제2압축기로 100%,60%,40%등과 같이, 3단으로 압축능력을 향상시켜 가변 운전이 용이하도록 하여 획기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압축기의 압력 불균형을 신속하게 치유하므로 제1,제2압축기의 마모를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모터가 구동되는 실외열교환기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액화시키고, 이 고압으로 응축된 냉매를 관의 직경이 작은 관으로 이동시키면서 실내열교환기에서 냉매를 순간적으로 기화시켜 증발시키므로 온도를 강하시켜 냉기를 발생하고, 이때 발생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므로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에서 실외열교환기로 이동하여 응축되어 액화되면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상기한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1,제2압축기를 도입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제1,제2압축기의 용량제어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제1,제2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은, 실외에 설치되는 아웃도어장치(B)로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도록 하는 제1,제2압축기(12)(14)와; 상기 제1,제2압축기(12)(14)의 압축되어진 냉매를 이송하도록 하는 제1,제2토출관(16)(18)과; 상기 제1,제2토출관(16)(18)에 설치되어져 이송하는 냉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제2첵크밸브(20)(22)와; 상기 제1,제2첵크밸브(20(22)를 통하여 이송하여 온 냉매를 저온고압 상태로 응축하도록 하는 응축기(24)과; 상기 응축기(24)를 통하여 이송하는 냉매를 급속하게 팽창하여 저온저압상태로 만드는 인도어장치(A)인 팽창밸브(26)와; 상기 팽창밸브(26)에서 팽창냉매에서 실내의 열기를 흡수하여 냉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고온저압 상태의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2)에서 증발된 냉매를 분기시켜 주는 제1,제2흡입관(4)(6)과; 상기 제1,제2흡입관(4)(6)에서 분기되어 이동하는 냉매의 잉여 용량을 저장하도록 하는 제1,제2어큐뮬레이터(8)(1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축기(12)는, 냉매의 총용량이 100%라고 할 때, 총냉매 용량의 40%를 압축하도록 하고, 제2압축기(14)는, 총 냉매 용량의 60%를 압축하도록 한다.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먼저, 사용자가 100%를 요구하는 구동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제1,제2압축기(12)(14)가 동시에 구동하여 제1,제2흡입관(4)(6)으로 흡 입된 냉매를 제1,제2토출관(16)(18)으로 토출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2첵크밸브(20)(22)에서 역류가 방지된 상태로 응축기(24)에서 응축되고 팽창밸브(26)와 증발기(2)를 거쳐서 실내에서 냉기를 공 급하게된다.
한편, 공기조화기를 절전을 위한 모드를 작동하면, 상기 제1,제2압축기(12)(14) 중에 선택적으로 하나만이 작동되어져서 냉기를 약하게 공급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운전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온도와 에어콘 설정온도의 차이(DT)로 제어하게 된다.
즉, 설정온도차이(DT) = 실내온도(RT) - 에어콘설정온도(ST)로 정의된다.
만약, 설정온도차이(DT)가, 설정값1(DTS1) 이상 상승하게 되면, 100% 운점으로 판단하여 제1,제2압축기(12)(14)를 모두 구동하고, 설정온도차이(DT)가, 설정값1과 설정값2(DTS2) 사이에 있게 되면, 제2압축기(14)만을 구동하게 되고, 설정온도차이(DT)가, 설정값2과 설정값3(DTS3) 사이에 있게 되면, 제1압축기(12)만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과정을 거쳐서 설정온도차이(DT)를 최소화하여 실내온도(RT)를 적절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다단 공기조화기는, 제1,제2압축기(12)(14)의 기동시에 과다한 전류를 사용하게 되어 압축기의 기동 및 정지상태가 지속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그리고, 제1,제2압축기(12)(14)과 첵크밸브(20)(22)사이의 제1,제2토출관(16)(18) 사이에는 고압이 작용하고 있고, 제1,제2압축기(12)(14)의 후단 제1,제2흡입관(4)(6)에는 저압이 작용하므로 압력평형이 유지되지 않는 상황 에서 정지된 제1,제2압축기(12)(14)가 작동하는 경우, 제1,제2압축기(12)(14)의 기동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정지한 압축기기 작동하기 위한 균압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압축기를 즉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다수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은, 빈번하게 압축기의 운전/정지를 반복하여 작동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증대하는 것으로서, 압축기의 작동시에 압력차이로 인한 액백현상이 발생하므로 빈번한 압축기의 운전/정지로 인하여 압축기의 마모를 초래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2개의 제1,제2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로에 사방으로 절환되는 사방절환부재와 저압을 균압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제1,제2압축기로 100%,60%,40%등과 같이 3단으로 압축능력을 향상시켜 가변 운전이 용이하도록 하여 획기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압축기의 압력 불균형을 신속하게 치유하므로 제1,제2압축기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제2압축기가 구비되어져서 연속적인 가변능력을 발휘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압축기에 냉매를 흡입하기 위하여 증발기에서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하는 냉매를 분기하는 제1,제2흡입관과; 상기 제1,제2압 축기에서 압축되는 냉매를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제2토출관과; 상기 제1,제2토출관과 상기 이송관 사이에 연결되어져 상기 제1,제2압축기의 전단에 가하여지는 고압을 후단에 형성되는 저압으로 소통하여 균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바이패스회로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회로는, 상기 제1토출관과 상기 이송관 사이로 연결되어져 상기 제1압축기 전단의 고압을 저압으로 균압시켜주는 저압연결관과; 상기 저압연결관에 설치되어져 냉매의 이송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토출관에서 상기 저압연결관으로 연결되어지는 분기관과; 상기 제2토출관과 분기관에 설치되어져 냉매의 이송을 개폐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전단의 고압을 저압으로 균압시켜주는 사방절환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제2압축기, 사방절환부재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각각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사방절환부재는, 상기 제2토출관과 분기관을 각각 개폐하는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인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제2압축기가 