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588A -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588A
KR20060037588A KR1020040086591A KR20040086591A KR20060037588A KR 20060037588 A KR20060037588 A KR 20060037588A KR 1020040086591 A KR1020040086591 A KR 1020040086591A KR 20040086591 A KR20040086591 A KR 20040086591A KR 20060037588 A KR20060037588 A KR 20060037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transparent
light reflective
cleaner
part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416B1 (ko
Inventor
김성오
Original Assignee
김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오 filed Critical 김성오
Priority to KR102004008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416B1/ko
Priority to JP2005075855A priority patent/JP2006124635A/ja
Publication of KR2006003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95Solid transparent soaps or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효과를 향상시킨 고형 투명세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형 투명세정제는 금 입자, 은 입자, 스크럽(scrub), 글리터(glitter), 펄(pearl) 등과 같은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원반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과 그 상부의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평볼록랜즈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자의 결합부위에서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주면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의 중심축상 높이(h2)는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 높이(h1) 보다 2.5 ~ 6배 길게 되어 있다.
투명세정제, 고형, 금, 은

Description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Solid, transparent cleanser containing reflective particles and prepar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에 따르는 고형 투명세정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고형 투명세정제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형 투명세정제의 제조에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형 투명세정제의 제조에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의 적층시에 장식물을 삽입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적층된 한쌍의 투명세정제편을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 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반사성 입자-함유 투명세정제 부분
2: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투명세정제 부분
3: 광반사성 입자
h1: 광반사성 입자-함유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 높이
h2: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 높이
본 발명은 고형 투명세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 입자, 은 입자, 화장료 등에 첨가되는 스크럽(scrub), 글리터(glitter), 펄(pearl) 등과 같은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며, 이러한 입자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킨 새로운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형 투명세정제의 투명화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즉, 일반 화장비누는 지방산 비누 분자와 인접분자와의 사이에 이온간 쿨롱의 힘이 작용하고, 탄화수소간에 반데르바알스의 힘이 작용하여 분자의 같은 머리 및 꼬리가 횡으로 배열함에 의해 모자이크구조를 나타내며, 그 구조가 성장하여 섬유구조가 형성 됨으로써 거의 투명성이 나타나지 않지만, 투명화제를 첨가하게 되면 이 투명화제가 탄화수소간의 반데르바알스 힘에 큰 영향을 미쳐 인접분자간의 힘을 약화시킴으로써 섬유구조의 성장을 저지시키고, 미세한 결정 또는 고용체의 상태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보통의 광파장에서 광학적 연속성이 부여되어 투명하게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어 지고 있다.
종래, 금의 피부에 대한 작용효과(예를 들어, 피부노화방지, 피부질환치료 및 예방) 및 장식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금박편(gold flake)을 함유시킨 고형 투명비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1-48004호에는 금박편이 혼합된 투명비누액을 75~85℃에서 금속관에 충전하고, 상기 투명비누액이 충전된 금속관을 3-10℃의 냉각수로 냉각하여 투명비누액을 고화시키고, 고화된 투명비누를 금속관에서 인출하여 소정의 비누형상으로 가공하는 투명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금함유 투명비누는 금박편이 투명비누 전제에 걸쳐 분산되어 있어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장식물을 투명비누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오히려 투명비누 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금박편이 장식물의 형체를 불분명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세정제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키고, 장식물을 삽입하면 장식물의 형체가 돋보이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고형 투명세정제를 두개의 편으로 제조하고, 이중 하나의 고형 투명세정제편에만 금 입자, 은 입자, 스크럽(scrub), 글리터(glitter), 펄(pearl) 등과 같은 광반사성 입자를 첨가하고 다른 하나의 비누편을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세정제편보다 크게하여 상기 두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적층하고, 광반사성 입자가 함유되지 않은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을 평복록랜즈 형태로 성형하게 되면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을 통해 광반사성 입자가 확대되어 보이며, 이에 의해 광반사성 입자를 소량으로 사용하여도 다량의 광반사성 입자를 사용한 것과 같은 장식효과가 나타나고 외관적으로 종래의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보다 훨씬 미려하게 되며, 또한 상기 두 고형 투명세정제편 사이에 장식물을 개재하여 성형하게 되면 삽입된 장식물의 형체가 돋보이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세정제에 있어서,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원반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과 그 상부의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평볼록랜즈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자의 결합부위에서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주면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 상 높이는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 높이 보다 2.5 내지 6배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가 제공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과 상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과의 사이에 장식물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가 제공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세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형 투명세정제 조성물에 광반사성 입자를 배합하여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제조하는 단계;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보다 부피가 더 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제조하는 단계; 및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 상에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적층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을 평볼록랜즈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 고형 투명세정제의 바람직한 구현을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 형 투명세정제는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원반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과 그 상부의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평볼록랜즈 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된다.
