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596A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596A
KR20060037596A KR1020040086600A KR20040086600A KR20060037596A KR 20060037596 A KR20060037596 A KR 20060037596A KR 1020040086600 A KR1020040086600 A KR 1020040086600A KR 20040086600 A KR20040086600 A KR 20040086600A KR 20060037596 A KR20060037596 A KR 2006003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connector
terminal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743B1 (ko
Inventor
김재경
선우준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743B1/ko
Priority to CNB2005101127087A priority patent/CN100355114C/zh
Priority to US11/261,021 priority patent/US7614906B2/en
Priority to JP2005313284A priority patent/JP4607733B2/ja
Publication of KR2006003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전지의 단자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율을 높이고 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모듈에 있어서, 외측으로 연결구가 놓여지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단자, 체결부재, 플랜지, 연결구, 너트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출력 대용량 전지에 있어서 단위 전지간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집진효율을 증대시킨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나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 전 지라 칭한다)는 통상 복수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고출력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을 이루게 되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페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100)을 구성하기 위하여 각 단위전지(111)의 캡 조립체(1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1)의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111)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양극단자(114)와 음극단자(115)간에 너트(117,118)를 매개로 연결구(116)를 연결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각 단자(114,115)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단자에 일차적으로 너트(117)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117) 위에 일측 단위전지(111)의 양극단자(114)와 다음 단위전지(111)의 음극단자(1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116)가 끼워지며 상기 연결구(116) 위에 다시 너트(118)가 체결되어 연결구(116)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지 모듈 구조는 단자로부터 연결구 사이에 연결저항이 커 집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자로 이동된 전자는 단자에 설치된 너트를 통해 연결구로 이동하게 되 는 데, 전자의 이동로가 단자와 너트의 접촉면적에 국한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적어 저항이 증가하고 전기 전도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이나 EV(전기 자동차)를 포함하여 모터를 사용하는 대용량 이차 전지의 경우 고출력을 요구하는 데, 상기와 같이 저항의 증가로 인한 전기 전도율의 저하로 출력저하가 발생하여 원하는 모터 구동 특성을 얻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단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전지의 단자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율을 높이고 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단위전지의 단자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고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가 놓여지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와 이 체결부재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와 연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단자의 전면에 접하게 되어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전기 전도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는 내주면에 수나사 형태의 단자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가공되며 외주면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수나사가 가공되고, 하부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연결구와 접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전기를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구조물로, 일측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에 장착된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체결부재간 간격에 맞춰 홀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지 모듈은 단위 전지의 단자 끝단과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 선단 사이에 스프링 와셔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은 상기 단위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웃하는 단위전지 간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지 모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이루는 각 단위전지(11)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18)와, 상기 전극 조립체(18)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13),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14,1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 조립체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의 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단위전지(11)는 캡 조립체(13) 위로 두 개의 단자(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한 단자 구조를 갖는 단위 전지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의 각 단위전지(11)는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구성하기 위하여, 단자(14,15)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일측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
이에 따라 단위전지(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에 있어서, 본 이차 전지는 각 단위전지(11)를 직렬 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전지(11)간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각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는 수나사 형태로 캡 조립체(13) 상에 가스켓(16)을 매개로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며, 너트(17)가 상기 단자(14,15)에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서 캡 조립체(13) 상에 조립 고정된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9)는 너트와 가스켓(16)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이다.
이와같이 캡 조립체(13) 상에 조립된 각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간에 연결구(20)가 조립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14,15)에 체결되고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20)가 놓여지도록 플랜지(3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30)와 이 체결부재(30)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40)를 매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연결구(2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중앙부에 홈(31)이 형성되고 이 홈(31) 내주면에 암나사가 가공되어 상기 수나사 형태의 단자(14,15)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14,15)의 전면이 상기 체결부재(30)에 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0)의 외측에는 연결구(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연결구(20)가 놓여지는 플랜지(32)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너트 체결용 수나사가 가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20)가 상기 체결부재(30)에 끼워져 플랜지(32) 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30)에 형성된 수나사에 너트(40)를 고정시킴으로써 연결구(20)를 체결부재(3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는 전기를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조립체 구조물로, 일측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에 장착된 상기 체결부재(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체결부재(30)간 간격에 맞춰 홀(21)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홀(21)의 크기는 상기 체결부재(3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단자(14,15)와 연결구(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체결부재(30)가 단자(14,15)의 전면에 접하게 되어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전기 전도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자(14,15)의 끝단과 상기 체결부재(30)에 형성된 홈(31)의 내측 사이에는 스프링와셔(33)가 더욱 설치되어 상기 단자(14,15)로부터 체결부재(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전지 모듈의 연결구(20) 장착과정과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자(14,15)는 각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에 가스켓(16)을 매개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14,15)에 와셔(19)를 끼우고 너트(17)로 체결함으로써 단자(14,15)를 캡 조립체(13)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단자가 고정된 상태에서 각 단위 전지를 연결구(20)로 연결시켜 고출력의 전지 모듈(10)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배열되어 있는 각 단위전지(11)의 단자(14,15)에 체결부재(30)를 설치하고 이 체결부재(30)에 너트를 매개로 연결구(20)를 조립하게 된다.