구비되어져서 연속적인 가변능력을 발휘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호입력부에 원하는 운전을 입력하여 제어부에서 운전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제1,제2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기동하여 최고용량, 중간용량, 최하용량 운전중에 어느 하나의 기동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제어부에서 안전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 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정지운전모드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동운전을 종료하고 정상운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과; 상기 단계 후에 실내온도(RT)와 설정온도(ST)의 차이(DT)에 의한 제1,제2압축기의 부하를 제어부에서 판단한 후, 부하증가운전, 부하감소운전, 부하유지운전 및 정지운전중에 어느 하나의 정상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하는 단계과; 상기 단계 후에 안전장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정지운전모드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정상운전모드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신호입력부에서 정지신호를 입력하여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또는 상기 안전장치(150)에서 이상이 감지되어져 정지운전모드으로 진입한 경우를 판단하여 제1,제2압축기를 정지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딘다.
그리고, 상기 기동운전단계 중에 제1,제2압축기를 모두 기동하는 최고용량인 100% 기동운전단계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을 분기관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제2압축기를 작동하고, 사방절환부재를 OFF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동운전단계 중에 제2압축기만을 기동하는 중간용량인 60% 기동운전단계는,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을 분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FF하여 제2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2압축기만을 가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동운전단계 중에 제1압축기만을 기동하는 최하용량인 40% 기동운전단계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을 분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 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FF하여 상기 제1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여 제1토출관을 저압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시키고 일정시간 지난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 중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2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여 제1토출관을 저압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 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압 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FF하여 상기 제2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 중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2압축기 모두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 중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2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과 분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한 후, 상기 제2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 중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제2압축기 모두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과 분기관를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2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 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운전 후에 정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먼저 OFF하여 제2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한 후, 상기 제1압축기를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압축기를 도입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압축기를 모두 작동하는 상태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압축기만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압축기만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동운전 제어에 의한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압축제어장치의 구성은, 제1,제2압축기(112)(114)가 구비되어져서 연속적인 가변능력을 발휘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압축기(112)(114)에 냉매를 흡입하기 위하여 증발기(102)에서 이송관(103)을 통하여 이송하는 냉매를 분기하는 제1,제2흡입관(104)(106)과; 상기 제1,제2압축기(104)(106)에서 압축되는 냉매를 응축기(128)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제2토출관(118)(120)과; 상기 제1,제2토출관(118)(120)과 상기 이송관(103) 사이에 연결되어져 상기 제1,제2압축기(112)(114)의 전단에 가하여지는 고압을 후단 에 형성되는 저압으로 소통하여 균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바이패스회로(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회로(C)는, 상기 제1토출관(118)과 상기 이송관(103)사이로 연결되어져 상기 제1압축기(112) 전단의 고압을 저압으로 균압시켜주는 저압연결관(116)과; 상기 저압연결관(116)에 설치되어져 냉매의 이송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24)와; 상기 제2토출관(120)에서 상기 저압연결관(116)으로 연결되어지는 분기관(116a)과; 상기 제2토출관(120)과 분기관(116a)에 설치되어져 냉매의 이송을 개폐하여 상기 제2압축기(114) 전단의 고압을 저압으로 균압시켜주는 사방절환부재(1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제2압축기(112)(114), 사방절환부재(122) 및 솔레노이드밸브(124)를 각각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14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1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는, 상기 제2토출관(120)과 분기관(116a)을 각각 개폐하는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입력부(142)에 원하는 운전을 입력하여 제어부(142)에서 운전모드를 선택하도록 한다.(S10)