상기 양자는 그 결합부위에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의 외주면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한다.
이때,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의 높이(h2)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의 높이(h1) 보다 약 2.5~6배 정도 길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데, 그 이유는 상기한 높이비의 범위내에 있을 때에 성형후에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이 평볼록랜즈 기능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한 광반사성 입자의 가시적인 확대효과와 입체감이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의 외표면의 거의 전체에 걸쳐 달성되고 미적인 외관도 우수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고형 투명세정제에서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평볼록랜즈를 통해서 보면 고형 투명세정제내의 광반사성 입자들이 마치 반구로 나타낸 천체속에 반짝이는 별들이 무수하게 떠있는 것처럼 입체감있게 보여진다. 예를 들어, 고형 투명세정제의 중심축상의 높이(h1 + h2)가 4cm인 경우, h1을 약 0.57~1.1 cm 정도가 되게 하고, h2를 약 2.9~3.43cm 정도가 되게 하면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고형 투명세정제는 일반 비누 보다 경도가 낮아 형체가 왜곡되기 쉬우나, 상기한 대략 반구형의 구조에서는 형체왜곡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 다.
또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은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과 접촉하는 외주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테이퍼지도록 한 외측부(1a)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평볼록랜즈 기능을 하는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을 통해 보여지는 광반사성 입자의 입체감을 더욱 살릴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 투명세정제에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과 상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과의 사이에 사진이나 그림 등의 장식물(4)을 개재하면 고형 투명세정제의 평볼록랜즈를 통해서 장식물이 확대되서 보일 뿐만아니라 광반사성 입자들에 의해 전혀 가리워지 않은채 마치 반짝이는 별들 위로 크게 떠있는 별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되어, 예를 들어 장식물(4)로서 연예계나 스포츠계의 스타사진을 이용하면 스타의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광반사성 입자는 고형투명세정제를 통과하는 빛을 반사하여 다양한 장식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입자 또는 분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는 금분, 은분 등과 같은 금속입자; 글리터(glitter)로 사용되며 다양한 색상을 갖는 직경 0.5-3mm의 폴리에틸렌 박편 필름, 스크럽(scrub)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색상을 갖는 직경 0.5-2mm인 폴리에틸렌 구상 입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입자; 마이카(mica)에 이산화 티탄 등으로 코팅된 약 500㎛ 크기의 입자이며 색조화장료에 사용되는 펄(pearl)과 같이 무기 입자에 광반사성 금속이 코팅된 입자; 합성수지 또는 금속입자에 광반사성금속이 코팅된 입자; 상기한 입자 이외에 색조화장료에 사용되는 광반사성 입자 또는 분말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종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효과적인 것은 금입자이다.
본 발명의 고형 투명세정제의 기재로는 통상의 고형 투명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형 투명세정제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등의 투명화제; 지방산비누; 천연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변색방지제;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pH조절제, 유동파라핀,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등의 이형제 등이 함유된다.
본 발명의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에 특히 적합한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은 계면활성성분으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인 N-아실-L-글루타메이트를 함유하는 것이며, 그 바람직한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기준으로 20~40중량% 정도이다. N-아실-L-글루타메이트는 두개의 친수성기를 가지고 있으며 천연 리피드 구조와 가까운 형태로서 특히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포력이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에서 N-아실-L-글루타메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아실-L-글루타메이트의 예로는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 N-라우로일-L-글루타메이트, N-탈로일-L-글루타메이트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N-코코일-L-글루타민산 10~20중량%와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10-20중량%의 혼합물이 투명도 향상과 제조용이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은 pH 5.0~6.9, 바람직하게 pH 5.5~6.8 정도의 약산성인 것이 피부자극완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고형 투명세정제 조성물의 pH는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를 제조하기에 바람직한 방법의 일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액상 고형 투명세정제 조성물에 광반사성 입자를 배합하여 분산시킨 후 성형틀에 주입하고 냉각고화시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 바를 제조한다. 예를 들어 광반사성 입자가 금분이나 은분과 같은 금속입자인 경우에는 세정제조성물의 온도가 75~85℃인 상태에서 성형틀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속입자가 분산된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의 성형틀 투입온도가 너무 낮으면 고형화가 이루어져 성형틀에의 투입이 곤란하게 되고, 너무 높으면 금속입자가 가라앉아 금입자 또는 은입자의 분산상태가 불량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는 별도로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액상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을 성형틀에 넣고 냉각고화시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바를 제조한다.