즉, 도 2는 연결구(20)가 단위전지(11)에 설치되는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는 데,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각 단위전지(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배열된 각 단위전지(11)는 단위전지에 설치된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와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전지(11)의 음극단자(15)에 연결구(20)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음 단위전지(11)의 다른쪽 단자열에 위치한 양극단자(14)는 그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전지(11)의 음극단자(15)와 연결구(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 단위전지(11)가 직렬로 연결된다.
단자간 연결구(20)의 조립을 위해 먼저 각 단위전지의 단자에 체결부재(30)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30)의 중앙에 형성된 홈(31)에 스프링와셔(33)를 끼우고 상기 수나사가 형성된 단자(14,15)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30)의 홈(31)을 나사결합으로 조여줌으로써 체결부재(30)가 단자(14,15)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에 형성된 홀(21)을 통해 상기 연결구(20)를 상기 체결부재(30)에 끼워주게 되면 연결구(20)가 체결부재(30)의 외측에 형성된 플 랜지(32) 위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가공된 상기 체결부재(30)에 너트(40)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연결구(2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20)는 체결부재(30)의 플랜지(32)와 너트(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구(20)가 상기 체결부재(30)를 매개로 단자(14,15)와 연결됨에 따라 단자와 연결구(20) 사이의 저항을 줄여 집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30)는 내측으로 형성된 홈(31)을 통해 단자(14,15) 전면과 접하는 구조로 단자 전체 면으로부터 집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체결부재(30)로 인가된 전류는 최종적으로 체결부재(30)를 통해 그리고 체결부재(30)에 체결되는 너트와 체결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2)를 통해 연결구(20)로 인가됨으로써, 집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와 단자간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연결저항을 감소함으로써 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전효율의 향상을 통해 출력을 증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모듈에 있어서,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가 놓여지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선단 중앙에 암나사 홈이 가공되어 수나사 형태의 단자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이차 전지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가스켓을 매개로 캡 조립체 상에 돌출 설치되고 너트를 매개로 상기 단위 전지의 캡 조립체 상에 고정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이웃하는 두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위에 놓여지는 이차 전지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홀은 체결부재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 끝단과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 선단 사이에 스프링 와셔가 개재되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
KR1020040086600A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600A KR100684743B1 (ko)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모듈
CNB2005101127087A CN100355114C (zh) 2004-10-28 2005-10-10 二次电池及使用该二次电池的二次电池模块
US11/261,021 US7614906B2 (en) 2004-10-28 2005-10-27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JP2005313284A JP4607733B2 (ja) 2004-10-28 2005-10-27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600A KR100684743B1 (ko)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596A true KR20060037596A (ko) 2006-05-03
KR100684743B1 KR100684743B1 (ko) 2007-02-20

Family

ID=3626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600A KR100684743B1 (ko)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14906B2 (ko)
JP (1) JP4607733B2 (ko)
KR (1) KR100684743B1 (ko)
CN (1) CN10035511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83B1 (ko) * 2011-08-12 2013-11-29 세방전지(주) 푸쉬너트를 이용한 전지 극주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1431A1 (de) * 2005-02-14 2006-08-16 SAT Akkumulatoren Technik AG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von Zellen zu Akkumulatoren
KR100857019B1 (ko) * 2005-04-19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및 전기적 커넥팅 부재
KR100868255B1 (ko) * 2005-04-19 2008-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 연결장치
JP5159112B2 (ja) * 2007-01-24 2013-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09785B (zh) * 2007-08-02 2013-12-04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蓄电池组件
DE102008034871A1 (de) * 2008-07-26 2010-01-28 Daimler Ag Batterie, insbesondere Fahrzeugbatterie
CN102160213A (zh) * 2008-08-11 2011-08-17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母线组件
CN102197509B (zh) * 2008-09-09 2014-11-26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电池组件的互连垫圈组件
KR101015834B1 (ko) 2009-01-06 2011-02-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7892022B2 (en) * 2009-02-06 2011-02-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Jumper connector for a lighting assembly
KR100983170B1 (ko) * 2009-02-26 2010-09-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7972185B2 (en) * 2009-03-16 2011-07-05 Sb Limotive Co., Ltd. Battery module having connector for connecting terminals
US9105911B2 (en) * 2009-12-28 2015-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5523164B2 (ja) 2010-03-29 2014-06-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極端子、及び電極端子の製造方法
CN101800329A (zh) * 2010-04-02 2010-08-11 深圳市越普科技有限公司 电池组