그리고, 상기 단계 후에 제1,제2압축기(112)(114)를 선택적으로 기동하여 최고용량, 중간용량, 최하용량 운전중에 어느 하나의 기동운전을 수행한다.(S20)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동운전단계(S20)중에 제1,제2압축기(112)(114)를 모두 기동하는 최고용량인 100% 기동운전단계(S110)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118)과 저압연결관(116)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도록 한다.(S111)
그리고,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N하여 제2토출관(120)을 분기관(116a)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도록 한다.(S112)
그리고,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112)를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차단하도록한다.(S113)(S114)
그리고, 상기 단계 후에 제2압축기(114)를 작동하고, 사방절환부재(122)를 OFF하도록 한다.(S115)(S116)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동운전단계(S20)중에 제2압축기(114)만을 기동하는 중간용량인 예를 들어 60% 기동운전단계(S120)는,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N하여 제2토출관(120)을 분기관(116a)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도록 한다.(S121)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FF하여 제2토출관(120)을 응축기(128)로 연결하고,상기 제2압축기(123)만을 가동하도록 한다.(S122)(S123)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동운전단계(S20)중에 제1압축기(112)만을 기동하는 최하용량인 예를들어 40% 기동운전단계(S130)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118)과 저압연결관(116)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사방절환부재(122)를 ON하여 제2토출관(120)을 분기관(116a)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도록 한다.(S131)(S132)
그리고, 상기 제1압축기(112)를 작동하고,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차단한다.(S133)(S134)
그리고,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후에 제어부(140)에서 안전장치(15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정지운전모드(S40)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동운전을 종료하고 정상운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S30)(S40)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후에 실내온도(RT)와 설정온도(ST)의 차이(DT)에 의한 제1,제2압축기(112)(114)의 부하를 제어부(140)에서 판단한 후, 부하증가운전, 부하감소운전, 부하유지운전 및 정지운전중에 어느 하나의 정상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하도록 한다.(S60)(S70)
이 때, 상기 정상운전단계(S70)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S140)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압축기(112)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압축기(114)를 작동하도록 한다.(S141)
그리고,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FF하여 상기 제1토출관(120)을 응축기(128)로 연결하고, 상기 제1압축기(112)를 정지하도록 한다.(S142)(S143)
그리고,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작동하여 제1토출관(118)을 저압연결관(116)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시키고 일정시간 지난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차단한다.(S144)(S145)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상운전단계(S70)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S140)중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2압축기(114)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작동하여 제1토출관(118)을 저압연결관(116)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시킨다.(S146)
그리고, 상기 제1압축기(112)를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차단하도록 한다.(S147)(S148)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상운전단계(S70)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S140)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압축기(112)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압축기(114)를 작동하고,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FF하여 상기 제2토출관(120)을 응축기(128)로 연결한다.(S149)(S150)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상운전단계(S70)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S160)중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2압축기(112)(114) 모두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압축기(112)를 정지한다.(S161)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118)과 저압연결관(116)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차단한다.(S162)(S163)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상운전단계(S70)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S160)중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2압축기(114)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118)과 저압연결관(116)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한다.(S164)
그리고, 상기 제1압축기(112)를 작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를 차단한다.(S166)
그리고,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N하여 제2토출관(120)과 분기관(116a)를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한 후, 상기 제2압축기(114)를 정지한다.(S167)(S168)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상운전단계(S70)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S160)중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제2압축기(114) 모두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ON하여 제2토출관(120)과 분기관(116a)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상기 제2압축기(114)를 정지한다.(S169)(S170)