제조된 각각의 고형 투명세정제바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여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준비하되,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2')을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1')보다 부피가 더 크게 준비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성형완료후에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의 높이(h2)가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의 높이(h1) 보다 약 2.5~6배 정도 길어질 수 있게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2')의 부피가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1')보다 대략 2~5.5배 더 크게 준비하는 것이지만, 여러 장의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사용하여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의 부피보다 소망하는 정도로 크게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 위에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하고, 적층된 한쌍의 투명세정제편을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가 접시형상인 하부몰드(5)에 올려놓고, 내부가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며 피스톤 로드(6a)에 연결되어 상하운동하는 상부몰드(6)를 하강시켜 가압하면 하부몰드에 적층된 한쌍의 투명세제편(1',2')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하면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이 평볼록랜즈형상이 되고 양자의 결합부위에서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의 외주면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몰드 어셈블리에서 본발명의 고형투명세정제를 성형하면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측부가 내향 테이퍼지게 된다.
고형 투명세정제에 사진, 그림 등의 장식물을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 사이에 장식물(4)을 넣고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성형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형 투명세정제는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형 투명세정제로 이루어진 평볼록랜즈를 통한 광반사성 입자의 가시적인 확대효과와 입체감이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의 외표면의 거의 전체에 걸쳐 달성되고 미적인 외관도 우수하게 되며, 또한 광반사성 입자가 고가의 금분인 경우에는 소량으로 사용하여도 다량의 금분을 사용한 것과 같은 장식효과가 나타나므로 제조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고, 외관적으로 종래의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보다 훨씬 미려하게 되며, 또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와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 사이에 장식물을 개재하면 장식물 형체가 돋보이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세정제에 있어서,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원반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1)과 그 상부에 위치하며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평볼록랜즈형상의 고형 투명세정제부분(2)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자는 그 결합부위에서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주면과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 높이(h2)는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의 중심축상 높이(h1) 보다 2.5 ~ 6배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과 상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과의 사이에 장식물(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
  3.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세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형 투명세정제 조성물에 광반사성 입자를 배합하여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제조하는 단계;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고형 투명세정제조성물로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보다 부피가 더 큰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제조하는 단계; 및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 상에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편을 적층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광반사성 입자-비함유 고형 투명세정제부분을 평볼록랜즈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성 입자-함유 고형 투명세정제의 제조방법.
KR1020040086591A 2004-10-28 2004-10-28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591A KR100638416B1 (ko) 2004-10-28 2004-10-28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5075855A JP2006124635A (ja) 2004-10-28 2005-03-16 光反射性粒子を含有する固形透明洗浄剤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591A KR100638416B1 (ko) 2004-10-28 2004-10-28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588A true KR20060037588A (ko) 2006-05-03
KR100638416B1 KR100638416B1 (ko) 2006-10-24

Family

ID=3671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591A KR100638416B1 (ko) 2004-10-28 2004-10-28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24635A (ko)
KR (1) KR100638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8164A (ja) * 2013-04-10 2016-09-15 ユーエックスエヌ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ゴールドビーズを含有した石鹸組成物または化粧品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石鹸の製造方法または化粧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4939U (ko) 1986-12-05 1988-06-18
KR100432904B1 (ko) 2001-07-11 2004-05-24 김성오 다수의 투명층 및(또는) 불투명층이 결합된 투명 비누의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8164A (ja) * 2013-04-10 2016-09-15 ユーエックスエヌ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ゴールドビーズを含有した石鹸組成物または化粧品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石鹸の製造方法または化粧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24635A (ja) 2006-05-18
KR100638416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49135B2 (en) Multi-phase toilet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U2002249135A1 (en) Multi-phase toilet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CA2433337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optical diffusing pigments
EP3003090B1 (fr) Dispositif de produit cosmetique comprenant un flacon et un produit transparents
AU2011263481B2 (en) Effervescent bath composition
KR20130051676A (ko) 다층구조를 갖는 화장품용 복합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3052665A (ja) 液状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組成物
KR100638416B1 (ko) 광반사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형 투명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81553B1 (ko)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9477B1 (ko) 속눈썹용 화장료
CA2561501C (en)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with particulate optical modifiers
KR20190135539A (ko) 화장품 원료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 방법
WO2017163980A1 (ja) 化粧品
JP3276646B2 (ja) 化粧料
US11980779B2 (en) Cosmetic article in stick form and a method for making it
US11052036B2 (en) Coloured surfactant composition
JP3235480U (ja) 宝飾体
KR100693712B1 (ko) 피지 흡착과 함께 블루밍 효과도 주는 화장용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EA016833B1 (ru) Новый вид брусков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JP2000226316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
CN220201811U (zh) 可溶性玩具珠粒
JPH11217320A (ja) 練歯磨組成物
KR102396270B1 (ko)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R2694569A1 (fr) Article d'hygiène solide et transparent, notamment sous forme de pain dermatologique,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JP2005283705A (ja) 液晶組成物用容器及びこれを利用する液晶組成物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