DE102010033437A1 (de) * 2010-08-04 2012-02-09 Johnson Controls Hybrid And Recycling Gmbh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und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sowie Akkumulatoranordnung dafür
KR101222406B1 (ko) * 2010-11-03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의 단자, 이차 전지의 단자 조립 방법,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US20120214053A1 (en) * 2011-02-18 2012-08-23 Dukjung Ki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JP5953051B2 (ja) * 2012-01-27 2016-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用バスバーモジュール
DE102012003979B3 (de) * 2012-02-28 2013-06-20 Audi Ag Batterie mit wenigstens zwei Batteriezellen und mit wenigstens einem Verbindungselement
CN102842698B (zh) * 2012-06-22 2015-11-25 深圳巴斯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组连接结构
JP6032027B2 (ja) * 2013-01-25 2016-11-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US9887409B2 (en) * 2014-09-30 2018-02-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bus bar connection assembly
DE102015106251A1 (de) 2015-04-23 2016-10-27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Temperaturüberwachungseinrichtung
DE102015221555A1 (de) 2015-11-03 2017-05-04 VW-VM Forschungsgesellschaft mbH & Co. KG Dichtsystem für Poldurchführung
US10062975B2 (en) 2016-06-01 2018-08-28 Termaco Ltee Battery connector
DE102016116842B3 (de) * 2016-09-08 2018-02-15 Lisa Dräxlmaier GmbH Steckverbinder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zwei elektrischen Baugruppen
DE102017217688A1 (de) * 2017-10-05 2019-04-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Verbindungsanordnung, Verbindungsanordnung sowie Batterie
JP6414361B1 (ja) * 2018-03-30 2018-10-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4259A (en) * 1928-05-03 1930-12-09 Robert E Donovan Battery-terminal connecter
US1982801A (en) * 1933-03-20 1934-12-04 Ardis D Gerking Interchangeable battery cell
US3663927A (en) * 1970-02-19 1972-05-16 Amp Inc Battery terminal
US4347294A (en) * 1981-02-12 1982-08-31 Santiago Mejia Novel electric storage battery assembly
CN1064970A (zh) * 1992-01-25 1992-09-30 王艳章 直接拧入式防氧化电瓶接线装置
JPH09219186A (ja) * 1996-02-09 1997-08-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池間接続装置
JPH09223493A (ja) * 1996-02-15 1997-08-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池間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US5620291A (en) * 1996-02-16 1997-04-15 Alcoa Fujikura Ltd. Quick disconnect fastener
JPH09223494A (ja) 1996-02-16 1997-08-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池間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JP3373108B2 (ja) 1996-03-28 2003-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端子間の電気的接続構造
US5692865A (en) * 1996-06-14 1997-12-02 Textron Inc. Quick release fastener system
JP4733248B2 (ja) * 2000-06-20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ルモジュール構造
JP2002075328A (ja) * 2000-09-04 2002-03-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US6610444B2 (en) * 2000-09-29 2003-08-26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cell with non-rotatable terminal member
JP2003142071A (ja) * 2001-11-06 2003-05-16 Fujikura Ltd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100515356B1 (ko) * 2003-06-19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안전변 제조 방법
KR100627306B1 (ko) * 2004-05-04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560483B1 (ko) *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7074095B2 (en) * 2004-11-02 2006-07-11 Te-Yu Perng Car battery post fixing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83B1 (ko) * 2011-08-12 2013-11-29 세방전지(주) 푸쉬너트를 이용한 전지 극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28114A (ja) 2006-05-18
US20060094289A1 (en) 2006-05-04
CN1770504A (zh) 2006-05-10
CN100355114C (zh) 2007-12-12
US7614906B2 (en) 2009-11-10
KR100684743B1 (ko) 2007-02-20
JP4607733B2 (ja)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4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84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3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KR100560483B1 (ko) 이차 전지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CN100365860C (zh) 可再充电电池
KR10066943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06B1 (ko) 이차 전지
KR20070014655A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연결로드
KR10069663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66B1 (ko) 이차 전지
KR10068484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570779B1 (ko)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KR101084064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 앤드플레이트
KR10069667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2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65868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44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KR10059004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41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KR100599617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59980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46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