그리고 ,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단계 후에 안전장치(15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정지운전모드(S40)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정상운전모드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도록 한다.(S80)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입력부(142)에서 정지신호를 입력하여 제어부(140)에 수신된 경우 또는 상기 안전장치(150)에서 이상이 감지되어져 정지운전모드(S40)로 진입한 경우를 제어부(140)에서 판단하여 제1,제2압축기(112)(114)를 정지하도록 한다.(S40)(S90)(S92)(S94)
이 때, 상기 제1,제2압축기(112)(114)를 정지하는 단계(S90)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운전 후에 정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방절환부재(122)를 먼저 OFF하여 제2토출관(120)을 응축기(128)로 연결한 후에 상기 제1압축기(112)를 정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제2압축기(112)(114)의 용량을 40%, 60%라고 기술한 것은, 하나의 예를 들어서 제시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용량% 비율을 서로 다르게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운전조건에 의한 능력 및 소비전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로서, 파워의 입력(Power Input)에 대하여 100%, 60% 및 40%의 운전에서 나타나는 능력 및 소비전력(Capacity And Power)을 나타내 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압축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2개의 제1,제2압축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로에 사방으로 절환되는 사방절환부재와 저압을 균압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제1,제2압축기로 예를 들어서, 100%,60%,40%등과 같이 3단으로 압축능력을 향상시켜 가변 운전이 용이하도록 하여 획기적인 소비전력감소로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압축기의 압력 불균형을 신속하게 치유하므로 제1,제2압축기의 마모를 방지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그리고, 어떠한 운전조건에서도 압축기 기동시에 발생하는 액백현상을 현저 하게 감소시켜 압축기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다.

Claims (15)

  1. 제1,제2압축기가 구비되어져서 연속적인 가변능력을 발휘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압축기에 냉매를 흡입하기 위하여 증발기에서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하는 냉매를 분기하는 제1,제2흡입관과;
    상기 제1,제2압축기에서 압축되는 냉매를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제2토출관과;
    상기 제1,제2토출관과 상기 이송관 사이에 연결되어져 상기 제1,제2압축기의 전단에 가하여지는 고압을 후단에 형성되는 저압으로 소통하여 균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바이패스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회로는, 상기 제1토출관과 상기 이송관 사이로 연결되어져 상기 제1압축기 전단의 고압을 저압으로 균압시켜주는 저압연결관과; 상기 저압연결관에 설치되어져 냉매의 이송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토출관에서 상기 저압연결관으로 연결되어지는 분기관과; 상기 제2토출관과 분기관에 설치되어져 냉매의 이송을 개폐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전단의 고압을 저압으로 균압시켜주는 사방절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압축기, 사방절환부재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각각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절환부재는, 상기 제2토출관과 분기관을 각각 개폐하는 삼방밸브 또는 사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5. 제1,제2압축기가 구비되어져서 연속적인 가변능력을 발휘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신호입력부에 원하는 운전을 입력하여 제어부에서 운전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
    상기 단계 후에 제1,제2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기동하여 최고용량, 중간용량, 최하용량 운전중에 어느 하나의 기동운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제어부에서 안전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정지운전모드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동운전을 종료하고 정상운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과;
    상기 단계 후에 실내온도(RT)와 설정온도(ST)의 차이(DT)에 의한 제1,제2압축기의 부하를 제어부에서 판단한 후, 부하증가운전, 부하감소운전, 부하유지운전 및 정지운전중에 어느 하나의 정상운전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하는 단계과;
    상기 단계 후에 안전장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정지운전모드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정상운전모드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신호입력부에서 정지신호를 입력하여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또는 상기 안전장치(150)에서 이상이 감지되어져 정지운전모드으로 진입한 경우를 판단하여 제1,제2압축기를 정지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운전단계 중에 제1,제2압축기를 모두 기동하는 최고용량인 100% 기동운전단계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을 분기관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제2압축기를 작동하고, 사방절환부재를 OFF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운전단계 중에 제2압축기만을 기동하는 중간용량인 60% 기동운전단계는,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을 분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FF하여 제2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2압축기만을 가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운전단계 중에 제1압축기만을 기동하는 최하용량인 40% 기동운전단계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고,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을 분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 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FF하여 상기 제1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하는 단계 와; 상기 제1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여 제1토출관을 저압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시키고 일정시간 지난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 중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2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하여 제1토출관을 저압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는 부하증가운전단계 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으로 증가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2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FF하여 상기 제2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 중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2압축기 모두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단계 중에서 중간용량인 60%용량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2압축기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제1토출관과 저압연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1압축기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과 분기관을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한 후, 상기 제2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운전단계에서 부하를 감소시키는 부하감소운전 단계 중에서 최고용량인 100%용량에서 최하용량인 40%용량으로 감소시키는 운전은, 상기 제1,제2압축기 모두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ON하여 제2토출관과 분기관를 연결하여 저압으로 균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2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 중에서 최하용량인 40%운전 후에 정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방절환부재를 먼저 OFF하여 제2토출관을 응축기로 연결한 후, 상기 제1압축기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방법.
KR1020040089427A 2004-11-04 2004-11-04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427A KR100621522B1 (ko) 2004-11-04 2004-11-04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318093A JP4195031B2 (ja) 2004-11-04 2005-11-01 空気調和機の容量制御装置
CN2005101155000A CN1782617B (zh) 2004-11-04 2005-11-04 空气调节机及其控制方法
US11/267,620 US7762091B2 (en) 2004-11-04 2005-11-04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apacity of a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427A KR100621522B1 (ko) 2004-11-04 2004-11-04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90A true KR20060040190A (ko) 2006-05-10
KR100621522B1 KR100621522B1 (ko) 2006-09-19

Family

ID=3677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427A KR100621522B1 (ko) 2004-11-04 2004-11-04 공기조화기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1522B1 (ko)
CN (1) CN17826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24B1 (ko) * 2005-05-19 2006-09-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두 개의 압축기를 이용한 연속용량 제어장치
KR100689899B1 (ko) * 2004-12-31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용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1386B (zh) * 2015-09-08 2017-09-08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地铁站用螺杆压缩机并联系统
CN108826587B (zh) * 2018-04-25 2019-08-27 海南椰岛酒业发展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输出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09631387A (zh) * 2019-01-07 2019-04-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3283C (zh) * 2002-06-07 2005-05-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899B1 (ko) * 2004-12-31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용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1524B1 (ko) * 2005-05-19 2006-09-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두 개의 압축기를 이용한 연속용량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2617B (zh) 2010-05-12
KR100621522B1 (ko) 2006-09-19
CN1782617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6934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4195031B2 (ja) 空気調和機の容量制御装置
KR100388675B1 (ko)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WO2011048662A1 (ja) ヒートポンプ装置
US20150059380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6883346B2 (en) Freezer
EP1666806A2 (en) Multi-air condi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22056A1 (ja) 空気調和装置
CN1782617B (zh) 空气调节机及其控制方法
KR100689899B1 (ko) 공기조화기의 용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210717A (ja) 空気調和装置
JP3584514B2 (ja) 冷凍装置
JP3718870B2 (ja) 冷凍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100857565B1 (ko) 공기조화기 운전 제어 방법
JP3635705B2 (ja) 冷凍装置
JPH0694954B2 (ja) 冷凍装置の過熱度制御装置
US11573039B2 (en) Heat source unit and refrigeration apparatus
JPH10132406A (ja) 冷凍装置
CN113007917B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1513305B1 (ko) 냉난방 겸용 인젝션 타입 공기조화기 및 그 공기조화기의 인젝션 모드 절환방법
JPH04222354A (ja) 冷凍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H0772647B2 (ja) 空気調和機の均圧装置
JP3780955B2 (ja) 冷凍装置
JP2976905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621524B1 (ko) 두 개의 압축기를 이용한 연속용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